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391B1 - Structure of daisy wheel for hangul (the korean alphabet) printer and method of printing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daisy wheel for hangul (the korean alphabet) printer and method of prin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391B1
KR890004391B1 KR1019850005077A KR850005077A KR890004391B1 KR 890004391 B1 KR890004391 B1 KR 890004391B1 KR 1019850005077 A KR1019850005077 A KR 1019850005077A KR 850005077 A KR850005077 A KR 850005077A KR 890004391 B1 KR890004391 B1 KR 890004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group
groups
row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5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70001036A (en
Inventor
유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50005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391B1/en
Publication of KR870001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0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3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types or dies
    • B41J1/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types or dies with types or dies mounted on carriers rotatable for selection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The daisy wheel for use in an electronic printer with a microprocessor has Roman alphabets and Hangul (Korean characters) arranged in three concentric circles on it. Alphabets, symbols and Arabic numerals are arranged on the first circle.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are arranged on the second and third circles. Hangul is prepared with eight kinds of same characters and 11 sets of 6 vowel sets and 5 consonant sets. All the characters are selectively printed by the microprocessor according to the shape of each letter.

Description

3열 데이지 휠의 구조 및 그의 타자방법Structure of 3-row Daisy Wheel and How to Type It

제 2(a) 도 내지 제 2(d)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모, 영문, 숫자, 부호의 명칭을 분류하여 나타낸 도면.2 (a) to 2 (d) is a diagram showing the names of the Korean alphabet, English, numbers, symbo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a) 도 제 2(b)도는 본 발명에서, 캐랙터 배열을 나타낸 도면.Figure 2 (a) Figure 2 (b) is a view showing a character array in the present invention.

제 3 도는, 본 발명에서 따른 프린트 휠을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print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4 도는, 제 3 도를 기준점을 중심으로 본 일부 확대도.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3 centered on a reference point.

제 5 도는, 본 발명의 분류 방식에 따른 한글 조합 형태도.5 is a Hangul combination form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6 도는,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타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yping method using a microprocessor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전자식 프린터에 있어서, 영문 및 한글의 동시 타이핑(Yyping)이 가능하도록 데이지 휠(Daisy Wheel)의 구조 및 이 데이지 휠을 이용한 타자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글의 경우에는, 동일자소의 글자를 여러가지 모양으로 배열하여 글자의 조합 유형 및 결합 관계에 따라 글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로하는 글자의 모양을 선택하여 타이핑이 되도록 함으로써, 조합에 의하여 타이핑되는 한글의 조합된 글자 모양이 거의 인쇄체에 가까운 미려한 글자체로 나타 나도록한 3열 데이지 휠의 구조 및 그의 타자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daisy wheel and a typing method using the daisy wheel in an electronic printer using a microprocessor to enable simultaneous typing in English and Korean. By combining the letters of the same letter in various shapes and selecting the shape of the letters needed to form the letter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type and the relationship of the letters, the type of the combined letters of the Hangul typed by the combination It relates to the structure of a three-row daisy wheel and its typing method, which is displayed in a beautiful font that is almost printed.

