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886B1 - Rice planter - Google Patents

Rice pla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886B1
KR890001886B1 KR1019860002826A KR860002826A KR890001886B1 KR 890001886 B1 KR890001886 B1 KR 890001886B1 KR 1019860002826 A KR1019860002826 A KR 1019860002826A KR 860002826 A KR860002826 A KR 860002826A KR 890001886 B1 KR890001886 B1 KR 890001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float
attached
detection piece
point
rice transpla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8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70005570A (en
Inventor
히로요시 후지끼
마사유끼 하라다
고오야 나까오
데이지 도이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미노 시계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88370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46513A/en
Priority claimed from JP288375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46514A/en
Priority claimed from JP289809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46515A/en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미노 시계가스 filed Critical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5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5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8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이앙기Yianggi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이앙기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The figure shows the Example of the rice transplan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제1도는 이앙기의 전체를 표시하는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the whole rice transplanter.

제2도는 센서 플로우트와 흙탕 경도(硬度)검출편의 부착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2 is a side view showing the attachment state of the sensor float and the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제3도는 센서 플로우트와 흙탕경도 검출편의 연결을 표시하는 확대종단 측면도.3 is an enlarged end sid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nsor float and the muddy hardness detection piece.

제4도는 요동 금속구와 모심는 깊이 조절레버의 부착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the attachment state of the swinging metal ball and the depth adjustment lever.

제5도는 제2도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FIG.

제6도는 흙탕경도 검출편과 플로우트군(群)의 배치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a muddy hardness detection piece and a float group.

제7도는 센서 플로우트와 흙탕경도 검출편의 부착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면도.7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ttachment state of the sensor float and the muddy hardness detection pie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5 : 모심는 기구 7A : 센서 플로우트5: planting mechanism 7A: sensor float

8 : 모심는 장치 14 : 요동아암(링트부재)8: sowing device 14: swinging arm (ring member)

15 : 유압실린더(승강수단) 16 : 제어밸브15: hydraulic cylinder (lift means) 16: control valve

16a : 스푸울 17 : 릴리이스 와이어(연결수단)16a: Spoul 17: Release wire (connection means)

17a : 내부와이어 17b : 외부와이어17a: inner wire 17b: outer wire

18 : 조작축 20 : 압축스프링(힘을 가하는 수단)18: operating shaft 20: compression spring (means for applying force)

30 : 흙탕경도 조절편 30B : 작용부30: mud hardness adjustment piece 30B: working part

32 : 지지부재 a : 외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32: support member a: end portion to which the outer wire is attached

b : 내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 L : 기준간격b: End of inner wire attached L: Standard spacing

X : 제1지점 Y : 제2지점X: point 1 Y: point 2

본 발명은 경작 지반에 따라서 상하로 작동하는 기체에 대응한 접지압력변동에 관한 센서 플로우트의 상하요동에 따라서 모심는 장치에 대한 센서 플로우트의 자세를 일정한 범위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모심는 장치를 승강작동시키고, 모심는 장치의 논면에 대한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흙탕속으로 들어서서 기체의 주행에 따르는 주행저항에 의하여 요동하는 흙탕경도 검출편의 요동변동량에 따라서 모심는 장치의 승강제어 감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할수 있도록 하고 있는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센서 플로우트의 요동변동량을 이용하여 모심는 장치의 승강제어를 행하는 이앙기는 널리 알려져 있었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이앙기에서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흙탕면에 눌려서 접지되는 플로우트의 접지하중 검출에 따라서 모심는 장치를 자동적으로 승강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모심는 깊이를 일정하게 또는 대략 일정하게 보존유지하는 제어수단이 채용되고 있으나, 이와같은 모심는 깊이제러를 잘 안정되게 행함에 대해서는 전기한 플로우트의 흙탕면에 대한 누르는 힘을 경작지마다 다른 흙탕면의 경도에 따라 적절한 누르는 힘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흙탕경도 검출편을 모심는 장치의 승강수단에 연결시키고, 흙탕경도 검출편의 검출결과를 따라서 센서 플로우트와 승강수단과의 사이의 응답관계를 조절하는 것이 생각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lift and operate the device to maintain the attitude of the sensor float with respect to the device to be col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swing of the sensor float with respect to the ground pressure fluctuations corresponding to the gas operating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tilling ground, The planting is configured to maintain a constant posture on the surface of the device,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lifting control sensitiv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fluctuation of the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which is moved by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aircraft as it enters the mud. It's about the rice transplanter that makes it possible.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rice transplanters which perform lifting control of a device to be driven using the fluctuation amount of a swing of a sensor float have been widely known. Conventionally, in this type of rice transplanter, by means of automatic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pla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ground load detection of the float pressed on the muddy ground through the spring, the control means for maintaining the planting depth constant or approximately constant is provided. However, in order to perform the depth control well, such a seeding needs to adjust the press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muddy surface of the float mentioned above with the appropriate pressing force according to the hardness of the muddy surface which differs for every arable land. Therefore, it is conceivable to connect the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to the lifting means of the device for collecting the mud hardness detection part and to adjust the 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or float and the lift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그러나 이 경우, 승강수단과 센서플로우트와의 연결수단이라 함은 따로 승강수단과 흙탕경도 검출편과의 연결수단이 필요할뿐만 아니라, 승강수단에도 특별한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서 전체적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대형화하는 불이익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승강수단과 센서플로우트 및 흙탕경도 검출편과의 연결을 고안하여 상기한 불이익이 발생되지 않는 이앙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 과제는 승강수단과 흙탕경도 검출현을 연결시키는 대신에 흙탕경도 검출폄의 검출결과를 센서플로우트에 부여하는 것에 의해서, 센서플로우트의 감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해결된다.In this case, however, the connecting means between the elevating means and the sensor float requires not only the connecting means between the elevating means and the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but also the elevating means requires a special device. Incurs disadvantag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ise a connection between the lifting means, the sensor float and the muddy hardness detection piece to provide a rice transplanter does not generate the above disadvantage. This problem is solved by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float by giving the sensor float the detection result of the mound hardness detection 대신 instead of connecting the lifting means and the muddy hardness detection string.

