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682Y1 - 젓소의 유방염 검출회로 - Google Patents

젓소의 유방염 검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682Y1
KR890002682Y1 KR2019860007925U KR860007925U KR890002682Y1 KR 890002682 Y1 KR890002682 Y1 KR 890002682Y1 KR 2019860007925 U KR2019860007925 U KR 2019860007925U KR 860007925 U KR860007925 U KR 860007925U KR 890002682 Y1 KR890002682 Y1 KR 890002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led
detection
milk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147U (ko
Inventor
송기춘
오일환
Original Assignee
송기춘
오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춘, 오일환 filed Critical 송기춘
Priority to KR2019860007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682Y1/ko
Publication of KR8800011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1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6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6Gynecology or obstetrics
    • G01N2800/365Breast disorders, e.g. mastalgia, mastitits, Paget's dise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젖소의 유방염 검출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장치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검출장치 2 : 홉퍼
3 : 배출구 4 : "U"형 검출관
a, b : 극편 LED1-LED10: 표시용 발광다이오드
A : 발진회로부 B : 검출회로부
C : 표시회로부 D : 이상상태 경보회로부
E : 밧데리 전압표시부 IC1: 발진회로부
IC2: 비교회로 IC3: 구동회로
IC4: 비교회로 IC5: 발진회로
본 고안은 우유의 전도도에 따라 목장이나 채유장에서 간단한 검출작업에 의하여 즉석에서 젖소의 유방염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젖소의 유방염 검출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젖소의 유방염을 검출하여 젖소에서 채유되는 우유의 신선도나 이상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대체로 체세포수의 측정이나 채유된 우유의 PH측정, 박테리아 수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검사하여 왔으나, 이러한 모든 검사방법은 소정의 검사설비와 기술을 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목장이나 채유장 등과 같은 현장에서의 즉각적인 검사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검사비용이 많이 요구되는 비경제적인 결함이 나타나게 되고 이에 따라 젖소의 유방염에 의하여 오염된 우유를 채유하게 되는 사례가 발생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별도의 검사설비나 시약 등의 고가설비 없이 목장이나 채유장 등과 같은 현장에서 간단히 측정코자 하는 젖소의 우유를 채유하여 젖소의 유방암 여부에 따른 우유의 전도도의 변화에 따라 젖소의 유방염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도는 본 고안의 검출장치(1)를 예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검출장치(1)는 젖소의 우유를 채집하는 홉퍼(2)가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배출구(3)가 설치되며, 홉퍼(2)와 배출구(3) 사이에 투명한 "U"형 검출관(4)이 설치되어 있으며, 투명한 "U"형 검출관(4) 외부에는 이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5)이 설치된 케이스(6)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6)의 전방에는 후술하는 유방염 여부를 검출, 표시하는 표시용 발광다이오드(LED1)(LED2)(LED3)……(LED10)와 밧데리전압 표시램프(LED11)를 표출하는 투시창(7)과 검출용 푸쉬버튼(PB)이 설치되어 있으며, 폴리에칠렌제의 투명한 "U"형 검출관(4)의 양단에는 검출극편(a)(b)이 각각 설치되어 후술하는 본 고안의 요부인 검출회로와 접속되어 있다.
본 고안의 회로는 대별하여 발진회로부(A), 검출회로부(B), 표시회로부(C), 및 이상상태 경보회로부(D), 밧데리 및 전압표시부(E)로 구성되어 있다.
발진회로부(A)는 저항(R1)과 콘덴서(C1)에 의하여 출력 발진주파수가 결정되는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로 된 발진회로(IC1)로 구성되고, 이 발진회로(IC1)의 출력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를 계속적으로 ON, OFF 동작시켜 ON, OFF 주기마다 후술하는 검출회로부(B)의 검출 전극(a)(b)사이의 우유의 전도도를 계속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검출회로부(B)는 4개의 비교증폭기(OP Amp)가 내장된 비교회로(IC2)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교회로(IC2)로 가변저항(VR1)을 통한 검출전극(a)(b) 사이에 연결된 투명한 "U"형 검출관(4) 내를 통과하는 우유의 전도도에 따라 검출된 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후술하는 표시회로부(C) 및 이상상태 경보회로부(D)에 입력시켜 동작시킴과 동시에 검출동작시 검출용 푸쉬버튼(PB) ON조작에 따라 각회로부에 전원공급시 밧데리(BATT)의 전압이 저항(R2)와 (R3)에 의하여 설정된 기준전압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저항(R4)을 통해 밧데리 전압 검출신호가 출력되게 하여 후술하는 밧데리 전압 표시 부(E)의 트랜지스터(Q1)를 ON시켜 밧데리 전압표시램프(LED11)를 점등시켜 주게 함으로써 밧데리의 소모상태를 용이하게 검출하여 정확한 동작을 하게 한다.
이때 저항(R5)(R6)(R7)(R8)과 콘덴서(C2)(C3)(C4)는 비교회로(IC2) 내의 각 비교증폭기(OP Amp)의 전압이득을 결정하는 적분회로이며, 가변저항(VR1)은 검출전극(a)(b) 내를 통과하는 우유의 전도도에 따른 전압을 조정하여 우유의 정상과 이상상태의 경계값을 조정하게 한다.
표시회로부(C) 및 이상상태 경보회로부(D)는 상기한 검출회로부(B)의 검출신호 출력단에 병열로 접속되어 있으며, 표시회로부(D)는 표시용 발광다이오드(LED1)(LED2)……(LED10)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구동회로(IC3)로 구성되며, 구동회로( I C3)의 입력단에는 저항(R9)(R10)에 의하여 설정된 기준전압과 검출회로(IC2)의 검출전압을 비교하여 검출전극(a)(b) 사이의 우유전도도에 따라 표시용 발광다이오드(LE D1)(LED2)(LED3)……(LED10)를 발광시키게 되는데, 이때 표시용 발광다이오드(L ED1)(LED2)……(LED5)까지는 정상적인 표시, 표시용 발광다이오드(LED6)(LED7)……(LED10)는 비정상 표시를 나타나게 하여 구동회로(IC3)에 입력되는 우유의 전도도에 따른 기준전압과 검출전압과의 변화에 따른 비교값에 의하여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LED6)(LED7)……(LED10)를 점등시켜 우유의 정상 또는 이상여부를 표시하게 한다.
표시회로부(D)와 검출회로부(B)의 출력단에 병열로 접속된 이상상태 경보회로부(C)는 비교회로(IC4)와 발진회로(IC5) 및 트랜스듀서(T)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비교회로(IC4)에 입력되는 기준신호를 가변저항(VR2)으로 조정하여 기준신호와 비교신호가 우유의 이상상태를 검출한 상태에 따라 출력이 나타나게 하고 이 출력에 의하여 콘덴서(C5) 및 저항(R11)(R12)으로 구성된 시정수에 의하여 발진하는 발진회로(IC5)가 일정주기마다 단속 동작하여 트랜스듀서(T)에 의하여 단속적인 경보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농장이나 채유장 등과 같은 현장에서 휴대한 상태에서 젖소의 우유를 검출장치(1)의 폴리에칠렌 "U"형 투명관(4)내에 주입시키고 푸쉬버튼(PB)를 누르면 "U"형 투명관(4) 양단의 검출 전극(a)(b)에 의하여 우유의 전도도가 검출되고 이 검출된 검출신호는 검출회로부(A)의 검출회로(IC2)에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비교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이 출력된 신호는 표시회로부(C)에 입력되어 다시 기준신호와 비교되어 이 비교된 신호에 따라 표시용 발광다이오드 (LED1)(LED2)……(LED10)를 표시하게 되어 현장에서 우유의 전도도에 따른 이상여부를 즉시 검출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임의 설정된 이상상태 정도에 따라 이상상태 경보회로부(D)를 동작시켜 경보를 발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설비나 시험기구 없이 현장에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젖소의 유방염을 검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젖소의 우유의 전도도를 검출하는 검출회로부(B)와 이 검출회로부(B)에 의하여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용 발광다이오드(LED1)(LED2)……(LED10)와 구동회로( IC3)를 구비한 표시회로부(C)와, 이상상태에 따라 경보음을 단속적으로 발하는 이상상태 경보회로부(D)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젖소의 유방염 검출회로.
KR2019860007925U 1986-06-04 1986-06-04 젓소의 유방염 검출회로 KR890002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925U KR890002682Y1 (ko) 1986-06-04 1986-06-04 젓소의 유방염 검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925U KR890002682Y1 (ko) 1986-06-04 1986-06-04 젓소의 유방염 검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147U KR880001147U (ko) 1988-02-23
KR890002682Y1 true KR890002682Y1 (ko) 1989-04-29

