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434B1 -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ticles from one zone to anoth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ticles from one zone to anot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434B1
KR890003434B1 KR1019860000496A KR860000496A KR890003434B1 KR 890003434 B1 KR890003434 B1 KR 890003434B1 KR 1019860000496 A KR1019860000496 A KR 1019860000496A KR 860000496 A KR860000496 A KR 860000496A KR 890003434 B1 KR890003434 B1 KR 890003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gas
transition
particulates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0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70006926A (en
Inventor
레이몬드 그린우드 아더
Original Assignee
유오피 인코오포레이티드
마이클 반 디 케르크 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오피 인코오포레이티드, 마이클 반 디 케르크 호브 filed Critical 유오피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1986000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434B1/en
Publication of KR870006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9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4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8/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catalysts, in general
    • B01J38/04Gas or vapour treating; Treating by using liquids vaporisable upon contacting spent catalyst
    • B01J38/12Treating with free oxygen-containing gas
    • B01J38/22Moving bed, e.g. vertically or horizontally moving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8/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catalysts, in general
    • B01J38/04Gas or vapour treating; Treating by using liquids vaporisable upon contacting spent catalyst
    • B01J38/42Gas or vapour treating; Treating by using liquids vaporisable upon contacting spent catalyst using halogen-contain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Abstract

The catalyst regenerator comprises an upper zone wherein catalyst particles are subject to regeneration by a gas stream flowing radially therethrough, and a lower zone wherein the particles are subject to a gas stream flowing upwardly. There being gravity flow of particles from the upper zone to the lower zone, sampling of the catalyst particles to determine their level of regeneration is performed in an annular transistor zone located between the upper zone and the lower zone. The transition zone isolates the upwardly- flowing gas stream from contacting the catalyst particles in the upper zone.

Description

미립자 이송 장치Particulate transport device

제1도는 하강촉매가 환상의 상부대역, 상기 하강촉매를 시료채취할 수 있는 환상의 전이대역 및 거의 원통형인 하부대역 사이를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바람직한 형태의 촉매정비 또는 재생성기구 부분단면 입면도.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elevation view of a preferred catalyst regeneration or regeneration mechanism in which the lower catalyst moves continuously between the annular upper band, the annular transition band capable of sampling the lower catalyst, and the substantially cylindrical lower band.

제2도는 상기 전이대역 및 그것의 상기 상부 및 하부대역에 대한 접촉부를 예시하는 제1도의 기구를 일부분 확대한 단면도.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rument of FIG. 1 illustrating the transition band and its contacts to the upper and lower bands thereof. FIG.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에 대한 단면도.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수직 압력탑 18 : 다공 내부스크린 원통10: vertical pressure tower 18: porous inner screen cylinder

20 : 촉매입구 도관 28 : 상부"연소제거"대역(환상처리대역)20: catalyst inlet conduit 28: upper "burn-out" band (annular processing band)

30 : 사용된 촉매 미립자의 칼럼 44 : 전이 대역30: column 44 of catalyst fine particles used: transition zone

66 : 하부 처리 대역 72 : 중앙포집대역66: lower processing band 72: central capture band

80, 90 : 쐐기형 와이어 92, 94 : 로드80, 90: wedge wire 92, 94: rod

본 발명은 기체를 사용하여 촉매와 같은 접촉물질의 미립자와 반응 또는 미립자를 처리하고, 그 미립자가한 반응대역에서 다른 반응대역으로 중력류에 의해 통과하게되는 미립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에서 수행된 방법들의 예로서 개질법, 수소처리법, 탈수소 및 탈수소환 이량화는 물론 코우크스로 오염된 촉매의 재생과 같은 다양한 접촉 탄화수소 전환기술을 들수있다. 촉매재생장치에서의 접촉 개질 조작중 코우크스로 표면이 덮혀진 촉매가 탄소연소제거부분을 통하고, 할로겐화 부분을 통과하여 건조부분으로 하방이동하는 촉매 재생장치의 특정예가 그린우드외 다수의 미합중국특허 제3, 652, 231에 개시되어있으며, 그의 요지는 본 명세서에 참조문헌으로 이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iculate transporting device which uses gas to process or react with particulates of a contacting substance such as a catalyst, and the particulates pass by gravity flow from one reaction zone to another. Examples of the processes performed in such devices include various catalytic hydrocarbon conversion techniques such as reforming, hydrotreating, dehydrogenation and dehydrogenation dimerization as well as regeneration of coke-contaminated catalyst. A specific example of a catalyst regeneration device in which a catalyst covered with coke during the catalytic reforming operation in the catalyst regeneration device moves through the carbon combustion removal portion and passes through the halogenation portion downwards to the dry portion is described in Greenwood et al. 3,652, 231, the subject matter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이러한 특정장치에서, 상기 촉매는 일정하게 간격된 한쌍의 동심 다공스크린 사이의 환상공간으로 하방이동하고 우선적으로 비교적 저함량의 산소를 포함하는 반경반향 흐름의 제1재순환 연도기체에 종속되고, 두번째로 공기, 할로겐 및 스팀을 함유하는 반경방향 흐름의 제2기체에 종속되게 된다.In this particular arrangement, the catalyst moves downward into the annular space between a pair of regularly spaced concentric porous screens and is subject to a first recirculating flue gas of a radial flow, preferentially comprising a relatively low content of oxygen, and secondly air It is subject to a second gas of radial flow containing halogen and steam.

상기 제1및 제2기체들은 상기 환상스크린을 둘러싸고 있는 환상의 신장 프레늄 공간내로 도입되고 상기 프레늄을 2지역으로 나누는 환상배플링에 의해 상기 프레늄 내에서 분리된다. 명백하게 이러한 배열에 의해서, 얼마간의 상기 재순환 기체가 상기 제2기체의 종속되는 상기 촉매지역내로 하방으로 확산 되지만, 얼마간의 상기 제2기체는 상기 제1기체에 종속되는 상기 촉매지역내로 상방으로 확산된다.The first and second gases are introduced into the annular elongated prenium space surrounding the annular screen and separated in the prenium by an annular baffle dividing the prenium into two regions. Apparently with this arrangement, some of the recycle gas diffuses downward into the dependent catalyst zone of the second gas, while some of the second gas diffuses upward into the catalyst zone dependent on the first gas. .

