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380Y1 - 헤드폰의 마이크 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헤드폰의 마이크 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380Y1
KR890003380Y1 KR2019860007135U KR860007135U KR890003380Y1 KR 890003380 Y1 KR890003380 Y1 KR 890003380Y1 KR 2019860007135 U KR2019860007135 U KR 2019860007135U KR 860007135 U KR860007135 U KR 860007135U KR 890003380 Y1 KR890003380 Y1 KR 890003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hole
shaft
microphone
head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9334U (ko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07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380Y1/ko
Publication of KR8700193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93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헤드폰의 마이크 바 고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 바 고정장치의 외형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 바 고정장치의 조립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1 : 원통요홈
12 : 관통구멍 13 : 돌기부
2 : 스프링 3 : 홀더 가이드
31 : 원통요홈 32 : 홈
33 : 관통구멍 34 : 돌기부
4 : 캡 41 : 홈
42 : 사각홈 43 : 관통구멍
5 : 샤프트 51 : 사각부
52 : 두부 53 : 관통구멍
54 : 샤프트축
본 고안은 헤드폰에 마이크를 설치하기 위한 마이크바(BAR)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폰에 마이크 바를 효율적으로 장착시켜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설치한 헤드폰의 마이크 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와 헤드폰은 각각 분리되어 있으므로 마이크와 헤드폰은 각각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제작 되었다.
따라서 많은 수량의 오디오 제품을 시험 또는 점검할 경우에는 헤드폰 기능과 마이크의 기능을 각각 구분하여 점검하므로써 점검자의 불편과 점검의 소요시간이 가중되어 작업의 비효율적인 결함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결함을 개선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는 헤드폰의 중앙부위에 마이크가 부착된 마이크 바를 장착시켜 간단한 조작으로 제품을 점검함으로써 작업 능률의 향상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헤드폰의 마이크 바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헤드폰의 본체(1) 중앙에 회전 가능한 캡(4)을 구성하여 마이크가 부착된 마이크 바(8)를 삽입시켜 상하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이들의 각 구성은 제2도의 분해 사시도와 같다.
헤드폰 본체(1)의 중앙부위에 관통구멍(12)을 형성하고 그 주위에 원통요홈(11)과 돌기부(13)를 형설하여 그 단면이 요철형()이 되도록 하고 관통구멍(12) 주위의 원통요홈(11)에 스프링의 형상이 안착되도록 하며 홀더가이드(3)에는 관통구멍(33)을 형성하고 그 주위에 원통요홈(31)과 돌기부(34)와 그 일측에형의 홈(32)을 형성하며 상기 원통요홈(31)으로 스프링(2)이 끼워지게 하여 본체(1)의 원통요홈(11)에 완전히 삽입 고정되도록 설치하고 캡(4)에는 볼트 체결용 관통홈(43)이 형성된 사각홈(42)과 홈(41)을 형성하여 홀더가이드(3)를 결합시켜 홀더가이드(3)의 홈(32)과 캡(4)의 홈(41) 사이로 마이크 바(8)를 삽입 장착시킬 수 있고 샤프트(5)의 축(54) 전단에 사각부(51)를 형성하고 사각부(51)에는 관통구멍(53)을 형성하여 캡(4)의 내부 저면에 형성된 사각홈(42)에 삽입되어 사각홈(42) 중앙의 관통구멍(43)을 이용하여 볼트(6)와 너트(7)로써 고정되도록 하고 샤프트(5)의 두부(52)는 본체(1)의 내부 벽면과 밀착되어 마찰력으로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에 홀더 가이드(3)를 결합시켜 본체(1)의 고나통요홈(11)과 홀더가이드(3)의 원통요홈(31)의 결합부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에 스프링(2)을 삽입시켜 탄성력과 장력을 갖도록 하고 그 전면부에 캡(4)을 결합시켜 홀더가이드(3)의 홈(32)과 캡(4)의 홈(41)은 일체가 되어 마이크 바(8)를 삽입 고정하고 샤프트(5)의 축(54)을 본체(1)의 관통홈(12)에 삽입시켜 샤프트축(54)의 전단부에 형성된 사각부(51)는 캡(4)의 사각홈(42)에 삽입되며 캡(4)의 사각홈(42) 중앙관통구멍(43)과 샤프트축(54)의 사각부(51) 중앙의 관통홈(53)을 이용하여 볼트(6)를 삽입시키고 샤프트(5)의 두부(52)에서 너트(7)로 체결하여 형합되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인 헤드폰의 마이크 바 고정장치는 제4도와 같이 마이크 바(8)를 "R"방향과 "L"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캡(4)의 홈(41)과 홀더가이드(3)의 홈(32)의 결합부에 마이크 바(8)가 고정 장착되어 있으므로 볼트(6)로 샤프트(5)와 고정된 캡(4)의 사각홈(42) 즉 사각홈(42)에 체결된 볼트(6)를 중심점(0)으로 하여 홀더가이드(3)와 캡(4)은 마이크 바(8)와 연동되어 회전 동작을 한다.
