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565Y1 - 치간 청소구 - Google Patents

치간 청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565Y1
KR890000565Y1 KR2019860007440U KR860007440U KR890000565Y1 KR 890000565 Y1 KR890000565 Y1 KR 890000565Y1 KR 2019860007440 U KR2019860007440 U KR 2019860007440U KR 860007440 U KR860007440 U KR 860007440U KR 890000565 Y1 KR890000565 Y1 KR 890000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dental cleaning
interdental
support
strap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8031U (ko
Inventor
조셉레오 피케트 에드워드
Original Assignee
조셉레오 피케트 에드워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셉레오 피케트 에드워드 filed Critical 조셉레오 피케트 에드워드
Priority to KR2019860007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565Y1/ko
Publication of KR8700180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80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5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3Containers, dispensers, or the like, e.g. with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69Brushes fitted with a interdental devices, e.g. toothpick
    • A46B15/0071Toothbrushes with floss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치간 청소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권취 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권출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측 지지간의 끝부분을 나타낸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치간 청소끈의 통로의 평면도.
제6도는 제1도로서 나타낸 제1 실시예의 평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권취 장치의 사시도.
제9도는제8도의 가-가선에서 본 평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에 제2 실시예의 권출장치의 사시도.
제11도는 제7도로서 나타낸 제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치간 청소끈 10 a : 치간청소 시술구간
15a : 제일 지지간 15b : 는 제이지지간
20 : 통로 25 : 권출보빈
30 : 권취리일 35 : 고정구
55 : 푸쉬버튼 65 : 칫솔
80 : 몸체 90 : 카바플레이트
본 고안은 건치를 유지하는데 유용한 치간청소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치간에 치간청소끈을 용이하게 위생적으로 사용토록 치간청소끈의 권출 및 권취장치를 수납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치간 청소끈의 시술구간을 갖기에 적합한 치간청소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치간 청소의 중용성과 잇점은 칫과의사나 칫과 위생학자에 의해서 인식이 되어서 건치를 유지 증진하기 위해서는 1일 1회 치간청소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지만, 대다수 사람들은 치간청소를 귀찮게 여기지는 않고 있지만, 치간청소를 시행하기에 적합한 위치가 되도록 치간 청소끈을 잡아주는 적절한 도구의 도움 없이 맨손으로 치간 청소끈만 가지고 행할시에는 불편하고 단지 긴끈만으로 하는 방법이라고 여겨 졌다.
따라서, 다년간, 수개의 도구가 치간청소의 시행을 편리하게 할수 있도록 개발된 바 있으나, 대다수 선행된 도구들은 너무 복잡하거나, 또는 번잡스러워서 사용되지 못하였다.
또한, 대다수 도구들은 치간청소끈의 권출 및 권취장치를 수장한 것이 아니고 단지 일회용으로 적절한 부착방법으로 부착되어 있어서 이미 사용한 후에도 그대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의 기술은 치간청소에 있어서 수동식이라는 잇점이 있을지라도 전근대적인 것이며 보잘것 없는 것이었다.
상기 선행도구에 연관된 그외에 불편한 점을 도구의 시술구간의 구조에 있다. (예컨데, 미합중국 특허 제518호, 375호에서 2개의 핀사이에 치간청소끈을 단지 걸어서 이를 치간청소 시술구간으로 한 것임)
상기와 같은 선행도구들은 치간청소끈의 지지간의 구조적인 형상에 의해서 그 도달하는 거리에 일반적으로 제한을 받는 것이어서 치간청소하는 방법에 있어서 질적으로 현저하게 조악한 것이였다.
상기와 같은 선행도구들은 치간청소끈의 권출 및 권취를 할수 있는 선행된 도구일지라도 치간청소끈의 일단을 고정시켜 주는 적합한 장치를 갖추는지 못한 것이 였으며 치간청소끈은 소망스러운 결과를 얻기위해서는 팽팽하게 고정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반하는 것들이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취급이 간단하고, 구조가 지극히 단순하며, 또한 제조하기에 용이한 치간청소구 / 시술구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특히 하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a) 몸체는 전방끝부와 후방끝부로 되고 전방끝부와 후방끝부 사이에 권출 및 권취 장치를 수납하는 두개의 공간부와 후방끝부로 부터 형성된 적당거리를 사이에 둔 제일, 제이 지지간과 이에 치간청소끈을 치간청소 시술구간으로 안내 및 수장토록 권출장치에서 제일 지지간의 자유단으로 몸체를 통해서 연속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양 제일, 제이 지지간의 자유단은 양지지간의 자유단 사이 공간에 치간 청소끈을 지지토록 형성되어지고 제이지지간의 자유단에서 권취장치로 몸체를 통해서 연속되는 통로를 갖는 약간 긴 손잡이로 되는 몸체.
b) 일 공간부에 미사용 치간청소끈을 지지하며 고정시키고 또한 권출시키는 장치.
c) 또다른 공간부에 사용된 치간청소끈을 지지하며 고정시키고 또한 권치시키는 장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제일공간부에 위치한 권출장치에 살균된 치간청소끈을 수납하고 그 상면에 표출된 버튼을 눌러서 권출장치의 고정상태를 풀어줌과 동시에 다른 한편의 권취장치를 회동시켜서 치간청소끈을 치간청소 시술구간으로 간단하게 이송시키게 된다.