상기 확산으로 인하여 환상공간내에서 촉매를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한 정도로 연소제거된후 그 채취된 것이 촉매를 대표하는 것이라고 할수 있는 상기 공간내의 특정 채취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어렵다. 통상의 실제 있어서는 미합중국특허들 제3, 786, 682호 및 제 3, 973, 440호에 개시된 바의 시료채취장치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코우크스가 연소제거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경우 할로겐화 및 건조와같은 낮은 대역을 조작하지않고 재생기의 연소제거대역만을 조작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diffusion makes it possible to collect the catalyst in the annular space an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specific sampling location in the space where it can be said that the sample is representative of the catalyst after it has been burned off to the desired extent. In practice, despite the presence of sampling devices as disclosed in US Pat. Nos. 3, 786, 682 and 3, 973, 440, halogenation and drying and It is common to operate only the burnout band of the regenerator without operating the same low band.

게다가, 상기 재생기가 충분히 많은 시간동안 조작되어 상기의 작용하지않는 할로겐화 및 건조대역을 통해 촉매가 통과되고 탑의 저부로 도입된후에 소정의 시료가 상기 탑을 나오는 촉매로 채취된다. 이러한 방법은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므로, 때때로 조작 개시에서만 행하여진다.In addition, after the regenerator has been operated for a sufficient number of hours such that the catalyst passes through the inoperative halogenation and drying zone and is introduced into the bottom of the tower, a predetermined sample is taken with the catalyst exiting the tower. Since this method consumes a lot of time, it is sometimes only performed at the start of oper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립자가 제1기체와 접촉하게되는 한 상부 처리대역으로부터 제2기체와 접촉하게되는 또 다른 하부처리대역까지 미립자 접촉물질의 칼럼을 중력에의해서 이송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대역에서 완전히 처리한후 대표될수 있는 접촉물질을 채취하는 한지역이 형성되는 방법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gravity transporting a column of particulate contact material from the upper treatment zone as long as the particulat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gas to another lower treatment zone where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gas. After complete treatment in the upper band, transfer is carried out in such a way that a region is formed to collect representative materi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처리대역과 하부 처리대역간의 미립자 접촉물질의 중력이동을 보조하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ying apparatus for assisting the gravity movement of particulate contact material between the upper treatment zone and the lower treatment zone.

또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미립자 접촉물질이 상부 기체 처리대역으로부터 하부대역까지 자유로이 중력이동 하는 것은 허용하는 반면 상기 하부대역중의 기체가 상기 상부대역내로 상향 이동하지 못하게하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ying device which allows the particulate contact material to freely move from the upper gas treatment zone to the lower band while preventing the gas in the lower band from moving upward into the upper zone. .

진술한, 그리고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본 발명의 상기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촉매의 구형 미립자와같은 미립자 접촉물질은 일반여속방법으로 한 처리대역으로 부터 다른 대역까지 이송될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가 촉매 재생기의 연소제거 및 염소화대역을 포함하는 특정적용 대상에 있어서, 상기 촉매 미립자들이 탄화수소류와의 반응과정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마 코우크스로 피복되는 반응기로부터 상기 장치로 이송된다. 상기 미립자들은 본 발명의 부속체가 아닌 상승 계합기, 또는 다른 적절한 이송수단에 의해서 순간 장치의 상부처리 대역으로 이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미립자들은 상기 순환장치의 하부처리대역에서 다른 처리대역으로 및/또는 상기 반응기 뒤로 이송하는데 사용된 특정장치는 본 발명의 부속체가 아니다.The stated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are achieved by the abov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particulate contact materials, such as spherical particulates of the catalyst, can be transported from one treatment zone to another by means of the normal excitation method. In certain applications in which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urnout and chlorination zones of a catalyst regenerator, the catalyst particulates are transferred to the apparatus from a reactor that is at least partially covered with coke during the reaction with hydrocarbons. The microparticles can be transferred to the upper treatment zone of the instantaneous device by means of an uplifting device, or other suitable transfer means, which is not an accessory of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ly, the particular apparatus used to transfer the particulates from the lower treatment zone of the circulator to another and / or behind the reactor is not an accessory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순간장치의 제1또는 상부처리 대역은 쐐기모양의 와이어를 복수개의 지지봉 둘레에 나선상으로 감고 용접시켜서 제조한 스크린과같이, 수직신장되고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둔 한쌍의 다공부재를 포함한다. 미합중국특허 제 3, 652, 231호에 개시된 바와같이, 상기 스크린은 절단되고 그의 원래위치에 대해 90°각도로 재회전됨으로써 상기 와이어를 상기 촉매미립자들의 수직유동 통로에 평행하게 한것이 바람직하다.이러한 위치설정은 상기 부재들간의 환상 공간으로 하방이동하는 촉매미립자 베드의 마찰을 최소로 하고, 또한 상기 반경방향으로 흐르는 처리기체의 압력이 미립자들을, 후면압력을 증가시킬수 있고 상기 기체들의 불완전한 분배를 야기시킬수 있는 상기 와이어들에 의해서 형성된 수직 유동 슬로트에 고정시킬 가능성도 감소시킨다. 상기 장치는 제어된 양의 공기가 가해진 재순환 연도기체와 같은 제1처리 기체가 도입되는 전술한 한쌍의 일정간격 스크린 둘레에 환상 플레늄 공간 또는 지역을 수용한다. 상기 스크린에는 상기의 공기부가가 조절되어 상기 재순환 연도기체는 0.8%의 비교적 낮은 산소함량을 가질것이다. 상기 기체에 의해 상기 촉매 미립자들의 체제시간을 비교적 길게하고 상기 스크린 및 촉매미립자들 통해 다량의 기체를 일정하게 재순환시킴으로써, 상기 미립자들상의 코우크스가 점차적으로 연소 제거되어 상기 미립자들상의 탄소중량을 약5%에서 약 0.2%로 감소시킬 것이다. 상기 처리기체는 연소생성물과 함께, 상기 스크린의 반경 방향 안쪽에 위치한 중앙기체 포집대역내로 유입된다.The first or upper treatment zone of the instantaneous device includes a pair of vertically stretched and radially spaced porous members, such as a screen made by spirally winding and welding a wedge-shaped wire around a plurality of support rods. As disclosed in U.S. Patent Nos. 3, 652, 231, it is preferred that the screen is cut and re-rotated at an angle of 90 ° relative to its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wire is parallel to the vertical flow path of the catalyst particulates. The setting minimizes the friction of the catalyst particulate bed moving downward into the annular space between the members, and the pressure of the radially flowing process gas can increase particulates, increase back pressure and cause incomplete distribution of the gases. It also reduces the possibility of fastening to the vertical flow slot formed by the wires present. The device accommodates an annular plenium space or area around a pair of spaced screens described above into which a first processing gas, such as a recycled flue gas, with a controlled amount of air is introduced. The air portion of the screen will be adjusted so that the recycle flue gas will have a relatively low oxygen content of 0.8%. By relatively lengthening the settling time of the catalyst particulates by the gas and constantly recirculating a large amount of gas through the screen and the catalyst particles, coke on the particulates is gradually burned out to reduce the carbon weight on the particulates. Will decrease from 5% to about 0.2%. The treatment gas is introduced into the central gas collection zone located radially inward of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combustion products.

