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334Y1 - Switches - Google Patents

Switch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334Y1
KR890001334Y1 KR2019840001314U KR840001314U KR890001334Y1 KR 890001334 Y1 KR890001334 Y1 KR 890001334Y1 KR 2019840001314 U KR2019840001314 U KR 2019840001314U KR 840001314 U KR840001314 U KR 840001314U KR 890001334 Y1 KR890001334 Y1 KR 890001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light
absorber
inorgan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131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50007180U (en
Inventor
후미유끼 히사쓰네
즁이찌 데라찌
시로오 무라다
하지무 요시야시
기요미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카다야마 히도하지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01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334Y1/en
Publication of KR8500071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18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334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Landscapes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개 폐 기Dog lung

제1도-제3도는 종래의 회로차단기의 단면도로서 각기 상이한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이다.1 through 3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showing different operating states.

제4도는 접촉자간에 아아크가 발생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rc has occurred between contacts.

제5도는 용기내의 접촉자간에 아아크가 발생한 상태의 설명도.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rc has occurred between the contacts in the container.

제6도는 무기질 고다공소재를 표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organic high porous material.

제7도는 제6도의 부분 확대도.7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제8도는 아아크를 발생시킨때의 기공율에 대한 용기내 압력변화를 표시한 곡선도.8 is a curve diagram showing the change in pressure in a vessel with respect to porosity when an arc is generated.

제9도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의한 회로차단기의 일부절개 측면도.9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요부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제11도는 제2실시예에 의한 요부의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3 : 용기 4, 7 : 전기접촉기3: container 4, 7: electrical contactor

5, 8 : 도체 6, 9 : 접점5, 8: conductor 6, 9: contact

35 : 빛흡수체 36 : 열흡수체35: light absorber 36: heat absorber

37 : 개구부 A : 아아크37: opening A: arc

도면중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하는 것이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본 고안은 개폐기의 용기내의 압력제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essure control in a container of a switchgear.

더욱이 본 고안에서 발하는 개폐기라면, 특히 회로차단기, 한류기, 전자개폐기 등의 용기, 통상은 소형용기내에서 아아크가 생기는 것을 지칭하는 것이다.Moreover, in the case of the switch which is pro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refers to the occurrence of arc in a container such as a circuit breaker, a current limiter, an electronic switch, and usually a small container.

다음에서 회로차단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The circuit breaker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제1도-제3도는 종래의 회로차단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각기 상이한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1)은 커버, (2)는 베이스로서 커버(1)와 베이스(2)로 용기(3)을 구성한 것이다. (4)는 고정접촉자로서 고정도체(5)의 일단에 고정접점(6)을 가지고 타단은 외부도체(도시없음)에 접속되도록 단자부로 되어 있다.1 through 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and showing different operating states. (1) is a cover, (2) is a base, and the container 3 is comprised from the cover 1 and the base 2. As shown in FIG. (4) is a fixed contact and has a fixed contact 6 at one end of the fixed conductor 5, and the other end is a terminal portion so as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conductor (not shown).

(7)은 가동접촉자로서 가동도체(8)의 일단에 고정접점(6)에 대향하는 가동접점(9)이 있다. (10)은 가동접촉자 장치. (11)은 가동자간으로서 크로스바(12)에 고정되어 각극끼리 개폐되도록 구성되었다.(7) has a movable contact (9) opposite the fixed contact (6) at one end of the movable conductor (8) as a movable contactor. 10, a movable contactor device. 11 is fixed to the crossbar 12 as a movable part, and it was comprised so that each pole may open and close.

(13)은 소호실로서 복수매의 소호판(14)과 그 양측부를 지지한 측판(15)에 의하여 형성되었다. (16)은 토글링크 기구로서 상측링크(17)와 하측링크(18)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13) was formed by a plurality of anti-fogging plates (14) and side plates (15) supporting both sides thereof as the anti-fogging chamber. Numeral 16 is a toggle link mechanism composed of an upper link 17 and a lower link 18.

상측링크(17)의 일단에 각기 축(20)(2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더우기 하측링크(18)의 타단은 상기 가동접촉자장치(10)의 가동자간(11)에 연결되었다. (22)는 기도식(起倒式)조작핸들, (23)은 작동스프링으로서 토글링크기구(16)의 축(21)과 상기 조작핸들(22)과의 사이에 장설되어 있다. (24),(25)는 각기열동 및 전자트립기구로서 작동시에는 각각 바이메탈(26) 및 가동철심(27)에 의하여 트리프바(28)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One end of the upper link 17 is connected by the shaft 20, 21,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other end of the lower link 18 is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11 of the movable contactor device 10. Reference numeral 22 denotes an airway type operation handle, and 23 denotes an operation spring,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shaft 21 of the toggle link mechanism 16 and the operation handle 22. 24 and 25 respectively rotate the trip bar 28 counterclockwise by the bimetal 26 and the movable iron core 27 when operating as the thermal and electronic trip mechanisms, respectively.

(29)는 일단이 상기 트리프바(28)에 계지되어 타단이 크레들(19)과 계지되는 랫치이다. 크레들(19)이 랫치(29)에 계지된 상태에서 조작핸들(22)을 폐로위치로 넘어뜨리면 토글링크기구(16)가 신장되어 축(21)이 크레들(19)에 계지되어 가동접점(9)은 고정접점(6)에 접합시킨다. 이 상태가 제1도이다.Reference numeral 29 is a latch at which one end is engaged with the trip bar 28 and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the cradle 19. When the cradle 19 is latched on the latch 29 and the operation handle 22 is brought down to the closed position, the toggle link mechanism 16 is extended so that the shaft 21 is locked to the cradle 19 so that the movable contact 9 ) Is bonded to the stationary contact (6). This state is FIG.

