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063B1 - Threshing apparatus of combine - Google Patents
Threshing apparatus of comb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3063B1 KR890003063B1 KR1019860011725A KR860011725A KR890003063B1 KR 890003063 B1 KR890003063 B1 KR 890003063B1 KR 1019860011725 A KR1019860011725 A KR 1019860011725A KR 860011725 A KR860011725 A KR 860011725A KR 890003063 B1 KR890003063 B1 KR 8900030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in
- threshing
- threshing chamber
- blade mounting
- n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4—One-part threshing conca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써,The drawings show an embodiment of a grain attaching and detaching structure of a grain th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는 제1의 실시예에 관한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있어서의 곡식받는 망의 전체 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grain receiving net in the grain receiving net attaching and detaching structure of the th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2도는 제1의 실시예에 관한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있어서의 탈곡실의 전체 사시도.FIG.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threshing chamber in the grain-attached net detachment structure of the th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제3도는 제1의 실시예에 관한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있어서의 탈곡실의 종단정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front view of the threshing chamber in the grain-attaching / release structure of the th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A)-(A)방향에서 본 화살표 방향의 도면.4 is a view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viewed from the direction (A)-(A) in FIG. 3;
제5도는 제1의 실시예에 관한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있어서의 날(刀)설치대 부근의 정면도.Fig. 5 is a front view of the vicinity of a blade mounting stand in a grain attaching and detaching structure for receiving a grain of the th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6도는 제1의 실시예에 관한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있어서의 날설치대의 록크편 부근의 부분측면도.Fig. 6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vicinity of the lock piece of the blade mounting table in the grain-attaching / release structure of the grain-retaining net of the th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7도는 탈곡장치의 전체측면도.7 is an overall side view of the threshing apparatus.
제8도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있어서의 탈곡실의 종단 정면도.8 is a longitudinal front view of the threshing chamber in the grain-attached and detached structure of the thresh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2nd Example.
제9도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있어서의 날설치대를 탈곡실에 떼어낸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lade mounting base in the grain-attaching / release structure of the th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removed from the threshing chamber. FIG.
제10도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있어서의 날설치대의 전체사시도.10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blade mounting base in a grain-attached network detachment structure of the th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제11도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있어서의 탈곡실의 전체사시도.FIG. 1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threshing chamber in the grain-attached / released structure of the th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제12도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있어서의 곡식받는 망의 전체사시도.1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grain receiving network in the grain receiving network attaching / detaching structure of the th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제13도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를 개량한 날설치대 부근의 종단정명도.Fig. 13 is a longitudinal clarity diagram near the blade mounting platform in which the grain-retaining net attaching and detaching structure of the th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improved.
제14도는 제3의 실시예에 관한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있어서의 탈곡실의 종단정면도.Fig. 1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front view of the threshing chamber in the grain-attached and detached structure of the th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제15도는 제3의 실시예에 관한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있어서의 날설치대를 탈곡실에서 떼어낸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FIG.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lade mounting base of the grain-attaching net detachment structure of the th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removed from the threshing chamber. FIG.
제16도는 제3의 실시예에 관한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있어서의 날설치대의 평면도.Fig. 16 is a plan view of the blade mounting table in the grain-attached net detachment structure of the thre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3 : 탈곡동체 9a, 9b, 39a, 39b : 안내부3:
12, 25, 41, 46 : 걸어고정하는 부분 13, 24, 42, 47 : 걸어 맞추는 부12, 25, 41, 46: part for
15 : 탈곡실 16 : 곡식받는 망15: threshing chamber 16: a grain receiving net
27 : 날설치대27: blade mount