종래에 방식에 있어서는 1열 데이지 휠의 구조로서, 영문, 부호, 숫자로 구성된 영문 전용 휠을 사용 하거나, 한글, 부호, 숫자로 구성된 한글 전용 휠을 사용 하므로서, 2개 국어를 동시에 타이핑 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각각의 전용 데이지 휠을 준비하고, 이를 각각 억세스(Access)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 하여야 하며,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1개 국어를 타이핑한 후에 휠을 교환하여 다시 다른 국어를 타이핑 할 위치를 찾아가면서 타이핑을 하여야 하므로, 국제어화된 영어를 제 1 외국어로 사용하는 우리의 현실정에는 상단히 큰 불편을 가져왔었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as a structure of a single row daisy wheel, an English-only wheel composed of English letters, signs, and numbers, or a Korean-only wheel composed of Korean letters, signs, and numbers is used to simultaneously type two languages. Each dedicated daisy wheel must be prepared, and a device must be configured to access each of them.In addition, after typing one languag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 wheel can be exchanged to find a place to type another language. Since we had to do this, it was very inconvenient for our reality to use internationalized English as a first foreign language.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데이지 휠을 3열로 구성하되, 그의 최외곽열에는 영문 및 부호, 숫자로 구성하고, 그의 내측 2열에는 조합에 따라 형성되는 한글의 자모를 그의 유형에 따라 여럽벌로 구성 하므로서 한글의 인자 구성수가 증가하여 인쇄체에 가까운 미려한 글자체를 조합 시킬수 있도록 하여 한글의 과학화를 꾀할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첩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view of the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ree rows of daisy wheels, the outermost row of which consists of English letters, signs, and numbers, and the inner two columns of the Hangul alphabet formed by a combination according to their types. The composition of the ruble increases the number of arguments in Hangeul so that it is possible to combine beautiful fonts that are close to the printed form, and to devise the science of Hangeul,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도는, 한글자모, 영문, 숫자, 보호의 명칭 및 그 분류를 나타낸 것으로, 번호(Serial No)1~19는 "가""아"와같이 사이드(Side)에 오는 초성 닿소리군이고, ~은 "난""작"과같이 받침이 오는 시이드(Side)초성 닿소리 군이고, 39~57은 "국""봄"과같이 받침이 오는 어퍼(Upper)초성 닿소리 군이며, 58~76은 "곽""윈"과같이 받침이 오는 좌측(Left)초성 닿소리 군이고, 77~95는 "오""유"와같이 어퍼(Upper)에 오는 초성 닿소리 군이며, 96~120은 받침에 오는 받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닿소리 군이다.FIG. 1 shows Korean alphabets, English letters, numbers, names of protections, and their classifications. Numbers 1 to 19 are groups of consonant sounds coming to Side like "A" and "A". "I" "small" is a group of side initial touch sound coming from the base, 39-57 is the upper (super) "super early touch sound group coming from the" guk "" spring ", 58-76 Left "choose" (left) first touches, such as "Wang" "win", 77-95 is the first approaching sound, such as "oh" "Yu", the upper, and 96-120 comes to the support It's a touch sound group that serves as a support.

즉, 초성 닿소리인 "ㄱ"을 타이핑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면, "가"와같이 그의 위치가 옆(Side)에 오는 경우에는 제 1 도에 도시한 1~19번 사이에 형성된 초성 닿소리군 중에서 "ㄱ"을 선택하여 타이핑을 하게되는 것이고 "간"과같이 받침이 붙음과 동시에 그의 위치가 옆에오는 경우에는 20~38번 사이에 형성된 초성 닿소리군 중에서 "ㄱ"을 선택하여 타이핑을 하게 되는 것이고, "군"과같이 받침이 오는 경우에는 39~57번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초성 닿소리군 중에서 "ㄱ"을 선택하여 타이핑하게 되며, "광"과같이 받침이 붙음과 동시에 그의 위치가 옆에오는 경우에는 58~76번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초성 닿소리군 중에서 "ㄱ"을 선택하여 타이핑하게 되는 것이고, "고"와같이 그의 위치가 위에오는 경우에는 77~96번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초성 닿소리군 중에서 "ㄱ"을 선택하여 타이핑하게 되며, "ㄱ"아 받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96~120번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ㄱ"을 선택하여 타이핑을 할수 있도록 동일의 자소의 갖는 6벌의 초성 닿소리군이 형성되어 있는 것입니다.In other words, if the type of "b" that is the initial touch sound is described as an example, when his position comes to the side such as "a" (1), the group of the first touch sound formed between 1 to 19 shown in FIG. If you choose "a" from the type of "liver" and the base is attached at the same time, when his position is next to it, select the "a" from the initial consonant sound group formed between 20 ~ 38 to type If the support comes like "military", it selects and type "a" among the initial touch sound groups formed between 39 and 57, and the position is next to the base as the "light". In the case of Aeo, you will type by selecting the "b" from the group of consonant touch sound formed between 58 ~ 76, and if his position is above, such as "Go", the formation of the formation between 77 ~ 96 "ㄱ" out of the touch sound group If you choose to type, "a" acts as a support, if you select the "b" formed between 96-120 times to form a group of six initial touch sound having the same phoneme to type It is.