그와같은 이앙기에 있어서는 센서플로우트가 센서 플루우트의 제1지점둘레에서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모심는 장치에 연결되고, 링크부재가 전기한 제1지점에서 앞쪽으로 위치하는 센서플루우트의 제2지점 둘레에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기한 링크부재는 그 앞쪽끝부분에 모심는 장치 승강수단에의 연결수단을 갖춤과 아룰러 전기한 제2지점에 관하여 전기한 앞쪽끝부분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뒷쪽끝부분에 전기한 센서플로우트를 접지방향으로 억누르는 힘을 가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또한 흙탕속으로 들어서서 기체의 주행에 따르는 접지저항에 의하여 전기한 힘을 가하는 수단의 가하는 힘에 저항하여 요동하는 흑탕경도 검출편을 전기한 링크부재와 일체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기한 승강수단은 전기한 연결수단을 개재하여 전달되는 센서 플로우트의 접지압력변동에 관계되는 상하요동 동작에 따라서 전기한 모심는 장치의 기준위치와 링크부재의 앞쪽끝부분과의 기준간격을 일정하게 하도록 모심는 장치를 승강하고, 그때 흙탕경도 검출편의 요동에 의해서 전기한 힘을 가하는 수단의 아래로 내려가도록 가하는 힘이 증감되는 것으로서 센서 플로우트의 감도가 자동적으로 조절된다.In such rice transplanters, the sensor float is connected to a device which is pivotably pivoted around the first point of the sensor flute, and the second point of the sensor flute is located forward from the first point where the link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It is installed so as to be swingable up and down in a circumference, and the said link member has a connecting means to the device lifting means collected at the front end thereof, and is located opposite to the front e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point. At the rear end, there is a means for applying the force to suppress the electric sensor float in the earthing direction, and it also enters into the mud and swings against the force applied by the means for applying the electric force by the ground resistan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ircraft. It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oscillate integrally with the link member which electric black hardness detection piece is provided, and the said elevating means opens the said connecting means.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movement related to the ground pressure fluctuation of the sensor float, which is transmitted by the sensor float, the chamfers are raised and lowered so as to make the referenc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device and the front end of the link member constant.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float is automatically adjust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force applied down the means for applying the electric force by the shaking.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특히 다음의 작용이 생긴다.In particular,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ccurs.

① 모심는 장치의 승강작동을 담당하는 센서 플로우트를 아래쪽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수단과 전기한 흑탕경도 검출폄을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경작지가 단단한 경우에는 흙탕경도 검출편의 접지저항에 의한 요동에 의해서 힘을 가하는 수단의 가하는 힘을 크게하여 센서플로우트의 감지감도를 둔하게 한다. 반대로 경작지가 무른 경우에는 흙탕경도 검출편의 접지저항 감소에 관계되는 흙탕속으로 향해서의 요동에 의해서 힘을 가하는 수단의 가하는 힘을 적은 것으로 하여 센서 플로우트의 감지감도를 예민하게 해서 모심는 장치의 승강작동을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뿐 아니라 힘을 가하는 수단에 의한 아래쪽방향으로 가하는 힘을 센서 플로우트에 전달하는 링크부재에 흙탕경도 검출편을 일체로 요동가능하게 부착하고 있으므로, 전기한 힘을 가하는 수단에 의한 아래쪽방향으로 가하는 힘은 흙탕경도 검출편에 대한 아래쪽방향으로 가하는 힘으로도 이용된다.① The seedling is connected by means of applying a downward force to the sensor float,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device, and the electric black coal hardness detection 경. The force applied by the applying means is increased to make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float dull. On the contrary, when the arable land is soft, the lifting force of the device that makes the sensing float of the sensor float sensitive by detecting the force applied by the means for applying the force due to the shaking to the mud related to the decrease in the ground resistance of the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is reduced. It can be made stable. In addition, since the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link member which transmits the force applied downward by the force applying means to the sensor float, the force applied downward by the means applying the electric force Muddy hardness is also used as a downward force against the detection piece.

② 또한 링크부재의 회동점인 제2지점을 사이에 두어서 앞쪽끝에 모심는 장치를 위한 승강수단에의 연결기구 및 뒷쪽끝에 힘을 가하는 수단을 각각에 연결하고 있으므로, 예컨대 흙탕경도 검출편이 주행저항에 의해서 윗쪽편으로 요동한 경우에는 링크부재가 연동하여 윗쪽으로 요동하고, 이것에 의하여 전기한 힘을 가하는 수단에 의한 가하는 힘을 보다 크게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링크부재의 앞쪽끝이 모심는 장치의 기준위치와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모심는 장치를 승강제어하도록하고 있으므로, 전기한 흙탕경도 검출편에 의한 링크부재의 요동에 의해서 링크부재의 센서 프로우트에 회동점이 뒷쪽끝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 작동한다. 따라서 흙탕경도 검출편이 주행저항에 의해서 윗쪽편으로 요동한 경우에 센서 플로우트의 앞쪽에 위치하는 전기한 제2지점이 윗쪽으로 이동하고, 센서 플로우트의 자세는 한층 더 앞부분이 뒤보다 올라간 자세로 되어서 센서감도가 둔하게 한다.(2) In addition, the connecting mechanism to the lifting means for the device to be collected at the front end with the second point, which is the pivot point of the link membe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means for applying the force to the rear end. In the case of swinging upward, the link member swings upward in conjunction with the link member, whereby the force applied by the means for applying the electric force can be increased. In this case, as the front end of the link member is controlled to raise and lower the apparatus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link member is always kept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apparatus, the sensor member of the link member is caused by the fluctuation of the link member by the above-mentioned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The pivot point works up and dow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ear end. Therefore, when the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swings upward due to the running resistance, the second point, which is located in front of the sensor float, moves upward, and the position of the sensor float is higher than the rear part, so that the sensor Dull the sensitivity.

