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021B1 - 총기로 발사할 수 있는 탄환 - Google Patents

총기로 발사할 수 있는 탄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021B1
KR890001021B1 KR1019830005558A KR830005558A KR890001021B1 KR 890001021 B1 KR890001021 B1 KR 890001021B1 KR 1019830005558 A KR1019830005558 A KR 1019830005558A KR 830005558 A KR830005558 A KR 830005558A KR 890001021 B1 KR890001021 B1 KR 890001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ical
bullet
curvature
radiu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524A (ko
Inventor
라디리에르 세르쥐
Original Assignee
라디리에르 세르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2794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9000102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라디리에르 세르쥐 filed Critical 라디리에르 세르쥐
Publication of KR840006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0Projectiles or missi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e.g. by the launching apparatus or weapon used
    • F42B30/02Bul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5/00Cartridge ammunition, e.g. separately-loaded propellant char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총기로 발사할 수 있는 탄원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탄환의 축방향 단면도.
제2a도는 및 1b도는 제1도에 도시한 탄환의 두 구성부분의 각각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탄환의 축방향 단면도.
제2a도, 제2b도, 제2c도는 제2도에 도시한 탄환의 세 구성부분의 각각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탄환의 축방향 단면도.
제3a도, 제3b도, 제3c도는 제3도에 도시한 탄환의 세구성 부분의 각각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탄환의 축방향단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제4도에 도시한 탄환의 두 구성부분의 각각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심부 2 : 후부
4 : 전부 5 : 원추형 핑거
6 : 원추형 하우징 8 : 후면
15 : 축방향 트러스트면 17 : 원추형약실
A2, A4, A6, D3, B2, B4: 산부 A3, A5, B14, B3: 곡부
본 발명은 총기로 발사할 수 있는 탄환으로서, 중심부와, 그 직경에 의하여 탄환의 직경이 정하여지는 후부 및 상기 중심부와 후부 사이를 잇는 결합 수단으로 이루어진 탄환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탄환에 있어서 제기되는 문제는 이들 결합 수단의 구조에 있다. 결국 그 구조는 기계적 관점에서, 탄환이 발사된때, 특히 총신에 선조(旋條)가 있는 총으로 발사된 때 이음매가 없는 일체로된 탄환처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만드느냐 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환에 있어서 제기되는 또다른 문제는 그후 부의 형상에 있다. 즉 후부의 케이스에 결합되어야만 하고, 또 일단 발사되면 총신에 부합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이와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결합수단에는, 한편으로 원추형 하우징과 그것에 일치하는 형태로 자동조임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배치된 원추형핑거로 구성된 원추형 슬리이브 커플링과, 다른 한편으로 축방향 트러스트 면을 포함하고, 후부에는 총신에 부합되는 하나이상의 산부와 하나이상의 곡부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산부와 곡부가 서로 순서대로 연결되어 일정한 모양으로 되어 있다.
원추형 슬리이브 커플링의 자동클램핑(self-clamping)과 축방향 트러스트면에서의 구속 효과에 의해서 탄환은 발사될때 이음매 없는 일체로 된 탄환으로서 작용한다. 이것은 그 탄환을 총신에 선조가 있는 총으로 발사하는 때에 특히 평가할만하다. 후부가 선조와 맞물려서 그것이 회전 상태로 이동하려는 순간에, 후부와 중심부 사이에서의 슬라이딩이라는 어떠한 손실이없이 각 가속도가 전달된다고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이 탄환은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중신부의 재료(경질, 반경질 또는 연질재료)를 선택하고, 후부의 재료(가능한한, 가장 양호한 상태로 총신에 부합되는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탄도학적 관점에 볼때 일체로된 탄환으로서의 장점을 손실하지 않는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그 탄도학적 특성과, 그것이 두부분으로 이루어진것으로 인한 형태와 재료의 선택가능성에 의해 초래되는 큰 팽창 효과로 인하여, 관통력이 큰 탄환이 만들어지는 것이 된다.