산소가 많으면 탄소가 빨리 연소제거되고 촉매베드의 온도를 높게하기 때문에, 상기 상부대역내의 산소함량을 매우 낮게 유지시켜야한다. 온도가 올라가면 파괴를 야기시키거나, 또는 적어도 촉매 미립자들의 예상수명을 감소시킨다는 것이 주지 되었다. 그러나, 하기에 개시된 바와같이, 산소가 상부대역에 충분히 공급되지 않으면 코우크스가 상기 미립자상에 남게되어 상기 미립자가 하부대역에서 고함량의 산소와 접촉할때 미립자를 가열 및 파괴시키므로 상부대역에서 산소 공급을 충분히하여 코우크스를 충분히 연소제거시켜야 한다.Because of the high oxygen content, the carbon is burned off quickly and the temperature of the catalyst bed is increased. Therefore, the oxygen content in the upper zone must be kept very low. It has been noted that elevated temperatures cause breakdown or at least reduce the expected life of the catalyst particulates. However, as disclosed below, if oxygen is not supplied sufficiently in the upper zone, coke remains on the particulates, heating and destroying the particulates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the high content of oxygen in the lower zones, thereby providing oxygen in the upper zones. Sufficient supply should provide sufficient coke removal.

더우기, 상기 장치는 하부 원통 대역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부 원통대역에 포함된 상기 촉매 미립자들은 이 원통 대역의 저부로부터 물질이 회수될때 그 원통대역을 통해서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후에 개시될 전이대역은 상기 상부와 하부대역들을 연결하며, 상기 상부대역으로부터 상기 하부대역까지 촉매를 균일하게 분배한다. 상기 반경 방향흐름 상부대역에서, 상기 제1기체 즉, 소량의 산소가 공기형태로 가해진 다량의 재순환 연도기체는 촉매위의 코우크스 표면을 점차적으로 연소제거하도록 송풍기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재순환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하부 원통대역에서는 상기 촉매 미립자들이 제2기체에 단지 흡입되는 것만으로써 정비될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기체유속이 필요없다. 상기 제2기체는 상기 제1기체에 비해서 산소가 풍부하고, Cl2, HCl 또는 유기염화물과 같은 염소화제가가해진 공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기체는 상기 하부베드를 통하여 상방으로 서서히 흘러서 중앙기체 포집대역내로 유입된다. 상기 기체포집대역은 상기 하부대역중의 촉매미립자의 상부면에 의해서 그 저부가, 상기 전이대역 내부벽의 반경방향 내부면에 의해서 그 측면의 하부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환상상부대역의 내부 다공벽에 의해서 그 측면들의 상부단부가 형성된다. 적어도 상기 촉매가 백금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백금을 상기 지지체의 유용표면적위에 균일하게 재분배시켜 상기 제2기체로 흡입되는 기간중의 촉매 미립자들은 정비한다. 이러한 조작은 상기 상부대역에서 촉매 미립자상의 코우크스가 연소제거될때 상기 촉매의 백금성분이 불균일하게 분배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이다.Moreover, the device includes a lower cylindrical band. The cataly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lower cylinder zone are moved downwardly by gravity through the cylinder zone when material is recovered from the bottom of the cylinder zone. The transition ban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nnects the upper and lower bands and evenly distributes the catalyst from the upper band to the lower band. In the radially upper band, the first gas, i.e. a large amount of recycled flue gas in which a small amount of oxygen is applied in the form of air, must be continuously recycled by the blower to gradually burn off the coke surface on the catalyst. However, in the lower cylindrical zone substantially no gas flow rate is needed since the catalyst particulates can only be maintained by being sucked into the second gas. Preferably, the second gas is air richer in oxygen than the first gas and to which a chlorinating agent such as Cl 2 , HCl or organic chloride is added. The second gas gradually flows upward through the lower bed and flows into the central gas collecting zone. The gas trapping zone has a bottom portion formed by an upper surface of the catalyst fine particles in the lower zone, a lower end portion of the side thereof formed by a radially inner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transition zone, and an inner porous wall of the annular upper zone. Upper ends of the sides are formed. At least when the catalyst contains platinum, the platinum particles are uniformly redistributed over the useful surface area of the support to maintain the catalyst particulates during the period of intake into the second gas. This operation is preferable because the platinum component of the catalyst tends to be unevenly distributed when coke on the catalyst fine particles is burned off in the upper zone.

전술한 전이대역은 수직 신장되고 거의 환상의 유동 터널을 형성하는 한쌍의 내부 및 외부 비다공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환상 상부대역에서 나오는 촉매 미립자가 상기 터널을 통하여 거의 원통형인 하부대역의 환상 외부모서리부로 거의 균일하게 유입될수 있다.The transition zone described above comprises a pair of inner and outer non-porous wall members that extend vertically and form a substantially annular flow tunnel, and wherein the catalyst particulates exiting the annular upper band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annular outer edge through the tunnel. It can be introduced almost uniformly.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전이대역의 벽돌은 저부보다는 정부에서 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벽돌이 상기 상부대역을 형성하는 원통스크린을 하방으로 연장시키고 있다. 상기 전이대역의 내부벽은 상기 미립자을 유연하게 유동시키기 위해서 그 전체길이가 일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정단면의 전이대역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외부벽을 하방으로 곧게 연장시킬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외부벽은 그의 상부 및 하부단부사이의 중간지역을 거의 안쪽으로 테이퍼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이대역은 그의 정부에서보다는 그의 저부에서 상당히 적은 면적의 환상단면을 갖는다. 상기 전이대역의 반경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 수용되어있는 다량의 촉매 미립자들은 상기 스크린 원통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높이 및 평행벽의 대역을 갖는 것에 비해서 상당히 감소될수 있다. 보다 중요한 것은, 단면이 감소하게 되면 동일 평행면을 갖는 동일높이의 전이대역에 비해서 기체흐름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테이퍼벽은 시료 채취를 위한 양호한 설치구조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rick of the transition zone is spaced at a more regular interval in the government than at the bottom so that the brick extends downwards the cylindrical screen that forms the upper zone. The inner wall of the transition zone preferably has a straight length in order to smoothly flow the fine particles. It is also possible to extend the outer wall straight down to provide a transition zone of constant cross section.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wall taper the middle region between its upper and lower ends almost inward. Thus, the transition band has an annular section of considerably less area at its bottom than at its government. As the radial width of the transition zone gradually decreases, the amount of contained catalyst particle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having a zone of the same height and parallel wall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creen cylinder. More importantly, the reduced cross section reduces the gas flow compared to the same height transition band with the same parallel plane. The tapered wall also provides a good mounting structure for sampling.