①의 작용으로부터, 종래의 것에 비교하여 센서 플로우트의 가하는 힘을 가변시키는 것만이 구조로서, 좋으므로 구조가 간단한 것으로 달성함과 아울러, 센서 플로우트의 힘을 가하는 수단의 가하는 힘을 흙탕검출편에 대한 가하는 힘으로서도 이용할수가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힘을 가하는 수단을 하나로서 달성되며, 이것으로부터도 구조의 간소화를 한층더 추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From the operation of ①, only the variable to apply the force of the sensor float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one is good as a structure, so that the structure is achieved with a simple, and the force of the means for applying the force of the sensor float to the muddy detection piece Since it can also be used as a force to apply, one means to apply the force as a whole is achiev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simplify the structure from this.

이때문에 전체로서 구조를 대단히 간소화할 수 있어서 각 구성부품의 배치도 용이하고 또한 유지성도 우수하다. 또 ②의 작용으로부터, 센서플로우트에 대한 힘을 가하는 수단의 가하는 힘만으로서, 센서 플로우트에 대한 감지감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비교하여도 센서 플로우트의 자세변화에 따라서 감지감도변화를 보조하는 것에 의하여, 한층 더 감지 감도제어를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다.For this reason, the structure as a whole can be greatly simplified, and the arrangement of each component is easy and the maintenance is excellent. In addition, only the force applied by the means for applying the force to the sensor float from the action of 2) further assists the sensitivity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attitude of the sensor float, compared to the change in the sensitivity to the sensor float. Detection sensitivity control can be performed reliably.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로서 전기한 연결수단은 그 내부 와이어를 전기한 링크부재의 링크부재의 앞쪽끝부분에 부착하고 그 외부와이어를 전기한 모심는 장치에서 연장돌출한 지지부재에 부탁한 릴리어스와 이어에 의해서 구성됨과 아울러 전기한 내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과 외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이 전기한 제1지점을 중심으로하는 동일한 원호위 혹은 그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기한 내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과 외부 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의 간격을 전기한 기준간격으로서 승강제어하는 이앙기가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release device that attaches the inner wire to the front end of the link member of the link member and the outer wire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that protrudes from the device. In addition, the end of the inner wire attached and the end of the outer wire attached are located on or near the same arc centered on the first point, and the inner wire is attached. There is a rice transplanter which controls the lifting and lowering as a reference interval that describes the gap between the end and the end of the external wire.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센서 플로우트의 상하작동에 의해서 외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에 대하여 내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이 상대적으로 미끄럼작동하여도, 외부와이어내에 위치하는 내부와이어와 외부와이어의 부착된는 끝부분에서 링크부재에의 부착되는 끝부분까지의 내부와이어의 상대적인 자세의 변화는 센서플로우트의 요동지점인 제1지점을 중심으로하는 동일한 원호위 혹은 그 근처에 있어서 행해진다. 이것은 외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에 있어서의 내부와이어의 비틀림을 회피한다. 따라서 내부와이어의 외부와이어에 대한 상대적인 미끄럼작동이 원활하므로, 센서플로우트의 상하요동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서 모심는 장치의 승강제어도 보다 확실하게 행해지도록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ven if the end of the inner wire is relatively slippery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outer wire attached by the up and down operation of the sensor float, the inner and outer wires attached to the inner wire are attached. The relative posture change of the inner wire from the end to the end attached to the link member is made at or near the same arc around the first point, which is the swing point of the sensor float. This avoids twisting of the inner wire at the attached end of the outer wire. Accordingly, since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inner wire relative to the outer wire is smooth, the up and down swinging of the sensor float can be smoothly performed, so that the raising and lowering control of the device can be performed more reliably.

또한 외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에서 링크부재에의 부착되는 끝부분까지의 내부와이어가 제1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내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과 외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을 연결하는 비교적 반지름이 큰 원호의 현(弦)으로 되는점에서, 내부와이어는 그 미끄럼작동할때에 흔들림이 적으며 즉, 그 궤적이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서 다른 기기배치에 대한 장해로 되는 일이 적다.In addition, the inner wire from the attached end of the outer wire to the end attached to the link member has a relatively radius that connects the attached end of the inner wire and the attached end of the outer wire with respect to the first point. In the point of being a large arc string, the inner wire is less shaken when the sliding operation is performed, that is, the space occupied by the trajectory is less, which is less of an obstacle to the arrangement of other equipment.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형태로서, 전기한 흙탕경도 검출편의 흙탕속으로 들어서서 작용부가 전기한 모심는 장치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이앙기가 있다.As another preferable form of this invention, the seedling which entered the mud of the above-mentioned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and the operation part mentioned above is a rice transplanter located near the apparatus.

이 구성은 센서플로우트의 제1지점이 모심는 기구의 근처에 배치하고 있는 점에서, 이 모심는 기구 근처까지 전기한 작용부를 연장돌출하는 것에 의하여 센서플로우트의 상하 요동작동에도 불구하고 작용부의 흙탕속으로 들어서는 깊이는 전기한 제1지점에 가까운만큼 변화가 억제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This arrangement is located near the mechanism where the first point of the sensor float is planted. The planting is protruded into the mud in the acting portion despite the vertical swing of the sensor float by protruding and extending the acting portion to the vicinity of the mechanism. The change is suppressed as much as the depth is closer to the aforementioned first point.

그결과, 흙탕경도 검출편의 센서작동을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센서플로우트의 작동도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모심는 장치에 대응한 경작지가 단단한가·무른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nsor operation of the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can be made stable, and furthermore, the operation of the sensor float can be made stable, and the planting can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arable land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s solid.

이하, 본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앙기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그 기체 앞부분에 엔지(1), 밋숀케이스(2), 조종부(3)를 탑재하고, 그 기체뒷부분에 승강링크기구(9)를 개재하여 승강가능하게 연동연결되는 모심는장치(8)를 갖추고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As shown in FIG. 1, the rice trans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n engine 1, a mission case 2 and a control unit 3 at the front of the body, and a lifting link mechanism 9 at the rear of the body. An interlocking device which i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via an interlocking device is provided.