본 발명은 콤바인이나 하아베스터등에 탑재하는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의 부착·이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탈곡동체의 아래쪽에 배치는 원호형상의 곡식받는 망을 탈곡실 내부면에 설치한 안내부를 개재하여 원호둘레방향으로 따라서 탈곡실 윗부분에서 밀고뽑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탈곡장치에 있어서, 곡식받는 망의 부착구조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 55-170942호에 개시되어서 있는 바와같이 반원통 형상의 곡식받는 망 지지틀에 클림프망을 펴서 설치하고 이 곡식받는 망 지지틀을 탈곡실 내부벽에 볼트로 조여서 고정하는 구조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곡식받는 망의 부착·이탈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곡식받는 망을 탈곡장치의 탈곡식 윗부분에서 슬라이드식으로 밀고 뽑는 탈곡장치가 연구되기 시작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structure of the grain receiving net of the threshing device mounted on the combine or harve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the arc-shaped grain receiving net on the inner side of the threshing cha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attaching and detaching structure of a grain threshing devic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being pushed and pull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hreshing chamber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rough one guide portion. In the threshing apparatus, as an attachment structure of a grain receiving net, for example, as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55-170942, a crimp net is installed on a semi-cylindrical grain receiving net support frame to receive the grain. The structure of fastening the net support frame by bolts to the inner wall of the threshing chamber has been used, but recently, the threshing device that slides and pulls the grain receiving net from the threshing part of the threshing device to facilitate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grain receiving net. Is beginning to be studied
앞에서 설명하는 바와같이 곡식받는 망을 탈곡실 윗부분에서 슬라이드식으로 끼워넣는 구조에 있어서는, 곡식받는 망을 간단하게 위치결정 고정될 수 있는 구조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곡식받는 망을 슬라이드식으로 끼우고 빼게 할 수 있는 탈곡장치에 있어서, 기존의 구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곡식받는 망을 위치결정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얻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최초에 기재한 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곡식받는 망의 끼워넣는 방향 앞쪽부분과 뒷쪽끝부분에 탈곡실내에 고정설치한 걸어고정하는 부분에 곡식받는 망의 밀고 뽑는 방향에서 걸고 빼는 걸어맞춤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탈곡실내에 끼워넣어 장전된 곡식받는 망의 뒷쪽 끝부분을 벼짚 절단용의 날설치대에 의하여 사이에 두고 눌러서 지지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곡식받는 망의 빠져 나가는 방향에의 이행을 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그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앞에서 기재한 바와같은 구조로 하면 끼워넣어진 곡식받는 망의 위치결정은 곡식받는 망 끼워넣는 방향에 있어서의 곡식받는 망 앞쪽 끝부분 및 뒷쪽 끝부분의 걸어맞추는 부의 걸어맞춤 작용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 걸어맞춤작용은 곡식받는 망의 앞쪽 끝부분에서는 곡식받는 망 끼워넣은 방향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면내에서의 곡식받는 망의 이동을 억지하는 작용이 있으며 곡식받는 망 뒷쪽끝부분에서는 앞에서 말한 곡식받는 망 앞쪽끝부분에서의 작용 이외에도 날설치대의 사이에 두고 눌러서 지지하는 작용에 의하여 곡식받는 망의 빠져나가는 것이 억지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grain receiving network is slidably inser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threshing chamber, a structure in which the grain receiving network can be easily positioned and fixed is not yet establish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btain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fixed by positioning the grain receiving net in the threshing apparatus that can slide the grain receiving net into and slide out.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thresh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grain-receiving net are fastened and pulled in the direction of pushing and pulling the grain-receiving net at the fixed part fixed in the threshing chamber. Transfer to the exiting direction of the grain receiving net by installing the engaging portion and pressing and holding the rear end of the grain receiving net inserted into the threshing chamber and sandwiched by the blade holder for cutting straw. It is configured to prevent and its actions and effects are as follows. With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positioning of the interposed grain receiving net is performed by the engaging action of the engaging portions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grain receiving net in the grain receiving direction. This fastening action inhibits the movement of the grain receiving net in the plane intersecting the grain receiving net at a right angle at the front end of the grain receiving net, and at the rear end of the grain receiving net, the grain receiving net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o the action at the front end, it is forbidden to escape the grain receiving network by pressing and supporting between the blade mounts.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곡식받는 망의 위치결정 고정은 곡식받는 망의 밀고 뽑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걸리고 빼는 걸어맞춤 기구와 기존의 구조인 날설치대의 사이에 두고 눌러고정하는 작용에 의한 구조로 하였으므로 곡식받는 망을 원로둘에 방향으로 용이하게 밀고 뽑는 것 및 위치결정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탈곡장치의 정비성이 향상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ing fixing of the grain receiving net is made by the mechanism of pressing and holding between the fitting mechanism which is easily caught and pulled in the pushing and pulling direction of the grain receiving net and the existing blade mounting stand. It can be easily pushed and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two paths and fixed to the positioning, and the maintainability of the threshing device is improved.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제1의 실시예인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탈곡장치의 전체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Hereinafter, the grain-attached net detachment structure of the threshing apparatus which is the 1st Example which applied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according to drawing. The whole threshing apparatus is comprised as follows.
