KR890004670Y1 - 자전차의 핸들 절첩장치 - Google Patents

자전차의 핸들 절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670Y1
KR890004670Y1 KR2019860006826U KR860006826U KR890004670Y1 KR 890004670 Y1 KR890004670 Y1 KR 890004670Y1 KR 2019860006826 U KR2019860006826 U KR 2019860006826U KR 860006826 U KR860006826 U KR 860006826U KR 890004670 Y1 KR890004670 Y1 KR 890004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ipe
bolt
bicycl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6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8311U (ko
Inventor
문봉식
Original Assignee
문봉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봉식 filed Critical 문봉식
Priority to KR2019860006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670Y1/ko
Publication of KR8700183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83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전차의 핸들 절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자전차의 정면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장치의 요부를 분해하여 일부분을 확대시킨 확대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장치를 분해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를 절결시킨 정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볼트 1a : 너트
2 : T형관 2a : 후단부
3 : 핸들 3a : 연결부
4 : 앞포크 5 : 지지간
6 : 보조관 7 : 연결관
본 고안은 자전차의 핸들을 필요에 따라 절첩이 가능하게 하여 자전차의 보관 면적을 적게하여 여행시등에 있어 운반 및 휴대가 간편하도록 한 자전차의 핸들 절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절첩장치로서는 후레임에 경첩을 부착시켜 절첩되도록 하거나 후레임 자체를 이중관을 사용한 것과 후레임의 부분에 볼트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하여 절첩이 되도록 한것들이 있었으나 이는 거의 전부가 자전차의 완전한 분리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구성, 즉 앞바퀴와 뒷바퀴의 분리나 앞포그나 핸들의 분리등 제목적에맞는 절첩장치는 아직까지 없었던 바 본 고안은 상기 약술한 목적에 맞도록 안출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들(3)의 하방으로 앞바퀴를 지지하는 앞포크(4)가 위치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핸들(3)의 하단부에 볼트구멍이 뚫린 연결부(3a)를 일체로 형성하고 앞포크(4)에 볼트로 고정된 "T"형관(2)의 일단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삽입관(2')을 용착하여 삽입관(2')의 내측으로 연결부(3a)사이를 중공부가 형성된 연결관(7)으로 연결하여 연결관(7)내측으로 볼트(1)를 통과시켜 타측의 연결부(3a)에서 너트(1a)로 나사맞춤시키고 핸들(3)사이에 고착된 보조관(6)과의 받침편(6a)과 T형관(2)의 후단부(2a)사이의 상부에 지지간(5)을 위치시켜 받침편(6a)과 지지간(5), 후단부(2a)와 지지간(5)을 볼트(B)(B')로서 체결가능케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A는 후레임을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절첩이 가능한 자전차에 있어서 앞바퀴부분과 뒷바퀴부분이 절첩되었다 할지라도 앞바퀴부분과 핸들(3)이 연결되는 길이가 상당하게 되므로 자전차를 소형으로 부피를 줄이기 위한 절첩의 효과가 크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점에 역점을 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2도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앞포크(4)의 파이프내로 삽입되는 볼트로 지지되는 T형관(2)의 일단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삽입관(2')을 용착하여 삽입관(2')의 내측으로 핸들(3)의 연결부(3a)사이를 연결시킨 연결관(7) 내측에 볼트(1)를 통과시켜 연결부(3a)의 외측에서 너트(1a)로 체결고정시킨 구조로 되었으므로 이볼트(1)를 고정시키고 있는 너트(1a)를 풀어주고 지지간(5)을 보조관(6)의 받침편(6a)에서 이완시킬수 있도록 볼트(B)를 풀어주면 핸들(3)은 앞포크(4)에서 분리될수 있게 된다.
조립하여 자전차를 주행할때에 제반충격에 의해 나사풀림현상으로 핸들(3)의 유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들(3)의 양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핸들(3)의 사이에 보조관(6)을 고착시키고 지지간(5)으로 보조관(6)의 받침편(6a)과 T형관(2)의 후단부(2a)사이를 볼트(B)(B')로 연결하여 견고하게 결착이 되도록 하였으므로 주행시에 제반충격에 의해 나사풀림현상으로 인하여 핸들(3)이 유동될 가능성을 배제하여 안정도를 높혔고 또한 보관시동에 있어서는 지지간(5)을 고정시키고 있는 볼트(B)(B')와 연결부(3a)의 볼트(1)만 분해해주면 핸들(3)과 앞포크(4)는 완전히 분리되어 여행시나 본관시에 자전차의 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지금까지 개발된 자전차의 기존 절첩장치와는 달리 핸들(3)과 앞포크(4)의 분리라는 목적에 맞도록 고안한 것이어서 기존의 절첩용 자전차에 병행하여 사용하면 그 효과는 증가될 것이며 절첩시나 고정시에 있어서의 필요한 공구는 스패너등의 공구 한개만으로도 작업을 행할수 있어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핸들(3)의 하방으로 앞바퀴를 지지하는 앞포크(4)가 위치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핸들(3)의 하단부에 볼트구멍이 뚫린 연결부(3a)를 일체로 형성하고 앞포크(4)에 볼트로 고정된 T형관(2)의 일단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삽입관(2')을 용착하여 삽입관(2')의 내측으로 연결부(3a)사이를 중공부가 형성된 연결관(7)으로 연결하여 연결관(7) 내측으로 볼트(1)를 통과시켜 타측의 연결부(3a)에서 너트(1a)로 나사맞춤시키고 핸들(3)사이에 고착된 보조관(6)과의 받침편(6a)과 T형관(2)의 후단부(2a)사이의 상부에 지지간(5)을 위치시켜 받침편(6a)과 지지간 후단부(2a)와 지지간(5)을 볼트(B)(B')로서 체결가능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차의 핸들 절첩장치.
KR2019860006826U 1986-05-17 1986-05-17 자전차의 핸들 절첩장치 KR890004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826U KR890004670Y1 (ko) 1986-05-17 1986-05-17 자전차의 핸들 절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6826U KR890004670Y1 (ko) 1986-05-17 1986-05-17 자전차의 핸들 절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311U KR870018311U (ko) 1987-12-23
KR890004670Y1 true KR890004670Y1 (ko) 1989-07-15

