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525B1 - 입체 영상 촬영 카메라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촬영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525B1
KR890001525B1 KR1019860005944A KR860005944A KR890001525B1 KR 890001525 B1 KR890001525 B1 KR 890001525B1 KR 1019860005944 A KR1019860005944 A KR 1019860005944A KR 860005944 A KR860005944 A KR 860005944A KR 890001525 B1 KR890001525 B1 KR 890001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amera
master
imag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046A (ko
Inventor
김중길
Original Assignee
김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길 filed Critical 김중길
Priority to KR1019860005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525B1/ko
Publication of KR880002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 G03B35/10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having single camera with stereoscopic-base-defining syste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G03B19/07Roll-film cameras having more than one object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체 영상 촬영 카메라
제1(a)도, 제1(b)도는 본 발명의 입체 영상 촬영 카메라 설명 단면 및 측면도.
제2도 종래 카메라 설명 단면도.
제3도 종래 카메라에 의한 촬영 설명도.
제4도 본 발명 입체 영상 촬영 카메라에 의한 촬영 설명도.
제5도 입체 영상 필름 설명도.
제6도 입체 영상 영사기 설명 사시도.
제7도 입체 영상 관람용 안경 설명 사시도.
제8도 본 발명의 입체 영상 촬영 카메라로 촬영한 입체 영상 필름.
제9도 본 발명에 의한 입체 영상 촬영 카메라의 화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입체 박스 7 : 필름 지지면
9 : 셔터 장치 10 : 화인더(finder)
11 : 렌즈박스 12,13 : 마스타렌즈(master lens)
14,15 : 휠드렌즈(field lens) 16,17 : 제1투영기구
18,19 : 제2투영기구 20 : 리레이 렌즈(relay lense)
32 : 카메라 바디 33 : 렌즈부
36,37 : 어더쟈스타(adjustor)
본 발명은 입체 사진등에 입체 영상을 촬영하는 입체 영상 촬영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입체 사진등의 입체 영상을 촬영함에 있어서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름이 주행하는 필름 지지체면(23)과, 셔터 장치(24)와, 필름 지지체면의 영상이 투영되는 화인더(finder)(25)와, 이들이 내장되는 카메라 박스(26)로 구성되는 카메라 바디(27)와, 마스타렌즈(masterlens)(28)를 내장하여 카메라 박스(26)에 장치되는 렌즈 박스(29)로 구성되는 렌즈부(30)으로 구성되는 카메라(1)을 사용해 왔다.
즉 2대의 카메라(1)을 제3도와 같이 좌우의 위치 X,Y에 배치하고, 양 카메라(1)의 화인더(25)를 번갈아 보면서 마스타렌즈(28)의 수평위치를 카메라(1)의 각도를 움직여 맞추면서 피사체(2)를 따로 따로 촬영한 후, 촬영된 좌우 2장의 필름을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장의 필름(31)에 좌우 중심을 약간 어긋나게 하여 상하일체로 재편집한 후, 제6도와 같은 사선 필타(3)을 장치한 영사기(4)로 영사한 필름(31)의 영상을 제7도와 같은 사선 필터 안경(5)을 통해 중심이 약간 어긋나게 좌우 개개의 영상을 좌우 육안으로 관람함으로서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카메라(1)로 촬영을 하려면 2대의 카메라의 