상기 전이대역의 수직규모는 상기 스크린 원통간의 거리와 적어도 같고, 바람직하게는 보다 커야한다. 이러한 규모설정(dimenstioning)은 상기 상부 및 하부대역간의, 압력강하가 상기 상부대역을 가로지르는 반경 압력강하 이상이라는 것을 확고히하는 것이다. 전술한 규모관게를 유지시킴으로서, 상기 제1의 기체의 주요부분은 상기 상부대역 스크린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상기 중앙포집 대역내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하부대역에서 상승기체는 상기 중앙포집대역내로 수직통과하는데, 물론 이 상승기체는 상기 제1및 제2 기체들이 그의 관련 대역내로 유입될때 상기 제1및 제2기체들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이다. 상기 제2기체는 전이대역에있는 상기 촉매베드에 상당한 배압(back pressure)은 물론 제1기체의 적은 하방흐름과 부딪히기 때문에 전이대역으로 들어오지 못한다. 오히려, 배압의 부재로 인하여, 상기 제2기체가 상기 중앙 포집대역내로 쉽게 유입된다. 상기 하부대역내의 촉매 미립자 정부층은 상기 포집대역의 저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배압이 없다.The vertical scale of the transition band is at least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 cylinders, and should preferably be larger. This dimensioning ensures that the pressure dro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ands is more than the radial pressure drop across the upper band. Maintaining the above-described scale, a major portion of the first gas is introduced radially into the central capture zone through the upper band screen. In addition, the riser gas in the lower band passes vertically into the central capture zone, which, of course, is a pressure lower than the pressure of the first and second gases when the first and second gases enter the relevant zone. . The second gas does not enter the transition zone because of the significant back pressure of the catalyst bed in the transition zone as well as the small downward flow of the first gas. Rather, due to the absence of back pressure, the second gas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central collection zone. There is no back pressure because the catalyst fine particles in the lower zone form the bottom of the collection zone.

상기 전이대역의 높이는 그 전이대역의 촉매 미립자를 통하여 압력강하를 수득할 정도로 선택하여 그 압력강하의 크기가 상기 전이대역과 하부대역의 접점에서 상기 촉매 미립자를 유동화시키기 충분하고 상기 전이대역을 통해 제1기체가 하방향으로 흐르지 못할 정도로 상기 전이대역의 높이가 충분히 높아야한다. 유동화가 일어날 경우에는 미립자들의 마찰이 급속히 일어난다. 역으로, 상기 전이대역 높이는 적어도 소량의 제1기체가 계속하여 하방으로 흐르도록 충분히 짧아야한다. 상기 제1기체의 하방흐름은 상기 전이대역을 통한 촉매 미립자의 중력흐름을 보조한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제1대역중 스크린간의 거리와 적어도 같은 전이높이는 상기 스크린간 거리의 적어도 3배와 같은 전이높이에 의해 수득되는 결과보다 열악하지만 필수적이다.The height of the transition zone is chosen so as to obtain a pressure drop through the catalyst particles in the transition zone such that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drop is sufficient to fluidize the catalyst particles at the junction of the transition zone and the lower band and is provided through the transition zone. The height of the transition band must be high enough so that one gas cannot flow downward. When fluidization occurs, friction of the particles occurs rapidly. Conversely, the transition band height should be short enough so that at least a small amount of the first gas continues to flow downwards. Downflow of the first gas assists gravity flow of catalyst particles through the transition zone. In the device, the transition height at least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s in the first band is worse but necessary than the result obtained by the transition height such as at least three times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s.

전술한바에 의하면, 상기 전이대역중의 촉매 미립자는 코우크스가 매우 균일하게 연소제거된 정도를 대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전이대역중의 촉매 미립자를 시료로 채취할 수 있다면 상기 시료미립자들에 의해서 상기 연소제거대역에서 달성된 처리수준을 정확하게 알수있다. 상기 시료채취를 연속적으로, 또는 적어도 주기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재생과정을 보다 양호하게 조절하여서 가능한한 과열에 의한 촉매 미립자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시료채취결과 코우크스가 충분히 연소제거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기체의 산소함량을 증가시킬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연소제거가 충분히 완결되었다면 상기 연소제거기체의 산소함량을 감소시킬수 있다. 연소제거도를 정확히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은 상당량의 코우크스가 표면위에 잔존하는 상태로 고산소함량 하부대역에 들어가는 촉매 미립자가 산소와 가능한한 빨리 반응하여 촉매 미립자가 2000F 이상의 온도로 즉석에서 가열될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때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높은 온도는 상기 미립자를 용융시키며 파괴시키지만, 반면에 다소 낮으나, 여전히 상승된 온도도 상기 미립자의 사용수명을 매우 단축시킨다. 제1기체중의 산소수준이 충분하여 상기 상부 연소제거대역을 이탈하는 촉매 미립자를 코우크스가 충분히 제거된 상태로 만들어 상기 산소가 풍부한 하부대역에 이를때 온도증가로 인한 미립자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하는것이 이상적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상부대역에서의 산소수준 감소로 인하여 상기 촉매 미립자가 상기 상부대역에서 최소온도에서 처리되는 것을 확고히 하는 것이기도 하다.According to the foregoing, the catalyst fine particles in the transition zone represent the extent to which coke is burned off very uniformly. Therefore, if the catalyst fine particles in the transition zone can be sampled, the fine particles can accurately know the processing level achieved in the combustion elimination zone. By performing the sampling continuously or at least periodically, it is possible to better control the regeneration process so as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catalyst fine particles due to overheating as much as possible. For example, when the coke is not sufficiently burned off as a result of sampling, the oxygen content of the first gas may be increased. Similarly, the oxygen content of the burnout gas can be reduced if the burnout is completed sufficiently. The ability to accurately determine the burn-off rate indicates that catalyst particulates entering the high-oxygen lower zone with a significant amount of coke remaining on the surface can react with oxygen as quickly as possible, allowing the catalyst particulates to be heated immediately to temperatures above 2000F.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when considering. This high temperature melts and destroys the microparticles, while somewhat lower, but still elevated temperatures greatly shorten the service life of the microparticles. The oxygen level in the first gas is sufficient so that the coarse catalyst particles are removed from the upper combustion elimination zone so that coke is sufficiently removed so as not to damage the fine particles due to the temperature increase when the oxygen rich lower zone is reached. Ideally. This reduction in oxygen levels in the upper zone also ensures that the catalyst particulates are treated at the minimum temperature in the upper zone.

