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789Y1 - 벨트형 습포 실내 청소기 - Google Patents

벨트형 습포 실내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789Y1
KR890000789Y1 KR2019860003031U KR860003031U KR890000789Y1 KR 890000789 Y1 KR890000789 Y1 KR 890000789Y1 KR 2019860003031 U KR2019860003031 U KR 2019860003031U KR 860003031 U KR860003031 U KR 860003031U KR 890000789 Y1 KR890000789 Y1 KR 8900007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adhesive plate
spring
ground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3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4462U (ko
Inventor
김동반
Original Assignee
김동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반 filed Critical 김동반
Priority to KR2019860003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789Y1/ko
Publication of KR8700144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44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7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7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벨트형 습포 실내 청소기
제1도의 (a)는 타올벨트를 삽입시킬때의 정면도. (b)는 본 청소기를 수직으로 들어올렸을때의 측면도.
제2도의 (a)는 본 고안의 로-라가 회전할수 있는 원리를 설명하기위한 측면도. (b)는 타올벨트를 삽입시에 작동레바를 압지하여 고정시켜 놓은 상태의 타측 측면도. (c)는 작동레바(3)의 해체도.
제3도의 (a) 및 (b)는 본 고안의 중요부인, 로-라부를 확대한 횡단면도 A-A선 (c)는 지면접착판의 회동상태의 설명도. (d)는 로-라가 제동된 후 1/8 회전만 회동할수 있는 원리의 설명도. (e)는 (d)를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본 가상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2 : 몸체
3 : 작동레바 3' : 작동압송부
4 : 작동레바축 4' : 4의 삽입공
4S: 작동용 강력스프링 5 : 레바
5' : 레바고착핀 5": 레바축
6 : 작동간 6' : 고착(固着)핀
7 : 로-라축 8 : 로-라
9 : 래칫기어 10A: 상부직선기어
11 : 인장스프링 12 : 직사각형공
13 : 로-라소(小) 회전스프링 14 : 로-라소회전판
14' : 로-라 1/2회전 제동간 14″ : 14'의 소형스프링
: 제동간축 14A: 갈쿠리
14B: 일측끝 15 : 로-라 1/2회전원판
15' : 제동홈 16 : 14'의 개페지시봉
16' : 비탈진끝 17 : 작동레바걸림쇠
17' : 17의 축 17″ : 걸림쇠스프링
18, 18' : 벽또는 가구보호용 쿳숑고무 19 : 타올벨트
19' : 스라이드파스너: 절곡한돌기부
21 : 접착판축핀 22 : 소형스프링
23 : 지면접착판 23' : 23의 보강골조
24 : 강질스폰치 L : 레벳
O : 중량 감소공 V : 로라 회전가감볼트
본 고안은 실내의 복도, 마루, 장판, 모노륨등을 습포로 닦을 때 대야를 수반하여 청소도중 여러차례의 세척작업과 쪼그리고 앉거나 또는 무릎은 꿇고 엎드린 자세로 청소를 하여야 하는 불편한점을 개선하여 단 한번만 세척하여, 넓은 면적일지라도 지면 접착부를 마지막까지 깨끗한 습포면을 차례차례 신속히 교체시켜서 허리를 펴고서서 짧은 시간에 깨끗하게 닦을 수 있는 실내용 자루걸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바닥을 닦을때 면으로 된 걸레를 세척하여 손으로 잡고 무릎을 꿇고 문질러 작업을 하다가 걸레가 더러워지면 뒤집어서 몇번 닦다가 다시, 세척하여 닦아야 하는 과정을 몇번이고 되풀이 해야했고, 또 쪼그리고 앉거나 업드린 자세로 작업을 해야됨으로 쉽게 피로하게 되어 넓은 면적을 청소할려면 싫증까지 나게 되며, 매일 걸레를 건조시켜 보관하게 되지 않아 걸레의 부식으로 인한 수명단축과 세균발생율이 높아, 비위생적일뿐만 아니라, 비능률적이였다.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년간의 노고와 집념끝에 한가지씩 실제로 제작하여, 사용해보면서 무려 다섯가지를 제작하여, 여러모로 실험끝에, 본 고안과 같은 가장 간단한 것으로 가볍고 편리하며 능률적인 청소방식의 기기를 제출하게 된 것이다.