이어서 조작핸들(22)을 개로위치로 넘어뜨리면 토글링크기구(16)는 굴곡되어 가동접점(9)을 고정접점(6)에서 개리시켜 가동자간(11)이 크레들축(30)에 계지된다. 이상태가 제2도이다.Subsequently, when the operation handle 22 is dropped to the open position, the toggle link mechanism 16 is bent to open the movable contact 9 at the fixed contact 6 so that the movable member 11 is locked to the cradle shaft 30. This state is the second degree.

또한 전기 제1도에 도시한 폐로상태에서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면 열동트립기구(24) 또는 전자트립기구(25)가 작동하여 크레들(19)과 랫치(29)의 계합이 해제되며, 크레들축(30)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크레들(19)이 회전하고, 스톱퍼축 (31)에 계지된다. 이때에 크레들(19)과 상부링크(17)의 연결점이 상기 작동스프링 (23)의 작용선을 이월하기 때문에 작동스프링(23)의 탄력에 의하여 토글링크기구 (16)가 굴곡하여 크로스바아(12)에 의하여 각극이 연동하여 자동차단한다. 이상태가 제3도이다.In addition, when an overcurrent flows in the circuit in the closed state shown in FIG. 1, the thermal trip mechanism 24 or the electronic trip mechanism 25 is operated to release the cradle 19 and the latch 29 from each other. The cradle 19 is rotated clockwise about 30, and locked to the stopper shaft 31. At this time, since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radle 19 and the upper link 17 is carried over the line of operation of the operating spring 23, the toggle link mechanism 16 is bent by the elasticity of the operating spring 23, so that the crossbar 12 Each pole is interlocked and shut off. This state is the third degree.

다음은 회로차단기가 전류차단시에 발생하는 아아크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arc that occurs when the circuit breaker cuts off the current.

가동접점(9)과 고정접점(6)이 접촉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 그 전력은 전원측에서 고정도체(8)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부하측으로 공급된다.In the case where the movable contact 9 and the fixed contact 6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side to the load side via the high conductor 8 sequentially.

이 상태에 있어서 단락 전류등의 대전류가 이 회로에 흐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접점(9)이 고정접점(6)에서 개리된다. 이때 상기한 고정 및 가동접점(6), (9)간에는 아아크(제3도) A가 발생하고, 고정 및 가동접점(6), (9)간에는 아아크전압이 발생한다. 이 아아크전압은 고정접점(6)에서 가동접점(9)의 개리거리가 증대됨에 따라서 상승하고, 또한 동시에 아아크가 소호판(14)의 방향으로 자기력에 의하여 당겨지기때문에 신장하게되어, 더욱 상승된다.In this state, when a large current such as a short circuit current flows through this circuit, the movable contact 9 is opened at the fixed contact 6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arc (3rd degree | times) A generate | occur | produces between the said fixed and movable contacts 6 and 9, and an arc voltage generate | occur | produces between the fixed and movable contacts 6 and 9. This arc voltage rises as the opening distance of the movable contact 9 increases from the stationary contact point 6, and at the same time, the arc expands because it is pulled by the magne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sub-plate 14, and further rises. .

이와 같이하여 아아크전류는 전류영점이 되어 아아크를 소호하고, 차단이 완결된다. 그러나, 주입된 막대한 아아크에너지는 최종적으로 열에너지 형태가 되어 완전하게 용기밖으로 도피되지만 과도적으로는 한정된 용기내의 가스의 온도를 상승시켜 가스압력을 급격하게 상승시키게 된다.In this way, the arc current becomes the current zero, extinguishes the arc, and the interruption is completed. However, the enormous arc energy injected eventually becomes a form of thermal energy and escapes completely out of the vessel, but transiently raises the gas pressure b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in the limited vessel.

이것에 의하여 회로차단기내부의 절연열화, 회로차단기외부로의 방출불꽃량증대에 의한 전원 단락사고나 회로차단기본체의 파괴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This may cause a power short circuit accident or breakdown of the circuit breaker main body due to insulation deterioration inside the circuit breaker, increase in discharge flame outside the circuit breaker, and the like.

다음에 본 고안을 고안한 기초가된 아아크의 에너어지소비의 메카니즘에 관하여 상술한다. 제4도는 접촉자(4), (7)간에 아아크A가 생긴것을 나타낸 도면이다.Next, the mechanism of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arc which devised this invention was explained in full detail. 4 is a view showing that arc A is generated between the contacts 4 and 7. As shown in FIG.

도면중 T는 아아크 A에서 접촉자에 전달하고 도망하는 열에너지의 흐름, m는 아아크공간에서 도망하는 금속입자의 에너지의 흐름, R는 아아크 아아크공간에서 소실되는 빛에의한 에너지의 흐름을 각기 표시한 것이다.In the figure, T denotes the flow of thermal energy transmitted to the contactor in the arc A and escapes, m denotes the energy flow of the metal particles that escape from the arc space, and R denotes the flow of energy due to the light lost in the arc arc space. will be.

제4도에 있어서, 아아크 A에 주입된 에너지는 상기한 3개의 에너지의 흐름 T,m,R에 의하여 대개가 소비되어 버린다.In FIG. 4, the energy injected into the arc A is usually consumed by the three flows T, m, and R described above.

그중 접촉자의 열반산 T는 미소하고 태반의 에너지는 m와 R에 의하여 소진되는 것이다. 종래의 아아크 A의 에너지 소비 메카니즘에 있어서는 도면중의 m가 압도적이가 R의 에너지는 거의 무시되어 왔지만, 고안자등의 최근 연구에 의하여 R의 에너지 즉, 빛에의한 에너지소비가 아아크 A에 주입된 에너지의 약70%가 된다는 막대한 것이 해명되기에 이르렀다.Among them, the nitric acid T of the contact is minute and the energy of the placenta is exhausted by m and R. In the conventional energy consumption mechanism of arc A, m is overwhelming and the energy of R has been almost ignored. However, according to a recent study by the inventors, energy of R, that is, energy consumption by light is injected into arc A. The enormous amount of about 70% of the energy used has been elucidated.