따라서, 상기 촉매 미립자의 사용 수명은 최대로 될수 있다. 먼저, 바람직한 코우크스 연소제거도를 확정하기 위해 절대 필요량 보다는 적어도 약간 더많은 산소를 상기 상부대역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산소가 과량이면 촉매온도를 증가시키고 그에따라 촉매수명을 단축시킨다. 온도는 촉매의 수명에 매우 중요하므로 특히, 촉매가 1시간이상 체제하는 상기 상부대역에서의 촉매온도를 적게라도 감소시키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상부대역중의 저산소 함량기체는 상기 촉매 미립자의 모든 코우크스를 연소제거 시킬수 없기 때문에 소량의 코우크스가 상기 미립자의 중앙에 잔존할 것이다. 이러한 잔류물은 상기 상부대역을 이탈할때의 총 탄소함량이 약 0.2%이며, 상기 미립자들이 상기 하부대역을 먼저 들어와서 그속의 고산소함량기체와 접촉될때 빠르게 연소 제거된다. 이러한 연소에 의해서 촉매 미립자들이 가열되는 것이 자연적이지만, 그 미립자들이 바람직한 수준으로 코우크스를 감소시킨다는 가정하에서, 상기 연소에의해서 그 온도는 상기 상부 연소제거대역의 상부분에서의 온도보다 더 높아지지 않으며, 상기 하부대역의 잔부의 수준으로 곧 떨어진다. 또한, 코우크스가 거의 존재하지 않고, 잔류 코우크스가 체제하는 상기 미립자들의 중앙으로 산소가 확산하는 데 상당시간이 소요되므로, 매우 짧은 기간의 온도증가는 실질적인 중요성이 없다.Therefore, the service life of the catalyst fine particles can be maximized.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upper band with at least slightly more oxygen than the absolute required amount to establish the desired coke burnout. However, excessive oxygen increases the catalyst temperature and thereby shortens the catalyst life. Since temperature is very important for the life of the catalyst,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reduce the catalyst temperature even at least in the upper zone, in which the catalyst lasts longer than one hour.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ll amount of coke will remain in the center of the particulate because the low oxygen content gas in the upper zone cannot burn off all coke of the catalyst particulate. This residue has a total carbon content of about 0.2% when leaving the upper zone and is burned off quickly when the particulates enter the lower zone first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high oxygen content gas therein. It is natural that the catalyst particulates are heated by such combustion, but assuming that they reduce the coke to a desired level, the temperature by the combustion does not ris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at the top of the upper burnout zone. , Soon falls to the level of the remainder of the lower band. In addition, since very little coke is present and it takes considerable time for oxygen to diffuse into the center of the particulates in which the remaining coke is set up, a very short period of temperature increase is of no practical importance.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 장치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2단 재생기 부분 및 총체적으로(10)으로 지칭한 수직 압력탑을 포함하고 있다. 제거가능한 헤드부분(12)은 체결수단(도시되지않음)에 의해서 상기 탑의 원통외부벽(14)에 연결되어 있다. 비다공 단부 링부재(16)는 그 상부단부 헤드부분(12)에 용접되어있고 그 하부단부 다공내부 스크린 실린더(18)의 상부단부에 용접되어 있다. 반응기 또는 다른 출처에서 나오는 사용 촉매를 수용하도록 조정된 복수개의 촉매입구도관(20)이 설치되어 있고 이것이 헤드부분(12)을 통과하고 있다. 또한, 기체출구 조립부(22)가 헤드부분(12)에 설치되어 탑(10)내부에서 나오는 기체를 제거한다. 반경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스크린 지지플랜지(24)는 헤드부분(12)과 벽(14)에 대한 플랜지(12', 14')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하방으로 달려있는 상부단부 설치링부분(27)을 가지는 다공외부 스크린원통(26)을 장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부 및 외부 다공스크린부분(18, 26)사이의 환상공간이 코우크스가 퇴적되어 있는 사용촉매 미립자(32)의 칼럼(30)을 포함하는 상부 기체 처리대역(28)을 형성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코우크스는 탄소 약5중량%의 촉매 미립자로 되는 정도이다. 또한, 상기 대역(28)은 "탄소연소제거"대역이라고 하는데, 그 이유는 기체증기입구수단(34) 및 벽(14)과 스크린(26)간의 환상분배부분(36)을 통해 대역(28)으로 들어오는 제1처리기체 스트림에 의해서 미립자(32)가 연속적으로 접촉되어질때 코우크스가 거의 제거 또는 연소제거 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1기체는 출구(22)를 통해서 나오는 상기 기체와 같은 재순환 연도기체가 바람직하고, 이 기체에 충분량의 공기가 가해져서 약 0.8%의 비교적 낮은 산소함량을 갖게된다. 상기 저 산소함량은 탄소 연소제거율을 낮게 유지시키며, 그에따라 상기 촉매 미립자가 처리되는 최대온도를 조절하고 그럼으로써 미립자들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상기 장치로 정확한 시료채취를 허용할 수 있다함은 상기 제1기체의 산소수준으로 조정하여 온도를 최소화하고 촉매수명을 증가시킬수 있다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1,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wo stage regenerator portion and a vertical pressure column, collectively referred to as 10. The removable head portion 12 is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outer wall 14 of the tower by fastening means (not shown). The non-porous end ring member 16 is welded to the upper end head portion 12 an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end porous inner screen cylinder 18. A plurality of catalyst inlet conduits 20 are provided which are adapted to receive the spent catalyst from the reactor or other sources, which are passing through the head portion 12. In addition, the gas outlet assembly 22 is installed in the head portion 12 to remove the gas from the inside of the tower (10). The radially extending screen support flange 24 is provided between the head portion 12 and the flanges 12 'and 14' with respect to the wall 14, and has an upper end mounting ring portion 27 which runs downward. The branches serve to mount the outer screen cylinder 26 perforated. The annular sp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orous screen portions 18, 26 forms an upper gas treatment zone 28 comprising a column 30 of spent catalyst fine particles 32 on which coke is deposited. Typically, coke is about 5% by weight of catalyst particulates. The zone 28 is also referred to as a "carbon burn off" zone because the zone 28 is through the gas vapor inlet means 34 and the annular distribution portion 36 between the wall 14 and the screen 26. This is because coke is almost removed or burned off when the microparticles 32 are continuously contacted by the first treatment gas stream. The first gas is preferably a recycle flue gas, such as the gas exiting through the outlet 22, and a sufficient amount of air is applied to the gas to have a relatively low oxygen content of about 0.8%. The low oxygen content keeps the carbon removal rate low, thereby adjusting the maximum temperature at which the catalyst particulates are processed and thereby preventing the particulates from overheating. As described above, the ability to allow accurate sampling with the device is to adjust the oxygen level of the first gas to minimize temperature and increase catalyst life.