이 모심는 장치(8)는 모재치대(4), 모심는 기구(5), 모심는 케이스(6) 및 2개의 사이드플로우트(7B)와 이 사이드플로우트(7B)사이에 위치하는 센서플로우트(7A)를 갖춘 접지플로우트군(7)으로 구성되어 있다.This planting device 8 has a substrate holder 4, a planting mechanism 5, a planting case 6 and two side floats 7B and a sensor float 7A positioned between the side floats 7B. The ground float group 7 is comprised.

모심는 장치(8)의 승강제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모심는 케이스(6)에 회전이 자유 자재롭게 설치된 옆방향 지축(10)에 이 옆방향지축(10)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아암(11)의 한쪽끝을 고정부착하고, 이 연결아암(11)의 다른쪽끝과 전기한 접지플로우트군(7)의 중심에 위치하는 센서플로우트(7A)의 뒷쪽끝 브라켓(12)을 상대적으로 요동가능하게 연동연결한다.The core describes the lifting control of the apparatus 8 in detail. As shown in FIG. 2, the seedlings are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arm 11 integrally with the lateral axis 10 on the lateral axis 10 freely rotatable on the case 6. The rear end bracket 12 of the sensor float 7A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ground float group 7 which is fixed and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arm 11 is relatively swingably linked.

(X)는 전기한 뒷쪽끝브라켓(12)과 연결아암(11)과의 요동축심이며, 이것은 센서플로우트(7A)의 제1지점을 표시하고 있다. 즉, 전기한 센서플로우트(7A)는 제1지점(X)을 요동축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며, 이 요동변위가 센서 프로우트(7A)의 센서로서의 출력값으로 된다. 전기한 센서플로우트(7A)의 앞쪽끝브라켓(13)에는 상하 방향으로 요동가능한 링크부재, 여기에서는 천평식 요동아암(14)으로서 표시되어있는 것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요동아암(14)의 요동축심은(Y)로서 표시되고, 그것은 센서 플로우트의 제2지점을 표시하고 있다.(X) is the pivot axis between the rear end bracket 12 and the connecting arm 11, which indicates the first point of the sensor float 7A. That is, the above-described sensor float 7A can be swu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using the first point X as the swing axis, and this swing displacement becomes an output value as a sensor of the sensor float 7A. The front end bracket 13 of the above-described sensor float 7A is rotatably connected to a link member that can sw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here indicated as a flat swing arm 14. The rocking axis of this rocking arm 14 is indicated as (Y), which indicates the second point of the sensor float.

이 요동아암(14)의 앞쪽끝에는 연결와이어(17)의 내부와이어(17a)가 연결되고, 이 내부와이어(17a)가 모심는 장치(8)용 승강링크기구(9)를 구동하는 승강수단의 1예인 유압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밸브(16)에 연동연결되어 있다. 유압 시스템에는 물론 악튜에이터로서 유압실린더(15)가 사용되고 있다.An inner wire 17a of the connecting wire 17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swinging arm 14, and one of the lifting means for driving the lifting link mechanism 9 for the device 8, in which the inner wire 17a is collected. It is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valve 16 constituting the towing hydraulic system. The hydraulic cylinder 15 is, of course, used as an actuator in the hydraulic system.

한층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기한 내부와이어(17a)는 전기한 제어밸브(16)의 스푸울(16a)의 수푸울(16a)을 정역(正逆)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조작축(18)에 고정부착된 브라켓(19)에 연동연결되어 있다. 또 천평식 요동아암(14)의 뒷쪽끝에는 힘을 가하는 수단의 1예인 압축스프링(20)을 설치하고, 전기한 앞쪽끝브라켓(13)을 개재하여 센서플로우트(7A)를 제1지점둘레에서 아래쪽으로 요동시키는 힘을 부여한다.In more detail, the inner inner wire 17a is provided on the operation shaft 18 for operating the water spring 16a of the sprue 16a of the control valve 16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t is interlocked with the fixed bracket 19. In addition, a compression spring 20, which is an example of a means for applying a force, is installed on the rear end of the thousand swing arm 14, and the sensor float 7A is lowered from the first point circumference through the front end bracket 13 described above. Gives the force to swing.

제4도 내지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이 압축스프링(20)의 장착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기체프레임에서 앞쪽으로 향하여 연장돌출된 전후축(21)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부재(23A)를 전후축의 축심둘레에서 상하로 요동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짐과 아울러, 이 ㄷ자형부재(23A)에 대하여 웨브면끼리를 맞대어서 배치한 또하나의 ㄷ자형 부재(23B)를 고정부착하여 요동금속구(23)를 구성하고 있다.4 to 5,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compression spring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lan view, a substantially c-shaped member ( 23A) is loosely fitted so as to swing up and down on the axial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shaft, and the other c-shaped member 23B, which is arranged with the web faces against the c-shaped member 23A, is fixedly attached and swinged. The metal sphere 23 is comprised.

전기한 ㄷ자형부재(23B)에는 웨이브면끼리를 직각으로 교차하는 상태로 배치한 ㄷ자형의 상부스프링받이부재(24)의 옆방향축심(Z)둘레에서 상대적으로 요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The U-shaped member 23B described above is relatively rotatably connected at the lateral axial center Z of the U-shaped upper spring receiving member 24 arranged in a state where the wave faces intersect at right angles.

이 상부스프링받이부재(24)의 한쪽플랜지면에는 앵글현상의 브라켓(31)이 고정부착하고, 이 연장돌출된 브라켓(31)에 대하여 내부와이어를 끼웠다·떼었다 할 수 있는 절결부(32A)를 설치한 지지부재(32)가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전기한 외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a)을 구성한다. 한편, 전기한 천평식 요동아암(14)의 뒷쪽끝에는 상대적으로 요동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로드(25)를 전기한 상부스프링 받이부재(24)를 관통시켜서 윗쪽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이 연결로드(25)에 스프링받이부(26A)와 그 스프링받이부(26A)에 고정부착된 파이프(26B)로 이루어진 하부 스프링받이부재(26)를 바깥쪽으로 끼우고 전기한 상부 스프링받이부재(24)를 관통시키고 있다.An angle developing bracket 31 is fixedly attached to one flange surface of the upper spring receiving member 24, and a cutout portion 32A in which an inner wire can be inserted and detached from the extended protruding bracket 31 is attached. The support member 32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and constitutes the end portion (a) to which the external wires are attached. Meanwhile, the connecting rod 25 is projected upward through the upper spring receiving member 24, which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electric swing arm 14, which is relatively swingable, and protrudes upward. The lower spring receiving member (26) consisting of a spring receiving portion (26A) and a pipe (26B) fixedly attached to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26A) to the outside and penetrates the upper spring receiving member (24). have.