즉,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피이드체인(1)에 의하여 옆으로 쓰러진 자세로서 사이에 두고 지지 반송되어 온 예치된 곡간은 탈곡장치내의 탈곡실(15)에서 구동가능하게 옆으로 가설된 탈곡동체(3)에 의해서 탈곡된다. 탈곡된 벼 및 비교적 적은 벼짚 부수러기류는, 탈곡동체(3)의 아래쪽에 배치된 곡식받는 망(16)을 새어 떨어져서 아래쪽의 요동선별통(17)에 가설된 그렌판(21)위에 낙하하여 그 요동작용에 의해서 아래핀쪽의 그렌시이브(22)에 비중선별되면서 보내어서 그렌시이브(22)위에 있어서 요동작용 및 풍력선별기(20)에서 송풍작용에 의하여 벼가 제1차 선별물 회수부(18)에 아래로 새어서 회수된다. 그리고 제2차 선별물 회수부(19)에서 회수된 가지가 부착된 벼등은 튀어 날려보내는 식의 슬로워(10)에 의해서 제2도에 표시하는 상기한 탈곡실(15)에 나란히 설치된 처리실(11)로 들여보내지고 처리몸체(23)에 의해서 재차 탈곡된다. 곡식받는 망(16)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한쌍으로서 원호형상의 앞쪽 곡식받는 망틀(2a), 뒷쪽 곡식받는 망틀(2b)에 크린프망(4)(4)를 펼쳐 설치하며 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앞쪽 곡식받는 망틀(2a) 뒷쪽끝에 설치한 걸어고정하는 구멍(5)에 뒷쪽 곡식받는 망틀(2b)앞쪽끝에 설치한 걸어고정하는 핀(6)을 걸어넣어서 한조의 원호형상의 곡식받는 망(16)으로서 사용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stagnated grain stem which has been conveyed and supported in the posture collapsed sideways by the feed chain 1 is threshed hypothetically sideways in the
다음에 탈곡실(15)쪽의 곡식받는 망(16)의 지지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탈곡실(15)의 탈곡동체(3)의 아래쪽에 에취된 곡식줄기를 안내하는 입구강판부(7) 및 출구강판부(8)의 안쪽측면에 선재를 굴곡성형한 안내부(9a)(9b)를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곡식받는 망(16)의 결합부착은 먼저 상기한 앞쪽 곡식받는 망틀(2a)을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안내부(9a)(9b)에 올려놓아 끼워넣어가고 안내부(9a)(9b)앞쪽끝 부근에 설치한 걸어고정하는 부분(12)인 앞부분핀을 앞쪽 곡식받는 망틀(2a)앞쪽끝에 설치한 걸어맞춤부(13)인 걸어맞춤용 구멍에 걸어넣게하여 앞쪽 곡식받는 망틀(2a)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그리고 앞에서 말한 뒤쪽 곡식받는 망틀(2b)를 상기한 안내부(9a)(9b)에 올려놓아 끼워넣어 가고 뒷쪽 곡식받는 망틀(2b)앞쪽끝에 설치한 걸어고정하는 핀(16)을 이미 끼워넣어 장전되어 있는 앞쪽 곡식받는 망틀(2a)뒷쪽끝의 걸어고정하는 구멍(5)에 걸어넣는 것과 이울러, 뒷쪽 곡식받는 망틀(2b)의 뒷쪽끝틀에 설치된 걸어맞춤부(24)인 걸어맞춤구멍에 탈곡실(15)뒷면에 가설된 프레임(26)위에 설치한 걸어고정한 부분(25)인 뒷부분 핀을 걸어넣게 하여 뒷쪽 곡식받는 망틀(2b) 및 앞쪽 곡식받는 망틀(2a)의 양쪽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이다. 곡식받는 망(16)의 고정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프레임(26)위의 옆쪽 축심(P1)둘레에 벼짚 절단기(27b)를 부착한 날설치대(27)를 요동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하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하여 끼워넣어 장전한 뒷쪽 곡식받는 망틀(2b)뒷쪽끝부분을 상기한 프레임(26)에 날설치대(27)에 의해서 사이에 두고 눌러지지하는 것이며, 그때에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날설치대(27) 한쪽끝에 스프링(28)에 의하여 돌출된 쪽으로 힘이 가해진 록크핀(29)을 프레임(26)의 옆면에 설치한 고정구멍(26a)에 걸어넣어서 날설치대(27)를 고정하는 것이다.Next,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grain receiving net 16 toward the
그리고 곡식받는 망(16)을 뽑아내는데는 앞아서 말한 록크핀(29)을 고정된 구멍(26a)에서 뽑아내어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날설치대(27)를 옆쪽축심(P1)둘레에 요동시켜서 탈곡실(15)뒷면의 고정된 틀내로 들어가게 하면, 작업자가 절단기(27b)에 접촉하는 일없이 안전하게 뒷쪽 곡식받는 망틀(2b), 앞쪽 곡식받는 망틀(2a)을 뽑아낼수가 있는 것이다.And to disconnect the