그 외에도, 탄환흡부의 외부구조 및 그것에 포함되어 있는 산부의 형태로 인해 한편으로는, 우선적으로 케이스를 탄환에 체결하는 효율이 좋게되는 것과 이어서 탄환과 총신의 내벽 사이의 밀봉이 좋게되는 것으로 인하여, 화약의 연소후의 압력이 좋게 되는 것과, 다른 한편으로는 탄환이 총신에 부합되는 부분에 도달하였을때, 점진적 회전이행, 즉 적은 축방향 감속도를 가지고 일어나는 점진적 회전이행이 가능하게 된다.
케이스를 탄환에 체결하는 것에 관해서는, 그것은 후부의 산부의 레벨이나, 곡부의 레벨에서 행해도 좋고, 어느 것으로 하여도 그 체결효과는 좋게된다.
탄환의 공기 역학적 특성은 통상의 탄환에 비해 개선된다. 그것은, 총신에 의해서 탄환의 후부에 남게되는 탄환이, 이 후부의 산부만으로 한정되어, 탄환의 경우 없을 수 없었던 공기저항이 통상의 탄환의 경우에 비해 현저히 적게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에 의한 탄환은 특히 그 초기속도와 충격속도에 관한, 정밀하고 강력하다는 특성이 있으며, 이 두가지 특성은 재래식 탄환에 비하여 더 우수하다. 더구나, 본 발명에 의한 탄환을 발사하는 총신의 수명은 특히, 총신에 선조가 있는 총인 경우에 개선된다. 그것은 탄환후부의 형상에 기인하여 회전으로의 이행이 점진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설계의 요점으로서, 원추형 핑거가 중심부에 설치되어 있고, 원추형 하우징은 후부에 설치된다.
원추형 슬리이브 커플링은 구조면으로 볼때, 그 축방향 길이가 적어도 그 평균 직경과 동등하게, 바람직하게는 평균직경의 2배이상 크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원추형 슬리이브 커플링의 각도는 대개 3°이상 2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추형 슬리이브 커플링은 경사각이 서로 다른 두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설계의 요점으로서, 탄환의 후부에 형성된 산부와 곡부가 그 중심부와 이어져서 일정 모양의 형태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유리한 설계의 요점으로서, 탄환의 후부에 형성된 산부와 곡부가, 중심부의 원추형 앞 부분을 덮는 전부와 이어져서 일정한 모양의 형태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방법으로서는, 탄환 후부 사이에 곡부를 끼우고 순서대로 늘어놓은 산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그리고 각각의 산부와 곡부의 곡률 반경을 서로 같게한다. 후부내에 설치된 원추형 하우징은 이 후부의 후면까지 통하는 것이 좋고, 이 경우 중앙부의 원추형 핑거는 이러한 후면에 까지 뻗어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원추형 핑거에는 프랜지를 고정하기 위한 원추형의 구멍을 설치하고, 이 프랜지에는 원추형의 구멍에 일치하는 형의 원추형의 돌기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중심부는 끝을 둥글게 한 원추형 혹은 뾰족하게한 탄두형을 외형으로 할 수도 있다.
유리한 방법으로서, 중심부는 그 원추형 핑거의 형과 대칭형의 원추형 앞 부분을 형성하고, 이 원추형 앞부분에 일치하는 형의 원추형 약실을 가지는 전부에 의하여 덮여 있으며, 이 전부는 후부의 모양과 대칭되는 모양으로 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에 표시된 바와같이, 탄환은 중심부(1)와, 그 직경에 의하여 탄환의 직경이 정하여지는 후부(2) 및 상기 중심부(1)와 후부(2)사이의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수단은 원추형 하우징(6)과 그것에 일치하는 형태로 자동조임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배치된 원추형 핑거(5)로 구성된 원추형 슬리이브 커플링(6, 5)과, 축방향 트러스트면(15)을 포함한다.
후부(2)에는 총신부에 부합되게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부(A2, A4, A6, D3, B2, B4)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부(A3, A5B14B3)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산부와 곡부가 서로 순서대로 연결되어 일정한 모양으로 되어 있다.