상부 스프링받이부재(24)와 하부 스프링받이부재(26)의 사이에 전기한 파이프(26B)에 바깥쪽에서 끼운상태로서 전기한 압축스프링(20)을 부착하고 있다. 전기한 연결로드(25)와 하부 스프링받이부재(26)의 파이프(26B)윗쪽끝부분은 나사로 끼워맞추어져 있으므로, 전기한 하부 스프링받이부재(26)를 회전시켜서 나사식으로 진입시키는 것에 의하여 연결로드(25)에 대한 상대적인 미끄럼 작동 이동에 의한 상·하부스프링받이부재(24)(26)의 설치간격이 조절된다.The compression spring 20 described above is attached to the pipe 26B,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pring bearing member 24 and the lower spring bearing member 26, from the outside. Since the connecting rod 25 and the upper end of the pipe 26B of the lower spring receiving member 26 are fitted with screws, the connecting rod 25 and the lower spring receiving member 26 are rotated to be screwed in and connected.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upper and lower spring receiving members 24 and 26 by the sliding movement relative to the rod 25 is adjusted.

그 결과 압축스프링(20)의 가하는 힘이 변화한다. 따라서 전기한 압축스프링(20)의 가하는 힘은 센서플로우트(7A)를 아래쪽으로 향하여 가하는 힘으로 되어있으므로, 전기한 가하는 힘의 조절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센서플로우트(7A)의 감도가 조절된다.As a result, the force applied to the compression spring 20 changes. Therefore, since the force applied to the compression spring 20 described above is a force applied downward to the sensor float 7A,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float 7A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force applied thereto.

센서플로우트(7A)가 접지압력변동에 의하여 압축스프링(20)의 가하는 힘에 저항하여 제1지점(X)둘레에서 요동하고, 결과적으로 센서플로우트(7A)의 앞쪽끝이 상하로 변휘하면 전기한 내부와이어(17a)가 스푸울(16a)을 젼환작동시켜서 모심는 장치(8)의 상하위치를 바꾼다. 즉 모심는 장치의 기준위치(32)로서의 외부와이어(17b)끝과 천평식 요동아암(14)앞쪽끝과의 기준간격(L)을 일정하게 되도록 모심는 장치(8)가 승강제어된다.The sensor float 7A swings around the first point X in response to the force applied by the compression spring 20 due to the ground pressure fluctuation, and consequently, when the front end of the sensor float 7A swings up and down, The inner wire 17a switches over the sprue 16a to chang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device 8 for planting. That is, the device 8 which raises and lowers so that the reference spacing L between the outer wire 17b end as the reference position 32 of the device, and the front end of the wedge arm 14 is constant can be raised and lowered.

또한 ㄷ자형 부재(23B)의 옆쪽부분에 연장설치된 외부와이어(17b)와 천평식 요동아암(14)의 앞쪽끝은 제1지점(X)을 중심으로한 반지름(R)의 원주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2도 및 제4도를 사용하여 모심는 깊이조절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outer wire (17b) and the swivel arm (14)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c-shaped member (23B) is set to be located around the radius (R) around the first point (X) It is. 2 and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depth adjustment mechanism to be collected.

모심는 케이스(6)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옆방향지축(10)에 모심는 조절레버(27)를 고정부착하고, 이 모심는 조절레버(27)와 일체로 요동가능한 홀더(28)에서 전기한 ㄷ자형 부재(23A)에 걸어맞추는 돌기(29)를 모심는 조절레버(27)로부터 돌출설치시키며, 모심는 조절레버(27)의 요동조작에 의하여 전기한 요동금속구(23)를 전기한 전후축(21)의 축심둘레에 요동시켜서 센서플로우트(7A)앞쪽끝을 뒷쪽끝과 동일한 양만큼 상하작동하도록 되어 있다.The core is fixedly attached to the adjustment lever 27 which is collected on the lateral shaft 10 which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case 6, and the core is the c-shaped member which is electrically transmitted from the holder 28 which is swingable integrally with the adjustment lever 27. The projections 29 engaged with the 23A are projected and installed from the adjustment lever 27, and the cores of the front and rear shafts 21 are transferred to the swinging metal sphere 23, which has been transferred by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adjustment lever 27. The front end of the sensor float 7A is moved up and down by the same amount as the rear end by swinging around the shaft center.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기한 센서플로우트(7A)의 앞쪽끝 브라켓(13)에 설치되고 제2지점(Y)을 축심으로 하는 옆방향 지축(22)에, 천평식 요동아암(14) 및 흙탕경도 검출편(30)이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lanar swing arm 14 is provided on the lateral support shaft 22, which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bracket 13 of the sensor float 7A described above and has the second point Y as the axial center. ) And the muddy hardness detection piece 30 is rotatably attached.

흙탕경도 검출편(30)은 기단부(基端部)(30A)에 연결된 작용부(30B)를 흙탕속으로 들어서고, 기체의 주행에 따르는 접지저항에 의해서 전기한 압축스프링(20)의 가하는 힘에 저항하여 상하방향으로 요동해서 경작지가 단단한가·무른가를 검출하는 기구로 구성하고 잇다. 또 이 흙탕경도 검출편(30)은 전기한 천평식 요동아암(14)과 일체적으로 요동가능하며, 경작지가 단단하게 될수록 윗쪽으로 요동하여 전기한 압축스프링(20)을 압축하고, 결과적으로 압축스프링(20)에 의한 센서플로우트(7)에 대한 아래쪽으로 가하는 힘을 크게 한다.The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30 enters the action part 30B connected to the base end 30A into the mud, and is applied to the force applied by the compression spring 20 which is electric by grounding resistance caused by the running of the gas. It is composed of a mechanism that detects whether the arable land is hard or soft by shaking up and down. In addition, the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30 is capable of oscillating integrally with the above-mentioned flat-type swing arm 14, and the harder the cultivated land is, the more it swings upward and compresses the compression spring 20, which is consequently compressed. The force applied downward to the sensor float 7 by the spring 20 is increased.