Family

ID=1925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6826U KR890004670Y1 (ko) 1986-05-17 1986-05-17 자전차의 핸들 절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6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311U (ko) 1987-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2335A (en) Bicycle frame having a modifiable structure
US4639240A (en) Chainguard
US5195394A (en) Bicycle handlebar extension
US5465634A (en) Handlebar assembly for cycles
US5265496A (en) Clamp-on aero bar with internal clamping mechanism for attachment to a bicycle handlebar
US3331617A (en) Handle bar construction
US4029326A (en) Bicycle construction
US4512592A (en) Front fork reinforcing structure in motor bicycle or the like
US3477741A (en) Handlebar assemblies for bicycles
US20060273544A1 (en) Attachment for a bicycle
US3904238A (en) Support for motorcycle fairing
US4201397A (en) Steering head for bicycles
KR890004670Y1 (ko) 자전차의 핸들 절첩장치
US6074123A (en) Bicycle stem with enclosed steering tube clamp
US4527811A (en) Seat attachment and steering arrangement for recumbent bicycle or the like
DK301984A (da) Sejl til en cykel
EP0785125A3 (de) Vorrichtung zur externen Sicherung gegen Verdrehung, zur Ausfahrbegrenzung und zur Diebstahlsicherung einer hydraulisch positionierbaren Sattelstütze
SU765096A1 (ru) Держатель зеркала заднего вида двухколес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4108461A (en) Bicycle spindle
JP3149704B2 (ja) 自動二輪車の前照灯支持構造
JPS601027Y2 (ja) 自転車用直付けレバ−軸
US5785374A (en) Windscreen bracket for a motorcycle
SU1729897A1 (ru) Складной велосипед
FR2633890A1 (fr) Dispositif pour pose de garde-boue velo
SU1197916A1 (ru) Рул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велосипе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