최근에 공고된 공고번호 85-1914 가정용 걸레와, 공고번호 85-3019 청소기 및 공고번호 85-1915 능율자루걸레등 몇가지가 개발되었으나 이들은 사용시, 지면에 접착면을 신속한 교환작용이 수월하지 못할뿐더러 중요한 문제인 벽밑의, 청소 즉, 바닥의 끝부분을 지면 접착판의 지지체 때문에 바짝 닦이지 않을뿐더러, 이때 지지체와의 마찰로 인하여 벽 또는 가구의 면을 손상시키는 결점들이 따르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결점을 해결한 것으로 레바 하나를 압지하므로서 신속히 지면의 접착면을 교체할수 있으며, 접착판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측면에서 약간 내측에 설치하였고 접착판의 밑은 물론 좌, 우와 전면에도 강질의 스폰치류를 부착하였기 때문에 지지체 및 접착판의 골조와 벽의 접촉됨이 없이 벽밑까지도 깨끗이 닦을수 있고 길다란 벨트형 타올을 쉽게 착탈하는 방법과 또, 단한번만 세척하여서 삽입하면 40여회의 깨끗한 접착면을 인출할수 있기 때문에 넓은 면적일지라도 재차 세척할 필요가 없으므로 계속 손을 젖시지 않고 짧은 시간에 청소를 할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고안을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와 같이 손잡이(1)가 달린 사다리형의 몸체(2)의 말단 끝에, 지면 접착판 (23)과 결합시키고 접착판축핀(21)을 삽입하여 지면 접착판(23)이 제3도의 (c)와 같이 1회전의 1/6 정도면 회동할수 있게 하여 각자의 손높이 가구 또는 테불의 밑을 청소할때 손잡이(1)와의 각도 변경과는 관계없이 항상 지면에 접착이 잘되도록 설계 했으며 굴곡이진 지면에도 골고루 마찰이 되도록 스폰치류를 부착하였으며 지면에서 상승시키면 점선의 표시까지 회동하도록 소형스프링(22)을 삽설하였다. 양측끝에 스라이드파스너(19')을 봉착(縫着)한 길다란 타올벨트(19)의 한쪽끝을 제1도 (a)와 같이 로-라(8 )의 손잡이(1)의 밑부분의 넓어진 곳으로 인출하고 반대측끝을 상승시켜서 양측의 스라이드파스너(19') 끼리 결합하여 연결시켜서, 벨트와 같은 타올벨트(19)가 형성이 되게 하였다. 제2도 (b)를 보면 작동레-바(3)를 약간만 밑으로 누르면 이를 걸어잡고 있는 작동레바 걸림쇠(17)의 끝이 걸림쇠스프링(17”)의 힘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17의 축(17')이 중심이 되게 회동하므로 작동레바(3 )와 걸린곳이 이탈되고 손을 놓으면 작동레바(3)가 작동레바축(4)을 중심이 되게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며 상승하여, 점선으로 표시된 곳에 멈추게 되는데, 본 상승력은 제1도의 (a)에서 보이는 작동간축(4)에 삽입한 작동용 강력스프링(4S)의 탄발력이며, 동시에 작동레바축(4)과 고착된 레바(5)의 협소한 끝에 레바축(5)으로 연결시킨 작동간(6)에 결합된 로-라(8)가 직사각형공( 12)을 따라 진행하다가 점선으로 표시된 곳에서 멈추게 되며, 이때는 타올벨트(19)가 팽팽하여 진다.