또한, 121~123은 "관""흰"과같이 받침이 붙음과 동시에 그의 위치가 중간(Middle)일 경우에 사용하는 홀소리 군이고, 124~125는 "과""휘"와 같이 받침이 없이 그의 위치가 중간(Middle)일 경우에 사용하는 홀소리군이며, 126~132는 "안""말"과같이 받침이 붙음과 동시에 그의 위치가 옆(Side)인 경우에 사용하는 홀소리군이고, 133~141은"가""예"와같이 받침이 없이 그의 위치가 옆(Side)인 경우에 사용하는 홀리소리 군이고, 142~144는 "곡""존"과같이 트인 초성에 연결되고 또한 받침이 붙음과 동시에 그의 위치가 중간(Middle)인 경우에 사용하는 홀소리군이고, 145~147은 "봄""녹"과 같이 막힌 초성에 연결되고 또한 받침이 붙음과 동시에 그의 위치가 중간(Middle)인 경우에 사용하는 홀소리 군이고, 148~149는 "물""국"과같이 받침이 붙음과 동시에 그의 위치가 중간(Middle)인 경우에 홀소리 군이고, 150~154는 "고""르""우""유"와같이 초성만 연결되는 홀소리군이다.In addition, 121-123 is a group of holes used when the base is attached and its position is middle, such as "tube" and "white", and 124-125 is no support, such as "and" "Whi". It is a group of hole sound used when his position is middle, and 126 ~ 132 is a group of hole sound used when his position is 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base is attached like "in" and "horse". ~ 141 is a holly sound group used when his position is Side without a support like "Yes", and 142 ~ 144 is connected to a open star like "song" "John" It is a group of holes used when its position is middle at the same time of attachment, and 145 ~ 147 are connected to a blocked first place such as "spring" and "green", and at the same time its position is middle It is a group of halls to be used in case of, and 148 ~ 149 are hallo when its position is middle at the same time that the base is attached as in "water" and "station". Group, and 150-154 are "high", "le", "right" the vowel group connection only consonants, such as "U".

또한 155~180은 알파베트 대문자 군이고, 181~126은 알파베트 소문자 군이고, 207~216은 아라비아 숫자 군이며, 217~240은 부호군으로서 상기한 각각의 명칭은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같다.In addition, 155-180 is an alpha-beta uppercase group, 181-126 is an alpha-beta lowercase group, 207-216 is an Arabic numeral group, and 217-240 is a code group as above-mentioned each name is shown in FIG.

제 2 도는 캐랙터의 배열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3열 휠의 제 2 열 96캐랙터, 제 2 열 96캐랙터 및 제 3 열 48캐랙터로 구성하여 총 240캐랙터로 제 1 도에 나타낸 분류상의 자소를 제 1 열에는 영문, 부호, 숫자를 국제 영문 찾기 조사에 기준하여 배열하였고, 제 2 열 및 제 2 열에는 한글을 한글 기계화 연구소로부터 조사한 한글 찾기 조사에 기준하여 스포크 번호(Spoke No)18을 기준점(Reference Point)으로 설정한후, 좌우로 배치 하였으며, 각 스포크 및 각 열에 해당하는 자소는 제 1 도에 도시한 시리얼 번호(Serial No)에 의하여 구성한 것이다.Figure 2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characters, consisting of the second row of 96 characters, the second row of 96 characters and the third row of 48 characters of the three-row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column, English, symbols, and numbers are arranged based on the International English Search, and in the second and second columns, the spoke number 18 is based on the Hangul search, which investigated Korean characters from the Korean Institute of Mechanization. After the reference point is set,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arranged, and the spokes corresponding to each spoke and each column are configured by the serial number shown in FIG.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 휠의 평면도를 나타낸것으로, 제 2 도의 캐랙터 배열을 동일한 기준점과 일치시켜 그대로 240개의 캐랙터를 옮겨 놓은 것이다.3 shows a plan view of the print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240 characters are moved as they are by matching the character arrangement of FIG. 2 with the same reference point.