제1도, 제1a도, 제1b도, 제2도, 제2a도, 제2b도, 제2c도, 제3도, 제3a도, 제3b도, 제3c도, 제4도, 제4a도 및 제4b도에 각각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원추형 핑거(5)는 중심부(1)에, 원추형 하우징(6)은 후부(2)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도, 제1a도, 제1b도, 제2도, 제2a도, 제2b도, 및 제4도, 제4a도, 제4b도에 각각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후부(2)에 형성된 산부(A2, A4, A6, B2, B4)및 곡부(A3, A5, B3)는, 중심부(1)와 같이 일정한 모양으로 되어 있다.
제3도, 제3a도, 제3b도 및 제3c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후부(2)에 형성된 산부(D3) 및 곡부(B14)는 또한, 중심부(1)의 원추형 앞부분(14)에 끼워져 있는 전부(4)와 일정한 모양으로 되어 있다.
제1도, 제1a도, 제1b도, 제2도,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에 각각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후부(2)에 곡부(A3, A5)를 사이에 두고 분리된 일련의 산부(A2, A4, A6)포함되어 있다. 산부(A2, A4, A6)의 곡류반경(R2, R4, R6)은 서로 동등하고, 또 곡부(A3, A5)의 곡률반경(R3, R5)과도 동등하다.
제1도, 제1a도 및 제1b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후부(2)의 첫번째 산부 (A2)가 접속부(1)에 의해서 중심부(1)에 연결되어 있고 이 접속부(A1)는 산부(A2)의 곡류반경 (R2)과 곡률반경(R1)으로 되어 있다.
제1도, 제1a도, 제1b도, 제2도, 제2a도, 제2b도, 제2c도에 각각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후부(2)의 마지막 산부(A6)는 이 산부(A6)에 접하는 원추형 연결부분(7)에 의하여 상기 후부(2)의 후면(8)에 연결되어 있다.
위의 두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후부(2)의 후면(8)의 직경(9)은, 후부(2)의 마지막 산부(A6)의 곡률반경(R6)의 두배와 같게되어 있다.
제1도, 제2도에 명백히 표시된 바와같이, 탄환을 케이스(E)에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경우에, 후부(2)의 첫번째 산부(A2)와의 마지막 산부(A6)사이에 있는 중간산부 (A4)위에 케이스(E)가 삽입된다.
제2도,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후부(2)에 형성된 원추형 하우징(6)은 이 후부(2)의 후면(8)에 통하여 있고, 중심부(1)의 원추형핑거 (5)가 상기 후면(8)에 까지 뻗어있으며, 이 원추형 핑거(5)에는 프랜지(25)를 고정하기 위한 원추형의 구멍(23)이 있고, 이 프랜지(25)에는 원추형의 구성(23)에 일치하는 형의 원추형의 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원추형 슬리이브 커플링(6,5)은 제2도, 제2a도, 제2b도, 및 제4도, 제4a도 및 제4b도에 명백히 표시된 바와같이, 경사각이 서로 다른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중심부(1)에 형성된 원추형 핑거(5)는, 처음에는 경사각(α3)으로 하고, 이어서(α3)보다 더 적은 경사각(α4)으로 하며, 후부(2)에 형성된 원추형 하우징(6)은 처음에는(α3)과 같은 경사각(α1)으로 하고, 이어서 (α4)와 같은 경사각(α2)으로 한다(제2도, 제2a도, 제2b도 및 제4도, 제4a도, 제4b도).
제1도 및 제1a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중심부(1)는 끝이 둥근선단(3A)으로된 원추형(3)으로 되어 있다.
제2도 및 제2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중심부(1)는 끝이 뾰족한 선단(13a)으로 된 일정한 모양의 탄두형(13)으로 되어 있다.
제3도, 제3a도, 제3b도 및 제3c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심부(1)는 원추형 핑거 (5)의 형과 대칭형의 원추형 앞부분(14)이 있고, 이 원추형 앞부분(14)에 이리하는 형의 원추형 약실(17)을 가지는 전부(4)에 의하여 덮여 있으며, 이 전부(4)는 후부(2)의 모양과 대칭적인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부(4)에 산부(D1)가 있고, 그 직경은 후부(2)의 산부(D3)의 직경과 같거나, 그보다 약간 적다.
