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767Y1 - 온수 보일러 - Google Patents

온수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767Y1
KR890002767Y1 KR2019860007473U KR860007473U KR890002767Y1 KR 890002767 Y1 KR890002767 Y1 KR 890002767Y1 KR 2019860007473 U KR2019860007473 U KR 2019860007473U KR 860007473 U KR860007473 U KR 860007473U KR 890002767 Y1 KR890002767 Y1 KR 890002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supply
pipe
tank
suppl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8643U (ko
Inventor
황재표
Original Assignee
황재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표 filed Critical 황재표
Priority to KR2019860007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767Y1/ko
Publication of KR8700186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86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수 보일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온수급수통 4 : 냉각회수통
5 : 온수급수관 6, 9 : 역지변
7 : 회수관 8 : 연결관
본 고안은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를 온수급수통과 냉각회수통의 2중통으로 구성하여 난방을 꾀할수 있도록한 것이며, 특히 온수가 공급되어야 하는 위치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가열에 의한 팽창압에 의하여 온수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이며, 보일러 자체에서 순환이 이루어지므로 온수순환기도 필요없어 열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도 온수보일러가 여러가지 안출 사용되어오고 있으나, 대부분 온수순환기를 설계 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들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구조가 복잡하여 고가인 반면 사용중 고장이 잦아 실용성을 갖지 못했던 것이다.
또한, 보일러 자체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순환펌프에 의해 온수를 순환하였던 것이다.
본원 고안은 상기 결함을 감안하여 온수보일러 동체 자체에 이중통을 구성하여 온수순환기와 별도의 동력원이 없이 예를 들어 순환펌프가 없이 물의 팽창과 응축에 의하여 자연 순환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수보일러(1)를 구성함에 있어서, 통상의 토관(2) 외측으로 온수급수통(3)과 냉각회수통(4)으로 2중통을 구성하되, 온수급수통(3) 저부에는 역지변(6)을 갖는 온수급수관(5)을 설하고, 냉각회수통(4) 저부에는 회수관(7)을 각각 설하며, 상측으로 온수급수통(3)과 냉각회수통(4) 사이에 역지변(9)을 갖는 파이프상의 연결관(8)을 연통되게 설하되, 온수급수통(3) 상단에 설치된 연결관(8)은 짧게 형성하고, 냉각회수통(4) 내에 설치되는 연결관(8)은 냉각회수통(4) 하단에 근접되게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상기한 고안의 외측으로는 통상의 외체(10)가 씌워지는 것이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11은 연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 고안의 작용 효과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연탄(11)이 연소됨에 따라 온수급수통(3) 내의 물은 가열되어 뜨거워짐과 동시에 압이 팽창하여 일정한 압에 도달하면 역지변(6)이 열려 덮여진 온수가 온수급수관(5)을 통해 난방을 꾀한 후 회수관(7)을 통해 냉각회수통(4)내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 온수급수관(5)의 입구에 설치된 역지변(6)은 외측 즉, 온수급수관(5) 측으로는 온수가 나갈 수 있도록 하지만 내측 즉, 온수급수통(3)내로는 온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팽창압에 의하여 온수가 급수되면 온수급수통(3) 내에는 온수가 다 빠져 나가고 비어있는 상태가되며, 여기서 빠져 나간 가열된 온수는 온수급수관(5)을 돌아 냉각회수통(4) 내로 모이게 된다.
이 때, 온수급수통(3)은 비어 있는 상태에서 계속 가열되는데 냉각회수통(4) 내로 냉각된 온수가 유입되게 되면 냉각된 온수의 영향으로 온수급수통(3)의 팽창압이 갑자기 균형을 잃고 응축되면서 냉각회수통(4)내에 유입되어 있는 냉각된 온수를 연결관(8)에 의해 끌어 들이게 되는 것이로 이 때, 냉각회수통(4) 내에 설치된 연결관(8)은 저면 가까이까지 설치되어 있으므로 유입되어 있던 물은 온수급수통(3)내로 빨려 들어간다.
즉, 온수급수통(3)과 냉각회수통(4)의 사이에는 전도율이 비교적 높은 철판으로된 벽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온수급수통(3)은 온수가 비어 있는 상태에서 가열 팽창되어 있는 상태에서 온수 공급관(5)을 돌아온 냉각된 온수가 냉각회수통(4) 내에 유입되었을 때는 곧바로 온수급수통(3)에 전도되어 온수급수통(3)내는 응축되게 된다.
따라서, 온수급수통(3)은 응축력에 의하여 진공력이 생기는데 이 때, 온수급수통(3)과 냉각 회수통(4) 사이에는 연결관(8)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연히 냉각 회수통(4) 내에 유입되어 있던 냉각된 온수는 연결관(8)을 통해 온수급수통(3)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 때, 연결관(8)에는 역지변(9)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역지변(9)은 냉각회수통(4) 내의 냉각된 온수가 일정한 압력이상에서는 온수급수통(3) 내로 유입토록 하나 반대로 온수급수통(3) 내의 온수는 냉각회수통내로 역류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연결관(8)의 설치는 직선을 이루는 것보다는 곡선으로 도면과 같이 한바퀴 권회시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온수급수통(3)의 응축에 의하여 유입된 냉각온수는 온수급수통(3)에서 제차 덮혀지며, 팽창압에 의하여 계속 반복적으로 난방의 효과를 가져다 주는 것으로 온수보일러(1) 자체에서 이루어지는 팽창과 응축에 의하여 온수순환을 가져다 주는 것이다.
본원 고안은 특히 보일러(1) 동체내에서 순환이 계속 이루어지는 것으로 최대한의 열효율을 꾀할 수 있는 것이며, 추운 동절기에 있어서도 보온 처리를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한, 모든 부위가 막혀져 있으므로 증기의 외부누출이 없어 장기적으로 보충수를 자주 급수할 필요가 없으며, 별도의 온수 순환기 역시 불필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원 고안은 보일러 자체를 이중통으로 구성하므로서 열효울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온수보일러(1)를 구성함에 있어서, 통상의 토관(2) 외측으로 온수급수통(3)과 냉각회수통(4)으로 2중통을 구성하되, 온수급수통(3) 저부에는 역지변(6)을 갖는 온수급수관(5)을 설하고, 냉각회수통(4) 저부에는 회수관(7)을 각각 설하며, 상측으로 온수급수통(3)과 냉각회수통(4) 사이에 역지변(9)을 갖는 파이프상의 연결관(8)을 설하되, 온수급수통(3)측의 연결관(8)은 상부로 짧게 형성하고, 냉각회수통(4)측의 연결관(8)은 냉각회수통(4) 하단에 근접되게 설치하여서 된 온수 보일러.
KR2019860007473U 1986-05-28 1986-05-28 온수 보일러 KR890002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473U KR890002767Y1 (ko) 1986-05-28 1986-05-28 온수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473U KR890002767Y1 (ko) 1986-05-28 1986-05-28 온수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643U KR870018643U (ko) 1987-12-24
KR890002767Y1 true KR890002767Y1 (ko) 1989-04-29