또 경작지가 무르게 되면 압축스프링(20)은 신장되어서 센서 플로우트(7)에 대한 아래쪽으로 가하는 힘은 적게된다. 이와같이 센서플로우트의 감지감도는 경작지가 단단한가·무른가에 따라서 가변된다.In addition, when the arable land becomes soft, the compression spring 20 is extended so that the force applied downward to the sensor float 7 is small. In this way,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float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arable land is hard or not.

그때에 제2도의 2점쇄선으로서 표시한 바와같이 압축스프링(20)은 흙탕경도 검출편(30)이 윗쪽으로 요동하면 압축되지만, 전기한 외부와이어(17b)끝부분과 천평식 요동아암(14)의 앞쪽끝과의 기준간격(L)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천평식 요동아암(14)의 요동중심인 제2지점(Y)도 윗쪽으로 이동하며, 센서플로우트(7A)는 앞부분이 뒤보다 올라간 자세로 옮아가게 된다.At that time, as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2, the compression spring 20 is compressed when the muddy hardness detection piece 30 swings upward, but the tip of the outer wire 17b and the swinging arm 14 that are unbalanced 14 Since the reference distance (L) with the front end of the) is kept constant, the second point (Y), which is the swinging center of the swivel arm (14), also moves upwards, and the sensor float (7A) has the front part behind. You will move to a higher position.

따라서 센서감도는 보다 둔하게 되는 방향으로 변환된다. 한편 흙탕경도 검출편(30)이 아래쪽으로 요동하면 센서플로우트(7A)는 앞부분이 뒤보다 처진자세로 옮아가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전기한 흙탕경도 검출편(30)은 전기한 옆방향지축(22)에 일체로 요동가능하게 끼워 붙어져 있으므로, 전기한 천평식 요동아암(14)과도 일체로 요동가능하며, 천평식 요동아암(14)의 뒷쪽끝에 작용하는 전기한 힘을 가하는 수단(20)에 의하여 흙탕속으로 들어서는 쪽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기한 힘을 가하는 수단(20)은 센서플로우트(7A) 및 흙탕경도 검출편(30)의 양자에 대하여 가하는 힘을 부여할 수가 있다.Therefore, the sensor sensitivity is converted to a direction that becomes du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30 swings downward, the sensor float (7A) is moved in a front position drooping than the back. Since the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30 described above is integrally swingably attached to the lateral axis 22 described above, the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30 can be swinged integrally with the above-mentioned uneven swing arm 14 and uneven swing. A force is applied to the mud into the mud by means of a means 20 for applying the electric force acting on the rear end of the arm 14. In other words, the means 20 for applying the above-mentioned force can impart a force applied to both the sensor float 7A and the muddy hardness detection piece 30.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기한 센서플로우트(7A)의 앞쪽끝브라켓(13)에는 천평식 요동아암(14)의 작동공간내로 돌출하는 판모양의 규제구(31)가 설치되고, 흙탕경도 검출편(30)의 아래쪽으로의 요동을 규제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즉 무른경작지에서의 무제한의 요동을 억제하여 센서플로우트의 피칭(pitching)현상을 억제한다.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흙탕경도 검출편(30)의 작용부(30B)는 센서플로우트(7A)와 사이드플로우트와의 중간에 위치하여 흙탕흐름에 대한 영향을 억제한 설치상태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ront end bracket 13 of the above-described sensor float 7A is provided with a plate-shaped restrictor 31 which protrudes into the working space of the ceiling swing arm 14, and is muddy. It has a function of regulating the fluctuation to the lower side of the hardness detection piece 30. In other words, by limiting unlimited fluctuations in soft arable land, the phenomenon of pitching of sensor float is suppressed. As shown in FIG. 6, the acting part 30B of the muddy hardness detection piece 30 is located in the middle between the sensor float 7A and the side float, and is in the installation state which suppressed the influence on muddy flow. .

또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기한 흙탕경도 검출편(30)의 작용부(30B)는 모심는 기구(5)의 근처에 설치된 전기한 제1지점(X)근처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2점쇄선으로서 표시한 바와같이 기체의 가라앉아내림·상승을 인도하는 센서플로우트(7A)가 요동할 때에도 흙탕경도 검출편(30)은 작용부(30B)가 요동지점(X)근처에 있으므로 상하이동량이 적어서 대략 일정한 깊이로 들어서게 된다. 따라서 흙탕경도 검출편(30)의 감지감도가 예측할 수 없게 변화하는 일은 없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since the acting portion 30B of the muddy hardness detection piece 30 described above is located near the first point X, which is provided near the seeding mechanism 5, 2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even when the sensor float (7A), which guides the sinking and rising of the aircraft, is shaken, the muddy hardness detection piece (30) has the shank volume since the acting portion (30B) is near the swinging point (X). This is small enough to enter a certain depth. Therefore, the detection sensitivity of the muddy hardness detection piece 30 does not change unpredictably.

또 제2도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같이, 전기한 흙탕경도 검출편(30)은 작용부(30B)가 기단부(3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미끄럼작동 가능하게 나사로서 고정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작용부(30B)에서 기단부(30A)의 요동 중심가지의 간격(M)을 변경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경작지의 단단한가·무른가의 변화가 큰경우에는 전기한 간격(M)을 적게하여 검출편으로서의 감지감도를 둔하게 함과 아울러, 변화가 적은 경우에는 간격(M)을 크게하여 감지감도를 예민하게 할 수 있다.As can be understood from FIG. 2, the above-mentioned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30 is connected to the actuating portion 30B so as to be fixed as a screw so as to be relatively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end 30A. At 30B, the distance M of the swing central branch of the base end 30A is configured to be changeable. In the case where the change in the hard or soft area of the arable land is large, the sensitivity M as the detection piece is reduced by reducing the aforementioned distance M. In addition, when the change is small, the sensitivity M can be made sensitive by increasing the interval M.

