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524B1 - Multiple-connected switch - Google Patents

Multiple-connected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524B1
KR890003524B1 KR1019860001180A KR860001180A KR890003524B1 KR 890003524 B1 KR890003524 B1 KR 890003524B1 KR 1019860001180 A KR1019860001180 A KR 1019860001180A KR 860001180 A KR860001180 A KR 860001180A KR 890003524 B1 KR890003524 B1 KR 890003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witch
pushbutton
lock pin
ro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1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60006816A (en
Inventor
도시오 가꾸다
다쯔오 가미다니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6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8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5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switch includes a housing and second rotors for opening and closing cooperable contacts. A third rotor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or under a certain condition. All the rotors are disposed in axial alignment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rotors are urged to rotate in one direction while the third rotor is urged to rotate in the other direction by the action of a force greater than that urging the second rotor to rotate in the one direction. A pushbutto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tors and acts, when depressed, to forcedly rotate them in the other direction so as to establish a loudspeaker receiving circuit.

Description

회전자를 사용한 스위치Switch with rotor

제 1 도는, 덮개 및 스위치 접편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스위치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switch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and a switch piece are removed.

제 2 도는, 회전자와 스위치접편과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tor and the switch contact piece.

제 3 도는, 전화기의 후크스위치로서 전화기 본체내에 장비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lephone main body is equipped as a hook switch of the telephone.

제 4 도는, 제1도의 스위치의 각 주요한 구성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major constituent member of the switch of FIG. 1 is disassembled.

제 5 도는, 스피커 수화용의 푸시버튼 둘레를 도시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erimeter of a pushbutton for speaker hydration.

제 6(a) 도는 스피이커 수화용의 푸시버튼의 일측부에 형성한 하아트 갬홈의 표면상태를 설명하는 도면.Fig. 6 (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urface state of the Haat Gam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pushbutton for speaker hydration.

제 6b 도는 제6a도의 하아트 캠홈과 여기에 돌입계합하는 록크핀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FIG. 6B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Haat cam groove of FIG. 6A and the lock pin inrushing thereto; FIG.

제 7 도는 제 1 입력레버와 록크핀의 T자형상에 헤드부와의 관계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Fig.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d portion on the T-shape of the first input lever and the lock pin.

제 8 도는, 마찬가지로 제 1 입력레버와 록크핀의 T자형상의 헤드부와의 관게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8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input lever and the T-shaped head portion of the lock pin in a similar manner.

제9a도, 제9b도, 및 제9c도는 각각 스피이커 수화용 푸시버튼과 제1, 제2회전자와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는 도면.9A, 9B, and 9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a speaker hydration pushbutton and first and second rotors, respectively.

제10도는~제17a도~제17f도는, 통화보류 기능까지도 갖춘 스위치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으로서10A to 17A to 17F are diagrams showing a switch including a call hold function as well.

제10도는, 덮개 및 스위치 접편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스위치의 평면도.10 is a plan view of the switc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and the switch piece are removed.

제11도는, 제 4회전자와 스위치접편과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th rotor and the switch contact piece.

제12도는, 전화기 후크스위치로서 전화기 본체내에 장비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telephone main body is equipped as a telephone hook switch.

제13도는, 제1도의 스위치의 각 주요구성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major constituent member of the switch of FIG. 1 is disassembled. FIG.

제14a도는, 통화보류용의 푸시버튼의 일측부에 형성한 하아트 캠홈의 표면상태를 설명하는 도면.Fig. 14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urface state of the Haat cam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push button for call holding.

제14b도는, 제14a도의 하아트 캠홈과 여기에 돌입계합하는 록크핀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FIG. 14B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at cam groove of FIG. 14A and the lock pins inrushed thereto. FIG.

제15도는, 통화보류용의 푸시버튼 둘레를 도시한 단면도.Fig. 1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erimeter of a pushbutton for call holding.

제16도, 통화보류용의 푸시버튼과 제2입력레버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Fig. 16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ush button for call holding and a second input lever.

제17a도~제17f도 는 각각, 스피이커 수화용 푸시버튼과 제1, 제2회전자와의 동작관계 및 통화보류용 푸시버튼과 제4회전자와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는 도면.17A to 17F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loudspeaker push button and the first and second rotors, and the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all hold push button and the fourth rotor, respectively.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102 : 하우징 3, 107 : 소실2, 102: housing 3, 107: burnout

4, 5, 6, 103 : 회전자실 8 : 제 1 회전자4, 5, 6, 103: rotor chamber 8: first rotor

8b, 10b, 109b : 원형의 수용부 8a, 9a, 9d, 109d : 회전축부8b, 10b, 109b: circular receiving portions 8a, 9a, 9d, 109d: rotating shaft portions

9 : 제 2 회전자 10 : 제 3 회전자9: second rotor 10: third rotor

10c : 삽입로 11, 113 : 고정단자10c: Insertion 11, 113: Fixed terminal

12, 114 : 가동단자 13, 115 : 캠돌편12, 114: movable terminal 13, 115: cam doll piece

14, 15 : 장착용구멍 16, 17, 33, 118, 151 : 코일스프링14, 15: mounting holes 16, 17, 33, 118, 151: coil spring

18, 19, 121 : 수압설편(受壓舌片) 20 : 스피이커 수화용 푸시버튼18, 19, 121: hydraulic tongue piece 20: push button for speaker hydration

21 : 기저단부 22, 126 : 하아트캠홈21: Base 22, 126: Heart Art Home

23, 127 : 록크핀 23a : 헤드부23, 127: lock pin 23a: head

24, 128 : 상승홈부 26, 130 : 경사홈부24, 128: rising groove 26, 130: inclined groove

30, 134 : 하강홈부 35, 36 : 계합용돌출단부30, 134: descending groove 35, 36: engaging projection end

37 : 제 1 입력레버 38 : 베이스세트37: first input lever 38: base set

39 : 회전축(또는 축본체) 41, 155 : 세트레버39: rotating shaft (or shaft body) 41, 155: set lever

42 : 호출발진용푸시버튼 43 : 캠부42: push button for call oscillation 43: cam portion

44 : 테이퍼캠면 109 : 제 4 회전자44: taper cam surface 109: fourth rotor

124 : 통화보류용푸시버튼 139 : 홈124: call hold button 139: home

148 : 아암 149 : 제 2 입력레버148: arm 149: second input lever

150 : 후크클릭150: Hook Click

본 발명은, 스위치 기능이 복수개이고, 또한 이들 다른 스위치기능을 상호 관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예를들면 전화기의 후크스위치로서 유용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switch functions and also useful as a switch for interrelated control of these other switch functions, for example, as a hook switch of a telephone.

최근, 전화기에 있어서는 단지 기본적인 송·수신 기능의 향상에 그치지 않고, 사용편리의 점에서 각종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elephones have not only improved basic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s, but also various functions have been added in terms of ease of use.

예를들면 핸드세트를 일일이 집어들지 않아도 발신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등이 일례이다. 이와같은 부가기능의 구현은 종래의 순수한 전기적인 처리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릴레이등 제어회로를 갖춘 제어박스를 전화기와는 별도로 설치하여 전화기의 특징 푸시버튼을 조작함으로서, 상기 제어회로가 스피이커 수화회로와 함께 네트워크 회로를 열어, 핸드세트를 집어들지않고 행하는 발신조작을 허용한다.For example, an outgo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picking up a handset. The implementation of such additional functions is achieved by conventional pure electrical processing, and by installing a control box equipped with a control circuit such as a relay separately from the telephone, and operating a feature pushbutton of the telephone, the control circuit is a speaker receiver circuit. Open network circuitry to allow outgoing operations without picking up the handset.

그러나, 상기 제어회로를 갖춘 전화기는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가정등에는 도저히 보급하기 어려운 면이 있는것, 또 상기 제어 박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스페이스를 형성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 또 전화기의 직접적인 사용전압 및 전류는 강하기 때문에 상기 제어회로를 구성하지 않는한 직접전화기내에 상기 기능을 부가 시킬 수 없는면이 있는것 등의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telephone with the control circuit is very expensive, it is difficult to spread in general homes, etc., and a separate space must be formed in order to install the control box. And because the current is stro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cannot be added to the direct telephone unless the control circuit is constituted.