제3도, 제3a도, 및 제3c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부(2)의 후면(8)은 산부(D3)에 연결된 곡률반경(R13)에 의해 일정한 모양으로 되어 있고, 전부(4)의 전면(18)은 산부(D1)에 연결된 곡류반경(R11)에 의해 일정한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곡률반경들(R12, R11)은 서로 같다.
제3도, 제3a도 및 제3c도에서 또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후부(2)에는, 앞쪽으로 향해서 가느다란 부분으로 되는 일정한 모양이 곡률반경(R14)의 곡부(B14)에 의하여 구성되어, 그것이 전부(4)에 연결되고, 전부(4)에는 뒤쪽으로 향해서 가느다란 부분으로 되는 일정한 모양이 곡률반경(R12)의 곡부(B12)에 의하여 구성되어, 그것이 후부(2)의 앞부분에 연결되고, 이러한 곡률반경들(R14, R12)은 서로 같다.
제3도에 명백히 표시된 바와같이, 탄환을 케이스(E)에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경우에, 후부(2)에서 산부(D3)의 앞쪽에 위치한 곡부(B14)속에 케이스(E)가 삽입된다.
이 경우, 이러한 후부가 위치하는 곳에 얕은 홈(G)을 설치하는 것도 좋다. 중심부 (1)의 원추형 앞부분(14)은 축방향 트러스트면(33)에 의해서 전부(4)와 함께 작용한다.
제4도,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같이, 후부(2)에는 뒷쪽에 위치한 산부(B4)가 후방에 위치하고, 앞쪽에 위치한 산부(B2)가 전방에 위치해서, 이들 직경이 뒷쪽에 위치한 산부(B4)의 직경과 같거나, 그것보다 작고, 직경이 가느다란 부분이 곡부(B3)에 형성되어 있어, 이것이 산부(B2, B4)에 연결된다.
제4도, 제4a도 및 제4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뒷쪽에 위치한 산부(B4)의 곡률반경(S4)은 앞쪽에 위치한 산부(B2)의 곡류반경(R2)과 같거나 더 크고, 곡부(B3)의 곡률반경(S3)이 앞쪽에 위치한 산부(B2)의 곡률반경(S2)과 같거나 더 크다.
제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탄환을 케이스(E)에 삽입할 수 있게 되어있는 경우에, 후부(2)에서 앞쪽에 위치한 산부(B2)와 뒷쪽에 위치한 산부(B4)사이에 위치한 곡부(B3)속에 케이스(E)를 삽입된다.
어느 실시예를 취한다해도, 본 발명은 상기 설명의 도입부분에서 명백히 제시한 바와같은 장점을 가진 탄환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구나 본 발명은 제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통상의 탄환에 비하여 원자가 싼 탄환을 생산할 수 있다.
실시범위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하여 어떠한 직경의 탄환도 만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보통탄, 철갑탄, 철갑소이탄, 철갑소이예광탄, 소이탄, 예광탄, 폭열용 소총탄 등 여러 유형의 탄환도 만들 수 있다.

Claims (25)

  1. 중심부(1)와, 그 직경에 의하여 탄환의 직경이 정하여지는 후부(2) 및 상기 중심부(1)와 후부(2)사이를 잇는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진 총기로 발사하게 되어 있는 탄환에 있어서, 이러한 결합수단은 원추형 하우징(6)과, 그것에 일치하는 형태로 자동조임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배치된 원추형 핑거(5)로 구성된 원추형 슬리이브 커플링(6, 5)과, 축방향 트러스트면(15)을 포함하고, 후부(2)에는 총신에 부합되게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부(A2, A4, A6, D3, B2, B4)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부(A3, A5, B14B3)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산부와 곡부가 서로 순서대로 연결되어 일정한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2. 제1항에 있어서, 산부(A2, A4, A6, B2, B4)와 곡부(A3, A5, B3)가 중심부(1)와 같이 일정한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3. 제1항에 있어서, 산부(D3) 및 곡부(B14)가, 중심부(1)의 원추형 앞부분(14)에 끼워져 있는 전부(4)와 일정한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4. 제1항에 있어서, 원추형 핑거(5)가 중심부(1)에 형성되어 있고, 원추형 하우징(6)이 후부(2)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5. 제1항에 있어서, 후부(2)에 곡부(A3, A5)를 사이에 두고 분리된 일련의 산부 (A2, A4, A6)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6. 제5항에 있어서, 산부(A2, A4, A6)의 곡률반경(R2, R4, R6)이 서로 동등하고, 곡부(A3, A5)의 곡률반경(R3, R5)과도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7. 제5항에 있어서, 후부(2)의 첫번째 산부(A2)가 접속부(A1)에 의해서 중심부 (1)에 연결되어 있고, 이 접속부(A1)는 산부(A2)의 곡률반경(R2)과 동등한 곡률반경 (R1)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8. 