이 경우에 제 1 열의 기준점 우측의 5개 스포크를 낮추어서 낮은 자소를 배열한 것은 방금 쳐서 나온 글자들이 확인 되도록, 즉, 휠에 가리워져서 보이지 않는 글자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절단 구성한 것이다.In this case, lowering the five spokes to the right of the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row and arranging the lower characters is a cutting arrangement so that the letters just hitted are confirmed, that is, there are no hidden letters hidden on the wheel.

또한, 제 4 도는, 제 3 도에 나타낸 프린트 휠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것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자소가 스포크 상에 배치된 모양을 알기 쉽게 표시한 것이다.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print wheel shown in FIG. 3, which clearly shows the shape of the phoneme arranged on the spokes as shown.

제 5 도는, 한글의 경우에 본 발명의 분류 방식에 따른 한글의 조합 형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자소가 스포크 상에 배치된 모양을 알기 쉽게 표시한 것이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a combination of Korea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Korean characters, and clearly shows the shape of the phoneme arranged on the spokes as shown.

제 5 도는, 한글의 경우에 본 발명의 분류 방식에 따른 한글의 조합 형태도를 나탄낸 것으로, 이를 제 1 도의 분류표와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a combination form of Hangul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Hangul, which is compared with the classification table of FIG. 1 as follows.

C1: 시리얼 번호 1~19C 1 : Serial No. 1 ~ 19

C2: 시리얼 번호 20~38C 2 : Serial No. 20 ~ 38

C3: 시리얼 번호 39~57C 3 : Serial No. 39 ~ 57

C4: 시리얼 번호 58~76C 4 : Serial Number 58 ~ 76

C5: 시리얼 번호 77~95C 5 : Serial Number 77 ~ 95

C6: 시리얼 번호 96~120C 6 : Serial No. 96 ~ 120

VHM-1 : 시리얼 번호 121~123VHM-1: Serial No. 121 ~ 123

VHM-2 : 시리얼 번호 124, 125VHM-2: Serial No. 124, 125

VVS : 시리얼 번호 126~132VVS: Serial Number 126 ~ 132

VVL : 시리얼 번호 133~141VVL: Serial No. 133 ~ 141

VHS-1 : 시리얼 번호 142~144VHS-1: Serial Number 142 ~ 144

VHS-2 : 시리얼 번호 145~149VHS-2: Serial No. 145 ~ 149

VHL-2 : 시리얼 번호 150~152VHL-2: Serial No. 150 ~ 152

VHL-1 : 시리얼 번호 153, 154VHL-1: Serial Number 153, 154

이들의 조합된 유형은 형태 1에서 형태 8가지로 대응되며, 8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These combined types correspond to eight types from Form 1, and each of the eight types is classified as shown.

형태 1 : C1+VVLForm 1: C 1 + VVL

형태2 : C2+VVS+C6 Form 2: C 2 + VVS + C 6

형태3 : C2+VHM-1+VVLForm 3: C 2 + VHM-1 + VVL

형태4 : C3+VHS-1+C6 Form 4: C 3 + VHS-1 + C 6

형태5 : C3+VHS-2+C6 Form 5: C 3 + VHS-2 + C 6

형태6 : C3+VHL-1Form 6: C 3 + VHL-1

형태7 : C4+VHS-2+VVS+CForm 7: C 4 + VHS-2 + VVS + C

형태8 : C4+VHL-2Form 8: C 4 + VHL-2

로 구성한것이다.It is composed of.