몸체(2)의 직사각형공(12)을 탈선하지 않고 왕래하는 방법은 제3도의 (a)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의 2는 몸체(2)에 뚫린 직사각형공(12)의 긴쪽 변인데 상, 하에서 레-루의 역활을 하며, 6은 작동간(6)인데 상, 하 모두 내, 외에 턱이 2에 접촉하기 때문이다. 로-라(8)의 회전작용은 제2도의 (a)와 같이 작동레바(3)를 손잡이쪽으로 누르면, 작동레바축(4)에 고착된 레바(5)의 협소한 끝이 화살표 쪽으로 압송작용을 하는데, 이곳에 연결된 작동간(6)과 함께 로-라 축(7)에 부착된 래칫기어(9)가 직사각형공(12)를 따라 절반쯤 진행하다가 하부직선기어(10B)에 도달하여 접촉이 되어도 일측기어이므로 회전작용은 이루어지지않고 인장스프링(11)의 힘으로 접촉은 하나 미끄러지고 상부직선기어(10A)와는 치합이 되므로 로-라축(7)과 연결된 로-라(8 )와 함께 회전을 하면서 직사각형공(12)의 말단까지 진행하고 작동레바(3)을 놓으면 작동용 강력스프링(4S)의 탄발력으로 래칫기어(9)기 후진을 하면서 이번에는 하부직선기어와(10B)와 교합이 되고 상부직선기어(10A)와는 미끄러지므로 동일 방향으로 로-라(8)도 다시 또 회전을 하며, 직사각형공(12)의 중간쯤에 왔을때 하부직선기어(10B)와 치합이 끝나므로 회전은 멈추고 후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을 실시할 때, 반대편인 제2도의 (b)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라(8)가 직사각형공(12)을 약 절반쯤 진행하였을때 로-라 1/2회전 제동간(14')의 일측끝(14B)이 14'의 개페지시봉(16)의 비탈진 끝(16')에 접촉이 되므로 제동간축()을 중심으로 약간 회전을 하며 반면에 반대쪽 갈쿠리(14A)는 로-라 1/2회전 원판(15)의 제동홈 (15')에서 이탈되므로 이 원판(15)과 고착된 로-라(8)가 회전할수 있도록 개방이 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로-라(8)가 회전을 하며 진행하고 후진을 할때도 동일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절반쯤에서 14'의 개페지시봉(16)이 종료되므로 14'의 소형스프링(14″)의 탄발로 일측끝(14B)은 상승하고 반면에 갈쿠리(14A)는 로-라 1/2회전원판(15 )의 제동홈(15')에 삽입이 되여 로-라가 더 이상 회전을 할수 없게 제동이 되여서 후진한다.
제동의 필요성은 사용시에, 지면 접착판(23)을 지면에 압착하여 전후로 마찰시, 타올벨트(19)와 지면접착판(23)과의 접촉면이 미끄러지면서 로-라(8)가 무단히 회전하여, 더렵혀진 부분과 깨끗한 부분이 불규칙하게 혼합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뿐만 아니라 타올벨트(19)를 어김없게 정확히 차례, 차례로 더렵혀야 하는 것이 목적인 것이다.
본 설계는 로-라(8)의 둘레의 1/2 이 지면 접착판(23)의 접착면의 넓이와 정확히 동일하게 설계된 것이다. 단, 지면 접착판(27)의 넓이를 가, 감하고 이에 따라 로-라 (8)의 회전을 로라 회전 가감볼트(V)로 조정하여 제동시킬수 있다. 지면 접착판(23)의 넓이가 좁을수록 지면에 압착력이 자연적으로 증가되므로 너무 넓으면 청소시 압착해야하므로 에너지를 낭비하게 된다.