본 발명을 적용한 제2의 실시예인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탈곡장치의 전체는 제7도에 표시하는 것 같다. 탈곡실(15)쪽의 곡식받는 망(16)지지구조는, 제8도 및 제1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체가 원호형상으로서 아래쪽끝 바깥둘레가 안쪽으로 꺾어져 구부러진 모양의 안내부(39a)(39b)를 탈곡실(15)내부벽에 고정되고 있다. 곡식받는 망(16)의 결합부착은 제8도, 제11도 및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먼저 앞쪽 곡식받는 망틀(2a)을 안내부(39a)(39b)에 올려놓아서 끼워넣어가고 양쪽 안내부(39a)(39b)의 피이드체인(1)의 옆쪽끝부분에 걸쳐서 가설된 앞쪽 보조프레임(40)의 걸어맞춤용구멍(41)에 앞쪽 곡식받는 망틀(2a)앞쪽끝에 설치된 앞부분핀(42)을 걸어넣게 하여서 앞쪽 곡식받는 망틀(2a)앞부분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앞쪽 곡식받는 망틀(2a)뒷부분의 위치결정은, 제8도, 제11도 및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양쪽안내부(39a)(39b)에서 내부로 돌출설치된 핀(44)에 대하여 곡식받는 망(16)의 끼우고 뽑는 방향에서 걸고 이탈하는 옆족면에서 보아서 ㄷ자모양의 걸어맞춤부(43)를 앞쪽 곡식받는 망틀(2a)뒷쪽끝에 설치하여 앞쪽 곡식받는 망틀(2a)의 떠오르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A grain-attached network detachment structure of the threshing apparatus which is the secon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whole threshing apparatus seems to be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8 and 11, the grain-receiving
그 다음에 뒷쪽 곡식받는 망틀(2b)을 기워넣는 것인바,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앞쪽 곡식받는 망틀(2a)에 설치한 활(弓)금속부품(45)의 걸어맞춤부(43)쪽 끝부분이 뒷쪽으로 돌출연장되어 있으며 끼워넣는 뒷쪽 곡식받는 망틀(2b) 앞쪽끝을 제8도에표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활금속부품(45)의 돌출부(43a)아래쪽에 들어가게 하여서 뒷쪽 곡식받는 망틀(2b)앞부분의 떠오르는 것을 억제한다. 그리고 뒷쪽 곡식받는 망틀(2b)의 뒷부분의 위치결정은 제8도 및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양쪽 안내부(39a)(39b)에 설치된 절결부(46)에 뒷쪽 곡식받는 망틀(2b) 뒷쪽끝의 옆방향에 설치된 뒷부분핀(47)을 걸어넣는 것에 의하여 행한다.Then, the rear grain-receiving
다음에 상기한 곡식받는 망(16)을 고정하는 날설치대(27)부근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제8도 및 제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날설치대(27)에는 벼짚절단용의 절단기(27b)가 부착됨과 아울러, 날설치대(27)의 길이가 긴쪽방향의 양쪽끝부분의 축심(P2)둘레에 한쌍의 흑부재(48)가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 양쪽 흑부재(48)에 걸쳐서 문(門)모양의 옆쪽 바아부(32)가 가설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1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양쪽 안내부(39a)(39b)윗쪽끝에 날설치대(27)지지용의 밑바닥판(49)이 설치되며 이 밑바닥판(49)에 상기한 날설치대(27)의 위치결정용의 편(49a)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밑 바닥판(49) 양쪽끝의 옆판(50)에 걸어 고정하는 부분(50a)으로서의 걸어고정하는 핀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8도 및 제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날설치대(27) 밑바닥면에 설치한 걸어 고정하는 구멍(27c)에 상기한 핀(49a)를 걸어넣어서 밑 바닥판(49)위에서의 날설치대(27)의 위치를 결정함과 아울러, 흑부재(48) 앞쪽끝을 걸어 고정하는 핀(50a)에 걸어맞추어서 날설치대(27)를 고정하는 것이다. 닐설치대(27)의 이 위치에 있어서, 날설치대(27)의 밑 바닥부가 뒷쪽 곡식받는 망틀(2b)의 뒷쪽끝을 압압하여 곡식받는 망(16)전체를 고정하는 것이다.Section 8 of the road and there soon as the cutter (27b) for byeojip cutting attachment
상기한 옆판(50)에는 날설치대(27)의 안쪽으로 예기치 않게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부(50b)가 연장돌출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흑부재(48)는 덩굴모양 스프링(51)으로서 걸어고정하는 핀(50a)과의 걸어맞추는 쪽에 힘이 가해져 있으나 또한, 개폐식의 탈곡실 덮개(52)를 폐쇄하였을 경우에 탈곡실덮개(52)내면에 설치한 부재(52a)가 흑부재(48)의 걸어맞춤 해제쪽에의 동작을 옆쪽 바아부(32)와 맞부딪는 것에 의하여 억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날설치대(27)의 양쪽끝부분에서 세워설치하고 있는 부재(27d)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탈곡실덮개(52)를 폐쇄하였을 경우에 탈곡실덮개(52)의 안쪽벽을 안내하는 부재이다.The