즉, 아아크에 주입된 에너어지의 소비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onsumption of energy injected into the arc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단, PW : 순간주입 에너어지 V : 아아크전압 I : 전류 V.I : 아아크에 주입되는 순간에너어지 PK : 금속입자가 발산시키는 순간에너지소비량금속입자가 속도 V로비산할때에 발산시키는 순간 에너지소비량 m.CP.T : 정압비열 Cp의 가스(금속입자의 가스)가 온도 T로 발산된때에 소산되는 순간에너지소비량However, PW: Instant injection energy V: Arc voltage I: Current VI: Instant energy injected into arc PK: Instant energy consumption by metal particles Instantaneous energy consumption when metal particles diverge at speed V m.CP.T: Instantaneous energy consumption when gas (metal particles gas) of constant pressure specific heat Cp is diverted at temperature T

상기한 소비량은 접촉자형성이나, 아아크의 길이에 의하여 변화하지만 10-20mm의 아아크에 대하여서는 각각 PK=10-20%, Pth=5%, PR=75-85%이다. 아아크 A를 용기(3)에 폐쇄시킨때의 상황은 제5도와 같다.The above consump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ntact formation and the arc length, but for 10-20 mm arc, PK = 10-20%, Pth = 5% and PR = 75-85%, respectively.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closing arc A to the container 3 is the same as that of FIG.

아아크 A를 용기(3)에 폐쇄시키면 용기(3)내의 공기는 금속입자가 충만되고 고온의 상태가 된다.When the arc A is closed to the container 3, the air in the container 3 is filled with metal particles and is in a high temperature state.

특히 아아크양광주(陽光柱) A의 주변가스 공간 Q(도면중 사선표시공간 Q)는 상기한 상태가 강하다. 아아크 A를 발생한 빛은 아아크양광주 A에서 방출되며, 용기(3)의 벽에 조사되고 반사한다. 반사된 빛은 산란되고, 재차 금속입자가 충만된 고온공간을 통과하고, 재차벽면에 조사된다.In particular, the above-mentioned state is strong in the surrounding gas space Q (the diagonal display space Q in the drawing) of the arc yangju A. Light generated in arc A is emitted from arc wine column A, and is irradiated and reflected on the wall of the container 3. The reflected light is scattered, passes through the high-temperature space filled with metal particles, and is irradiated to the wall surface again.

이와같은 과정을 광량이 영이되기까지 반복하는 것이다. 이 사이의 빛의 경로를 도면중 Ra→Rb→Rc→Rd로 표시하고 있다.This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amount of light reaches zero. The path of light between them is indicated by Ra → Rb → Rc → Rd in the figure.

상기 과정에 있어서, 아아크 A에서 발산한 빛의 소비는 다음의 2점이다.In the above process, the light consumption emitted from arc A is two points below.

(1) 벽면흡수(1) wall absorption

(2)아아크공간 및 주변(고온)가스공간에 의한 흡수, 즉 가스공간에 의한 흡수(2) Absorption by arc space and ambient (hot) gas space, ie by gas space

또한 아아크 A에서 발산하는 빛은 2000A°이하 원자외에서 1μm이상의 원적외까지의 모든파장 영역에 긍하여 연속스펙들 및 선스펙돌으로 되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ed from Arc A became a continuous speck and a sun spectrodol in all wavelength ranges from 2000 A ° or less to far infrared rays of 1 μm or more.

일반적 용기벽면은 예를들면 표면이 흑색일경우에도 4000A°-5500A°정도의 범위에서만 빛의 흡수능력이 있을 뿐으로서 기타범위에 있어서는 일부를 흡수하는데 그치고 거의 반사되어 버리는 것이다.In general, the wall surface of the container is only capable of absorbing light in the range of about 4000A ° -5500A ° even when the surface is black, and absorbs a part of the other range and is almost reflected.

그런데 아아크공간 및 주변고온 가스공간에서의 흡수는 다음과 같이 된다. 길이 L의 일정한 조성·온도를 가지는 가스공간에 파자λ의 빛을 조사한때 가스공간에 의한 빛의 흡수량은 다음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However, absorption in the arc space and the surrounding high temperature gas space is as follows. The amount of light absorbed by the gas space can be estimated as follows when the light of the wave lambda is irradiated to the gas space having a constant composition and temperature of length L.

la=Ae·n·Llin…………… (1)la = Ae n Llin. … … … … (One)

la : 가스에 의한 흡수에너지 Ae : 흡수확율 lin : 조사하는 빛에너지 n : 입자밀도 L : 빛이 통과하는 광토길이la: Absorption energy by gas Ae: Absorption probability lin: Light energy to be irradiated n: Particle density L: Light soil length through which light passes

단(1)식은 특정파장 λ에 대한 흡수에너지량을 표시함. A는 특정파장 λ에 대한 흡수확율이고, 파장λ, 가스온도, 입자의 종류의 함수이다.Equation (1) shows the absorbed energy amount for a specific wavelength λ. A is the absorption probability for a particular wavelength λ and is a function of the wavelength λ, the gas temperature and the type of particle.

(1)식에 대하여 양자 역학수에 의하면, 흡수계수 A는 연속, 선스펙톨 공히 빛을 발하는 광원가스와 동일상태의 가스(즉 입자의 종류, 온도가 동일)가 가장 큰값을 가지는 것이 된다.According to Equation (1), the quantum mechanical coefficient indicates that the absorption coefficient A has the largest value of the light source gas that emits light continuously and the sun spectroscopically (ie, the same kind of particles and the same temperature).