제5항에 있어서, 후부(2)의 마지막 산부(A6)에 접하는 원추형 연결부분(7)에 의하여 상기 후부(2)의 후면(8)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9. 제8항에 있어서, 후부(2)의 후면(8)의 직경(9)은 후부(2)의 마지막 산부(A6)의 곡률반경(R6)의 두배와 같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10. 제5항에 있어서, 탄환은 케이스(E)에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경우에, 후부 (2)의 첫번째 산부(A2)와 마지막 산부(A6)사이에 있는 중간 산부(A4)위에 케이스(E)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11. 제4항에 있어서, 후부(2)에 형성된 원추형 하우징(6)이 상기 후부(2)의 후면(8)에 통하여 있고, 중심부(1)의 원추형핑거(5)가 상기 후면(8)에 까지 뻗어있으며, 상기 원추형 핑거(5)에는 프랜지(25)를 고정하기 위한 원추형의 구멍(23)이 있고, 이 프랜지(25)에는 원추형의 구멍(23)에 일치하는 형의 원추형의 돌기(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12. 제1항에 있어서, 원추형 슬리이브 커플링(6, 5)은 경사각이 서로 다른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13. 제12항에 있어서, 중앙부(1)에 형성된 원추형 핑거(5)는 처음에는 경사각 (α3)으로 하고, 이어서 (α3)보다 더 작은 경사각(α4)으로 하며 후부(2)에 형성된 원추형 하우징(6)은 처음에는 (α3)와 같은 경사각(α1)으로 하고, 이어서 (α4)와 같은 경사각(α2)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14. 제1항에 있어서, 중심부(1)는 끝이 둥근선단(3a)으로 된 원추형(3)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15. 제1항에 있어서, 중심부(1)가 끝이 뾰족한 선단(13a)으로 된 일정한 모양의 탄두형(13)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16. 제3항에 있어서, 중심부(1)는 원추형 핑거(5)의 형과 대칭형의 원추형 앞부분 (14)이 있고, 이 원추형 앞부분(14)에 일치하는 형의 원추형 약실(17)을 가지는 전부 (4)에 의하여 덮여 있으며, 이 전부(4)는 후부(2)의 모양과 대칭적인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17. 제16항에 있어서, 전부(4)에 산부(D1)가 있고, 그 직경이 후부(2)의 산부(D3)의 직경과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18. 제17항에 있어서, 후부(2)의 후면(8)은 산부(D3)에 연결된 곡률반경(R13)에 의해 일정한 모양으로 되어 있고, 전부(4)의 전면(18)은 산부(D1)에 연결된 곡률반경 (R11)에 의해 일정한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곡률반경들(R13, R11)은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19. 제17항에 있어서, 후부(2)에는 앞쪽으로 향해서 가느다란 부분으로 되는 일정한 모양이 곡률반경(R14)의 곡부(B14)에 의하여 구성되어 그것이 전부(4)에 연결되고, 전부(4)에는, 뒤쪽으로 향해서 가느다란 부분으로 되는 일정한 모양이 곡률반경(R12)의 곡부(B12)에 의하여 구성되어, 그것이 후부(2)의 앞부분에 연결되고, 이러한 곡률반경들 (R14, R12)은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20. 제16항에 있어서, 탄환을 케이스(E)에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경우, 후부(2)에서 산부(D3)의 앞쪽에 위치한 곡부(B14)속에 케이스(E)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21. 제16항에 있어서, 중심부(1)의 원추형 앞부분(14)이 축방향트러스트면(33)에 의하여 전부(4)와 함께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22. 제2항에 있어서, 후부(2)에는 뒤쪽에 위치한 산부(B4)가 후방에 위치하고, 앞쪽에 위치한 산부(B2)가 전방에 위치해서, 이들 직경이 뒷쪽에 위치한 산부(B4)의 직경과 같거나, 그것보다 작고, 직경이 가느다란 부분이 곡부(B3)에 형성되어 있어, 이것이 산부(B2, B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23. 제22항에 있어서, 뒷쪽에 위치한 산부(B4)의 곡률반경(S4)이 앞쪽에 위치한 산부(B2)의 곡률반경(S2)과 같거나, 더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24. 제22항에 있어서, 곡부(B3)의 곡률반경(S3)이 앞쪽에 위치한 산부(B2)의 곡률반경(S2)과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25. 제22항에 있어서, 탄환을 케이스(E)에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경우에, 후부(2)에서 앞쪽에 위치한 산부(B2)와 뒷쪽에 위치한 산부(B4)사이에 위치한 곡부(B3)속에 케이스(E)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KR1019830005558A 1982-11-24 1983-11-24 총기로 발사할 수 있는 탄환 KR890001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2-19658?2 1982-11-24