상기 상부"연소제거"대역(28) 바로 아래에는 전이대역(44)이 있는데, 상기 내부 다공스크린 원통(18)의 저단부에 용접되어있는 내부비다공 원통단부링부재(50)와 외부다공스크린 원통(26)에 용접된 유사한 단부링 부재에 의해서 상기 전이대역의 상부단부가 형성된다. 상기 전이대역(44)의 하부단은 대역(44)의 내부면상에서 상기 링부재(50)에 용접되어있는 전이요소의 원통내부벽부분(54)에 의해 구획되어진다. 대안적으로, 상기 링(50)을 더길게 하여 요소(54)를 없앨수도 있다.Immediately below the upper “burn out” zone 28 is a transition zone 44, an inner non-porous cylindrical end ring member 50 and an outer porous screen weld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porous screen cylinder 18. The upper end of the transition zone is formed by a similar end ring member welded to the cylinder 26. The lower end of the transition zone 44 is partitioned by a cylindrical inner wall portion 54 of the transition element welded to the ring member 50 on the inner face of the transition zone 44. Alternatively, the ring 50 can be made longer to eliminate the element 54.

제2도에서 명백히 개시된 바와같이, 상기 전이대역은 그의 외부벽이 일정각도를 이룬 원추부분(56) 및 수직부분(58)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거의 하방으로 테이퍼진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전이대역의 정부에 있어서는 전이대역의 폭이 스크린(18, 26)간의 반경공간의 폭

Figure kpo00001
와 같지만, 그의 저부에 있어서는 폭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의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이대역(44)은 평행한 측벽과 일정한 폭의 환상단면을 가질수 있다 할찌라도 상기 전이대역의 소정높이
Figure kpo00004
를 테이퍼식으로 설계함으로써 일정폭 t5 의 대역과 비교할때 상기 전이대역을 하방으로 통과할 수 있는 제1기체의 양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흐름감소는 촉매 미립자들이 제한된 개구를 통과해야만 할때 촉매베드중의 미립자(32)에 의해서 발생된 배압을 증가시킴으로서 야기된다. 또한, 전이대역(44)의 단면을 테이퍼지게 함으로써 미립자들이 상기 전이대역을 하방으로 통과할때 칼럼(30)중의 미립자들의 속도를 증가시킬수 있다. 상기 미립자들의 하방이동을 제2도에서 유선으로 지시한 바와같이, 상부 기체 처리부분(36)중의 일부기체의 하방유동에 의해 보조한다.As is evident in FIG. 2, the transition zone appears to have a tapered cross section almost downward because its outer wall is formed by conical portions 56 and vertical portions 58 at an angle. Therefore, in the transition band transition, the width of the transition band is the width of the radial space between the screens 18 and 26.
Figure kpo00001
Like, but at the bottom of it, the width
Figure kpo00002
end
Figure kpo00003
Is preferably 50% or less. In addition, the transition zone 44 may have a parallel sidewall and an annular cross section of a constant width, although the predetermined height of the transition zone is sufficient.
Figure kpo00004
The tapered design reduces the amount of first gas that can pass downward through the transition band when compared to a band of constant width t5. This decrease in flow is caused by increasing the back pressure generated by the particulates 32 in the catalyst bed when the catalyst particulates must pass through the restricted openings. In addition, by tapering the cross section of the transition zone 44,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particulates in the column 30 as they pass downward through the transition zone.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particulates is assisted by the downward flow of some of the gas in the upper gas treatment portion 36, as indicated by the streamline in FIG.

상부처리대역(28)을 통해 하방으로 다 이동하여 전이대역(44)내에 유입된 상기 미립자(32')는 대역(28)에서 수행된 연소제거도를 알수있는 대표적인 것이 명백하다. 이러한 조건이 존재하는 이유는 비교적 산소가 풍부한 기체가 기체입구(62)로 들어와 흐름분배기(68)와 같은 분배 수단에 의해 하부원통처리대역(66)을 통해 상방으로 분배되어서 상기 미립자(32')와 접촉하게 될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상기 하부대역(66)을 통해 상방으로 흐르는 기체는 중앙 포집대역(72)내로 직접 유입되어서 그안에서 상기 상부처리대역(28)을 통해 반경 내향으로 흐르는 기체와 혼합하고 기체출구(22)를 통해 상기 장치를 나온다. 상기 중앙 포집대역(72)내의 압력은 입구(34 및 62)를 들어오는 기체의 압력보다 낮다. 하부 처리대역(66)의 정부면(66')은 중력에 의해서 상기 전이요소의 내부벽(54) 하부모서리(54') 둘레를 흐르는 촉매 미립자(32')에 의해서만 형성되므로, 상방으로 흐르는 기체가 전이대역(44)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 흐름은 상기 전이대역(44)중의 미립자(32')가 상기 기체에 대해 배압을 일으키기 때문에 발생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전이대역중 소량의 하방흐름기체의 압력도 중앙포집대역(72)의 압력보다 높다.It is evident that the particulates 32 ′, which have moved all the way down through the upper treatment zone 28 and have flowed into the transition zone 44, can know the degree of burnout performed in the zone 28. The reason for this condition is that a relatively oxygen-rich gas enters the gas inlet 62 and is distributed upwards through the lower cylinder treatment zone 66 by a distribution means such as a flow distributor 68 to provide the particulate 32 '. Because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gas flowing upwardly through the lower zone 66 flows directly into the central capture zone 72 and mixes therein with the gas flowing radially inwardly through the upper treatment zone 28 and through the gas outlet 22. Exit the device. The pressure in the central capture zone 72 is lower than the pressure of the gas entering the inlets 34 and 62. The top face 66 'of the lower treatment zone 66 is formed by catalyst particles 32' flowing around the lower edge 54 'of the inner wall 54 of the transition element by gravity, so that the gas flowing upwards It does not flow into the transition band 44. The flow cannot occur because particulate 32 ′ in the transition zone 44 creates back pressure against the gas. In addition, the pressure of a small amount of downstream gas in the transition zone is also higher than the pressure in the central capture zone (72).