본 발명의 목적은 메카니즘 기구로서 상기 기능을 구현화함으로서, 값싸고, 전화기내에 간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또 전화기의 직접적인 사용전압 및 전류에 의해서 기능부가가 저해되지 않는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itch that implements the above functions as a mechanism mechanism, which is inexpensive, can be easily attached to a telephone, and the functional part is not impaired by the direct use voltage and current of the telepho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구개의 회전자를 각각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어떤 방향으로 회전부세시키지 않으면 안될 경우에, 하우징을 크게 형성해서 각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기 위한 수용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해 놓을 필요가 없으며, 또한 이와같이 큰 수용 스페이스를 확보해 놓지 않아도 코일 스프링의 권수를 충분히 많이 취할수 있어서,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을 장기간에 걸쳐서 확보할 수 있는 소형이고 내구성이 풍부한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rotors of the recovery dogs must be rotated in a certain direction by the coil springs,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housing large and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each coil spr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fficiently larg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spring without securing such a large accommodating space, and to provide a compact and durable switch capable of securing the bias force of the coil spring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떤 방향으로 회전부세시키는 복수 개의 회전자를 대체로 일직선으로 착설하였을 경우에, 그들 각 회전자의 축방향 길이에 대해서 하우징 나아가서는 스위치 전체가 대형화 해버리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의 조립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enlarge the housing and the size of the switch as a whole with respect to the axial length of each of the rotors when a plurality of rotors that are rotated in a certain direction are generally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itch which can be prevented and which can be easily assembled with a coil spr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 과 제 2 의 회전자를 푸시버튼으로 확실하게 강제적으로 역회전 시킬수 있는 콤팩트한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ct switch capable of reliably forcibly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rotors with a push butt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푸시버튼의 압압상태에서의 록크 및 그 록크해제를. 대형의 록크기구를 착설함이 없이 콕팩트한 것으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ock and release the lock in a pushed state of the pushbutton.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 that can be reliably carried out in a compact manner without installing a large lock mechanis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푸시버튼을 압압상태의 록크 위치로부터 복귀시키는데 있어서, 특별히 복귀용의 스프링 부재를 착설함이 없이, 제 1 과 제 2 호전자의 회전부 세력을 이용해서 푸시버튼을 복귀시킬수 있는 값싸고 콤팩트한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turn a pushbutton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arcs in order to return the pushbutton from the locked position of the pressed state, without installing a spring member for return. To provide a cheap and compact switch that can be ma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레버의 상하 작도에 의해서 압압상태의 록크 위치에 있는 푸시버튼을 확실하게 복귀시킬수 있고, 또한 이것을 콤팩트한 상태로 구성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 capable of reliably returning a push button at a locked position of a pressed state by a vertical drawing of an input lever, and configuring it in a compact st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입력레버의 상하 작동에 의해서 압압상태의 록크위치에 있는 푸시버튼을 복귀시키는데 있어서, 이 푸시버튼의 복귀를 고속으로 행하게 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itch capable of performing a high speed recovery of a pushbutton in returning a pushbutton at a locked position in a pressed state by vertical operation of the input lev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피이커 수화기능을 갖춘 전화기용의 후크 스위치로서 호적하게 사용되는 태양의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 of the aspect which is suitably used as a hook switch for a telephone having a speaker hydration 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피이커 기능외에 통화보류 기능까지도 매카니즘 기구에 의해서 구현화할 수 있고, 또한 값싸고 소형이며 전화기내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itch that can be embodied by a mechanism mechanism in addition to the speaker function, and is inexpensive, compact, and can be easily attached to a telephon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류용의 푸시버튼이 압압상태로 세트되고, 이것을, 다음의 수화 혹은 통화에 대비해서 일일이 푸시버튼을 복귀시켜 놓지 않더라도, 핸드세트를 들어올리므로서 푸시버튼을 자동적으로 복귀시킬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t up a pushbutton for holding and to automatically push the pushbutton by lifting the handset even if the pushbutton is not returned to the next sign language or call. To provide a switch that can be return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드세트의 올림과 내림에 의해서 스피이커수화, 통화 및 통화보류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 capable of controlling speaker number, call and call hold by raising and lowering the handse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4 회전자를 코일 스프링으로 어떤 방향으로 회전부세시키지 않으면 안될 경우에, 그 코일 스프링의 수용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고, 또한 이와같이 삭감하여도 코일 스프링의 권수를 충분히 많게 취할 수 있어,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을 장기간에 걸쳐서 확보할 수 있는 콤팩트하고 내구성이 풍부한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il spring when the fourth rotor must be rotated in a certain direction with the coil spring, and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spring can be sufficiently reduced. It is possible to take a lot, and to provide a compact and durable switch capable of securing the bias force of the coil spring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류용의 푸시버튼의, 압압상태에서의 록크 및 그 록크해제를, 대형의 록크기구를 착설함이 없이 콤팩트한 것으로 확실하게 행할수 있는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 capable of reliably carrying out a lock of a push button for holding and its release in a compact state without having to install a large lock mechanism.

야하, 본 발영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Yaha,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도~제 9 도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스위치를 전화기의 후크 스위치로서 적용시킨 예에 관한 것이다.1 to 9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relates to an example in which the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hook switch of a telephone.

제 1 도는 합성수지제의 덮개(1),(제2도에 도시함)를 떼어내어서 내부기구를 노출시킨 합성수지제의 하우징(2)의 평면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of a synthetic resin housing 1 in which a cover 1 made of synthetic resin (shown in FIG. 2) is removed and an internal mechanism is exposed.

하우징(2)은 중앙부의 폭이 좁승 소실(小室)(3)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회전자실(4)(5)이 형성되고, 또 오른쪽의 회전자실(5)의 바깥쪽에는 일부가 외부에 개방된 제 3 의 회전자실(6)이 형성된다. 회전자실(4)(5)(6)에는 각각 합성수지제의 회전자(8)(9)(10)가 동축상태로 각별히 회전가능하게 착설되나, 제 1 회전자(8)와 제 2 회전자(9)는 그 회전동작에 의해서 소요의 스위치를 접점을 온·오프 제어하는 것으로서, 전화기에 적용한 이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 1 회전자(8)가 스피이커 수화기능을 위한 온·오프 제어용 회전자, 제 2 회전자(9)는 네트워크 기능을 위한 온·오프 제어용 회전자이다. 제 3 회전자(10)는 핸드세트(도시하지 않음)의 울림과 내림에 연동해서 회전되는 것으로서, 제 2 회전자(9)의 회전을 규제한다. 제 1 회전자(8) 및 제 2 회전자(9)는 그 회전에 의해서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고정단자(11)와 가동단자(12)를 이접(離接)(온·오프)하고, 이 이접을 위하여 캠돌편(13)이 회전자 둘레면에 팽설(澎說)된다. 그러나, 각각의 회전자(8)(9)로 온·오프되는 스위치 접점수, 및 캠돌편(13)의 수, 형상 배치는 스위치를 사용하는 전기기기에 상응한 개개의 설계적 사항이며, 또 본 발명의 요지도 아니므로, 설명은 생략하며, 다만 제 1 도에 있어서 고정단자(11), 가동단자(12)의 창작용구멍(14)(15)을 도시하는데 그친다.In the housing 2, rotor chambers 4 and 5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ral chamber with narrow narrow chambers 3 therebetween, and a part of the housing 2 is external to the outside of the rotor chamber 5 on the right side. The third rotor chamber 6 which is open at the top is formed. In the rotor chambers 4, 5 and 6, respectively, the rotors 8, 9 and 10 made of synthetic resin are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in a coaxial state, but the first rotor 8 and the second rotor are installed. (9) is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required on and off by the rotation operation,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applied to the telephone, the first rotor (8) for on / off control for the speaker hydration function The rotor and the second rotor 9 are on / off control rotors for the network function. The third rotor 10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inging and falling of the handset (not shown), and regulates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or 9. The first rotor 8 and the second rotor 9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fixed terminal 11 and the movable terminal 12 as shown in FIG. 2 (on / off). The cam projection piece 13 is expanded to the roto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this welding. However, the number of switch contacts to be turned on and off by the respective rotors 8 and 9, and the number and shape arrangement of the cam protrusions 13 are individual design matters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apparatus using the switch, and Since it is no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is omitted, and only the fixed terminal 11 and the window operating holes 14 and 15 of the movable terminal 12 are shown in FIG.

제 1 회전자(8)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2 회전자(9)와 반대쪽의 단부에, 그 측면으로부터 축내부 방향으로 뻗어있는 원형의 수용부(8b)가 형성되고, 이 수용부(8b)에 이 제 1 회전자(8)를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부세하는 코일 스프링(16)을 수용시키고 있으며, 또 제 2 회전자(9)에는 제 1 회전자와 반대쪽의 단부에, 상기 제 1 회전자(8)의 수용부(8b)와 마찬가지인, 측면으로부터 축내부방향으로 뻗어있는 원형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이 수용부에 이 제 2 회전자(9)를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부세하는 코일 스프링(17)을 수용시키고 있으며, 또, 제 3 회전자(10)에는, 제 2 회전자(9)와 반대쪽의 단부에,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측면으로부터 축내부방향으로 뻗어있는 원형의 수용부(10b)가 형성되고, 이 수용부(10b)에 이 제 3회전자(10)를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부세하는 코일 스프링(34)을 수용시키고 있다. 이와같이, 코일 스프링(16)(17)(34)을 각각 각 회전자(8)(9)(19)에 수용시키면, 하우징에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하우징(2)나아가서는 스위치 전체를 소형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일 스프링의 권수를 설치 스페이스에 영향을 주지 않고 증가할 수 있어, 코일 스프링의 부 세력을 장기에 걸쳐서 견지할 수 있다.In the first rotor 8, as shown in FIG. 4, a circular receiving portion 8b extending from the side surface in the axial direction is formed at an end opposite to the second rotor 9, The accommodating portion 8b houses a coil spring 16 that rotates the first rotor 8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The second rotor 9 has a first rotor At the opposite end, a circular accommoda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axially inward direction from the side surface, which is similar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8b of the first rotor 8, is formed, and this accommod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second rotor 9. The coil spring 17 which rotates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s accommodated, and the third rotor 10 is shown in FIG. 7 at an end opposite to the second rotor 9. Similarly, a circular accommodating portion 10b extending from the side surface in the axially inward direction is formed, and the third rotor 1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arrow b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b. The coil spring 34 to be fully charged is accommodated. In this way, when the coil springs 16, 17, 34 are accommodated in the rotors 8, 9, 19, respectively,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coil springs in the housing does not have to be formed separately, and the housing 2 Furthermore, not only can the whole switch be miniaturized, but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spring can be increased without affecting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secondary force of the coil spring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나아가서는 스위치 전체를 한층 더 소형화하기 위하여, 제 4 도 및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2 회전자(9)의 수용부의 축심부에 그 수용부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 3 회전자(10)의 축방향 길이보다도 긴 회전축부(9a)를 일체적으로 돌설하고 있으며, 이 회전축부(9a)의 단부에 코일 스프링(17)을 덮어끼워서 상기 제 2 회전(9)의 수용부에 수용시키는 한편, 제 3 회전(10)의 축심부에, 제 2 회전자(9)쪽 단부의 측면으로부터 제 3 회전자(10)의 수용부(10b)와 연통하는 삽입로(10c)를 관통 형성하고, 이 삽입로(10c)로부터 제 3 회전자(10)의 수용부(10b)에 제 2 회전자(9)의 회전축부(9a)를 회전가능하게 삽통시키고, 제 3 회전자(10)의 수용부(10b)로부터 돌출된 상기 회전축부(9a)의 단부에 코일 스프링(34)을 덮어끼워서 제 3 회전자(10)의 수용부(10b)에 수용시키며, 또한 제 3 회전자(10)의 수용부(10b)로부터 돌출된 회전 축부(9a)의 단부를 하우징(2)의 외벽(2b)에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지지시키도록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further downsize the entire switch to the housing 2, as shown in FIGS. 4 and 7,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second rotor 9 is shown. The rotary shaft portion 9a longer than the axial length of the third rotor 10 is integrally protru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coil spring 17 is covered with the end of the rotary shaft portion 9a. The housing 10b of the third rotor 10 is received from the side of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rotor 9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third rotation 10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ortion of the second rotation 9. ) And a rotation shaft portion 9a of the second rotor 9 is rotated from the insertion passage 10c to the receiving portion 10b of the third rotor 10 from the insertion passage 10c. Inserting the coil spring 34 on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9a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10b of the third rotor 10,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9a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10b of the third rotor 10 to the outer wall 2b of the housing 2. To support it.