제2도 (a)의 상부에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쪽의 몸체(2)내에 삽입된 작동레바 (3)는 사용후 돌려밀어넣는 것인데, 제2도 (c)와 같이 3겹으로 되어 있고 중간에 들어있는 작동 압송부(3')는 작동레바축(4)과 용접이 되어있고 양쪽에 3과 3″는 용접하지 않고 대립하여 레벳으로 결합했는데 반대방향으로는 레벳(ㄴ)이 작동 압송부(3')와 접촉이 되지 않으므로 작동레바축(4)을 회전시킬수 없게되는 것이다. 손잡이(1)에 붙은 몸체(2)를 수직으로 들면, 제3도의 (c)와 같이 가로로 되어 있든 지면 접착판(23)이 소형스프링(22)의 힘으로 제1도 (b)와 같이 몸체(2)와 직선이 되게 회동하여서 타올벨트 (19)와의 접촉을 피하게 하였으므로 로-라(8)가 회전시 타올벨트(19)가 마찰되는 곳이 없고 다만, 로-라(8)에 걸쳐있는 상태이므로 지극히 약간 힘으로 로-라( 8)를 회전시킬수 있으며 작동용 강력스프링(4S)의 강도는 젖은 타올벨트(19)를 상부로 압송하여 약간 팽팽하게 지지할 정도면 되므로 별로 강하지 않으며, 타올벨트(19)의 마모의 정도 및 습도에 의한 신축문제와 또, 작업시 전후, 왕복 운동시에 손잡이(1)와 지면 접착판 (23)의 각도의 변함에 따라 로-라(8)가 상하로 다소 왕복하여야 되므로 로-라축(7)을 몸체(2)에 고착시킬수 없으며 작동용 강력스프링(4S)의 작용으로 모든점이 해결되는 것이다. 몸체(2)와 나란히 직선을 유지하고 있는 지면 접착판(23)을 지면에 접착시 약간 회동하므로 타올벨트(9)도 로-라(8)와 함께 회전을 해야되므로 로-라 축(7)에 설치된 제동장치 때문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는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2도 (b) 또는 제3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간(6)과 함께, 로-라축(7)에 삽입되어 있는 로-라소(小)회전판(14)을 제3도의 (d)와 같이 로-라소 회전판(14)의 절곡한돌기부를 내혹 즉, 작동간(6)쪽으로 절곡하여 본 돌기부가 각각 작동간(6)의 양쪽, 측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로-라소 회전판(14)이 일회전의 1/8정도 밖에 회동할수 없게 되여 있으며 로-라소 회전스프링(13)을 제3도 (d)와 같이 작동간(6)에서 로-라소 회전판(14)을 한쪽방향으로 항상 밀고 있도록 삽입한 것인데, 지면 접착판(23)을 지면에 접착할때와 전후 왕복운동시 지면 접착판(23)과 손잡이(1)와의 각도 변경으로 인하여 로-라(8)가 일측으로만 회전하여야 되는데, 로-라소 회전 스프링(13)을 압축하면서 이, 로-라소 회전판(14)이 회동하여서 해결되며, 몸체(2)를 드러 올리면 로-라소 회전스프링(13)의 힘으로 로-라 소회전판(14)이 회동하여 항상 원위치로 돌아간다.
지면 접착판(23)은 타올벨트(19)의 넓이 보다 좁으며 밑면과 전면 및 양쪽 측면에는 강질의 스폰치가 부착되어 있고, 이 지면 접착판(23)을 압지하는 지지체는 측면이 아닌 내측을 압지하였기 때문에 벽, 또는 가구면을 손상시킬 염려는 전혀 없이 벽밑까지 강질의 스폰치(24)를 타올 벨트(19)가 싸가지고 깨끗이 닦을수 있게 고안했으며, 로-라(8)의 내부는 공간이여서 가벼우며, 부호의 0은 중량을 감소시킬뿐아니라 통풍도 유리하게 한 구멍들이며, 18과 18'은 벽면이나 가구의 면을 청소시에 훼손되지 않토록한 연질의 고무류이다.
이상과 같은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세척한 타올벨트(19)를 방바닥에 절반쯤펴고 타올의 끝부분을 제2도의 (b)와 같이 몇겹으로 접어 놓은 곳에 작동레바( 3)를 꼭 눌르고 작동레바 걸림쇠(17)로 걸어놓은 몸체(2)를 제1도 (a)와 같이 올려놓고 스라이드파스너(19')가 봉착된 타올벨트(19)의 한쪽끝을 로-라(8)와 손잡이(1)쪽과의 넓어진 곳으로 인출하여, 이곳에 상대편에 타올벨트(19)의 끝을 갔다가 스라이드 파스너(19')끼리 결합시켜 연결한 후 작동레바(3)를 약간 눌렀다 놓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레바걸림쇠(17)가 해탈되고 로-라(8)가 손잡이(1)쪽으로 이동되므로 타올벨트(19)가 팽팽하여 진다. 손잡이(1)를 두손으로 잡고 서서 지면 접착판(23)을 실내바닥에 접착시키고 전후, 혹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차례로 닦으면 되는 것이다.