상기한 이들의 조합 유형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전자식 프린터 장치에 적용 함으로써 분류를 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캐랙터 분류 방식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적용한 실시예를 제 6 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mbination type described above is classified by applying to an electronic printer apparatus using a microprocessor. Referring to FIG. 6, an embodiment in which the character class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icroprocessor will be described.

제 6 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 장치의 타자 방법 및 그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가 타자할때에 눌려진 자판위에 글자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자판부(10) 및 제어판넬부(20)와, 그의 발생 신호를 중앙 제어 장치(CPU)(40)에서 알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중앙 제어 장치(40)의 모든 입출력을 담당하는 입출력 단자부(30)와, 상기 자판부(10)로부터 발생되어 입출력 단자부(30)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인식하여 그 글자에 알맞는 프린트 휠의 위치를 정하여 줌으로써 인자할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 시키는 중앙 처리부(40)와, 중앙 처리부(4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알맞게 프린트 휠을 회전시켜 주는 모우터를 제어하며, 캐리지를 인자 위치에 알맞게 이동시켜주는 프린트 휠 및 캐리지 제어부(60), (70)와로 구성된 것이다.6 shows a method of typing a prin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chematic configuration thereof, and includes a keyboard unit 10 and a control panel unit 20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on a pressed keyboard when a user types. And the generated signal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CPU) 40 and the input / output terminal unit 30 responsible for all the input / output of the central control unit 40 and the keyboard unit 10. And a signal generate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40 for generating a signal for recogniz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terminal unit 30 and printing by positioning a print wheel suitable for the character. It is composed of a print wheel and carriage control unit 60, 70 to control the motor for rotating the print wheel according to the, and to move the carriage appropriately to the printing position.

이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여 보면, 사용자가 자판위의 건반(Key)을 누르게 되면, 중앙 처리 장치(40)에서는 입출력 단자부(30)를 통하여 자판부(10)에서 눌리어진 건반(Key)에 대응하여 발생된 전기적 신호와 제어 판낼부(20)의 상태를 읽어서 사용자가 누른 건반을 알아내게 되고, 이와같이 알아낸 건반 정보에 의하여 지금까지 앞서 입력된 정보와 합하여서 글자를 합성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state, when the user presses a key on the keyboar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 corresponds to the key pressed on the keyboard unit 10 through the input / output terminal unit 30. By reading the state of the electrical signal and the control panel 20 generated by the user to find out the keyboard pressed by the user, by combining the information previously input by the keyboard information thus found is synthesized letters.

여기서 물론 영문의 경우에는 합성의 과정이 필요 없으나, 한글의 경우에는 이 합성의 과정이 매우 중요하여, 합성된 결과에 의하여 문법적으로 맞지 않는 키(Key)입력, 즉, 예를들어 모음을 연속으로 2번 입력 하였다면 이 사실을 제어 판넬부(20)로 알려주어 사용자가 오타(Error)를 하였음을 알려주게 되지만, 상기한 바와같이 글자의 합성이 정상적으로 완료 되었다면 중앙 처리부(40)에서는 인자의 명령을 프린트 휠 및 캐리지 제어부(60), (70)로 하달하게 된다.Here, of course, in the case of English, the process of synthesis is not necessary, but in the case of Korean, the process of synthesis is very important. If the user inputs twice, this is notified to the control panel unit 20 so that the user has made an error. However, as described above, if the character synthesis is completed normall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 commands the command of the argument. The print wheel and the carriage control unit 60, 70 is delivered to.