즉 아아크공간에서 발하는 빛은 아아크 공간 및 그 주변가스 공간에서 가장많이 흡수되는 것이다. (1)식에 있어서 빛의 흡수에너지량 la는 광로길이 L에 비례한다. 제5도에서와 같이 아아크공간에서의 빛이 벽면에서 반사되면 (1)식중의 L는 그 반사회수배만큼 증대하게 되므로 아아크공간의 고온부에서 흡수되는 빛에너지량이 증대하게 된다.That is, the light emitted from the arc space is absorbed most in the arc space and the surrounding gas space. In equation (1), the amount of absorbed energy la is proportional to the optical path length L. As shown in FIG. 5, when the light in the arc space is reflected from the wall, L in the equation increases by the number of times of refl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energy absorbed by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of the arc space.

이것은 즉, 아아크A가 발하는 빛의 에너지가 결국 용기(3)내의 가스에 흡수되며, 이것에 의하여 가스의 온도가 상승하고 가스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뜻한다.This means that the energy of light emitted by arc A is eventually absorbed by the gas in the container 3, whereby the temperature of the gas rises and the pressure of the gas rises.

그러므로 본 고안의 전제로서는 아아크에 주입된 에너지의 약70%에 달하는 빛의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때문에 특정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개폐기의 용기내에서 아아크의 빛의 에너지를 받는 특정위치에 아아크가 발하는 빛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섬유, 망 및 기공율 35%이상의 고다공질 재료중의 1종 또는 2종이상의 복합재를 선택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용기내의 빛을 다량으로 흡수시켜 가스공간의 온도를 저하시켜 압력을 저하시키는 것이다.Therefore, as a premi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absorbs about 70% of the energy injected into the arc effectively, the specific material is used, and the light that arc emits at a specific position receiving the light energy of the arc in the container of the switchgear. By selectively arranging one or two or more kinds of composites of fibers, nets, and porous materials having a porosity of 35% or more, which absorbs light efficiently, a large amount of light in the container is absorbed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gas space to lower the pressure.

일반적으로는 상술한 섬유로서는 무기계, 유기계, 무기계와 유기계와의 복합재, 금속, 직재 및 부직포등 중에서 선택되지만, 고온아아크에 노출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관계상 열적강도가 요청되는 것이다.Generally, the above-mentioned fiber is selected from inorganic, organic, inorganic and organic composites, metals, woven fabrics, and nonwoven fabrics, but thermal strength is required because it is installed in a space exposed to hot arc.

또한 망으로서는 무기계, 유기계, 무기계와 유기계와의 복합재, 금속등 이외에 세선금망을 다층으로 적층한 것이나 편소선등 선택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이 망의 경우에도 열적강도가 있는 것이 요청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the net, an inorganic, organic, inorganic and organic composite material, a metal, etc., in addition to the lamination of a thin wire network in multiple layers, and the choice of a single wire and the like. In the case of this network, it is required to have thermal strength.

상기한 섬유 및 망의 재료중 무기계로서는 세라믹스, 카아본, 아스베스트등이 최적합하고, 금속으로서는 Fe, Cu가 최적합하다.Among the materials of the fiber and the net, inorganic, ceramics, carbon, asbestos, etc. are optimally suited, and Fe and Cu are optimally suited as metals.

An, Ni 등에 멕기한 것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다공질소재는 일반적으로 고체구조내에 다수의 세공이 있는 재료로서, 금속, 무기질, 유기질등의 많은 범위의 재료에 있는 것으로서, 재질과 세공과의 관계에 있어서 한개의 고체입자 상호의 접점에서 소결고화한 것, 다른 하나는 세공이 주체로서, 세공을 형성하는 격벽이 고체물질의 것과 구별된다.It is also possible to apply it to An, Ni and the like. Porous material is generally a material having many pores in a solid structure, and it exists in a wide range of materials such as metal, inorganic material, and organic material, and is sintered and solidified at the contact point of one solid particle in relation to the material and pores. The other is that the pores are the main body, and the partition walls forming the pores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the solid material.

더우기 본 고안에서 소재라고하면 형상에 구애를 받지 아니하는 형상을 가공하기 이전의 원재료를 말한다. 다시 세분하면 입자간의 간극이 세공으로 존재하는 것, 입자간의 간극과 입자내의 세공이 공존하는 것, 발포성의 세공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등으로 분류할수 있는 것이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refers to the raw material before processing the shape regardless of the shape. Subdivided again, the gap between particles can be classified into pores, the gap between particles and pores in the particles coexist, and foamed pores included therein.

또한 통기성, 통수성이 있는것과 기공이 내부에 독립되고 통기성이 없는것과 대별할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한 세공의 형상은 매우 복잡하므로 대별하여 개공과 폐공으로 유별되며, 그 구조늘 세공용적 또는 기공율, 세공의 지름 및 세1지름분포, 비표면적등으로 표시한다.It can also be distinguished from the fact that there is breathability, water permeability, and the pores are independent and not breathable inside. Since the shape of the pores is very complex, they are roughly classified into open and closed pores, and are expressed in terms of their structural pore volume or porosity, pore diameter and fine diameter distribution, and specific surface area.

기공율은 다공질소재에 함유되는 개공과 폐공과의 모든 세공용적의 비율을 소재의 전용적(부피용적)에 대한 공극비 즉, 백분율로 표시한 것을 진실한 기공율이라고 하고, 측정방법은 액체 또는 기체에 의한 치환법 및 흡수법 등에 의하지만, 간편법으로서는 JISR 2614의 내화단열 연와의 비중 및 기공율의 측정방법에 정의되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The porosity is the ratio of all pore volumes between open and closed pores contained in the porous material in terms of the pore ratio, i.e., percentage to the exclusive volume (volume volume) of the material.The true porosity is measured by liquid or gas. Although it is based on a substitution method, an absorption method, etc., as a simple method, it calculates as follows, as defined by the measuring method of specific gravity and porosity of the fire-resistant insulation lead of JISR 2614.