Family

ID=19252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925U KR890002682Y1 (ko) 1986-06-04 1986-06-04 젓소의 유방염 검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6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147U (ko) 1988-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5028A (en) Examination apparatus for milk drawn from quarter mammae of a milk cow
US3815583A (en) Pulse monitoring system
WO1992011529A1 (en) Material monitoring device
CA1277509C (en) Gas monitor circuits
US6031367A (en) Somatic cell analyser
US3953790A (en) Conductivity monitoring system
KR890002682Y1 (ko) 젓소의 유방염 검출회로
US4445012A (en) Moisture sensor for purging system
EP0039549A2 (en) Method of checking the responsiveness of detection systems employing electrochemical sensor
SE9601565L (sv) Anordning för mätning av en elektrisk storhet hos mjölk
US4306517A (en) Device for reporting the end of a milking period
KR970001335Y1 (ko) 간이형 대기오염 측정장치
GB1501890A (en) Conductivity monitoring system
DE69116782T2 (de) Blutgezinnungszeitmessung
US3809922A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substances in fluid bodies
RU1801322C (ru) Диагностический анализатор мастита
KR840001036Y1 (ko) 젖소의 유방염 측정기
JPH0566795U (ja) 火災煙感知器
US3836447A (en) Probe for detecting the level of substances in fluid bodies
JPS5559347A (en) Test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JPS5843226Y2 (ja) 素子検査装置
SU91330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сейсмоактивности 1
SU54399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надежности проволочных резисторов
KR0139395Y1 (ko) 배터리 불량 감지회로
JPH1118618A (ja) 観賞魚用水槽水汚濁度表示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0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