대역(28) 및 대역(66)을 통한 칼럼(30)의 유속은 미립자(32")가 출구(74)를 통해 대역(66)을 나오는 속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대역(66)을 나오는 상기 미립자들은 건조조작과 같이 필요에 따라 부가적 처리를 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는다.The flow rate of column 30 through zone 28 and zone 66 is determined by the rate at which particulate 32 "exits zone 66 through outlet 74. Said particulate exiting zone 66 They may be subjected to additional treatments as needed, such as drying, which does not form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전이대역(44)중의 미립자(32')를 시료채취하기 위해서 통칭(76)으로 지시된 시료채취장치를 사용할수 있다. 사용된 특정형태의 시료채취장치를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지만, 밸부(80)를 구비하고 플랜지스단(82)에 의해서 흐름조절밸브(86)를 가지는 출구(84)에 연결된 시료용기(78)을 포함한다.In order to sample the fine particles 32 'in the transition zone 44, a sampling device designated by the generic name 76 can be used. Although the particular type of sampling device used does not form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ple container 78 is provided with a val section 80 and connected to an outlet 84 with a flow control valve 86 by a flange end 82. ).

제3도는 제2도의 선3-3에 대한 확대단면도이며 단지 환성처리대역(28)의 형태를 개시한 것으로서, 로드(92, 94)에 용접되어 스크린(18, 26)을 형성하는 쐐기형 와이어(88, 90)가 각각 촉매 미립자의 직경보다 작은 규모 슬로트(96)을 가져 기체가 이것을 통하여 통과하지만 촉매 미립자는 통과하지 못한다. 촉매 재생기의 대해 전술한 본 발명의 응용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적용만을 나타낸 것이며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이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line 3-3 of FIG. 2 and merely discloses the form of the annular treatment band 28, which is a wedge wire welded to the rods 92 and 94 to form the screens 18 and 26. FIG. Each of the 88 and 90 has a scale slot 96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atalyst fine particles so that gas passes through it but the catalyst fine particles do not. The abov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atalyst regenerators merely illustrates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Claims (7)