또 이들 제 1 과 제 2 의 회전자(8)(9)의 서로 대향하는 축단면에는 제 1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대방의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회전축부(8d)(9d)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소실(3)로 돌입되고, 이들의 돌입선단부에 특별히 수압설편(受壓舌片)(18)(19)이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또한 소실(3)에 있어서는 이들 수압설편(18)(19)의 선단부 상면에 푸시버튼(20)이 배치된다. 이 푸시버튼(20)과 수압설편(18)(19)의 관게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으며, 푸시버튼(20)의 기저단부(21)에 수압설편(18)(19)의 유단부(遊端部)가 접촉하고, 이미, 설명한 코일 스프링(16)(17)으로 부여된 한쪽방향의 회전 부세력으로 이 푸시버튼(20)을 비압압위치로 밀어올린 실선자세를 통상상태로 하고, 푸시버튼(20)을 눌러 내림에 따라 회동축부(8d)(9d)을 개재하여 제1, 제 2회전자(8)(9)가 강제 역회전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first and second rotors 8 and 9 have opposite rotational end portions 8d that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as shown in Figs. 9d)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it intrudes into the chamber 3, in particular, the hydraulic tongue pieces 18 and 19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indentation tip, and further, in the chamber 3; In this case, the pushbutton 20 is arrang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se hydraulic tongue pieces 18 and 19. The relation between the pushbutton 20 and the hydraulic tongues 18 and 19 is as shown in FIG. 5, and the hydraulic tongues 18 and 19 are connected to the base end 21 of the pushbutton 20. The solid line posture which the end part contacted and pushed this pushbutton 20 to the non-pressing position by the rotational bias force of the one direction provided by the coil spring 16 and 17 already demonstrated to a normal state is brought to the normal state. As the pushbutton 20 is pressed down, the first and second rotors 8 and 9 are forcibly rotated through the rotation shafts 8d and 9d.

또, 상기 코일 스프링(16)(17)으로 부여된 한쪽방향의 회전부 세력으로 회동축부(8d)(9d) 및 수압설편(18)(19)을 개재하여 푸시버튼(20)을 비압압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고있다. 그리고, 스피이커 수화기능을 담당하는 제 1 회전자(8)는 이 강제 역회전으로 스피이커 수화회로 열고(수화를 가능하게함), 네트워크 기능을 담당하는 제 2 회전자(9)는 네트워크 회로를 연다(통화가능하게함).In addition, the pushbutton 20 is moved to the non-pressurized position via the rotating shaft portions 8d and 9d and the hydraulic tongue pieces 18 and 19 by the rotational force in one direction applied to the coil springs 16 and 17. I'm trying to get it back. Then, the first rotor 8 in charge of the loudspeaker hydration function opens the loudspeaker hydration circuit (which enables hydration) by this forced reverse rotation, and the second rotor 9 in charge of the network function is a network circuit. Open (make callable).

푸시버튼(20)은 첫번째 눌러내림으로, 이 눌러내린 상태가 록크되고, 다시 눌러내림에 의해 록크 해제되어서 복귀하는 하아트캠 기구를 갖추고 있다. 이 기능은 푸시버튼(20)의 축부에 형성된 하아트 캠홈(22)과 여기에 선단부가 돌입하는 록크핀(23)을 포함하며, 그 동작을 제6a도, 제6b도에서 설명하면, 푸시버튼(20)을 상사점(上死點)에 있는 초기상태로부터 눌러내리면, 록크핀(23)이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하아트 캠홈(22)중의 상승홈부(24)를 올라가며 푸시버튼이 하사점에 이를 때에 상승홈부(24)에 대하여 단차(25)를 가진 경사홈부(26)로 돌아가고, 다음에 눌러내림 해제에 따라 록크핀(23)은 1회전해서 경사홈부(23)를 하강하고, 또 한층홈이 단차(27)에 의해서 깊어진 대체로 U자형상의 골부(谷部)(28)에 계합하여 푸시버튼(20)의 상승복귀를 저지한다. 따라서, 이 록크위치는 상사점과 하사점과의 중간이다. 재치 눌러내리면 록크핀(23)은 골부(28)를 위쪽으로 빠져, 이 골부(28)에 대하여 단차(29)를 가진 하강홈부(30)로 들어가며, 그리하여 눌러내림 해제에 따라 하강홈부(30)를 하강하여, 단차(31)를 거켜서 본래의 상승홈부(24)로 들어간다. 또한, 각각의 단차(25)(27)(29)(31)가 록크핀(23)의 역동(逆動)저지용인것은 물론이다.The pushbutton 20 is equipped with a Haatcam mechanism which is first pushed down, and this pushed down state is locked, and is pushed down again to unlock and return. This function includes a Haat cam groove 22 formed in the shaft portion of the pushbutton 20 and a lock pin 23 into which the tip is indented. The operation of the pushbutton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When the 20 is pushed down from the initial state at the top dead center, the lock pin 23 is relatively raised, the ascending groove 24 in the Haat cam groove 22 is raised and the push button is moved to the bottom dead center. At this time, it returns to the inclined groove part 26 with the step | step 25 with respect to the rising groove part 24, and the lock pin 23 rotates by one rotation and descend | falls the inclined groove part 23 as the next press release is released. The groove engages the generally U-shaped valley 28 deepened by the step 27 to prevent the return of the pushbutton 20 from rising. Therefore, this lock position is halfway between the top dead center and the bottom dead center. When pushed down, the lock pin 23 exits the valley 28 upwards and enters the downward groove 30 having the step 29 with respect to the valley 28, and thus the downward groove 30 according to the release of the depression. The lowering step passes the step 31 and enters the original rising groove 24. It goes without saying that each of the steps 25, 27, 29 and 31 is for dynamic stop of the lock pin 23.

록크핀(23)은,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2 회전자(9)가 수납된 회저자실(5)과 평행하게 가설되고, 그 선단부가 하우징 격벽에 개설된 통과구멍(32)을 삽통해서 하아트캠홈(22)으로 돌입하며, 타단부, 특 핀헤드부(23a)가 하우징외벽(2a)을 삽통해서 외부로 빠져나감과 동시에, 이 빠져나간 핀 헤드부(23a)가 제 4 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T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록크핀(23)에는 하아트 캠홈(22)으로의 돌입계합을 부세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33)이 덮어끼워져 있으며, 이 스프링의 일단부는 핀선단쪽의 작은축 직경부(23b)(제 4 도에 도시함)에 착설되고, 타단부가 하우징외벽(2a)에 당접된다. 또한 록크핀(23)은 상술의 록크 및 록크해제동작을 행할 때, 전퇴 방향의 흔들림뿐만아니라 가로방향의 흔들림도 발생하므로, 통과구멍(32)은 이 흔들림을 저지하지 않도록 록크핀(23)의 축 직경에 대하여 여유있는 크기의 것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lock pin 23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rotatable chamber 5 in which the second rotor 9 is housed, and a passage hole 32 whose front end is formed in the housing partition wall. Is inserted into the Haatcam groove 22, and the other end, the special pin head portion 23a is pushed out through the housing outer wall 2a, and the pin head portion 23a is removed. As is apparent from Fig. 4, it is formed in a T shape. The lock pin 23 is covered with a coil spring 33 for biasing the rush into the Haat cam groove 22, and one end of the spring has a small shaft diameter portion 23b at the end of the pin (FIG. 4). The other end abuts on the housing outer wall 2a. In addition, when the lock pin 23 performs the above-described lock and unlocking operation, the lock pin 23 not only shakes in the retreat direction, but also shak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through hole 32 of the lock pin 23 does not prevent the shake. It is of a size that can afford to the shaft diameter.

제 3 회전자(10)는 코일 스프링(34)으로 제 4 도 화살표(b)로 도시한 바와같은 제 2 회전자(9)와는 역방향의 회전부세력이 이 제 2 회전자의 한쪽방향의 회전부세력을 이겨내는 강도로 부여됨과 동시에, 양회전자(9)(10)를 양자의 상반하는 회전부세로서 계합시키기 위한 계합 돌출단부(35)(36)가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형성되며, 그리하여 제 2 회전자(9)는 제 3 회전자(10)의 역방향의 회전부세력을 받아서 함께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third rotor 10 is a coil spring 34, which has a rotational bias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rotor 9 as shown by the arrow 4 in FIG. At the same time, the engaging projection ends 35 and 36 for engaging both rotors 9 and 10 as opposite rotational biases are formed as shown in FIG. The second rotor 9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rotor 9 receives rotational force of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hird rotor 10 and rotates together.