지면접착판(23)의 지지체는 내측에 설치되여있고 양쪽 측면과 전면에도 강질의 스폰치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벽밑까지 벽지 및 가구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바짝 닦을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잠시 사용하면 지면에 접착된 타올벨트(19)는 때가 묻으므로 깨끗한 면으로 교체해야하는 데 그 방법은 몸체(2)를 수직으로 약간 들면 지면 접착판(23)이 소형스프링(22)의 힘으로 회동하여 몸체와 같이 직선이 되여 벨트형타올(19)과 마찰을 피하게되며, 이때, 상부 로-라(8)부에 로-라소 회전 스프링(13)의힘으로 로-라(8)도 약간 회전한다. 작동레바(3)를 끝까지 꽉눌르면 상술한 바와같이 로-라(8)가 몸체의 직사각형공(12)을 따라서 절반쯤 하강했을때 로-라(8)의 제동장치가 개방되고 로-라(8)가 회전하면서 하강하고 작동레바(3)를 놓으면 또, 로-라(8)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절반쯤 상승시에 제동이 되여 회전은 멎고 상승하는데 이때 로-라(8)에 얹혀있는 타올벨트(19)가 적정거리를 이동하게 되므로 지면 접착판(23)에는 깨끗한 타올면으로 교체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은 타올벨트(19)가 더렵혀지는 정도에 따라 수시로 반복하면 신속, 작용하는 것이며 몸체(2)를 가급적 수직이 되게끔 들고 작동레바(3)를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올벨트(19)를 한번 끼우면 20회까지 새로운 면을 지면에 접착시킬수 있는데, (몸체(2)의 규격 즉, 제품의 호수에 따라서 증감됨) 전부 더렵혀지고 청소할것이 남았을때에는 상술한바와 같이 작동레바(3)을 눌러 고정시켜 놓고 타올벨트(19)의 연결부인 스라이드파스너(19')를 해탈시키고, 더렵혀진쪽을 내측으로 가게 뒤집어 결합해서 사용하면 다시 상기의 회수만큼 사용할수 있으므로 넓은 면적일지라도 단, 한변만 세척하여서 전부 청소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손에 물을 묻히지 않게 될뿐 더러 여러차례 세척하는 시간도 단축되며, 또 쪼그리고 앉아 무릎을 꿇지 않으므로 무릎이 젖지 않으며 속히 피로하지 않을뿐 아니라 능률적이여서 짧은 시간에 넓은 면적을 끝까지 깨끗한 접착면을 신속히 교체시켜 청소할수 있다.
본 청소기는 반 기계적이여서 가족들도 운동겸 청소를 돕게 되므로 시간여유가 생기니 부업을 하는 주부가 늘어날 것이고 특히, 임산부나 노약자에게는 필수품이 될 것이다.
지면에 때가 많지 않아서 청소를 끝낸 타올이, 불결하게 보이지 않을때에는 밀폐되지 않는 곳에 그대로 보관하여 놓으면 자연적으로 건조가 잘되게 제작하였으며, 보관시에는 작동레바(3)를 로-라(8) 쪽으로 돌려밀어 넣게 고안했고 손잡이(1)은 뽑거나 접으면 더욱 간단해 지는 것이다.

