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618Y1 - 문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문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618Y1
KR890002618Y1 KR2019860002732U KR860002732U KR890002618Y1 KR 890002618 Y1 KR890002618 Y1 KR 890002618Y1 KR 2019860002732 U KR2019860002732 U KR 2019860002732U KR 860002732 U KR860002732 U KR 860002732U KR 890002618 Y1 KR890002618 Y1 KR 890002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larm
shaft
present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2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5298U (ko
Inventor
박수일
Original Assignee
박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일 filed Critical 박수일
Priority to KR2019860002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618Y1/ko
Publication of KR8700152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52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6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문 경보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작동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경보장치가 설치된 상태도.
본 고안은 문이 잠겨 있는 상태에서 문을 당기거나 밀었을 때 문짝이 미소하게 움직이기만 하면, 경보가 울리게 한 문 경보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난방지를 위한 문의 경보장치는 문에 연동되는 경보기의 스위치 장치가 되어 있어서, 문이 열렸을 때에만 경보기가 작동되기 때문에 범인이 문을 완전히 열고 들어온 상태에서 경보가 울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는 범인이 문을 출입하는 상태에서 경보가 울리므로 간혹 긴급해진 범인은 돌발적으로 제2의 범행을 저지르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범인이 대문을 열기 전에 즉, 문이 잠겨 있는 상태에서 문을 당기거나 밀때 문에 설치된 경보기가 작동되어 경보가 울리게 하므로써, 문을 열기 전에 범인이 도주하게하여 범행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고안 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장치는 제1도와 같이, 문틀에 설치된 경보기(1) 내측 상부에 형성된 함체(2) 내부에 회전축(3)의 중앙부는 사각축(3')의 4면 탄성체(4)로 탄지시키고, 회전축(3) 하단에 설치된 가동 접촉편(5)의 좌, 우에 절연물(6)로 절연된 고정접촉편(7, 7')이 위치되게 하며, 축(3) 상단의 구멍(8)에 끼워진 빗장(9)의 단부는 개폐문(10)에 설치된 고정구(11)의 구멍(11')에 끼워져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9'은 빗장의 구멍(8, 11')에 끼워져서 빠지지 않게 한 걸림돌기, 12는 경보기(1)의 전원스위치, 13은 경보기(1)의 스피커그릴, 14, 14'은 가동접촉편과 고정접촉편의 리셋스위치선, 15는 문틀이다.
여기서 가동접촉편(5)이 좌우의 고정접촉편(7, 7')에 접촉되어 경보음이 울리게하는 전기회로도는 관용수단이므로 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음. 좌우의 고정접촉편(7, 7')은 일체의 도전편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장치는 평상시에는 사각축(3')의 4면은 함체(2) 내부에 고무체(4)로 탄지되어 있으므로, 회전축(3) 하단에 형성된 가동접촉편(5)은 고정접촉편(7, 7')사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였으므로, 접촉편끼리는 접촉되지 않으므로, 평상시에는 경보가 울리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의 경보기(1)는 문틀(15)안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인이 문을 열고자 할 때에는, 제1도의 상태에서 빗장(9)을 회전축(3)쪽으로 잡아 당겨 빗장(9)의 일단부를 고정구(11)의 구멍(11')에서 빼낸 다음 문(10)을 개폐하면 된다. 이때도 역시 평상시와 같이 경보가 울리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제2도와 같이 회전축(3) 상단부 구멍(8)에 끼워진 빗장(9) 일단부를 닫혀있는 문(10)의 고정구(11)구멍(11')에 끼워넣어둔 상태 즉, 평상시와 같이 문(10)이 잠겨진 상태에서 범인이 범행을 목적으로, 문(10)을 열기 위해 밀거나 당기면 고정구(11)구멍(11')에 끼워진 빗장(9)은 화살표와 같이 전후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3)이 좌우로 조금씩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축(3) 하단에 형성된 가동접촉편(5)은 좌우로 회전하여 고정접촉편(7, 7')에 접촉된다. 이렇게 일단 접촉되면, 경보기(1)가 동작하여 계속 경보가 울리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장치는 문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경보가 울리므로 범인은 침입하지 못하고 도망가게 되므로, 범행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며, 또한 제2의 범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문틀에 설치된 경보기(1) 내측 상부에 형성된 함체(2) 내부에, 회전축(3)의 중앙부는 사각축(3')의 4면에 탄성체(4)로 탄지시키고, 회전축(3) 하단에 설치된 가동접촉편(5) 좌, 우에 절연물(6)로 절연된 고정접촉편(7, 7')이 위치되게 하며, 축(3) 상단의 구멍(8)에 끼워진 빗장(9)의 단부는 개폐문(10)에 설치된 고정구(11)의 구멍(11')에 끼워져서 된 문 경보장치.
KR2019860002732U 1986-03-08 1986-03-08 문 경보장치 KR890002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732U KR890002618Y1 (ko) 1986-03-08 1986-03-08 문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2732U KR890002618Y1 (ko) 1986-03-08 1986-03-08 문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298U KR870015298U (ko) 1987-10-24
KR890002618Y1 true KR890002618Y1 (ko) 1989-04-29

Family

ID=1924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2732U KR890002618Y1 (ko) 1986-03-08 1986-03-08 문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6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298U (ko) 198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3987A (en) Locking device having an integral alarm system
US4196422A (en) Intrusion alarm system
US5191314A (en) Combination anti-theft lock and alarm
US4233595A (en) Chain-type door latch and alarm
US2870281A (en) Burglar alarm
US3851325A (en) Lock and alarm
US3914756A (en) Portable alarm actuated by attempted theft
US4359646A (en) Intrusion detecting switch
US5072212A (en) Entry alarm
US4057986A (en) Self-contained alarm lock
US5568123A (en) Child protective cabinet alarm
US6108178A (en) Tattletale child safety outlet cover
KR890002618Y1 (ko) 문 경보장치
US4176347A (en) Restraining bar with alarm
US3488651A (en) Portable alarm
EP0182860A1 (en) Means for cassette
DE59001024D1 (de) Wertbehaelter.
US3754224A (en) Security alarm actuating device
US3585625A (en) Combined door lock and alarm
US2838747A (en) Door-alarm
US3427608A (en) Portable burglar alarm
US3197588A (en) Door alarm
US4864279A (en) Warning device activated by a key left in a lock
US3569950A (en) Lock-alarm combination
GB2298233A (en) Lock alarm warning of un-removed 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