제 3 회전자(10)에는, 이것을 핸드세트의 올림과 내림에 연동해서 절환회전시키기 위한 제 1 입력레버(37)가 일체적으로 연설(延說)되어 있다. 즉, 제 3 도와 같이 베이스세트(38)에 회전축(39)이 축장(軸裝)되고, 이 회전축(39)에, 핸드세트의 올림과 내림에 연동하는 손잡이(40)와 제 1 입력레버(37)와 아래쪽으로부터 계합하는 세트레버(41)가 착설되고, 베이스 세트(38)에 핸드세트를 놓은 상태에서는 손잡이(40)가 내려가서 세트레버(41)가 제 1 입력레버(37)를 제 7 도 실선과 같이 밀어몰리고, 반대로 핸드세트를 베이스세트(38)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는 손잡이(40)가 올라오며, 또한 제 1 입력레버(37)가 제 3 회전자(10)에 내장된 코일 스프링(34)의 부세력으로 제 7 도 쇄선과 같이 내려가도록 되어있다. 제 3 도에 있어서(42)는 호출 발진용 푸시버튼을 나타낸다. 제 1 입력레버(37)에는, 평면에서 봐서 대체로 C자형상을 이루는 캠부(43)가 형성되고, 이 캠부(43)는 그 양쪽 개방단부의 안쪽에 상하가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진 가로로 쓰러진 산(山)형상의 테이퍼 캠면(44)(45)이 형성되고, 입력레버(37)의 회종조작시에 있어서의 테이퍼캠면(44)(45)의 회동궤적중에 상술한 록크핀(23)의 T자형상의 헤드부(23a)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입력레버(37)의 회동에 따라서 테이퍼캠면(44)(45)은 T자형상의 헤드부(23a)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혹은 아래쪽으로부터 당접하고, 이 테이퍼캠면(44)(45)에 의해서 록크핀(23)을 코일 스프링(33)에 대항해서 하아트캠홈(22)으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T자형상의 헤드부(23a)가 테이퍼캠면(44)(45)을 타고 넘음으로서 록크핀(23)이 복동한다. 또한, 록크핀(23)을 뽑아 내는 것은 푸시버튼(20)의 록크해제를 일으키는 것이므로, 이 록크 해제를 록크핀(23)의 약간의 슬라이드로 정확하게 고속으로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제 6b 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록크핀(23)의 골부(28)로 부터 하강홈부(30)쪽으로 이동하는 가로이동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제 7 도 및 제 8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테이퍼캠면(44)(45)을 록크핀(23)에 대하여 직각으로 위차하는 것이 아니고, 화살표(C)와 같이 경사로 배치해서 록크핀(23)의 당접에 따라서 이것을 가로로 흔들리게 한다. 또 이 가로로 흔들리는 구조에 의해서 록크핀(23)을 슬라이드시키지 않고 상기 록크해제를 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The third rotor 10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first input lever 37 for switching the rotation in conjunction with raising and lowering of the handset. That is, as shown in the third diagram, the rotary shaft 39 is extended to the base set 38, and the rotary shaft 39 has a handle 40 and a first input lever that cooperate with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handset. 37) and the set lever 41 engaging from the lower side are installed, and when the handset is placed on the base set 38, the handle 40 is lowered so that the set lever 41 removes the first input lever 37. In the state of pushing the 7-degree solid line, on the contrary, when the handset is removed from the base set 38, the handle 40 is raised, and the coil spring (1) in which the first input lever 37 is built in the third rotor 10 ( The negative force of 34) is to go down with the dashed line of FIG. 42, 42 shows a push button for call start. The first input lever 37 is formed with a cam portion 43 having a substantially C-shape in plan view, and the cam portion 43 has a horizontally collapsed peak having a tapered surface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its open ends. The tapered cam surfaces 44 and 45 of the mountain shape are formed, and the T-shaped shape of the lock pin 23 described above during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tapered cam surfaces 44 and 45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input lever 37. The upper head 23a is configured to be located. Accordingly,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input lever 37, the tapered cam surfaces 44 and 45 abut against the T-shaped head portion 23a from the top or from the bottom, and the tapered cam surfaces 44 and 45 The lock pin 23 is slid in the direction to be pulled out of the Haatcam groove 22 against the coil spring 33, so that the T-shaped head portion 23a rides over the taper cam surfaces 44 and 45 to lock the pin. 23 doubles. In addition, the extraction of the lock pin 23 causes unlocking of the pushbutton 20. Therefore, in order to realize the release of the lock pin 23 accurately and at high speed with a slight slide of the lock pin 23, as shown in FIG. Likewise, it is preferable to apply a horizontal movement from the valleys 28 of the lock pin 23 toward the descending groove 30. Therefore, the taper cam surfaces 44 and 45 are not positioned at right angles to the lock pin 23 as shown in FIGS. 7 and 8, but are inclined as shown by the arrow C and the lock pin 23 is disposed. Shake it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contact of. In addition, the horizontally swinging structure makes it possible to release the lock without sliding the lock pin 23.

다음에 동작을 설명하면, 베이스 세트(38)에 핸드세트를 놓은 비통화 상태에서는 손잡이(40)에 연동하는 제 1 입력레버(37)는 올라가고, 제 3 회전자(10)는 코일 스프링(34)에 의한 역방향의 회전부 세력에 대항해서 회동된 위치에 있으며, 따라서 제 2 회전자(9)에 대한 역방향의 회전부 세력의 압력이 없이 이 제 2 회전자(9)는 코일 스프링(17)에 의한 한쪽 방향의 회전부 세력만을 받아, 제 1 회전자(8)와 같은 자세로 세트되기 때문에, 제 1, 제 2 회전자(8)(9)의 수압설편(18)(19)이 제9(a)와 같이 모두 푸시버튼(20)을 밀올리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스피이커 수화기회로가 닫혀지고, 네트워크회로가 닫혀져있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non-call state in which the handset is placed on the base set 38, the first input lever 37 interlocking with the handle 40 is raised, and the third rotor 10 is the coil spring 34. Is rotated against the rotational force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rotational force, so that the second rotor 9 is one side by the coil spring 17 without the pressure of the rotational force in the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or 9. Since only the force of the rotating part in the direction is set and is set in the same posture as the first rotor 8, the hydraulic tongues 18 and 19 of the first and second rotors 8 and 9 are ninth (a). Both push the push button 20 as shown. In this state, the speaker receiver circuit is closed and the network circuit is closed.

다음에 푸시버튼(20)을 눌러내래면, 이 푸시버튼이 록크핀(23)으로 록크됨과 동시에 각 수압설편(18)(19)이 제 9(b)도와 같이 아래로 압압되어서 제 1, 제 2 회전자(8)(9)가 회전해서 스피이커 수화회로 및 네트워크회로가 열려, 호출발진이 가능해진다. 이와같이 핸드세트를 베이스 세트(38)에 놓은 채로 네트워크회로가 열려지므로, 상기 호출발진동작은 한손 조작으로 할 수 있다.Next, when the pushbutton 20 is pushed down, the pushbutton is locked by the lock pin 23 and at the same time, each hydraulic tongue 18 and 19 is pressed down as shown in FIG. The two rotors 8 and 9 rotate to open the speaker receiver circuit and the network circuit, so that call oscillation is possible. In this way, since the network circuit is opened with the handset placed on the base set 38, the call oscill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one hand operation.

상대방과의 접속이 취해지고, 그 음성신호가 스피이커(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나오는 것을 확인하고, 핸드세트를 집어들면, 입력 레버(37) 및 제 3 회전자(10)는 코일 스프링(34)에 의한 역방향의 회전부세력으로 한번에 회전하지만, 그때 테이퍼캠면(44)(45)이 록크핀(23)의 헤드부(23a)에 위쪽으로부터 닿아서, 이 록크핀을 후퇴 슬라이드시키며, 또한 가로로 흔들려서 푸시버튼(20)의 록크를 해제하기 때문에 이 푸시버튼은 상승 복귀함과 동시에, 제 1 회전자(8)가 회전복귀해서 스피이커 수화회로가 닫힌다. 그러나, 제 3 회전자(10)의 역방향의 회전부 세력은 제 2 회전자(9)의 한쪽방향의 회전부 세력에 이겨내는 강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회전자(10)의 회전에 의해서 계합용 돌출단부(35)(36)끼리가 재계합된 제 2 회전자(9)는 푸시버튼(20)이 상승복귀하였음에도 불고하고 제9c도와 같이 제 1 회전자(8)의 회전에 추종하지 않고, 네트워크 회로는 열린채로 되어서 핸드 세트에 의한 통화가 유지된다.When the connection with the other party is established, confirming that the audio signal comes from the speaker (not shown), and picking up the handset, the input lever 37 and the third rotor 10 are coil springs 34. Rotate force in the reverse direction by means of rotation at a time, but at that time, the taper cam surface 44, 45 touches the head portion 23a of the lock pin 23 from above, and slides this lock pin back and also swings laterally. Since the lock of the pushbutton 20 is released, this pushbutton rises and returns,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rotor 8 rotates and returns to close the speaker receiving circuit. However, 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third rotor 10 is set to the strength that overcomes the rotational force of one direction of the second rotor 9, the rotation is engaged by the rotation of the third rotor 10. The second rotor 9 having the protruding end portions 35 and 36 re-engaged with each other is blown even though the pushbutton 20 is raised and returned, and does not follow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or 8 as shown in FIG. 9C. As a result, the network circuit remains open so that calls by the handset are maintained.