전기한 외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a)과 내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b)은 전기한 제1지점(X)을 중심으로하는 반지름(R)의 원호위에 위치함과 아울러, 외부와 :/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a)은 이 원호부위를 변위한다. 그때문에 센서플로우트(7A)의 상하요동에 관계되는 내부와이어(17a)의 흔들림은 적게된다.The attached end portion (a) of the outer wire and the attached end portion (b) of the inner wire are located on the arc of the radius (R) centered on the first point (X). The attached end (a) of the ear displaces this arc. Therefore, the shaking of the inner wire 17a related to the up-down swing of the sensor float 7A is reduced.

물론 전기한 외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a)은 전기한 원호위의 근처이라면 어디라도 좋다.Of course, the end (a) to which the external wire is attached may be anywhere near the circular arc.

다음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 전기한 힘을 가하는 수단(20)으로서는 천평식 요동 아암(14)의 뒷쪽끝을 아래쪽으로 향하여 힘을 가하는 인장 스프링이라도 좋고, 또 스프링이외의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라도 좋다.Ⓐ The means 20 for applying the electric force may be a tension spring that exerts a force toward the rear end of the swivel arm 14 downward, or anything that can exert an elastic force other than the spring.

ⓑ 전기한 연결수단(17)으로서는 끈모양의 것이라도 좋다.Ⓑ The connecting means 17 described above may be a string.

ⓒ 전기한 모심는 장치 승강수단(15)으로서는 유압실린더 이외에 공기압 실린더 혹은 전동모우터를 사용한 기계식 링크 기구라도 좋다.Ⓒ The above-mentioned chamfer may be a mechanical link mechanism using a pneumatic cylinder or an electric motor in addition to the hydraulic cylinder as the device elevating means 15.

ⓓ 본 발명에 의한 모심는 장치의 승강제어는 추진차륜을 아래쪽끝에 지지한 차륜 케이스를 부착지점둘레에서 상하 요동가능하게 기체프레임에 지지하고, 이 차륜 케이스를 기체에 대하여 상하요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모심는 장치를 승강제어하는 보행형 이앙기에 적용되는 것도 알 수 있다.Ⓓ The raising and lowering control of the see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wheel case supporting the propulsion wheel at the lower end to the base frame so that the wheel case can swing up and down at the attachment point, and the wheel case is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ody. It can also be seen that it is applied to the walking type rice transplanter to control the lifting.

ⓔ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기한 센서플로우트(7A)의 앞쪽끝 브라켓(13)에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한 아암(35)을 부착함과 아울러, 이 아암(35)의 앞쪽끝에 전기한 내부 와이어(17a) 및 모심는 케이스(6)에서 연장돌출되고, 모심는 장치의 기준위치로서의 브라켓(32)에 외부와이어 (17b)끝을 부착하며, 이 브라켓(32)과 전기한 아암(35)과의 사이에 압축스프링(20)을 부착하여 이 압축 스프링(20)을 센서플로우트(7A) 및 전기한 아암(35)과 일체로 작동 가능한 흙탕경도 검출편(30)에의 힘을 가하는 수단으로 겸용구성함과 아울러, 흙탕경도 검출편(30)의 주행저항에 의한 상하요동에 다라서 센서플로우트(7A)의 앞쪽끝 브라켓(13)과 아암(35)과의 요동축심(Y)이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작동하여 센서플로우트(7A)의 자세를 앞부분이 뒤보다 올라가고 또한 일부분이 뒤보다 처지게 변경가능한 구성을 채택해도 좋다.Ⓔ As shown in FIG. 7, the arm 35, which is swing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bracket 13 of the sensor float 7A, and the front end of the arm 35 is mounted. The inner wire 17a and the core are extended from the case 6, and the core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outer wire 17b to the bracket 32 as a reference position of the device, and the arm 35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bracket 32; Compression spring 20 is attached between the two spring springs to apply the force to the sensor float 7A and the arm 35, which is integrally operated as a means for applying a force to the muddy hardness detection piece 30 In addition, the swing shaft core Y between the front end bracket 13 and the arm 35 of the sensor float 7A is moved up and down in the same direction due to the up and down oscillation due to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muddy hardness detection piece 30. Operat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ensor float (7A) is raised above the front, and partially over the back. A configuration that can be forcibly changed may be adopted.

Claims (5)