마스타렌즈(28)의 중심 위치가 상하가 항상 일치하여야 하므로 2대의 카메라(1)의 화인더) (28)을 번갈아 보면 렌즈의 중심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어 조정이 번거롭고 또 2대의 카메라를 사용하므로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영사시에는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마스타렌즈(28)간의 중심 거리가 크므로 파사체(2)의 후방 부분 A에 있어서는 화상이 꺼꾸로 결상하여 시각에 혼란이 오며 장시간 영상을 보면 두통을 느끼기도 하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필름이 주행하는 필름 지지체면과, 그 필름 지지체면의 맞은편에 있는 셔텨 장치와, 이들이 내장되는 카메라 박스로 구성되는 카메라 바디와, 후단이 그 카메라 바디에 장치되고, 전단에 2개의 마스타렌즈가 있는 렌즈부로 구성되는 카메라로서, 카메라 박스에는 전기 마스타렌즈의 중심 위치가 조정 눈금이 중앙부에 있는 화인더가 있으며, 렌즈부는 가이드 레일에 스라이딩 하도록 부착된 2개의 마스타렌즈와, 마스타렌즈의 중앙 위치를 조정 눈금에 맞추어 핀치(pinch)로서 이동시키는 어드챠스타(adjustor)와, 마스타렌즈 바로 뒤에 있는 2세트의 휠드 렌즈(field lens)와, 그 휠드 렌즈에 의한 상의 투영 방향을 변환하는 1세트의 거울로 구성되는 제1투영기구와, 그 제1투영기구로부터의 상을 상하 일체의 상으로 하여 투영하는 상하 한쌍의 거울로 구성한 제2투영기구와, 그 제2투영기구로부터의 상을 받는 리레이 렌즈(relay lens)와, 이들을 내장하는 렌즈박스로 구성되어 리레이 렌즈로부터의 상을 필름 지지체면상의 필름에 투영시키는 입체 영상 촬영 카메라를 창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a)도, 제1(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바디(32)의 카메라 박스(6)에는 필름(8)이 주행하는 필름 지지체(7)와, 필름 지지체(7) 맞은편의 셔터 장치(9) 및, 필름 지지체면(7)의 상이 투영되는 화인더(10)를 설치하고, 그 화인더(10)에는 제9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마스타렌즈의 중심 위치 조정용 눈금(21)(22)을 새긴다.
또, 카메라 박스(6)의 앞에는 렌즈부(33)의 렌즈 박스(11)를 장치하고, 그 렌즈박스(11)의 앞에는 좌우 2개의 마스타렌즈(12)(13)를 중심 위치가 좌우 육안 간격과 비슷한 거리 약 63mm로, 상하에서는 필름 사이즈에 맞추어 적당한 간격으로 처진 위치에 배치한다.
여기서 그 마스타렌즈(12)(13)는 가이드 레일(34)(35)에 스라이딩되도록 부착되 있고, 어드쟈스타(36)(37)에 의해 중심 위치를 상하 좌우로 핀치로서 이동시킨다. 다시 마스타렌즈(12)(13)의 바로 뒤에는 2세트의 휠드렌즈(14)(15)를 배열하고, 그 휠드렌즈(14)(15)에 의한 상의 투영 방향을 변환하는 1세트의 거울로 구성되는 제1투영기구(16)(17)를 설치한다. 여기서 그 제1투영기구(16)(17)는 초평면(Hyper Plane)을 가진 렌즈박스(11)의 중심축에 대해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한다.
또 그 제1투영기구(16)(17)의 바로 뒤의 렌즈박스(11)의 중심축상에는, 제1투영기구로부터의 상을 상하일체의 상으로 하여 투영하는 상하 한쌍의 거울로 된 제2투영기구(18)(19)를 설치하되, 그 제2투영기구(18)(19)는 초평면을 가진 거울면이 전기 거울과 수직으로 상대하도록 장치한다.
제2투영기구(18)(19)의 뒤의 렌즈박스(11)의 중심축상에 제2투영기구(18)(19)로부터의 상을 받는 리레이 렌즈(20)를 배열한다.
본 발명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a)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의 마스타렌즈(12)(13)로부터 들어온 피사체의 상 B,C는 우선 필드렌즈(14)(15)을 거쳐 그 필드렌즈의 우수한 결상력 때문에 확실한 상 B1,C1을 결상한다. 다시 상 B1,C1은 초평면을 가지는 거울로 된 제1투영기구(16)(17)에 의해 투영방향을 변환시켜 같은 거울로된 제2투영기구(18)(19)에 의해 확실한 상 그대로 상하 일체의 상으로 해서 리레이렌즈(20)에 보내고, 그 리레이렌즈(20)에 의해 밝기가 배가되어 필드렌즈와 거울에 의해 손실된 광량을 보충해서 확실한 상 B2,C2를 필름 지지체면(2)상에 상하 일체로 결상한다.