그리고, 통화종료후, 핸드세트를 베이스세트(38)에 되돌려 놓음으로서 제2, 제3회전자(9)(10)가 본래와 같이 회전하여 스피이커 수화회로 및 네트워크회로 쌍방이 닫혀진 제9a도의 초기 상태가 된다.After the end of the call, the handset is returned to the base set 38 so that the second and third rotors 9 and 10 are rotated as intact, so that both the speaker signal circuit and the network circuit are closed. It becomes the initial state.

상대방의 호출에 따라, 핸드세트를 집어들었을때에는, 제9c도의 상태가 되어서 네트워크 회로만이 열린다.At the call of the other party, when the handset is picked up, it is in the state of FIG. 9C and only the network circuit is opened.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 실시예의 스위치를, 예를들면 전화기의 스피이커 수화회로 및 네트워크회로의 온·오프제어 스위치로서 사용하면, 핸드세트를 베이스세트에 놓은 상태에서 푸시버튼을 압압함으로서 스위치접점 온·오프제어용의 제1, 제2회전자를 모두 온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스피이커 수화회로 및 네트워크회로의 쌍방이 열리고, 핸드세트를 베이스세트에 놓은 채로 호출발진조작이 가능해진다. 또, 상대쪽과의 접축후에 핸드세트를 집어들면, 이 집어드른 동작에 연동해서 회동하는 입력레버가 캠부에 의해서 푸시버튼에 대한 록크핀의 록크상태를 해제시키고, 스피이커 수화회로를 닫음과 동시에 입력레버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제3회전자가 제2회전자의 복귀를 저지하여, 네트워크회로를 계속 열고 있게된다. 그 때문에, 호출발진을 한손조작으로 행할 수 있고, 또한 핸드세트를 집어들음으로서 스피이커 수화회로만을 닫을 수 있다. 또 이와같이 기능을 메카니즘기구에 의해서 달성하였으므로, 값싸고 또한 베이스세트에 간단하게 내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와 같은 대형의 제어박스를 필요로 하지않고, 또한, 전화기의 직접적인 사용전압 및 전류에 영향을 받음이 없이 상기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when the switch of the above embodiment is used as an on / off control switch of a speaker handset circuit and a network circuit of a telephone, for example, by pressing the pushbutton while the handset is placed on the base set, the switch is pressed. By rotating both the first and second rotors for contact on / off control in the on direction, both the speaker receiver circuit and the network circuit are opened, and the call oscillation operation is possible with the handset placed on the base set. If the handset is picked up after contact with the other side, the input lever which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picked-up operation releases the lock state of the lock pin to the pushbutton by the cam portion, and closes the speaker receiver circuit. The third rotor, which is integrally rotated with the input lever, prevents the return of the second rotor and keeps opening the network circuit. Therefore, call oscillation can be performed by one-handed operation, and only the speaker sign circuit can be closed by picking up the handset. In addition, since this function is achieved by the mechanism mechanism, it is inexpensive and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base set, thus eliminating the need for a large control box as in the prior art, and affecting the direct use voltage and current of the telephone. The function can be added without receiving.

제10도~제17a도~제17f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전화기의 후크스위치로서 적용시킨점은 상기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지만, 특히 이 실시예의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실시예의 스피이커 수화 기능외에 통화보류 기능까지고 갖추고 있는 점이다. 이하, 이 스위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에 대한상세한 설명중 및 제10도~제17a도~제17f도 중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실시예(제1도~제9a도, 제9b도, 제9c도)와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10 to 17a to 17f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hook switch of the telephone as in the first embodiment, but in particular, the switch of this embodiment has a call hold function in addition to the speaker sign language function of the first embodiment. . This swit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additio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ut this, and in FIGS. 10-17a-17f, the same part as the said 1st Example (FIGS.-9a, 9b, 9c) is shown. have.

제10도는 합성수지제의 덮개(101)(제11도에 도시함)를 제거해서 내부구조를 노출시킨 하우징(102)의 평면도이다.FIG. 10 is a plan view of the housing 102 in which the inner structure is exposed by removing the cover 101 made of synthetic resin (shown in FIG. 11).

하우징(102)내에는 도면의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4개의 회전자실(103)(4)(5)(6)이 형성되고, 제4회전자실(103)과 제1회전자실(4)과의 사이와, 제1회전자실(4)과 제2회전자실(5)과의 사이에 각각 소실(107)(3)이 형성된다. 회전자실(103)(4)(5)(6)에는 각각 합성수지제의 회전자(109)(8)(9)(10)가 동축상태로 각별히 회전가능하게 하우징(102)내에 착설되고, 제4회전자(109)가 통화보류 기능을 위한 온·오프 제어용 회전자, 제1회전자(8)가 스피이커 수화기능을 위한 온·오프 제어용 회전자, 제2회전자(9)는 네트워크 기능을 위한 온·오프 제어용 회전자이다. 제3회전자(10)는 상기 제6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핸드세트(도시하지 않음)올림과 내림에 연동해서 회전되는 것으로서, 제2회전자(9)의 회전을 규제한다. 또한, 제4회전자(109)도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 회전에 따라서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단자(113)와 가동단자(114)를 이접(온·오프)하고, 이 이접을 위하여 캠돌편(115)이 회전자 둘레면에 팽설된다. 그러나, 제4회전자(109)로 온·오프되는 스위치 접점수, 및 캠돌편(115)의수, 형상, 배치는 각 기능에 따라서 다르며, 또 스위치를 사용하는 전기기기에 따른 개개의 설계적 사항이며, 또 본 발명의 요지도 아니므로,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제10도에 있어서 고정단자(113), 가동단자(114)의 장착용의 구멍(116)(117)을 도시하는에 그친다.Four rotor chambers 103, 4, 5, 6 are formed in the housing 102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and between the fourth rotor chamber 103 and the first rotor chamber 4. And small chambers 107 and 3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rotor chamber 4 and the second rotor chamber 5, respectively. In the rotor chambers 103, 4, 5 and 6, rotors 109, 8, 9 and 10 made of synthetic resin are respectively mounted in the housing 102 so as to be rotatable in a coaxial state. Four rotors 109 are on / off control rotors for call holding function, the first rotor 8 is on / off control rotors for speaker hydration function, and second rotor 9 is network function Rotor for on / off control. Similar to the sixth embodiment, the third rotor 10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raising and lowering the handset (not shown), and restricts rotation of the second rotor 9.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ourth rotor 109 also contacts (on / off) the fixed terminal 113 and the movable terminal 114 as shown in FIG. 11 according to the rotation thereof. For this contact, the cam-dol piece 115 is expan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However, the number of switch contacts turned on and off by the fourth rotor 109, and the number,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cam protrusion pieces 115 vary depending on the respective functions, and individual design matters according to the electric apparatus using the switch. In addition, since it is not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nd only the hole 116 and 117 for attachment of the fixed terminal 113 and the movable terminal 114 are shown in FIG. .

제4회전자(109)에는, 제1회전자(8)와 반대쪽 단부에, 그 측면으로부터 축 내부 방향으로 뻗어있는 원형의 수용부(109b)(제13도 참조)가 형성되고, 이 수용부(109b)에 이 제4회전자(109)를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부세하는 코일 스프링(118)을 수용시키고 있다. 또 제4회전자(109)의 다른쪽 단부측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회전자(8)쪽으로 돌출하는 회전축부(109d)가 소실(107)로 돌림되고, 또 회전축부(109d)의 단부에 수압설편(121)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그 수압설편(121)의 선단부 상면에 푸시버튼(124)이 배치된다. 소실(107)에 장착되는 푸시버튼(124)은 통화보류용의 것으로서, 제17a도~제17f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4회전자(109)의 수압설편(121)이 통화보류용 푸시버튼(124)의 기저단부와 접촉하고, 이미 설명한 코일 스프링(118)으로 부여한 한쪽방향의 회전부 세력으로 이 버튼을 상승위치로 밀어올린 실선 자세를 통상 상태로 하여, 푸시버튼(124)을 눌러내림에 따라 수압설편(121)을 개재해서 제4회전자(109)가 강제 역회전된다. 그리고, 통화보류 기능을 담당하는 제4회전자(109)는 이 강제역회전으로 통화보류회로를 연다(통화를 보류상태로 한다).At the end opposite to the first rotor 8, the fourth rotor 109 is formed with a circular accommodating portion 109b (see FIG. 13)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side surface thereof. The coil spring 118 which rotates this 4th rotor 109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s accommodated in 109b. Moreover, the rotating shaft part 109d which protrudes toward the 1st rotor 8 integrally formed from the other end side surface of the 4th rotor 109 is turned to the loss | disappearance 107, and the edge part of the rotating shaft part 109d is carried out. The hydraulic tongue piece 121 is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side, and the pushbutton 124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hydraulic tongue piece 121. The push button 124 mounted on the chamber 107 is for call holding, and as shown in FIGS. 17A to 17F, the hydraulic tongue 121 of the fourth rotor 109 is a push button for call holding. The pusher button 124 is pushed down in contact with the base end of 124 and in a normal state in which the button is pushed up to an ascending position by the rotational force in one direction given by the coil spring 118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fourth rotor 109 is forcedly reversed through the hydraulic tongue piece 121. Then, the fourth rotor 109 in charge of the call holding function opens the call holding circuit with this forced reverse rotation (holds the call on hold).