미립자들이 대역을 통하여 반경반향으로 유입하는 제1기체류와 접촉하게되는 상부환상대역(28)으로 부터 미립자들이 제2기체류와 접촉하게되는 하부대역(66)까지 접촉물질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미립자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환상대역(28)은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둔 한쌍의 공축 스크린 요소의 축방향으로 신장된 부분(18, 26)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 상기 축방향 신장 부분은 기체의 흐름을 허용하나 접촉 미립자들의 통과는 허용하지 않는 크기의 복수개의 기체흐름 개구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있고 ; 상기 하부대역(66)은 거의 원통형이며 상기 하부대역(66)내의 접촉 미립자를 반경방향으로 수용하는 수직신장된 비다공 외부벽 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 상기 외부벽 부분은 거의 환상인 전이요소(50, 52, 54, 56, 58)의 외부벽에 의해서 상기 한쌍의 스크린 요소중 반경방향의 외부 요소(26)에 연결되어있고 ; 상기 거의 환상인 전이요소는 상기 하부대역(66)의 외부벽부분(58) 및 외부스크린요소(26)에 연결된 외부벽부분(52)과, 한쌍의 상기 스크린 요소(18, 26)중 반경 방향의 내부요소(18)에 연결된 원통형 비다공 내부부분(50, 54)을 수용하고 있고, 상기 내부벽부분(50, 54)의 저부단부는 접촉미립자들이 상기 하부대역(66)내에 도달할 수 있는 상부높이 한계를 형성하고 있고 ; 상기 하부원통대역(66)은 그의 하부에서의 측벽이 상기 상부환상대역(28)에 인접하는 적어도 한 위치에서 상기 장치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대역(28)위에 위치한 원통기체포집 대역과는 공축관게이면서, 직접 및 개방 연통하여져있고 ; 제2기체류를 특정압력으로 상기 장치의 하부부분내에 도입시켜서 상기 하부원통대역(66)을 통해 상방으로 흐르게하는 수단(62, 68)이 설치되어있고 ; 상기 제1 및 제2기체류 각각은 먼저 그의 각 대역(28, 66)중 접촉미립자(32)베드를 통해 흘러서 상기 포집대역(72)내로 유입되고있고 ; 상기 기체포집대역은 상기 제1 및 제2기체류의 상기 특정 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유지되어 상기 제2기체류가 상기 하부원통대역(66)의 정부로부터 상기 기체포집대역(72)내로 직접 유입되고있고 ; 상기 환상전이요소의 내부벽 부분(50, 54)은 상기 상부대역(28) 및 하부대역(66)간의 미립자를 함유하는 전이대역(44)의 수직높이
Figure kpo00005
를 형성하고있고 ; 상기 전이대역(44)의 수직높이
Figure kpo00006
는 상기 스크린 요소들(18, 26)간의 반경거리
Figure kpo00007
이상의 접촉물질의 미립자를 충분히 수용하여 상기 제2기체를 상기 전이대역(44)로 유입하지 못하게는 배압을 발생시킴을 특지으로 하는 미립자 이송장치.
Particles that move the contact material downward from the upper annular zone 28 where the particulat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gas stream radially flowing through the zone, and from the lower zone 66 where the particl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gas stream. In the conveying apparatus, the upper annular zone 28 is formed by axially extending portions 18, 26 of a pair of coaxial screen elements space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axially extending portion is configured to receive a plurality of gas flow openings of a size that permits gas flow but does not allow passage of contact particulates; The lower zone 66 is substantially cylindrical and has a vertically elongated non-porous outer wall portion that radially receives contacting particulates in the lower zone 66; The outer wall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adially outer element 26 of the pair of screen elements by an outer wall of a substantially annular transition element 50, 52, 54, 56, 58; The substantially annular transition element comprises an outer wall portion 58 of the lower band 66 and an outer wall portion 52 connected to the outer screen element 26 and a radially inner portion of the pair of screen elements 18, 26. A cylindrical non-porous inner portion (50, 54) connected to the element (18), and the bottom end of the inner wall portion (50, 54) is the upper height limit that contact particulates can reach within the lower zone (66). To form; The lower cylindrical zone 66 is coaxially associated with the cylindrical gas trapping zone formed by the device at at least one position whose sidewall at its bottom is adjacent to the upper annular zone 28 and located above the zone 28. Are in direct and open communication; Means (62, 68) are provided for introducing a second gas stream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apparatus at a specific pressure so as to flow upward through the lower cylindrical zone (66);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as streams first flows through the bed of contact particulates 32 in each of its bands 28 and 66 and flows into the collection band 72; The gas collecting zone is maintained at a pressure lower than the specific pressure of the first and second gas streams so that the second gas stream flows directly into the gas collecting zone 72 from the government of the lower cylindrical zone 66. And; The inner wall portions 50 and 54 of the annular transition element are the vertical heights of the transition zone 44 containing the particulates between the upper band 28 and the lower band 66.
Figure kpo00005
Forming a; Vertical height of the transition band 44
Figure kpo00006
Is the radial distance between the screen elements 18, 26.
Figure kpo00007
Particle transfe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back pressure to sufficiently accommodate the fine particles of the above contact material to prevent the second gas from flowing into the transition zone (4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대역(50, 54)이 상기 스크린요소(18, 26)간의반경거리
Figure kpo00008
의 적어도 3배인 수직 높이를 갖는 미립자 이송장치.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 elements (18, 26) of the transition band (50, 54) according to claim 1,
Figure kpo00008
Particle conveying device having a vertical height of at least three ti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를 수용하는 전이대역(50, 54)이 상기 장치내의 미립자를 충분히 유동화시키지 못하는 속도로 상기 전이대역을 통해 상기 제1기체류의 하방흐름량을 제한하는 데 충분한 수직높이
Figure kpo00009
를 갖는 미립자 이송장치.
2. The vertical height of claim 1 sufficient to limit the amount of downward flow of the first gas stream through the transition zone at a rate at which the transition zones 50, 54 containing the particulates do not sufficiently fluidize the particulates in the device.
Figure kpo00009
Particle conveying apparatus hav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물질이 다공성 촉매 미립자로 구성되는 미립자 이송장치.The particulate transport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material comprises porous catalyst particulates. 제1항에 있어서, 시료채취구(84)가 상기 상부대역(28)과 하부대역(66)의 중간위치에서, 상기 전이요소(56)에 부착되어있고, 상기 시료채취구(84)가 상기 전이대역에서 상기 접촉물질 미립자의 시료채취를 허용하고 있는 미립자 이송장치.2. The sample collection port (84) of claim 1, wherein a sampling port (84) is attached to the transition element (56)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upper band (28) and the lower band (66), and the sampling port (84) is provided with the sampling port (84). And a particulate transport device allowing sampling of the contact material particulates in the transition z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요소(50, 52, 54, 56, 58)는 그 벽들이 정부에서보다는 저부에서 더 서로 밀접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 미립자 이송장치.The particulate transport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transition elements (50, 52, 54, 56, 58) are shaped closer to each other at their bottom than at the governm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요소(50, 52, 54, 56, 58)의 저부벽들이 사로 반경방향으로 상기 스크린 요소들(18, 26)간의 반경거리의 50% 이하인 간격을 두고있는 미립자 이송장치.7. The particulate transport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ottom walls of the transition elements (50, 52, 54, 56, 58) are spaced at intervals of 50% or less of the radial distance between the screen elements (18, 26) in a radial direction. Device.
KR1019860000496A 1986-01-27 1986-01-27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ticles from one zone to another KR8900034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0496A KR890003434B1 (en) 1986-01-27 1986-01-27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ticles from one zone to anot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0496A KR890003434B1 (en) 1986-01-27 1986-01-27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ticles from one zone to anot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926A KR870006926A (en) 1987-08-13
KR890003434B1 true KR890003434B1 (en) 1989-09-21

Family

ID=1924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496A KR890003434B1 (en) 1986-01-27 1986-01-27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ticles from one zone to anot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434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926A (en) 1987-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713421A3 (en) Apparatus with moving catalyst layer
CS271326B2 (en) Method of gas circulation in regeneration zone with movable bed
US4283273A (en) Method and system for regenerating fluidizable catalyst particles
AU645876B2 (en) Reconditioning method for a non-acidic catalyst used in a high severity process for dehydrogenation of light hydrocarbons
US3705016A (en) Fluid-solids contacting chamber
US40308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enerating activated carbon
EP0230701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ticles from one zone to another
KR9000007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eneration of hydrocarbon conversion catalyst
US2330767A (en) Catalyst regeneration
KR890003434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ticles from one zone to another
RU2580928C1 (en) Improved sensitivity of coke, combustible from surface of catalyst for method for dehydrogenation of light paraffins
US4637266A (en) Process for sampling particulate matter passing from one treatment zone to another
US4665632A (en) Apparatus for uniformly distributing fluid through a bed of particulate material
SE436694B (en) CONTINUOUS PROCEDURE FOR THE REGENERATION OF DEACTIVATED CATALYSTS, CONCENTRAL CARBON COMBUSTION AND HALOGENERATION
US4701429A (en) Catalyst regeneration with varying air flow to burn-off zone from drying zone through halogenation zone
FI82205B (en) Arrangement for transfer of particles from one zone to another
US4959198A (en) Downwardly forced particle bed for gas contacting
JPS63264132A (en) Treatment to liquid or by said liquid
JPH03174248A (en) Regeneration of fluid contact decomposition catalyst
CA1265658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ticles from one zone to another
US5089115A (en) Downwardly forced particle bed for gas contacting
IE57244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rticles from one zone to another
US2471064A (en) Stripping of spent catalyst in hydrocarbon conversion
KR101652601B1 (en) Catalyst regeneration apparatus
KR20160077341A (en) Catalyst regener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