센서플로우트의 요동변위량에 있어서 모심는 장치를 승강수단에 의하여 승강제어함과 아울러 흙탕경도에 대응하여 승강제어의 감도를 조절하는 이앙기에 있어서, 센서플로우트(7A)가 센서플로우트(7A)의 제1지점(X) 둘레에서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모심는 장치(8)에 연결되고, 링크부재(14)가 전기한 제1지점(X)보다 앞쪽으로 위치하는 센서플로우트(7A)의 제2지범(Y)둘레에 상하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기한 링크부재(14)는 그 앞쪽끝부분에 모심는 장치 승강수단(15)에의 연결수단(17)을 갖춤과 아울러 전기한 제2지점(Y)에 관하여 앞쪽끝부분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뒷쪽끝부분에 전기한 센서플로우트(7A)를 접지 방향으로 억누르는 힘을 가하는 수단(20)을 설치하고, 흙탕속으로 들어서서 기체주행에 따르는 접지저항에 의하여 전기한 힘을 가하는 수단(20)의 가하는 힘에 저항하여 요동하는 흙탕경도 검출편(30)을 전기한 링크부재(14)와 일체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기한 승강수단 (15)은 전기한 연결수단(17)을 개재하여 전달되는 센서플로우트(7A)의 저지압력변동에 관계되는 상하요동동작에 따라서 전기한 모심는 장치의 기준위치(32)와 링크부재의 앞쪽끝부분과의 기준간격(L)을 일정하게 하도록 모심는 장치(8)를 승강하고, 그때 흙탕경도 검출편(30)의 요동에 의해서 전기한 힘을 가하는 수단(20)의 아래로 내려가도록 가하는 힘이 증감되는 것으로서 센서플로우트(7A)의 감도가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In the rice transplanter which controls the lifting device by the lifting means and adjusts the sensitivity of the lifting control according to the mud hardness, the sensor float 7A is the first point of the sensor float 7A. (2) the second tally (Y) of the sensor float (7A), which is connected to the device (8) which is oscill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X), and which is located forward of the first point (X) where the link member (14) was previously described. 2) The second link point Y, which is installed to be swing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ircumference, has a connecting means 17 to the device lifting means 15, which is collected at the front end thereof. On the rear end located opposite to the front end, a means (20) for applying a force for suppressing the sensor float (7A) in the ground direction is installed, and enters into the mud, With electric power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oscillate integrally with the link member 14 which transmitted the mud hardness detection piece 30 which oscillates in response to the force applied by the means 20.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rocking motion related to the stopping pressure fluctuation of the sensor float 7A transmitted via the sensor float 7A, the seedlings are fixed with a reference distance L between the reference position 32 of the apparatus and the front end of the link member.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float 7A is raised and lowered by raising and lowering the device 8 so that the force applied to descend below the means 20 for applying the electric force due to the fluctuation of the muddy hardness detection piece 30 at that time. Rice transplanter, characterized in that is automatically adjusted.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연결수단(17)은 그 내부와이어(17a)를 전기한 링크부재(14)의 앞쪽끝부분에 부착하고 그 외부와이어(17b)를 전기한 모심는 장치에서 연장돌출한 지지부재(32)에 부착한 릴리스와이어(17)에 의해서 구성되며, 전기한 기준간격(L)은 전기한 내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b)과 외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a)의 간격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앙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17) attaches the inner wire (17a) to the front end of the link member (14). It is composed of a release wire (17) attached to the support member 32, the reference distance (L) described above is the end portion (b) of the attached inner wire and the end portion (a) of the outer wire attached Rice transpla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내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b)과 외부와이어의 부착되는 끝부분(a)이 전기한 제1지점(X)을 중심으로하는 동일원호위 혹은 그 근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앙기.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end (b) of the inner wire to be attached and the end (a) of the outer wire to be attached are located at the same arc or near the center of the first point (X). The rice transplanter which is characterized by having. 제3항에 있어서, 전기한 승강수단(15)이 유압실린더(15a), 이것을 제어하는 제어밸브(16), 제어밸브의 스푸울(16a)을 정역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조작축(18)으로 구성되며, 이 조작축(18)과 전기한 릴이스와이어(17)의 내부와이어(17a)가 연동연결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앙기.4. The lifting device (15)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elevating means (15) comprises a hydraulic cylinder (15a), a control valve (16) for controlling it, and an operating shaft (18) for operating the spouling (16a) of the control valv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an inner wire (17a) of the release wire (17)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shaft (18).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기한 흙탕경도 검출편(30)의 흙탕속으로 들어서는 작용부(30B)가 전기한 모심는 기구(5)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The rice transplant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the rice transplanter is located near the mechanism (5), which is placed by the acting portion (30B) entering the muddy water of the muddy hardness detection piece (30).
KR1019860002826A 1985-12-20 1986-04-14 Rice planter KR89000188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88370 1985-12-20
JP???60-?288370 1985-12-20
JP60-288375 1985-12-20
JP28837085A JPS62146513A (en) 1985-12-20 1985-12-20 Rice planter
JP28837585A JPS62146514A (en) 1985-12-20 1985-12-20 Rice planter
JP???60-?288375 1985-12-20
JP60-289809 1985-12-23
JP???60-?289809 1985-12-23
JP28980985A JPS62146515A (en) 1985-12-23 1985-12-23 Rice pla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570A KR870005570A (en) 1987-07-06
KR890001886B1 true KR890001886B1 (en) 1989-05-30

Family

ID=2733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826A KR890001886B1 (en) 1985-12-20 1986-04-14 Rice plan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890001886B1 (en)
CN (1) CN8610241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44643B (en) * 1995-10-03 1998-11-11 Yanmar Agric Equip Co Ltd Rice transplanter
CN101816237B (en) * 2010-04-27 2011-07-20 天津内燃机研究所 Longitudinal delivery mechanism of seedling planting machine
CN102696325B (en) * 2012-06-14 2014-08-06 金德林 Novel rice seedling transplanter
CN104853583B (en) * 2012-12-17 2017-12-19 洋马株式会社 rice transplanter
KR101881273B1 (en) * 2013-03-22 2018-07-25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Rice planting machine
JP2018064524A (en) * 2016-10-20 2018-04-26 ヤンマー株式会社 Rice transplanter
CN112425293B (en) * 2020-11-24 2021-12-24 中天水土治理科技(山东)股份有限公司 Sowing device and sowing method based on chiseling soil parameters
CN113692817B (en) * 2021-07-22 2023-05-09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Device and agricultural equipment according to soil humidity control seeding degree of dep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86102412B (en) 1988-08-24
KR870005570A (en) 1987-07-06
CN86102412A (en) 1986-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886B1 (en) Rice planter
JP3195651B2 (en) Elevation control mechanism of seedling planting equipment
JPH0444018Y2 (en)
JP3453789B2 (en) Seedling machine
JPS646021Y2 (en)
JPH0444016Y2 (en)
JPH0524258Y2 (en)
JPH026726Y2 (en)
JPS6287014A (en) Rice field working machine
JPS646017Y2 (en)
JPH0463645B2 (en)
JP2883138B2 (en) Hydraulic sensitivity adjustment device in paddy working machine
JPS62146513A (en) Rice planter
JPS6341850Y2 (en)
JPH0444017Y2 (en)
JPH03119909A (en) Sulky type rice transplanter
JPH0742260Y2 (en) Sensor-float mounting device for riding mobile agricultural machine
JPS6317404B2 (en)
JPS6320267Y2 (en)
JP2852651B2 (en) Rice transplanter
JPS6283807A (en) Rice field working machine
JPH0159852B2 (en)
JPS6314610A (en) Working part rising and falling control apparatus in rice field working vehicle
JP2000106722A (en) Controller for lifting and lowering in transplanter
JPH0425761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