또, 이 통화보류용의 푸시버튼(124)은 첫번째의 눌러내림으로, 이 눌러내림 상태로 록크되고, 재차의 눌러내림에 의해 록크가 해제되는 하아트캠 기구를 갖추고 있다. 즉 통화보류용의 푸시버튼(124)의 한쪽부에 함설(陷說)된 하아트캠홈(126)과 여기서 선단부가 돌입하는 록크핀(127)을 포함하며, 푸시버튼(124)을 제14b도와 같이 상사점에 있는 초기상태로부터 눌러내리면, 록크핀(127)이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하아트캠홈(126)중의 상승홈부(128)를 올라가서, 푸시버튼이 하사점에 이를때에 상승홈부(128)에 대하여 단차(129)를 가진 경사홈부(130)로 들어가며, 다음에 눌러내림 해제에 따라 록크핀(127)은 1회전해서 경사홈부(130)를 하강하여, 더한층 홈이 단차(131)에 의해서 깊어진 대체로 U자형상의 골부(132)에 계합하여 푸시버튼(124)의 상승복귀를 저지한다. 따라서, 이 록크위치는 상사점과 하사점과의 중간이다. 재차 눌러내리면, 록크핀(127)은 골부(132)를 위쪽방향으로 빠져, 이 골부에 대하여 단차(133)를 가진 하강홈부(134)로 들어가며, 그리하여 눌러내림 해제에 따라 하강홈부(134)를 하강하여, 단차(135)를 거쳐서 본래의 상스홈부(128)로 들어간다. 또한, 각각의 단차(129)(131)(133)(135)가 록크핀(127)의 역동저지용인 것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push button 124 for call holding has a Haatcam mechanism that is locked in the depressed state by the first depressing and released by the depressing again. That is, it includes a Haat cam groove 126 impregnated in one side of the push button 124 for call holding and a lock pin 127 in which the tip portion is indented, and the push button 124 is shown in FIG. When pushed down from the initial state at the top dead center, the lock pin 127 relatively rises, and ascends the rising groove 128 in the heart cam groove 126, and the rising groove 128 when the push button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 Into the inclined groove 130 having a step 129, the lock pin 127 is rotated once to descend the inclined groove 130 in accordance with the depressing release, and further grooves in the step 131. By engaging with the generally U-shaped bone portion 132 deepened by the restraining rise of the push button 124. Therefore, this lock position is halfway between the top dead center and the bottom dead center. When pushed down again, the lock pin 127 exits the valley 132 upward and enters the downward groove 134 having the step 133 with respect to the valley, thereby pushing down the groove 134 according to the release of the depression. It descends and enters the original upper groove 128 through the step 135. 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each of the steps 129, 131, 133, 135 is for the reverse stop of the lock pin 127.

록크핀(127)은 대체로

Figure kpo00001
자형상의 금구로서, 제13도 제15도와 같이 지지판(136)의 원형구멍(137)에 하단부(127a)를, 원호형상의 긴구명(138)에 상단부(127b)를 끼우고, 이 하단부를 지점으로해서 좌우로 회동할 수 있게 해서, 이 지지판(136)을 하우징(102)의 홈(139)에 삽입하여 하아트캠홈(126)에 대면시키며, 또한 지지판 배면부의 하우징격벽(102c)에 의해서 록크핀(127)의 빠져나감을 저지한 상태에서 상단부(127b)를 하아트캠홈(126)에 돌입시키고 있다. 이와같이 록크핀(127)을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것은, 이 핀이 상승홈부(128)와 하강홈부(134)에 걸치 가로이동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The lock pin 127 is generally
Figure kpo00001
As the female bracket, as shown in FIG. 13 and FIG. 15, the lower end 127a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hole 137 of the support plate 136, and the upper end 127b is inserted into the arc-shaped long life 138. The support plate 13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39 of the housing 102 so as to face the Haatcam groove 126, and is locked by the housing partition wall 102c of the support plate rear portion. The upper end portion 127b enters the Haatcam groove 126 while preventing the pin 127 from escaping. The locking pin 127 can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is way because the pin must move horizontally over the rising groove 128 and the falling groove 134.

스피이커 수화용 및 네트워크용의 푸시버튼(20)의 하아트캠 가구 및 록크핀(23)은 상기 제1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의 것이다.The Haatcam furniture and lock pin 23 of the pushbutton 20 for speaker hydration and network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또, 통화보류용의 푸시버튼(124)에는, 이 버튼을 하우징(102)에 수용한 상태에서 하우징 밖으로 돌출하는 아암(148)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우징(102)의 바깥쪽면에서 이 돌출한 아암(148)의 근방위치에 지지측(15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2입력레버(149)가 착설된다. 이 제2입력레버(149)에는 그 회동 기부에, 푸시버튼(124)가 일체적으로 승강하는 아암(148)의 슬라이드 궤적으로 튀어나갈수 있는 후크클릭(150)이 형성되고, 이 후크클릭(150)이 슬라이드 궤적으로 벗어나는 방향의 회전부 세력이 코일 스프링(151)에 의해 제2입력레버(149)에 부여된다.In addition, the push button 124 for call holding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arm 148 which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in a state where the button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2 and at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102. A second input lever 149 pivots around the support side 152 at a position near the protruding arm 148. The second input lever 149 is provided with a hook click 150 on the pivotal base thereof, which can be pushed out of the slide trajectory of the arm 148 on which the push button 124 is integrally raised and lowered. The rotational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rection deviates from the slide trajectory is applied to the second input lever 149 by the coil spring 151.

아암(148)과 후크클릭(150)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으며, 푸시버튼(124)이 상사점 위치에 있을때, 후크클릭(150)은 아암(148)에 부딪치는 일이없이 이것을 밑으로 통과해서 슬라이드 궤적으로 튀어나가게 하고, 푸시버튼(124)이 록크위치에 있을때, 후크클릭(150)이 아암(148)의 상면과 계합하게해서 슬라이트 궤적내로 돌입한다. 아암(148)에 형성된 테이퍼면(148a)은 상기 밑으로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기위하여 형성된 절결부이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m 148 and the hook click 150 is as follows. When the push button 124 is in the top dead center position, the hook click 150 is moved downwards without hitting the arm 148. When the pushbutton 124 is in the locked position, the hook-click 150 engage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148 to enter the slide trajectory. The tapered surface 148a formed on the arm 148 is a cutout formed to allow passage therethrough.

제12도와 같이 베이스세브(38)에, 핸드세트의 올림과 내림에 연동해서 회전하는 축본체(39)가 전화기의 본체내에서 지지되고, 이 축본체(39)로부터 2개의 입력레버(37)(149)에 어느것이나 아래쪽으로부터 계합하는 세트레버(155)가 착설되고, 베이스세트(38)에 핸드 세트를 놓은 상태에서는 손잡이(40)가 내려가서, 세트레버(155)가 양입력레버(37)(149)를 밀어올리고, 반대로 핸드세트를 베이스세트(38)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는 손잡이(40)가 올라가서 입력레버(37)(149)의 각각이 코일 스프링(34)(151)의 부세력으로 내려가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2, a shaft main body 39, which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handset, is supported in the main body of the telephone, and the two input levers 37 from the shaft main body 39 are supported. The set lever 155 engaged with any one from below is installed at 149. When the hand set is placed on the base set 38, the handle 40 is lowered, so that the set lever 155 is the two input lever 37. 149,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handset is removed from the base set 38, the handle 40 is raised so that each of the input levers 37 and 149 is subjected to the force of the coil springs 34 and 151. Configured to descend.

다음에 동작을 설명하면, 베이스세트(38)에 핸트세트를 놓은 비통화상태에서는, 손잡이(40)에 연동하는 입력레버(37)(149)의 모두가 올라가며, 제3회전자(10)는 코일 스프링(34)에 의한 역방향의 회전부 세력에 대향해서 회전된 위치에 있으며, 따라서 제2회전자(9)는 자신의 코일 스프링(17)에 의한 한쪽방향의 회전부 세력만을 받아, 제1회전자(8)와 같은 자세로 세트되기 때문에, 제1, 제2회전자(8)(9)의 수압설편(18)(19)은 제17(a)도와 같이 모두 푸시버튼(20)을 밀어올리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스피이커 수화회로 및 네트워크회로가 닫혀있다. 또, 입력레버(149)의 후크클릭(150)은 아암(148)의 아래쪽에 있어서 슬라이드 궤적내로 돌입하고, 제4회전자(109)의 수압설편(121)이 푸시버튼(124)을 코일 스프링(118)의 힘으로 밀어올림과 동시에 통합보류회로도 닫혀진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non-call state in which the handset is placed on the base set 38, all of the input levers 37 and 149 linked to the handle 40 are raised, and the third rotor 10 It is in the position rotated against the rotating part force of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coil spring 34, Therefore, the 2nd rotor 9 receives only the rotating part force of one direction by its coil spring 17, and the 1st rotor Since the hydraulic pressure pieces 18 and 19 of the first and second rotors 8 and 9 are all pushed up the pushbutton 20 as shown in Fig. 17A, have. In this state, the speaker receiving circuit and the network circuit are closed. In addition, the hook click 150 of the input lever 149 enters into the slide trajectory under the arm 148, and the hydraulic pressure piece 121 of the fourth rotor 109 pushes the push button 124 to the coil spring. At the same time pushing up with a force of 118, the integrated hold circuit is also closed.

다음에, 스피이커 수화용 푸시버튼(20)을 밀어내래면, 이 버튼이 록크핀(23)으로 록크됨과 동시에 제17b도와 같이 제1, 제2회전자(8)(9)가 회전하여, 스피이커 수화회로 및 네트워크 회로가 열리며, 호출발진이 가능해진다. 이와같이 핸드세트를 베이스세트(38)에 놓은 채로 네트워크 회로가 열려지므로, 호출발진조작은 한손조작으로 행할 수 있다.Next, when the speaker hydration pushbutton 20 is pushed out, the button is locked by the lock pin 23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rotors 8 and 9 rotate as shown in FIG. 17B, The loudspeaker sign circuit and network circuits open, allowing call origination. In this way, since the network circuit is opened with the handset placed on the base set 38, the call oscill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one hand operation.