즉, 예를 들어 "강"이라는 글자를 자판부(10)에서 입력하면, 중앙처리부(40)는, 최초의 "ㄱ"을 제 1 도에서의 20~38번 사이에 형성된 초성 닿소리군 중에서 선정하여 그 "ㄱ"에 해당되는 프린트 휠 상의 위치와 기억되어 있는 현재의 프린트 휠의 위치와의 차이(Difference)를 구하여, 그의 차이값에 해당하는 값을 프린트 휠 제어부(60)로 보내주게 되므로, 프린트 휠 제어부(60)에서는 그 값에 해당하는 만클 프린트 휠을 회전 시키게 되고, 또한 이와 동시에 캐리지 제어부(70)로는 중앙 처리부(40)로부터 인자 시킬 위치로의 캐리지의 이동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어 캐리지 제어부(70)로 하여금 캐리지를 인자 위치로 이송하게 된다.That is, for example, when the letter "river" is input from the keyboard unit 1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 selects the first "a" among the initial consonant sound groups formed between 20 and 38 in FIG.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on the print wheel corresponding to the "a"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tored print wheel is obtained,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value is sent to the print wheel controller 60, The print wheel control unit 60 rotates the Mankle print wheel corresponding to the value, and at the same time, the carriage control unit 7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arriage movemen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 to the position to be printed. The controller 70 transfers the carriage to the printing position.

이와같이 하여 캐리지가 인자 위치고 이동되면, 중앙 처리 장치(40)에서는 글자의 형태에 알맞는 세기의 햄머(Hammer)타력 정보를 도시하지 아니한 햄머에 가해주게 됨에따라 햄머가 휠을 타격하게 되므로 글자가 찍혀지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carriage is moved to the printing pos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0 is applied to the hammer (hammer) force information of the strength suitable for the form of the letter to the hammer not shown, so that the hammer hits the wheel, so the letters It will be printed.

이어서, "ㅏ"는 제 1 도에서의 133~141번 사이에 형성된 홀소리군 중에서 선정되고, "ㅇ"은 96~120번 사이에 형성된 초성 닿소리군 중에서 선정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동작 됨으로서, 자판부(10)에서 입력한 "강"이라는 글자가 타이핑된다.Subsequently, "ㅏ" is selected from the group of holes sound formed between Nos. 133 to 141 in FIG. 1, and "o" is selected from the group of initial touch sounds formed between Nos. 96 and 120,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letters “Kang” entered by the keyboard unit 10 are typ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데이지 휠을 3열고 구성하되, 최외곽열에는 영문 및 부호, 숫자를 구성하고, 그의 내측 2열에는 한글 자모를 구성 하므로서 한글의 인자 구성수가 증가하여 인쇄체에 가까운 미려한 글자체를 조합 시킬수가 있어 한글의 과학화를 꾀할수 있도록 한 3열 데이지 휠의 구조 및 그의 타자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ree rows of daisy wheels, the outermost row of letters, symbols, and numbers, and the inner two columns of Hangul letters to increase the number of factors in the number of Korean letters.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fonts, and to provide the structure of the three-row daisy wheel and the typing method for the Hangul science.

Claims (2)