FR8219658A FR2536527B1 (fr) 1982-11-24 1982-11-24 Balle profilee a pointe interchangeable
FR82-19658 1982-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524A KR840006524A (ko) 1984-11-30
KR890001021B1 true KR890001021B1 (ko) 1989-04-18

Family

ID=927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558A KR890001021B1 (ko) 1982-11-24 1983-11-24 총기로 발사할 수 있는 탄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890001021B1 (ko)
FR (1) FR2536527B1 (ko)
IN (1) IN158199B (ko)
ZA (1) ZA83871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573B1 (ko) * 2008-03-13 2008-07-03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탄약
KR101054859B1 (ko) * 2011-02-01 2011-08-05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탄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0495A1 (fr) * 2001-02-02 2002-08-09 Anthena Soc Projectile pour munitions a portee reduite
DE102022115219A1 (de) 2022-06-20 2023-12-21 Ruag Ammotec Ag Geschoss mit Umfangs- und/oder Längsril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899E (fr) * 1909-10-21 Albert Roux Balles pour armes à feu à corps cylindrique, partie avant conique, partie arrière tronconique
DE370908C (de) * 1923-03-08 Gewehr Und Geschossfabrik Jagdgeschoss mit in weichem Blei keilfoermig eingebetteter harter Spitz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573B1 (ko) * 2008-03-13 2008-07-03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탄약
KR101054859B1 (ko) * 2011-02-01 2011-08-05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탄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36527B1 (fr) 1986-01-17
KR840006524A (ko) 1984-11-30
FR2536527A1 (fr) 1984-05-25
IN158199B (ko) 1986-09-27
ZA838714B (en) 198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8063A (en) Projectiles intended to be fired by a fire-arm
US6105506A (en) Sabot slug for shotgun
US4700630A (en) Ammunition round
US10578412B2 (en) Projectile with enhanced ballistic efficiency
US4829904A (en) Ammunition round
US5116224A (en) Devel small arms bullet
US5214238A (en) Sabot for chambering conventional bullets in a shotgun
US3762332A (en) Projectile sabot
US3905299A (en) Discarding sabot projectiles
US4075946A (en) Armor piercing projectile
US4777883A (en) Bullet
US1973604A (en) Projectile
US4209146A (en) Device for extensible fin blade on shell or the like
KR890001021B1 (ko) 총기로 발사할 수 있는 탄환
IL161870A (en) Sub-calibre penetrator projectile
US5175389A (en) Frontally guided sabot bullet
GB2113362A (en) Hollow charges
US5092246A (en) Small arms ammunition
US4616568A (en) Projectiles intended to be fired by a fire-arm
US10996036B1 (en) Sabot and projectile with improved coupling for better torque transfer
US5477786A (en) Subcaliber arrow projectile
SU1141293A1 (ru) Пул Полева
EP0129608B1 (en) Bullet
RU2110758C1 (ru) Снаряд и обтюрирующе-ведущий поясок снаряда
SU1727539A3 (ru) Пул дл нарезного оруж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