상대방과의 접속이 행해지고, 그 음성신호가 스피이커(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나오는것을 확인하고, 핸드세트를 집어들면 입력레버(37) 및 제3회전자(10)는 코일 스프링(34)에 의한 역방향의 회전부 세력으로 한번에 회전하지만, 그때 테이퍼캠면(44)(45)이 록크핀(23)의 헤드부(23a)에 위쪽으로부터 당접해서 푸시버튼(20)의 록크를 해제하고, 그 때문에 이 버튼은 상승복귀함과 동시에, 제1회전자(8)가 회전복귀해서 스피이커 수화회로가 닫힌다. 그러나, 제3회전자(10)의 역방향의 회전부 세력은 제2회전자(9)의 한쪽방향의 회전부 세력에 이겨내는 강도를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3회전자(10)의 회전에 의해 계합용 돌출단부(35)(36)끼리가 재계합한 제2회전자(9)는, 푸시버튼(20)이 상승복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17c도와 같이 제1회전자(8)의 회전에 추종하지 않고, 네트워크회로는 열려진 채로 되어서 통화를 행할수 있다. 또 입력레버(149)의 후크클릭(150)은 아암(148)의 슬라이드 궤적으로부터 탈출하여 통화보류용의 푸시버튼(124)의 눌러내림이 가능해진다.When the connection with the other party is made and the audio signal is confirmed to come from the speaker (not shown), and the handset is picked up, the input lever 37 and the third rotor 10 are driven by the coil spring 34. While rotating in reverse direction at one time, the tapered cam surfaces 44 and 45 abut against the head 23a of the lock pin 23 from above and release the lock of the pushbutton 20. Therefore, this button At the same time as the rising and returning, the first rotor 8 rotates and the speaker receiving circuit is closed. However, 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third rotor 10 is set to the strength that overcomes the rotational force of one direction of the second rotor 9, it is engaged by the rotation of the third rotor 10. The second rotor 9 in which the protruding end portions 35 and 36 are re-engaged with each other does not follow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or 8 as shown in FIG. 17C even though the push button 20 has been raised and returned. In this case, the network circuit remains open and the call can be made. The hook click 150 of the input lever 149 escapes from the slide trajectory of the arm 148 to allow the push button 124 for call holding to be pushed down.

통화도중에서 보류용의 푸시버튼(124)을 압압하면, 이 버튼이 록크되어, 제17(d)도와 같이 제4회전자(109)가 회전해서 통화보류회로가 열린다. 그리고, 핸드세트를 베이스세트(38)에 놓으며, 입력레버(37)(149)가 올라가서 제17(e)도와 같이 제3회전자(10)가 강제역회전되는 결과, 제2회전자(9)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고, 제2회전자의 복귀에 의해서 네트워크회로가 닫힌다. 한편, 입력레버(149)의 후크클릭(150)은 아암(148)의 슬라이드궤적에 돌입하여, 록크위치(제16도 파선위치)에 있는 아암(148)에 위쪽으로부터 계합해서 푸시버튼(124)을 하사점까지 압압한다(제16도쇄선위치). 그 때문에, 푸시버튼(124)의 록크는 해제되지만, 이 버튼의 눌러내림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4회전자(109)의 복귀회전은 이루어지지 않고 네트워크회로는 통화보류 상태를 유지한다. 재차 핸트세트를 집어 들면, 입력레버(37)(149)가 내려가고, 제3회전자(10)는 제2회전자(9)를 함께 회전시켜, 네트워크회로를 열어(제10(f)도) 통화를 유지한다. 또, 푸시버튼(124)은 후크클릭(150)에 의한 구속이 해제 되어서 상승복귀하여 통화보류회로가 닫혀지므로, 통화종료에 따라 핸드세트를 베이스세트(53)로 되돌려 놓으면제17a도의 초기 상태로 세트된다.When the push button 124 for holding is pressed in the middle of a call, this button is locked, and the 4th rotor 109 rotates like FIG. 17 (d), and a call hold circuit is opened. Then, the handset is placed on the base set 38, and the input levers 37 and 149 are raised so that the third rotor 10 is forcedly reversed as shown in 17 (e). ) Is released and the network circuit is closed by the return of the second rotor. On the other hand, the hook click 150 of the input lever 149 enters the slide trajectory of the arm 148, engages with the arm 148 at the lock position (Fig. 16 dashed line position) from above, and push button 124. Is pressed to the bottom dead center (16th dashed line position). Therefore, the lock of the push button 124 is released, but since the pushed down state of the button is maintained, the return rotation of the fourth rotor 109 is not made and the network circuit maintains the call holding state. When the handset is picked up again, the input levers 37 and 149 are lowered, and the third rotor 10 rotates the second rotor 9 together to open a network circuit (figure 10 (f)). Maintain currency. In addition, since the push button 124 is released by the hook-click 150, the restraint is lifted, the call holding circuit is closed, and the handset is returned to the base set 53 upon completion of the call. Is set.

또한, 상대방의 호출에 따라, 핸트세트를 집어들었을때에는, 제17c도의 상태가 되어서 네트워크회로만이 열려지는 것은 물론이다.In addition, when the handset is picked up by the call of the other party, only the network circuit is opened in the state of FIG. 17C.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실시예의 스위치에 의하면, 통화상태에서 푸시버튼을 압압해서 통화를 보류하고, 그런연후에 핸드세트를 베이스세트에 되돌려 놓음으로서 입력레버의 회동기부가 이 버튼을 하사점까지 압압해서 록크를 해제함과 동시에, 통화보류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핸트세트를 재차 집어들때에는 통화를 확보할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통화보류기능, 또 스피이커 수화기능을 메니카즘기구로서 달성하였으므로, 값싸고, 베이스세트에 간단히 내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와 같은 대형의 제어박스를 필요로하지 않으며, 또한 전화기의 직접적인 사용전압 및 전류에 영향을 받음이 없이 상기 복수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witch of this embodiment, the push button is pressed to hold the call in a call state, and afterwards, the rotating part of the input lever presses this button by returning the handset to the base set. By pressing until the lock is released and the call is held, the call can be secured when the handset is picked up again. In addition, since the call holding function and the speaker sign language function have been achieved as a mechanism mechanism, it is inexpensive and can be easily integrated into the base set, thus eliminating the need for a large control box as in the prior art, and the direct operation of the telephone. The plural functions can be adde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voltage and current used.

또한, 제10도 및 제12도에서는 통화보류회로를 네트워크회로 및 스프이커 수화회로와 함께 일체적으로 조립하였으나, 통화보류 기능부분을 독립된 하우징에 조립하여 작동시켜도 된다.In addition, in Figs. 10 and 12, the call holding circuit is integrally assembled together with the network circuit and the spiker sign language circuit, but the call holding function portion may be assembled and operated in a separate housing.

Claims (14)