위에서 보는 바와같이 벼짚절단용 전달기(27b)를 갖춘 날설치대(27)를 탈곡실(15)에 대하여 고정하는 흑부재(48)는 날설치대(27)의 길이가 긴방향 양쪽끝부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옆으로 긴 날설치대(27)은 탈곡실(15)에 확실하게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한 양족 흑부재(48)에 걸쳐서 옆족 바아부(32)가 가설되어 있으므로 이 옆쪽 바아부(32)의 어느쪽 위치부분을 가져도 양쪽 흑부재(48)을 용이하게 걸어 맞춤·해제조작 할 수 있다.As shown above, the
그리고 이 옆쪽 바아부(32)를 가지고 날설치대(27)를 탈곡실(15)에서 떼어낼 수가 있다. 이와같이 양쪽 흑부재(48)에 걸쳐서 가설된 옆쪽 바아부(32)의 어느 부분 위치를 가지면 벼짚절단용 절단기에 접촉하는 일없이 날설치대의 고정 및 떼어내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서 벼짚절단용 절단기를 갖춘 날설치대의 부착·이탈의 작업성 및 안전성이 향상하도록 되었다.And with this
본 실시예에서는 날설치대는 날설치대(27)를 탈곡실(15)의 밑바닥판(49)에 대하여 부착·이탈하는 식으로 하였으나 제1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옆판(50)의 옆쪽축심(P3)둘레에 회동하는 구조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제3의 실시예인 탈곡장치의 곡식받는 망 부착·이탈구조에 관하여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탈곡장치의 전체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다. 앞쪽 곡식받는 망틀(2a)과 뒷쪽 곡식받는 망틀(2b)의 위치결정은 실시예(2)와 동일하게 하여서 행한다. 곡식받는 망(16)을 고정하는 날설치대(27)부근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4도, 제15도 및 제1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날설치대(27)에는 벼짚 절단용의 절단기(27b)가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날설치대(27)의 길이가 긴쪽 방향 양쪽끝에 핀(53)이 돌출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양쪽 안내부(39a)(39b)에 걸쳐서 가설된 후 프레임(54)의 양쪽끝의 옆벽(54a)에 절단제거부(55)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한 날설치대(27)의 핀(53)을 이 절단제거부(55)에 걸어넣는것에 의하여 날설치대(27)를 탈곡실(15)에 대하여 부탁·이탈 및 절단제거부(55)의 옆쪽 축심둘레에 회동조작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ade mounting platform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곡식받는 망(16)은 상기한 날설치대(27)의 작성자세에 있어서, 뒷쪽 곡식받는 망틀(2b) 뒷쪽끝을 날설치대(27) 밑바닥부에 직접 누르는 것에 의해서 고정한다. 날설치대(27)의 작업자세에서의 고정은 제14도, 제15도 및 제1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날설치대(27)에 스프링(56)으로서 돌출된 쪽에 힘이 가해진 록크기구(57)로서의 록크핀이 돌출퇴거나 자유롭게 또한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뒷쪽프레임(54)의 옆벽(54a)에 설치된 걸어 고정된 구멍(58)에 상기한 록크필(57)을 걸어 넣는 것에 의하여 행한다.The
또한, 제1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이 록크핀(57)을 지지하는 브라켓트(59)에는 캠부(59a)가 설치되어 있으며 록크핀(57)의 조작부(57a)가 상기한 캠부(59a)에 맞닿아서 상기한 캠부(59a)와 조작부(57a)의 캠작용에 의하여 록크핀(57)을 회동조작하는 것으로서 록크핀(57)을 돌출퇴거 조작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날설치대(27)의 윗쪽 가장자리에는 핀(60)이 설치되고 이 핀(60)에 대하여 떼어내는 것이 자유로운 탈곡실안내(61)가 연결되며 탈곡실 덮개(62)가 개폐하는 것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핀(53)을 날설치대(27)에 절단제거부(55)를 탈곡실(15)쪽에 설치하는 구조로 하였으나, 핀(53)을 탈곡실(15)쪽에 절단제거부(55)를 날설치대(27)에 설치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6, the