또한 개공의 용적비율을 소재의 전면적(부피용정)에 대한 공극비 즉, 백분율로 표시한 것을 겉보기 기공율이라 하고, JISR 2205 내화연와의 겉보기 기공율, 흡수율 및 비중측정방법에 정의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In addition, the volume ratio of the opening is expressed as the porosity ratio, i.e., as a percentage of the total area of the material (volume solution), and is referred to as the apparent porosity.As defined in JISR 2205 Refractory Lead, the apparent porosity, absorption and specific gravity, Is calculated.

더우기 겉보기 기공율은 유효기공율이라고도 한다.Furthermore, the apparent porosity is also called the effective porosity.

세공경은 세공용적 및 비표면적의 측정치에서 얻어지지만 원자나 이온의 크기에 근사한 것에서부터 입자단의 계면간극까지 수 A에서 수 mm까지 분포하지만 일반적으로 그 분포의 평균치로 정의되는 것이다.The pore diameter is obtained from measurements of pore volume and specific surface area, but it is distributed from several A to several mm from the approximate size of atoms or ions to the interfacial gap of the particle stage, but is generally defined as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ribution.

다공질소재에 있어서는 현미경에 의한 방법이나 수은 압입법으로 기공의 형상, 크기 및 그분포를 측정할수 있는 것이다.In a porous material, the shape, size and pore size of the pores can be measured by a microscope method or a mercury intrusion method.

일반적으로는 복잡한 기공의 형상이나 분포의 상태를 정확하게 알기위하여서는 현미경을 사용하는 것이 직접적이어서 바람직하다. 비표면적의 측정은 각종흡착 가스질의 각온도에서 흡착 등온선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BET법이 많이 사용되며, 특히 질소가스가 많이 사용된다.In general, it is preferable to use a microscope to accurately know the shape and distribution of complex pores. In the measurement of specific surface area, the BET method obtained by using an adsorption isotherm at various temperatures of various adsorption gaseous materials is used a lot, and in particular, nitrogen gas is used a lot.

다음에 본 고안의 전제인 특정재료에 의한 빛에너지의 흡수와 그것에 의한 가스의 압력저하의 모양은 무기질 고다공재료를 예로하여 설명한다.Next, the absorption of light energy by a specific material, which is the premi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 of the pressure drop of the gas by the specific material will be described using an inorganic porous material as an example.

제6도는 무기질 고다공소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33)은 무기질 고다공소재. (34)는 무기물표면에 개통된 개공을 표시한 것이다. 개공(34)의 세공경은 수 μ에서 수mm까지 대소각양의 분포를 표시한 것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organic high porous material. 7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33) is an inorganic high porous material in the same drawing. (34) shows the openings opened on the inorganic surface. The pore diameter of the opening 34 indicates the distribution of large and small amounts from several μ to several mm.

이 다공소재(33)에 제7도의 R표시와 같이 빛이 입사할경우에 빛이 개공(34)에 입사하면, 빛은 무기물의 벽면에 당접하고 반사되어 그 세공의 내부에서 다중 반사되어 결국은 벽면에 100%흡수되어 버린다.When light enters the aperture 34 when light enters the porous material 33 as indicated by the R mark in FIG. 7, the light abuts and reflects on the wall of the inorganic material and is multi-reflected in the interior of the pore. 100% will be absorbed by the wall.

즉, 개공(34)에 입사한 빛은 무기물 표면에 직접 흡수되어 세공내에서 열이 되는 것이다.That is, light incident on the opening 34 is absorbed directly by the surface of the inorganic material and becomes heat in the pores.

제8도는 무기질 고다공재료를 모델 용기내에 넣은것에 있어서 그 무기질 고다공재료의 겉보기 기공율을 변화시킨때의 모델용기내 압력변화의 곡선도를 표시한 것이다.FIG. 8 shows the curve of pressure change in the model container when the inorganic high porosity material is put into the model container when the apparent porosity of the inorganic high porosity material is changed.

제8도에서 횡축은 겉보기 기공율, 종축은 용기내벽을 Cu, Fe, Al 등의 금속으로 구성한때의 압력을 1로하여 규격화하였다. 실험조건으로서는 일변이 10cm의 입방체의 밀폐용기내에 Agw접점을 10mm 정갭(定 GAP)에 설치하고 피이크 10KA의 정현파전류의 아아크를 8ms(미리초)발생시키고, 이때의 에너지로 생기는 용기내 압력은 측정하고 있다.In Fig. 8, the abscissa axis is the apparent porosity, and the ordinate axis is normalized to a pressure of 1 when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is made of metal such as Cu, Fe, and Al. As an experimental condition, an Agw contact was placed in a 10 mm fixed gap in a sealed container of a 10 cm cube on one side, and an arc of sinusoidal current of peak 10KA was generated 8 ms (mm), and the pressure in the vessel generated by the energy at this time was measured. Doing.

상기 실시예에 사용한 무기질 고다공재료로서는 코오지라이트 재질의 도자기원료를 가연성 또는 발포제를 첨가하는등의 방법으로 성형하고 소결하여 다기공으로한 다공질도자기로서, 평균세공경 범위 10-300μ, 다공질 소재의 겉보기 기공율 20%, 30%, 35%, 40%, 45%, 50%, 60%, 70%, 80%, 85%의 것으로서, 50mm×50mm×4mm의 각종 샘플을 사용하고 이것을 용기벽면에 배치하고 용기내면의 표면적의 50%를 덮도록 하였다. 세공경으로서는, 흡수되는 빛의 파장영역을 약간 초과하는 정도의 평균세공경과 그 세공이 점유하는 비율 즉, 세공의 비표면적의 다소가 문제가 된다.The inorganic high porous material used in the above embodiment is a porous ceramic made by sintering and sintering a porcelain material made of Kojilite by adding a flammable or foaming agent, etc., and having an average pore size in the range of 10-300 µ, the apparent material of the porous material. Porosity 20%, 30%, 35%, 40%, 45%, 50%, 60%, 70%, 80%, 85%, using various samples of 50mm × 50mm × 4mm and placing them on the container wall 50% of the surface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was covered. As the pore diameter, there is a problem of an average pore diameter of a degree slightly exceeding the wavelength region of light to be absorbed, and the proportion occupied by the pore, that is, the somewhat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pore.