각각이 한쪽방향으로 회전부세된 스위치접점 온·오프제어용의 제1회전자 및 제2회전자와, 제2회전자의 한쪽방향의 회전부 세력에 이겨내는 강도로 역방향으로 회전부세된 제3회전자를, 하우징내에 회정가능하게 또한 일직선상에 순차적으로 착설하고, 제2회전자와 제3회전자를 양자의 상반되는 방향의 회전부 세력으로 계합시키고, 제3회전자에 그 회전부 세력에 대항하여 강제역회전시키는 제1입력레버를 연설하고, 또한 제1과 제2회전자의 사이에 이들 제1과 제2회전자를 그 회전부 세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푸시버튼을 배치하고, 또 푸시버튼에 계합하고 상기 제1과 제2회전자의 회전부 세력에 대항한 푸시버튼 압압상태를 록크하는 록크핀을 갖춤과 동시에 상기 입력레버에 그 회동중에서 록크핀을 푸시버튼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작동시켜서 푸시버튼 압압상태의 록크를 해제시키는 캠부를 형성해서 이루어진 회전자를 사용한 스위치.A first rotor and a second rotor for on / off control of the switch contact each of which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a third rotor that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with strength that overcomes the rotational force in one direction of the second rotor.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in turn and in a straight line, engaging the second rotor and the third rotor with the rotational forces in opposite directions, and forcing the third rotor against the rotational forces. The pushbutton which speaks the 1st input lever which reverses rotation, and rotates the 1st and 2nd rotors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three directions of the rotation part between the 1st and 2nd rotors, and also pushbuttons And a lock pin for locking the pushbutton pressing state agains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rotors of the first and second rotors,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 pin is released from the pushbutton during the rotation of the input lever. Copper switch by using a spinner made by forming a cam to release the lock of the push-button press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제1회전자에는, 제2회전자와 반대쪽의 단부에 그 측면으로부터 축내부방향으로 뻗어있는 원형 수용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수용부에 이 제1회전자를 한쪽방향으로 회전부세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을 수용시키고 있으며, 제2회전자에는, 제1회전자와 반대쪽의 단부에 그 측면으로부터 축내부방향으로 뻗어있는 원형의 수용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수용부에 이 제2회전자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부세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을 수용시키고 있으며 제3회전자에는, 제2회전자와 반대쪽의 단부에, 그 측면으로부터 축내부방향으로 뻗어있는 원형의 수용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수용부에 이 제3회전자를 역방향으로 회전부세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을 수용시키고 있는 회전자를 사용한 스위치.2. The first ro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otor has an end portion opposite to the second rotor and has a circular receiving portion extending in the axially inward direction from the side thereof, and the first rotor has the first rotor in one direction. A coil spring for biasing the rotor is accommodated, and the second rotor is provided with a circular accommoda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surface in the axial direction at the end opposite to the first rotor, and the second rotor is provided with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 coil spring for accommodating the rotor in one direction is accommodated, and the third rotor has a circular accommoda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t the end opposite to the second rotor. A switch using a rotor accommodating a coil spring for biasing the third rotor in a reverse direction to a receiv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제2회전자의 수용부의 축심으로부터 제3회전자의 축방향길이 보다도 긴 회전축부를 일체적으로 돌설하고 있으며, 이 회전축부의 단부에 코일 스피링을 덮어끼워서 상기 제2회전자의 수용부에 수용시키고 있으며, 한편 제3회전자의 축심부에, 제2회전자쪽 단부의 측면으로부터 제3회전자의 수용부와 연통하는 삽입로 관통형성하고 있으며, 이 삽입로로부터 제3회전자의 수용부에 상기 제2회전자의 축부를 회전가능하게 삽통시키고, 제3회전자의 수요부로부터 돌출한 상기 회전축부의 단부에 코일 스프링을 덮어 끼워서 상기 제3회전자의 수용부에 수용시키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제3회전자의 수용부로부터 돌출한 회전축부를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는 회전자를 사용한 스위치.3. The second ro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otating shaft portion longer than the axial length of the third rotor is integrally protruded from the axial cente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second rotor. In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third rotor, and formed through the insertion part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third rotor from the side of the end of the second rotor. The shaft portion of the second rotor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rotor, and the coil spring is covered with an end of the rotating shaft part protruding from the demand part of the third rotor to accommodate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third rotor. And a rotor for rotatably supporting a rotating shaf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third rotor in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제1회전자와 제2회전자의 사이에는 그들 서로 대항하는 축단면에 상대쪽의 대항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회전축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들 회전축부의 선단부에, 각각 푸시버튼으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서 제1과 제2회전자를, 그들의 회전부세에 대항해서 역방향으로 강제회전시키는 수압 설편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회전자를 사용한 스위치.The rotating shaft portion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n the shaft end surface opposed to each other is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first rotor and the second rotor, and at the distal end of these rotating shaft portions, And a rotor using integrally formed hydraulic tongues for forcibly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rotors in a reverse direction against their rotational bias by the pressure from the pushbutton. 제4항에 있어서, 푸시버튼의 제1입력레버쪽의 측면에 하아트캠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하아트캠홈에 록크핀의 선다부를 계합시키고 있는 회전자를 사용한 스위치.5. The switch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heart cam groove is formed on a side of the pushbutton on the side of the first input lever, and a rotor that engages the leading end of the lock pin with the heart cam groove. 제5항에 있어서, 제1과 제2회전자를 한쪽방향으로 회전부세하는 부세력으로 수압설편을 개재하여 푸시버튼을 비압압위치로 위치시키도록 하고 있는 회전자를 사용한 스위치.6. The switch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ushbutton is positioned in the non-pressurized position via the hydraulic tongue with a biasing force for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rotors in one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록크핀의 입력레버쪽의 타단부레 T자형상의 헤드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자형상의 헤드부와 회동도중에 계합해서 록크핀의 선단부를 푸시버튼의 하아트캠홈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입력레버의 캠부를, 상기 T자형상의 헤드부가 삽입되는 대체로 C자형상으로 하고, 그 개방구쪽의 양편쪽부 안쪽으로 각각 가로로 쓰러진 산형상의 테어퍼캠면을 형성하고 있는 회전자를 사용한 스위치.6. The lock en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lock pin is formed in a T-shaped head portion, and engages with the shaped head portion during rotation, and operates the tip portion of the lock pi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aatcam groove of the pushbutton. A switch using a rotor having a cam shape of the input lever having a generally C-shape in which the T-shaped head portion is inserted, and forming a mountain-shaped taper cam surface that is horizontally fallen into the inner side portions of both openings. . 제7항에 있어서, 푸시버튼 압압상태에서의 록크핀 선단부의 하아트캠홈에 대한 계합을 고속으로 해제시키기위한 상기 양편쪽부 안쪽에 각각 형성한 가로로 쓸어진 산형상의 테이퍼캠면을, 록크핀의 선단부가 하아트캠홈의 홈이동 방향으로 흔들리도록 경사배치로 하고 있는 회전자를 사용한 스위치.8. The tip of the lock pin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tapered cam faces of the horizontally swept mountain taper formed respectively on both side portions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lock pin tip portion to the Haatcam groove at high speed in the pushbutton pressing state are formed. A switch using a rotor that is inclined so that the swinging direction of the Haatcam groove moves. 제8항에 있어서, 제1회전자를, 스피이커수화의 스위치접점을 온·오프제어시키기 위한 회전자로 하고, 제2회전자를, 핸트세트에 의한 통화의 스위치접점을 온·오프제어시키기 위한 회전자로 하고 있는 회전자를 사용한 스위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rotor is a rotor for turning on and off a switch contact of a speaker signal, and the second rotor is for turning on and off a switch contact of a call by a handset. Switch using the rotor making the rotor for. 제9항에 있어서, 하우징내에, 통화보류용의 스위치접점을 온·오프제어시키는 제4회전자를, 제1회전자와 대체로 일직선상에 또한 제1회전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부세시키는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착설하고, 이 제4회전자와 위쪽에 그 회전부 세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강제회전시켜서 압압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재압압에 의해서 압압상태가 해제되는 푸시버튼을 장착하고 있는 회전자를 사용한 스위치.The fourth roto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in the housing, the fourth rotor for turning on / off the switch contact for call holding is rotated in a state substantially in line with the first rotor a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rotor. It is installed in a rotatable manner, and the fourth rotor and the upper part are provided with push buttons forcibly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hree directions of the rotating part so as to maintain the pressed state and to release the pressed state by re-pressing. Electronic switch. 제10항에 있어서, 핸드세트로부터의 압압에 의해서, 압압상태로 유지된 푸시버튼의 슬라이드 궤적으로 돌입해서 이 푸시버튼을 재압압하고, 또한 핸드세트를 집어드는 것에 의해서 압압이 해제되고 푸시버튼의 슬라이드 궤적으로부터 탈출하는 제2입력레버를 갖추고 있는 회전자를 사용한 스위치.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by pressing from the handset, the pressure is released by pushing into the slide trajectory of the pushbutton held in the pressed state and pressing the pushbutton again, and picking up the handset to release the pushbutton. A switch using a rotor with a second input lever that escapes from the slide trajectory. 제11항에 있어서, 제1입력레버와 제2입력레버를 모두 핸드세트로부터의압압으로 강제회전되는 회전자를 사용한 스위치.12. The switch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both the first input lever and the second input lever are forcibly rotated by pressure from the handset. 제12항에 있어서, 제4회전자에는 제1회전자와 반대쪽의 단부에, 그 측면으로부터 축내부방향으로 뻗어있는 원형의 수용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수용부에 이 제4회전자를 제1회전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부세하기위한 코일 스프링을 수용시키고 있는 회전자를 사용한 스위치.13. The fourth rotor has a circular receiv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pposite to the first rotor and extending in the axially inward direction from the side thereof. A switch using a rotor that houses a coil spring for rotat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or.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푸시버튼의 압압상태에서의 유지와 재압압에 의한 압압상태 해제를, 이 푸시버튼의 한쪽측면에 형성된 하아트 캠홈과 이 홈에 돌입계합하는 록크핀에 의해서 행해지고 있는 회전자를 사용한 스위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wherein the holding of the pushbutton in the pressed state and the release of the pressed state by repressurization are performed by a Haat cam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pushbutton and a lock pin engaged with the groove. Switch using rotor done.
KR1019860001180A 1985-02-22 1986-02-20 Multiple-connected switch KR89000352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961 1985-02-22
JP60-34961 1985-02-22
JP60034961A JPS61194954A (en) 1985-02-22 1985-02-22 Multiple-connected switch
JP60-34962 1985-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816A KR860006816A (en) 1986-09-15
KR890003524B1 true KR890003524B1 (en) 1989-09-23

Family

ID=1242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180A KR890003524B1 (en) 1985-02-22 1986-02-20 Multiple-connected switch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194954A (en)
KR (1) KR89000352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194954A (en) 1986-08-29
KR860006816A (en) 1986-09-15
JPH0444858B2 (en) 199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7873A (en) Multipurpose hinge apparatus for foldable telephones
KR100366783B1 (en) Concentric plug
US6073027A (en) Portable radiotelephone with sliding cover and automatic antenna extension
KR100340481B1 (en) Multioperative electric parts
US3952175A (en) Pushbutton switch mechanism having block out members with common mounting and discrete latch bar
KR890003524B1 (en) Multiple-connected switch
JPH10302893A (en) Connector plug locking structure
KR19980065142A (en) Hinge device
EP0192083B1 (en) A switch with plural rotors
KR100350478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radiotelephone
US6363243B1 (en) Arrangement relating to mechanically interlocking devices
KR200344449Y1 (en) Structure for opening a cover of a mobile phone
JPS61194955A (en) Switch
JPH09195609A (en) Floating-up latch with switch
US4977299A (en) Double action switch
KR200170119Y1 (en) Unfolding apparatus of cover for cellular phone
JP2743255B2 (en) Floating latch with switch
JPS6342423Y2 (en)
JP2540427Y2 (en) One-piece telephone
KR200187020Y1 (en) Battery coupling apparatus for camcorder
KR100546422B1 (en) Electronic element of rotational movement operation type
JPS6245396Y2 (en)
KR20050091220A (en) Pop-up type portable terminal
JPS63301436A (en) Push button switch
JPH0541248U (en) Push-button locking device for hands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