Claims (4)

  1. 걸레몸체(2)에 손잡이를 장설한 통상의 자루걸레에 있어서, 몸체(2) 상부에 스프링(4S)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중앙부위에 작동레바를 장설하여서된 작동레바축(4)을 축설하되 이 작동레바축(4)의 양단에, 로라(8)를 축착한 작동간(6)의 상단 양측에 연결된 레바(5)를 축설하며 로라(8)의 일측에는 래칫기어(9)를 축설하여 이 래칫기어 (9)가 몸체(2)내에 인장스프링(11)에 의해 유동토록된 상, 하부 직선기어(10A) 및 (10B)를 따라 승강 작동하면서 회전토록 하며, 로라(8)의 타측에는 일정한 방향으로 약간씩만 회전가능토록 된 소회전판(14)을 축설하고, 몸체(2) 양측에 직사각형공(12)을 형성하여 상기 로라(8)의 양단부로 돌출되는 축(7) 직사각형공(12) 내에서 승강 작동토록 하며 몸체(2)하부에 지면 접착판(23)을 장설하여 슬라이더 파스너(19' )가 장설된 타올벨트(19)를 장설을 특징으로 한 벨트형 습포 실내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소화전판(14)의 일측에 1/2 회전원판(15)을 축설하되, 상기 1/2 회전원판(15)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제동홈(15')를 형성하여, 이 제동홈(15')에 스프링(14″)에 의해 작동되는 제동간(14')의 선단 갈쿠리(14A)가 간헐적으로 삽탈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벨트형 습포 실내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 하부 직선기어(10A) 및 (10B)를 서로 마주 보게 장설하되, 잇빨을 서로 엇갈리게 하여 로라(8) 일측에 축설한 래칫기어(9)가 상기 상하부 직선기어(10A) 및 (10B)내에 삽설되면서 회동할 때 일측 방향으로 만 회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벨트형 습포 실내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지면 접착판(23)의 상부에 스프링(23)를 장설하여 지면 접착판이 내측으로만 절첩되게하되, 지면 접착판(23)의 저면 및 양측면에 스폰지(24)를 고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벨트형 습포 실내 청소기.
KR2019860003031U 1986-03-13 1986-03-13 벨트형 습포 실내 청소기 KR8900007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3031U KR890000789Y1 (ko) 1986-03-13 1986-03-13 벨트형 습포 실내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3031U KR890000789Y1 (ko) 1986-03-13 1986-03-13 벨트형 습포 실내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462U KR870014462U (ko) 1987-10-06
KR890000789Y1 true KR890000789Y1 (ko) 1989-03-25

Family

ID=19249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3031U KR890000789Y1 (ko) 1986-03-13 1986-03-13 벨트형 습포 실내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7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4462U (ko) 1987-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9092C (en)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mop material and method of cleaning mop material
US4926515A (en) Improved mopping system
US5165138A (en) Cleaning device
CA2252819A1 (en) Tiltable mop frame for cleaning floors, etc.
US5575032A (en) Sponge shower cleaner
KR890000789Y1 (ko) 벨트형 습포 실내 청소기
AU2014215927B2 (en)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mop material and method of cleaning mop material
CA2601188C (en) Moveable squeezing out device for a stationary flat mop cover
CN212346440U (zh) 一种地面摩擦滚动闭环拖地带可更新拖把
WO1995027433A1 (en) A cleaning arrangement for surfaces
WO2003063675A1 (en) An apparatus for cleaning and drying floors
US6446299B1 (en) Wringable mop with pivoting scrubber head
CN112426108A (zh) 一种机械清洁设备
CN111358399A (zh) 一种闭环拖地带地面摩擦滚动脱水拖把
CN212118070U (zh) 一种摩擦滚动脱水拖把头
CN212118073U (zh) 一种闭环拖地带地面摩擦滚动脱水拖把
CN212118071U (zh) 一种拖地工具
CN201239111Y (zh) 一种无柄拖把
KR200167021Y1 (ko) 세척 및 탈수가 용이한 자루걸레
KR930011612B1 (ko) 물걸레 청소기
RU213506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ытья полов помещений "белоручка"
CN111297283A (zh) 一种摩擦滚动脱水拖把头
KR200349930Y1 (ko) 물걸레 청소기
GB2521824A (en) Rolling dry mop
CN111543910A (zh) 一种地面摩擦滚动闭环拖地带可更新拖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