또한 빛의 세공내흡수에 있어서는 세공이 깊은 것이 효과가 있고 연통기공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ep pore is effective in absorbing light in pores, and communicating pores are preferred.

개폐기에서 아아크 A가 발하는 빛은 수백 A°-10000A°(1μm)에 분포되므로, 이것을 약간 초과하는 정도, 즉 수천 A°-수 1000μm의 평균세공경의 것이 적합하고, 표면에 공이 점유하는 면적이 겉보기 기공율 35%이상이 되는 고다공질 재료가 아아크 A가 발하는 빛의 흡수에 적합하다.The light emitted by arc A in the switchgear is distributed in the hundreds of A ° -10000A ° (1 μm), so that it is slightly above this, that is, an average pore diameter of several thousand A °-several 1000 μm, and the area occupied by the ball on the surface is suitable. A highly porous material with an apparent porosity of 35% or more is suitable for absorbing light emitted by Arc A.

특히 세공경상한이 1000μm이하의 범위에 있고, 세공의 비표면적이 클수록 효과가 있다. 실험으로서는 평균세공경 5μ-1mm에서 아아크의 발생하는 빛에 대하여 양호한 흡수특성을 표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In particular, the upper limit of the pore is in the range of 1000 µm or less, and the larger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pores, the more effective. As an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good absorption characteristics were displayed with respect to light generated in the arc at an average pore diameter of 5 µ-1 mm.

또한 재질이 유리로서 평균세공경이 5μ, 20μ이고 아아크 발생빛에 대하여 양호한 빛의 흡수를 관측하였다.In addition, the material was glass, and the average pore diameter was 5 mu and 20 mu, and good light absorption was observed for the arc-generated light.

제8도의 특성곡선 a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무기질 고다공재료의 기공은 빛에너지를 흡수하고 개폐기내부의 압력을 저하하는 효과가 있고 이것은 다공질소재의 겉보기 기공율의 증대와 함께 커져서, 특히 기공율이 35%이상에서 현저하게 되어 85%까지의 범위에서 효과가 확인되었다.As can be seen from the characteristic curve a of FIG. 8, the porosity of the inorganic high porous material absorbs light energy and lowers the pressure inside the switch, which increases with the apparent porosity of the porous material, and the porosity is 35%. As mentioned above, it became remarkable and the effect was confirmed in the range up to 85%.

기공율이 더욱 증대되면 고다공재료의 두께를 일층 증가시키는 것에 의하여 대응시킬 필요가 있다. 단 다공질 소재의 겉보기 기공율과 기계적 강도의 관계에 있어서 기공율이 커지면, 약하여지거나 열전도성이 저하되어 고열에 의하여 용융되기 쉽고, 또한 기공율이 작을경우에는 개폐기내 감압효과가 얇다.If the porosity is further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correspond by further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highly porous material. Howe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parent porosity an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porous material, when the porosity becomes large, it becomes weak or degrades thermal conductivity, and is easily melted by high heat, and when the porosity is small, the pressure reduction effect in the switch is thin.

따라서 실용적으로는 다공질소재의 겉보기기공율이 40-70%범위의 고다공질 재료가 가장 적합하다.Therefore, in practice, a porous material having an apparent porosity of 40-70% is most suitable.

제8도의 특성경향은 무기질다공재료 전반에 대하여서 말할수 있는 것으로서, 이것은 빛의 흡수에 관한 이상의 설명에서도 추측할수 있는 것이다.The characteristic tendency of FIG. 8 can be talked about the overall inorganic porous material, which can be estimated from the above description of light absorption.

종래의 개폐기에는 무기질 재료가 사용된 것이 있으나, 그 사용목적은 특히 유기물 용기의 아나크로부터의 보호가 주목적이고 그 특성은 내아아크성, 수명, 열전도, 기계적강도, 절연성 탄화대책이 요구되었고 이것들을 만족시키는 무기질재료는 필연적으로 치밀화 경향으로 구성되어 목적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그 겉보기 기공율을 20%전후로 되어있다.In the conventional switchgear, inorganic materials are used, but its purpose is to protect the organic container from anarch, and its characteristics are arc resistance, service life, thermal conductivity, mechanical strength, and insulation carbonization measures. The satisfying inorganic material is necessarily composed of densification tendency and serves different purposes, and its apparent porosity is around 20%.

고다공질 소재로서는 무기, 금속, 유기계등이 있으나, 그중에서도 무기계는 절연물이며 고융점 재료로 특징지어 지는 것이다. 이 2가지 성질은 개폐기 용기내부에 설치하는 재료로서는 적당하고 전기적으로 절연물이어서 차단에 대하여 나쁜 영향이 적고, 또한 고온에 노출되어도 용융되거나 가스를 방출되기 어렵기때문에 압력 억제재료로서 가장 적당한 것이다.The inorganic material is inorganic, metal, organic, etc., but the inorganic material is an insulator and is characterized by a high melting point material. These two properties are most suitable as pressure suppressing materials because they are suitable as a material to be installed inside the switchgear container and are electrically insulated, have a low adverse effect on the interruption, and are difficult to melt or release gas even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무기질 다공재료로서는 다공질의 도자기, 내화물, 유리, 시멘트 경화체등이 있고 모두가 개폐기내의 가스압력의 저하를 위하여 사용된다.Inorganic porous materials include porous ceramics, refractory materials, glass, hardened cement, etc., all of which are used for reducing the gas pressure in the switch.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9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관한 회로차단기의 일부 절개측면도, 제10도는 요부의 사시도이다.9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이들 도면에 있어서(4)는 고정접촉자로서 상기 고정접점(6)에 접탈하는 가동접점(9)은 가동도체(8) 선단 하면에 고착한 것이다.In these figures, 4 is a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9 which contacts the fixed contact 6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conductor 8.