3열 데이지 휠에 있어서, 제 1 열에 영문, 부호, 숫자등을 배열하고, 내측인 제 2 열 및 제 3 열에는 한글의 자소를 배열하되, 한글의 경우에는 동일의 자소를 8개의 유형 및 닿소리군 6벌(C1~C8), 홀소리군 5벌(VHS-1, VVS), (VHL, VVL), (VHS-2), (VHM-1), (VHM-2)로 형성하여 합계 11벌로 구성하고, 이들의 캐랙터 분류를 프린터 장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하여 각각의 유형에 따른 글자의 모양을 상기 6벌을 닿소리군과 5벌의 홀소리군 중에서 선택하여 타이핑 되도록 구성한 3열 데이지 휠의 구조.In a three-row daisy wheel, English letters, signs, numbers, etc. are arranged in the first row, and the Hangul alphabets are arranged in the second and third rows, and in the case of Hangul, the same phonemes have eight types and touches. Formed into 6 groups (C 1 ~ C 8 ), 5 groups of Hallsori group (VHS-1, VVS), (VHL, VVL), (VHS-2), (VHM-1), (VHM-2) A structure of three rows of daisy wheels configured of 11 pairs, and the character classification of these characters is typed by the microprocessor of the printer device to be selected by typing among the 6 pairs of the touch group and the 5 pairs of the group of sound groups by the microprocessor of the printer device. . 3열 데이지 휠에 있어서, 제 1 열에 영문, 부호, 숫자 등을 배열하고, 제 2 열 및 제 3 열에는 한글에 자소를 배열하되, 한글의 경우에는 동일의 자소를 8개의 유형 및 닿소리군 6벌, 홀소리군 5벌로 구성하여 이들의 캐랙터 분류 방식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하여 각각의 유형에 따른 글자의 모양을 상기 6벌의 닿소리군과 5벌의 홀소리군 중에서 선택하여 타이핑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3열 데이지 휠의 타자 방법.In a three-row daisy wheel, alphabets, symbols, numbers, etc. are arranged in the first row, and phonemes are arranged in Hangul in the second and third columns, and in the case of Hangul, the same phonemes have eight types and touch groups. 3, characterized in that the bee, the sound group of five groups to characterize their character classification method by the microprocessor to select the type of letters from each of the six touch sound group and the five groups of the sound group by typing a microprocessor 3 Typing method of ten daisy wheels.
KR1019850005077A 1985-07-16 1985-07-16 Structure of daisy wheel for hangul (the korean alphabet) printer and method of printing KR8900043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5077A KR890004391B1 (en) 1985-07-16 1985-07-16 Structure of daisy wheel for hangul (the korean alphabet) printer and method of prin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5077A KR890004391B1 (en) 1985-07-16 1985-07-16 Structure of daisy wheel for hangul (the korean alphabet) printer and method of prin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036A KR870001036A (en) 1987-03-11
KR890004391B1 true KR890004391B1 (en) 1989-11-03

Family

ID=1924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077A KR890004391B1 (en) 1985-07-16 1985-07-16 Structure of daisy wheel for hangul (the korean alphabet) printer and method of prin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39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036A (en) 1987-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5482A (en) Orthogonal input keyboards
US5212638A (en) Alphabetic keyboard arrangement for typing Mandarin Chinese phonetic data
US5187480A (en) Symbol definition apparatus
US4951202A (en) Oriental language processing system
US5164900A (en) Method and device for phonetically encoding Chinese textual data for data processing entry
US51192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radical-encoded chinese characters
US7420543B2 (en) User-friendly Brahmi-derived Hindi keyboard
KR0136797B1 (en) Method & apparatus for processing ideographic characters
US5109352A (en) System for encoding a collection of ideographic characters
US3929216A (en) Input keyboards
US5903861A (en) Method for specifically converting non-phonetic characters representing vocabulary in languages into surrogate words for inputting into a computer
US4669901A (en) Keyboard device for inputting oriental characters by touch
US5360343A (en) Chinese character coding method using five stroke codes and double phonetic alphabets
WO1990007149A1 (en) Keyboard express typing system
US6604878B1 (en) Keyboard input devices, methods and systems
Becker Typing Chinese, Japanese, and Korean
JPS6120004B2 (en)
WO2002059736A1 (en) Character generation system
Huang The input and output of Chinese and Japanese characters
KR101259207B1 (en) Method for learning chinese character script and chinese character-based scripts of other languages
KR890004391B1 (en) Structure of daisy wheel for hangul (the korean alphabet) printer and method of printing
WO20000438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inese character text input
JPS6126192A (en) Method for recognizing hungul character from hungul letter string
EP0066991A2 (en) Character keyboards
JPH0439702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