위에서 보는 바와같이 벼짚절단용 절단기를 갖춘 날설치대(27)를 작업자세로서 고정하고 있는 록크기구를 록크해제하면, 날설치대(27)를 절단제거부 깊은 위치의 옆쪽 축심둘레에 회동조작하여 뒤로 후퇴하는 자세로 변환할 수가 있으며 이 뒤로 후퇴하는 자세로서 곡식받는 망(16)의 부착·이탈 및 탈곡동체의 조정을 행하면 좋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뒤로 후퇴하는 자세에서는 벼짚절단용의 절단기는 탈곡장치내부에 남아 있으므로 안전 및 기타의 이유로서 날설치대를 떼어낼 경우에는 핀을 절단제거부에서 뽑아내는 것에 의해서 날설치대를 탈곡실에서 용이하게 떼어낼수가 있다. 이와같이 본 실시에에 의하면, 간략한 구조이면서도 조작성과 아울러 안전성도 한층 향상시킬 수가 있었다.As shown above, unlocking the lock mechanism holding the
Claims (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986012138U JPH0441810Y2 (en) | 1986-01-29 | 1986-01-29 | |
JP????12138? | 1986-01-29 | ||
JP???61-12138 | 1986-01-29 | ||
JP???61-151617 | 1986-10-02 | ||
JP????151617? | 1986-10-02 | ||
JP1986151617U JPH0543641Y2 (en) | 1986-10-02 | 1986-10-02 | |
JP???61-159789 | 1986-10-17 | ||
JP????159789? | 1986-10-17 | ||
JP1986159789U JPH0543642Y2 (en) | 1986-10-17 | 1986-10-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6831A KR870006831A (en) | 1987-08-13 |
KR890003063B1 true KR890003063B1 (en) | 1989-08-21 |
Family
ID=2727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60011725A KR890003063B1 (en) | 1986-01-29 | 1986-12-31 | Threshing apparatus of comb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90003063B1 (en) |
-
1986
- 1986-12-31 KR KR1019860011725A patent/KR89000306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6831A (en) | 1987-08-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615406B (en) | Combine harvester | |
KR890003063B1 (en) | Threshing apparatus of combine | |
CN111373937B (en) | Harvester | |
JPH0543642Y2 (en) | ||
JPH0541649Y2 (en) | ||
EP0841001A1 (en) | Concave latch mechanism for an agricultural combine | |
JPH0441810Y2 (en) | ||
JPH0543641Y2 (en) | ||
JPH0538599Y2 (en) | ||
JPS605782Y2 (en) | Combine harvester with straw tying machine | |
JPH11239412A (en) | Combine harvester | |
CN210096852U (en) | Retrieve special basketball stands of training of basketball | |
JP3599451B2 (en) | Mounting structure of shielding sheet in combine | |
JPH0626120Y2 (en) | Threshing device receiving net structure | |
JPH0475532A (en) | Threshing net of thresher | |
JP2604277Y2 (en) | Receiving net structure in threshing machine | |
JPS5912028Y2 (en) | Combine crimp net replacement device | |
JPS5939875Y2 (en) | Binding straw discharge device in combine harvester | |
JPH0398507A (en) | Threshing net of thresher | |
JPS5939874Y2 (en) | Binding straw discharge device in combine harvester | |
KR860001732B1 (en) | The linking device of pre-cutter to combine | |
JPH0870682A (en) | Fixed structure for treating cylinder net and treating cylinder cover in thresher | |
JPH07114593B2 (en) | Mower | |
JPH1175501A (en) | Apparatus for supplying and transporting grain culm | |
KR950000981Y1 (en) | Locking device for lug case of the combine harves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810 Year of fee payment: 18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