(35), (35)는 2배 1조의 빛흡수체이고 무기질, 유기질, 무기질과 유기질과의 복합재중에서 선정되며, 섬유, 망 및 겉보기 기공율 35%이상의 다공질재료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복합재로 구성되었다.(35) and (35) are two times one set of light absorbers and are selected from inorganic, organic, inorganic and organic composites, and include one or two or more composites of fiber, net and porous materials with an apparent porosity of 35% or more. Configured.

빛흡수체(35)(35)는 가동접촉자(7)를 고정접촉자(4)에서 개리한때에 발생한다. 가동접점(9)과 고정접점(6)간의 아아크 A를 양측에서 협지하도록 상호 대향 배치되어 있다.The light absorbers 35 and 35 are generated when the movable contact 7 is opened from the fixed contact 4. The arcs A between the movable contact 9 and the stationary contact 6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so as to sandwich the arc A from both sides.

(36)은 L자형의 열흡수체이고, 가동접촉자(7)의 이동궤적부분을 제외하고 빛흡수체(35)(35)의 대향면간의 상측개구부(37a), 후방개구부(37b)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36 is an L-shaped heat absorber and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upper opening 37a and the rear opening 37b betwee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light absorbers 35 and 35 except for the moving track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 7. It is.

열흡수체(36)는 동, 철, 스테인레스, 알미늄, 니켈등의 금속 또는 합금등을 소재로하는 금속세선의 집합체, 다공질금속, 다수의 소공이 있는 금속판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복합재에 의하여 구성되었다.The heat absorber 36 is made of one or two or more kinds of composites of metal fine wires made of metals or alloys such as copper, iron,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and the like, porous metals, and metal plates having many pores. Configured.

기타의 구성에 대하여서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다음에서 상기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가동접촉자(7)를 고정접촉자(4)에서 개리하면 가동접점(9)과 고정접점(6)간에 아아크 A가 발생한다. 빛흡수체(35)(35)는 아아크 A의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접점 측면설치라고 하여도 아아크 A가 방출하는 빛의 에너지를 받는 입체각이 매우크므로 압력발생원인 빛의 에너지를 흡수한다는 전술의 작용효과가 매우 양호하게 이루어져서 차단시의 용기내압이 현저하게 저하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movable contact 7 is opened at the fixed contact 4, arc A is generated between the movable contact 9 and the fixed contact 6. Since the light absorbers 35 and 35 are located closest to the arc A, since the solid angle of receiving the energy of the light emitted by the arc A is very large even in the case of contact side installation, the light absorber 35 and 35 absorb the energy of the light that is a pressure source. The effect is very good,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at the time of blocking is significantly reduced.

그결과 종래 발생하기 쉬웠던 차단시의 몰드 용기파손이 없게되므로 커버(1), 베이스(2)로된 용기(3)의 기계적 강도를 경감시킬수 있게되어 커버(1), 베이스(2)를 형성하는 몰드소재량을 대폭 절감하거나, 커버(1), 베이스(2)의 소재로서 기계적 강도가 낮은 저렴한 그레이드(glad)소재를 사용하여 커버(1), 베이스 (2)의 생산코스트다운을 할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there is no damage to the mold container at the time of breaking, which is easy to occur in the past, so that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container 3 including the cover 1 and the base 2 can be reduced, thereby forming the cover 1 and the base 2.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mold material to be used, or the production cost of the cover (1) and the base (2) can be reduced by using a cheap grade material having low mechanical strength as the material of the cover (1) and the base (2). will be.

더우기 상기용기내압의 저하에 의하여 차단시에 용기(3)의 아아크방출 불꽃량이 저감되어서 전류차단시의 전원측의 단락사고등의 2차적재해가 예방되는 외에 상기 용기내압의 저하와 함께 아아크온도가 저하되고 아아크 A를 양측에서 빛흡수체(35)(35)로 협지하는 것으로 하여 종래에 있었던 바와 같은 아아크 A근방의 금속물, 절연물의 용융증발에 기인되는 전원부하간의 메그옴(megohm) 및 상간의 메그옴의 저하가 방지되어서 안전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arc discharge spark amount of the container 3 is reduced at the time of interruption by the lowering o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thereby preventing secondary loads such as a short circuit accident on the power supply side at the time of current interruption. The arc A is sandwiched by the light absorbers 35 and 35 on both sides, so that the megs between the power load caused by the melt evaporation of the metal near the arc A and the insulation of the arc A and the phase between the phases Ohm deterioration is prevented to improve safety and reliability.

또한 열흡수체(36)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빛흡수체(35)(35)간의 개구부(37a) (37b)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개구부(37a)(37b)에 향하여 배출되는 접점(6)(9) 및 도체 (5)(8)의 용융물이 열흡수체(36)에 부착하고, 차단후의 접점간 및 상간의 메그옴이 향상된다.Since the heat absorber 36 is disposed to face the openings 37a and 37b between the light absorbers 35 and 35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6 discharged toward the openings 37a and 37b. The melts of (9) and conductors (5) (8) adhere to the heat absorber (36), and the megohm between the contacts after the interruption and between the phases is improved.