그리고, 제9도에 보는 바와 같이 화인더(10)을 보면서 상 B2,C2를 각각의 중심이 조정눈금(21)(22)의 중심에 오도록 어드쟈스타(36)(37)로 조정한 후, 셔터장치(9)를 작동시켜 촬영하면, 2개의 마스타렌즈의 수평 방향의 중심 거리는 두 육안 간격과 비슷한 거리, 약 63mm이므로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가 역전된 부분이 없는 촬영이 되어 자연에 가까운 영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마스타렌즈의 중심 위치의 조정을 화인다의 조정 눈금에 맞추어 어드쟈스타로 하므로 1대의 카메라의 좌우 마스타렌즈의 좌우상을 상하 일체의 상으로 해서 필름면에 결상시키도록 구성했으므로 촬영시의 조정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함과 동시에 자연에 가까운 영상을 제공하여 필름 관람시의 두통을 초래할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상의 전달방법으로서 결상력이 우수한 필드렌즈와 초평면을 갖는 거울로된 투영기구와, 광량을 배가하는 리레이 렌즈를 사용하였므로 확실하고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필름이 주행하는 필름 지지체와그 지지체의 맞은 편에 있는 셔터 장치와, 이들을 내장하는 카메라 박스로 구성되는 카메라 바디와, 후단이 카메라 바이와 연결되고 전단에 2개의 마스타렌즈가 있는 렌즈부로 구성되는 카메라로서 카메라 박스에는 마스타렌즈의 중심 위치의 조정 눈금이 중앙에 있는 화인더가 있고, 렌즈부에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스라이딩되게 부착된 2개의 마스타렌즈와, 전기 마스타렌즈의 중심 위치에 조정용 눈금에 맞추어 조정핀치로서 이동시키는 어드쟈스타와, 마스타렌즈의 바로 뒤에 있는 2개의 필드렌즈와 그 필드렌즈에 의해 상의 투영방향을 변환하는 1세트의 거울로 구성된 제1투영기구와, 제1투영기구로부터의 상을 상하 일체의 상으로 하여 투영하는 상하 1세트의 거울로 구성되는 제2투영기구와 그 제2투영기구로부터의 상을 받는 리레이렌즈와, 이들을 내장하는 렌즈박스로 구성되어 리레이 렌즈로부터의 상을 필름 지지체 향상의 필름에 투영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촬영 카메라.
KR1019860005944A 1986-07-22 1986-07-22 입체 영상 촬영 카메라 KR890001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5944A KR890001525B1 (ko) 1986-07-22 1986-07-22 입체 영상 촬영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5944A KR890001525B1 (ko) 1986-07-22 1986-07-22 입체 영상 촬영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046A KR880002046A (ko) 1988-04-28
KR890001525B1 true KR890001525B1 (ko) 1989-05-06

Family

ID=19251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944A KR890001525B1 (ko) 1986-07-22 1986-07-22 입체 영상 촬영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5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046A (ko) 1988-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8993A (en) Stereoscopic zoom lens system for three-dimensional motion pictures and television
US4436369A (en) Stereoscopic lens system
KR0174324B1 (ko) 스테레오 카메라
US4464028A (en) Motion picture system for single strip 3-D filming
US4844583A (en) Photographic imaging system for use in producing stereographs
JPH1026804A (ja) ステレオカメラ
EP0500910B1 (en) Device and method for stereoscopic viewing of slides and prints
US46782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photography
KR100316458B1 (ko) 가동성차폐부재가구비된3차원및2차원의이중모드카메라
US2693128A (en) Photography, viewing, and projection of pictures with stereoscopic effect
US4525045A (en) Camera for three-dimensional movies
US5270751A (en) Steroscopic optical apparatus for use with television and video recording equipment
EP0335282A2 (en) Three-dimensional photographing and three-dimensional playback device by spatial time-sharing method
US8228373B2 (en) 3-D camera rig with no-loss beamsplitter alternative
KR890001525B1 (ko) 입체 영상 촬영 카메라
US4915497A (en) Stereoscopic motion picture apparatus with horizontal film movement
JPS62273526A (ja) 立体映像撮影カメラ
JP3689976B2 (ja) 3次元立体映像信号変換装置の映像撮影用の光学アダプター装置
GB2135470A (en) 3-D Photography
US2595409A (en) Apparatus for taking stereoscopic pictures without abnormal stereoscopic effects
KR890001541B1 (ko) 입체 영상 촬영용 렌즈의 조정장치
US4888606A (en) Photographic apparatus having a self-monitoring device
JPS62273525A (ja) 立体映像撮影用レンズの調整装置
US34864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composite photographs
Campana Making stereo-photomacrographs for archaeological stu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