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987Y1 - 선재 절단기 - Google Patents

선재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987Y1
KR890002987Y1 KR2019850001941U KR850001941U KR890002987Y1 KR 890002987 Y1 KR890002987 Y1 KR 890002987Y1 KR 2019850001941 U KR2019850001941 U KR 2019850001941U KR 850001941 U KR850001941 U KR 850001941U KR 890002987 Y1 KR890002987 Y1 KR 8900029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handle
portions
cutting bla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1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0570U (ko
Inventor
주복중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선 주식회사
문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선 주식회사, 문박 filed Critical 금성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1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987Y1/ko
Publication of KR860010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05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9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재 절단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 설명도.
제3도는 종래 절단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절단날부 3, 4 : 손잡이부
5, 6 : 연결부 7 : 핀
8 : S자형 판스프링
본 고안은 각종 전선이나 선재(線材)용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선재 절단기는 각각 절단날부와 손잡이부 및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부재를 연결부에서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것으로 절단날부의 확축 작동을 모두 작업자의 손에 의해 행하여야 하므로 절단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능률적이지 못했다.
또한 근래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절단날부(11) (12)와 손잡이부(13) (14) 및 연결부(15) (16)가 일체로 된 한쌍의 부재를 연결부(15) (16)가 일체로 된 한쌍의 부재를 연결부(15) (16)에서 핀(17)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손잡이부(13) (14)의 후단측에 압축스프링(18)을 탄장하여 상시에는 절단날부(11) (12)가 확개되도록 하므로써 절단작업시 손잡이부(13) (14)을 압압하여 절단하고 압압력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복귀되도록 한 것이 안출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사용시 작업자의 손바닥 부분이 스프링(18)에 끼여서 부상을 입을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절단날부(1) (2)와 손잡이부(3) (4) 및 연결부(5) (6)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부재를 연결부(5) (6)에서 핀(7)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손잡이부(3) (4)에는 S자형 판스프링(8)의 양단을 고정나사(9) (10)로써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선재를 절단하에 있어서 작업자가 손잡이부(3) (4)를 압압하면 제2도의 쇄선 표시와 같이 절단날부(1) (2)가 맞물리면서 선재가 절단되며, 압압력을 해제하면 판스프링(8)에 의해 손잡이부(3) (4)와 절단날부(1) (2)가 제2도의 실선표시와 같이 확개 복귀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중 손잡이부(3) (4)를 압압하여 선재를 절단함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8)은 제2도의 쇄선표시 상태로되어 작업자의 손바닥이 끼이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염려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절단작업시 손잡이부를 압압하여 절단하고 압압력을 해제하면 손잡이부와 절단날부가 복원되므로 절단작업이 간편함은 물론 작업중 작업자가 손바닥을 다칠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술한 선재 절단기에만 한정되는 것일 아니며 예컨대 함석등의 판재 절단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절단날부와 연결부 및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모든 수공구에는 모두 적용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각각 절단날부(1) (2)와 손잡이부(3) (4) 및 연결부(5) (6)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부재를 연결부(5) (6)에서 핀(7)으로 연결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 (4)에는 S자형 판스프링(8)의 양단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절단기.
KR2019850001941U 1985-02-27 1985-02-27 선재 절단기 KR8900029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941U KR890002987Y1 (ko) 1985-02-27 1985-02-27 선재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941U KR890002987Y1 (ko) 1985-02-27 1985-02-27 선재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570U KR860010570U (ko) 1986-09-08
KR890002987Y1 true KR890002987Y1 (ko) 1989-05-13

Family

ID=1924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1941U KR890002987Y1 (ko) 1985-02-27 1985-02-27 선재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9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570U (ko) 198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2598A (en) Razor blade assembly
US4130938A (en) Cutter for animal hooves and claws
US2256076A (en) Hair trimming attachment for electric razors
JPS63160691A (ja) 電気かみそり
FR2359686A1 (fr) Manche reglable pour tondeuses a gazon et appareils similaires
US5063671A (en) Kitchen shears with hiding spring
KR890002987Y1 (ko) 선재 절단기
ES236848U (es) Un conjunto de maquinilla de afeitar.
ATE75177T1 (de) Mittenschneider.
US4744147A (en) Scissors with integrated finger loops and stop
ES275407U (es) Podadera perfeccionada.
GB1166587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Hand Tools
US2738579A (en) Cutting device
US2689401A (en) Grass shears having a pivoted blade and offset handle
US2636265A (en) Hair clipper
US2011963A (en) Pocket implement
US2217726A (en) Shears
JPS6331692A (ja) 電気かみそり
US2548077A (en) Hedge and weed cutter
JPS6143403Y2 (ko)
SU1639989A1 (ru) Нож дл декоративных работ
ES280308U (es) Disposicion perfeccionada de tijera en navajas de multiples usos
JPH1057640A (ja) 紙等の中央部を裁断できるハサミ
KR960009779Y1 (ko) 2종류의 날이 부착된 공작용 가위
FR2350182A1 (fr) Appareil de decoup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