또한 열흡수체(36)는 빛흡수체(35)(35)를 경유한 후의 고온기체를 작용시키므로 열흡수체(36)상에 직접 아아크 A의 뿌리가 형성되기 어렵고, 아아크의 뿌리가 형성됨으로써 생기게 되는 불이익 즉, 열흡수체(36)의 용융중발에 의한 아아크전압의 저하, 메그옴의 저하등이 없고, 열전도율이 높은 표면적이 큰 열흡수체(36)에 의하여 빛흡수체(35)(35)를 흡수하지 못한 빛에너지의 흡수 및 열에너지를 보충하여 용기내압의 저하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heat absorber 36 acts on the hot gas after passing through the light absorbers 35 and 35, it is difficult to form the root of arc A directly on the heat absorber 36, and the disadvantages caused by the formation of the arc of arc That is, there is no drop in arc voltage and megohm due to melt-breaking of the heat absorber 36, and the light absorbers 35 and 35 are not absorbed by the heat absorber 36 having a large surface area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Absorption of light energy and replenishment of thermal energy will have the effect of promoting the drop in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제11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이며, 빛흡수체(35)(35)간의 배면에만 열흡수체(36)를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11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at the heat absorber 36 is provided only on the back surface between the light absorbers 35 and 35.

더우기 빛흡수체(35)(35)의 소재로서는 마그네시아 또는 질코니아등을 주성분으로하는 무기질 다공물질을 사용하면 빛흡수체표면이 아아크에 직사되어 고온화하여도 유리화되지 않고 결정화하므로 아아크기간중 빛흡수체표면의 메그옴이 저하하지 않고 양호한 차단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when the inorganic porous material mainly composed of magnesia or zirconia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light absorbers 35 and 35, the surface of the light absorber is crystallized without vitrification even if it is directly heated to the arc. It is possible to obtain good blocking performance without deteriorating megohms.

더우기 상기 무기질 다공질재료의 표면을 열처리에 의하여 경화되거나 무기질 다공물질에 유기질을 적당하게 복합시키면 내압저하시키는 작용에 커다란 지장을 생기게 함이 없이 개폐기의 진동 충격에 의한 빛흡수체(35)(35)의 분말척출을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Furthermore, when the surface of the inorganic porous material is cured by heat treatment or an organic compound is suitably combined with the inorganic porous material, the light absorber 35, 35 of the light absorber 35 may be affected by the vibration impact of the switch without causing a great obstacle to the pressure-lowering effect. It can prevent powder extraction.

상기한 설명에 의하여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 개폐기에 의하면 빛흡수체와 열흡수체를 설치함으로써 내압을 효과적으로 저하시켜서 안전성 및 신뢰성을 높이고 코스트다운을 기도할 수 있는 것이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inventive switch, the light absorber and the heat absorber are installed to effectively lower the internal pressure, thereby increasing safety and reliability, and praying for cost down.

Claims (3)

도체 및 도체에 고착된 접점으로 구성되며, 용기내에서 개폐동작하는 최소 한쌍의 전기접촉자(4)(7)와, 상기 접점간의 개리시에 발생하는 아아크를 양측에서 협지하도록 상호 대향면이 있는 빛흡수체(35)와, 상기 전자접촉자(4)(7)의 운동궤적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빛흡수체(35)의 대향면간의 개구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열흡수체(36) 등을 구비하고, 상기 빛 흡수체(35)를 무기계, 유기계, 무기계와 유기계와의 복합재중에서 선정되며, 섬유, 망 및 겉보기기공율 35%이상의 다공질 재료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복합재로 구성되고 상기 열흡수체(36)는 금속세선의 복합체, 다공질금속, 다수의 소공이 있는 금속판중의 1종 또는 2종이상의 복합재로 구성된 개폐기.Consists of a conductor and a contact fixed to the conductor, the light having a mutually opposing surface so as to sandwich the at least one pair of electrical contacts (4) (7) (7) and the arc that occurs during opening between the contacts on both sides. An absorber 35 and a heat absorber 36 disposed to face the opening betwee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light absorber 35 except for the motion traces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s 4, 7, and the like. The absorber 35 is selected from inorganic, organic, and inorganic and organic composites, and is composed of one or two or more composites of fiber, net, and porous material having an apparent porosity of 35% or more, and the heat absorber 36 is made of metal. Switchgear composed of one or two or more composites of thin wire composites, porous metals, and metal plates with many pores. 제1항에 있어서, 빛흡수체(35)의 표면을 열처리에 의하여 경화시켜서된 개폐기.The switchgea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rface of the light absorber (35) is cured by heat treatme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빛흡수체(35)는 마그네시아 또는 질코니아를 주성분으로 하여 형성된 개폐기.The switch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ight absorber (35) is formed mainly of magnesia or zirconia.
KR2019840001314U 1984-02-18 1984-02-18 Switches KR89000133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1314U KR890001334Y1 (en) 1984-02-18 1984-02-18 Switch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1314U KR890001334Y1 (en) 1984-02-18 1984-02-18 Switch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180U KR850007180U (en) 1985-10-04
KR890001334Y1 true KR890001334Y1 (en) 1989-03-31

Family

ID=1923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1314U KR890001334Y1 (en) 1984-02-18 1984-02-18 Switch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334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180U (en) 1985-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5598A (en) Circuit breaker
US4521653A (en) Circuit breaker with arc light absorber
US4516003A (en) Circuit breaker with arc light absorber
KR890001334Y1 (en) Switches
US4516002A (en) Circuit breaker with arc light absorber
JPH0132673Y2 (en)
JPH029480Y2 (en)
JPH0335769B2 (en)
JPS5979933A (en) Switch
KR870002152B1 (en) Switch
JPS58181228A (en) Switch
JPH0451926B2 (en)
JPS58181247A (en) Switch
JPS58181238A (en) Switch
JPS58181232A (en) Switch
JPS58181231A (en) Switch
JPH03734B2 (en)
JPS58181241A (en) Switch
JPS5987734A (en) Switch
JPS58181245A (en) Switch
JPS58181246A (en) Switch
JPS58181234A (en) Switch
JPS58181235A (en) Switch
JPS58181230A (en) Switch
JPS58181244A (en)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