Family

ID=1925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473U KR890002767Y1 (ko) 1986-05-28 1986-05-28 온수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7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643U (ko) 1987-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172014D1 (en) Installation for room heating and for the production of domestic hot water
US4116379A (en) Heating apparatus
KR890002767Y1 (ko) 온수 보일러
US4383643A (en) Boiler tank for efficiently circulating low-temperature water
RU2076284C1 (ru) Стальной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фермер"
KR890006767Y1 (ko) 구멍탄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장치
JPH0248776Y2 (ko)
KR920000504Y1 (ko) 휴대용 소형 온수보일러
KR900003782Y1 (ko) 온수순환을 촉진하는 물탱크
KR890002961Y1 (ko) 토관겸용 온수 보일러
KR890005438Y1 (ko) 보조탱크를 겸한 온수 순환기의 간접 가열장치
KR820002108Y1 (ko) 온수보일러의 강제순환기
KR920005506Y1 (ko) 온수 보일러의 온수 순환장치
JPH0224043Y2 (ko)
KR820002015Y1 (ko) 연탄용 강제 순환 보일러
JPS6142020Y2 (ko)
KR900001722Y1 (ko) 열펌프를 이용한 가열장치
KR900006517Y1 (ko) 난방용 온수 보일러
KR950004390Y1 (ko) 급탕겸용 연관식 온수보일러
KR900004172Y1 (ko) 태양 집열기의 축열조
KR900006506Y1 (ko) 증기 보일러
KR920008607Y1 (ko) 건조실의 열원공급장치
KR890001413Y1 (ko) 보일러용 냉·온수 순환기
KR890005082Y1 (ko) 구공탄겸용 온수 보일러
KR900005708Y1 (ko) 구먼탄용 온수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