이때 본체(1)에 요설된 원통요홈(11)과 홀더가이드(3)의 원통요홈(31)에는 양측으로 스프링(2)이 일정한 탄성력을 갖고 고정장착되어 있으므로 운동이 불가한 본체(1)와 회전운동이 가능한 홀더가이드(3) 및 캡(4) 사이에는 일정한 장력과 탄성력이 작용하여 동작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축(54)의 전단에 형설된 사각부(51)와 캡(4)의 내부저면에 형성된 사각홈(41)을 볼트(6)와 너트(7)로써 고정시켜 본체(1) 내부의 벽과 샤프트(5)의 두부(52)간에는 마찰력으로 인해 볼트(6)의 중심점(0)에 회전 마찰을 일으켜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캡(4)을 회전 불가능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본체의 원통요홈(11)과 홀더가이드(3)의 원통요홈(31)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2)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원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헤드폰의 기능과 마이크의 기능을 동시에 점검할 수 있어 많은 량의 오디오 제품을 시험 점검할 경우 신속한 점검을 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작업으로 인해 능률이 향상되고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헤드폰과 마이크를 동시에 사용하도록 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도 및 신비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헤드폰에 마이크 바(8)를 부착시킴에 있어서, 헤드폰 본체(1)의 중앙부위에 관통구멍(12)을 형성하고 그 주위에 원통요홈(11)과 돌기부(13)를 형설하여 그 단면에 요철형()이 되도록 하고 홀더가이드(3)의 중앙부위에 고나통구멍(33)을 형성하고 그 주위에 원통요홈(31)과 돌기부(34)를 형설하여 본체(1)의 원통요홈(11)과 결합시에 스프링(2)이 안착되도록 하고 또한,형의 홈(32)을 형성하고 캡(4)의 중앙 저면에 사각홈(42)을 형설하고 사각홈(42) 중앙에 볼트(6) 체결용 관통구멍(43)을 형성하며 일측부위에 홈(41)을 형설하여 홀더가이드(3)의 홈(32)과 결합시 마이크 바(8)를 고정 장착시키고 샤프트(5) 축(54)의 전단에 사각부(51)를 형설하고 그 중앙에 관통구멍(53)을 형설하여 볼트(6)와 너트(7)로 고정시킨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의 마이크 바 고정장치.
KR2019860007135U 1986-05-22 1986-05-22 헤드폰의 마이크 바 고정장치 KR890003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135U KR890003380Y1 (ko) 1986-05-22 1986-05-22 헤드폰의 마이크 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135U KR890003380Y1 (ko) 1986-05-22 1986-05-22 헤드폰의 마이크 바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9334U KR870019334U (ko) 1987-12-28
KR890003380Y1 true KR890003380Y1 (ko) 1989-05-20

Family

ID=1925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135U KR890003380Y1 (ko) 1986-05-22 1986-05-22 헤드폰의 마이크 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3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9334U (ko) 198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1222A (en) Tension roller for belt drive
BR9804173A (pt) Fixador de porca engaiolada.
FR2367933A1 (fr) Vis ou ecrou et rondelle captive
US3030128A (en) Swivel for lighting fixtures
KR920019476A (ko) 공구 지지체와 이 공구 지지체를 유지하는 조임 장착 굴대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
US4793603A (en) Lateral pressure pad for positioning workpieces
US3707043A (en) Alignment assembly
KR890003380Y1 (ko) 헤드폰의 마이크 바 고정장치
US5641257A (en) Sliding clamp
JPH0650348A (ja) 止めピンモジユール
US7036398B2 (en) Ratchet opener
JPS61145110U (ko)
US4958532A (en) Double action brake handle structure
FR2652027A1 (fr) Douille de vissage.
JPH07139534A (ja) ボルト・ナット固定装置
KR950006019Y1 (ko) 피봇축
US3226139A (en) Bracket hold-down device
KR0125328Y1 (ko) 측량용 상자형 자
JPH021524Y2 (ko)
SU1119782A1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механическим креплением многогранной режущей пластины
JPH0198441U (ko)
SU145456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сменного пакета в универсальном штампе
JPS6227513Y2 (ko)
RU2116643C1 (ru) Захват для испытаний на растяжение
KR960005218Y1 (ko) 상용차용 도어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