치간청소끈의 통로는 표출토록하여 치간청소끈의 교체 및 재연결합 필요시에 이를 용이하게 하여 주며 필요에 따라서는 또 다른 적절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제7도 내지 제11도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공통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가하여 사용하고 중복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기본적인 구성요소들(그리고 이들의 조합)에 부가해서 이들로 부터 많은 유형들을 도출해낼 수 있으며, 실제상으로 수많은 변형을 여기에 일일히 기술할 수는 없으며, 여기에 표시된 실시예로 부터 부가적인 구성요소들을 첨가 하거나 변경하기는 용이하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실시예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서 손잡이를 잡고 전방끝부를 이를 닦는데 사용하고 후방끝부를 치간청소하는데 사용하는 치간청소구를 나타낸 것이다. 본 치간청소구의 몸체(80) 전방끝부에 칫솔(65)이 식모된 암을 부착하여 칫솔로서도 겸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몸체(80) 후방끝부에는 제일지지간(15a)과 제이지지간(15b)의 자유단 사이에 충분하게 사이를 뛰워서 이 양자유단 사이를 적합한 시술공간으로 하여서 사용자의 앞잇발과 어금니에 치간청소를 편리하게 시행할 수 있는 치간청소 시술구간(10a)으로 한다. 제1도에서 몸체(80) 중심부(넓은 부위)에서 연장된 양지지간(15a)(15b)은 평행이지만 반드시 평행하게 할 필요는 없으며 제6도에서 양지지간(15a)(15b)은 몸체(80)의 세로방향으로 적절한 각도로서 몸체(80)로부터(예컨데 굴곡하여) 연장되어도 되며, 필요하다면, 몸체(80)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어도 되며, 그 목적과 취향에 따라서 그 형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양지지간(15a)(15b)는 내구성 플라스틱재로 구성한다.
치간 청소끈(10)의 권출장치는 몸체(80)에 형성된 제일공간부(70a)내에 장착되며 적절한 방식으로서 공간부(70a)에 고정된다.
예컨데, 제3(사시도)에 나타낸 지지 및 고정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제3도에 나타낸 장치는 중심부에 관통공(25-1)이 관통되며 있으며 상단면에 환상의 치형(25-2)이 형성된 보빈(25)을 공간부(70a) 저면에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 중심봉(71)에 스프링(50)을 삽입하여 탄력을 받도록 상기 보빈(25)을 삽입하고 중심부에 구멍(55-1)이 형성되고 하단 외곽에 환상의 후렌지(55-2)가 형성된 푸쉬버튼(55)을 삽입하고, 중심부에 관통공(35-3)과 바깥둘레 외곽에 단부(35-1)가 형성되고 저면에 그 끝부가 쐐기형으로 된 돌기(35-2)가 하향 돌출하되 그 높이는 상기 푸쉬버튼(55)의 후랜지(55-2) 높이보다는 약간높게 형성하여서 된 고정구(35)의 관통공(35-3)에 상기 푸쉬버튼(55)의 상단부를 삽통하여 상기 돌기(35-2)가 보빈(25) 상단면의 환상의 치형(25-2)에 교합이 되도록 상기 고정구(35)의 단부(35-1)를 제일공간부(70a)의 내경에 빡빡하게 끼워서 고정시킨 것이다.
치간청소끈(10)의 통로(20)는 몸체(80)에서 제일공간부(70a)로부터 제일지지간(15a)의 끝부까지 형성된 것을 제일통로(20a)가 되며 제이지지간(15b)의 끝부에서 제이공간부(70b)까지의 통로를 제이통로(20b)로 되어 있으며 치간 청소끝(10)은 상기 통로(20a)에 수장되고 제일지지간(15a)에서 제이지지간(15b)으로 이송되어지며 제이지지간(15b)의 끝부로부터 치간청소끝(10)의 자유단이 제이통로(20b)로 들어가게 된다.(제1도 참조)
다음 치간 청소끈(10)은 제이통로(20b)에서 사용된 치간 청소끈(10)을 수장하는 제이공간부(70b) 내에 장착된 리일(30)에 감기게 되어진다. 상기 리일(30)에 의한 권취장치는 중심부에 관통공(31)과 이에 일측에 키홈(32)이 형성되고 상부 후렌지 바깥둘레 일방향으로만 회동이 되게 라쳇트 훨(33)을 형성시키고 상부에 원통형 중심부(34)을 형성시킨 리일(30) 상면에 상기 중심봉(34)에 바깥둘레에 치형(37)과 중심공(36)을 형성한 지지판(38)을 삽입회동케하고 이를 제이공간부(70b)에 삽입하되 상기 라쳇트 휠(33)과 제이 공간부(70b) 일측에 돌출된 돌기(60)와 걸리게 하고 상기 지지판(35)의 원주치형(37)이 제이 공간부(70b) 내부 단부 내공(72)에 꽉끼어서 회동이 안되게 하며 상기 리일(30) 중심부 관통공(31)과 키홈(32)에 카버플레이트(90)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된 중심봉(92)과 이에 일측방에 돌출 부착된 키(93)를 삽입하여 카버플레이트(90)외곽 일측방에 돌출된 돌기(91)를 잡고 회동시키면 상기 리일(30)만 일방향으로만 회동케한 것이다.
상기 제일통로(20a) 및 제이통로(20b)에는 먼지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코저 고무스트립(45a)(45b)으로 각각 덮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보빈(25)에 살균된 치간청소끈(10)을 감아서 제일공간부(70a)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중심봉(71)에 먼저 스프링(50)을 삽입하고 이에 보빈(25)을 삽입하고 푸쉬버튼(55)을 삽입하고 이에 고정구(35)을 상기 제일공간부(70a)의 내경에 상기 고정구(35)의 단부(35-1)을 빡빡하게 끼워 부착시키고, 치간 청소끈(10)의 자유단을 제일통로(20a)를 거쳐서 제일지지간(15a)의 끝부를 통과하여 치간청소 시술구간(10a)을 팽팽하게 하면서 제이통로(20b)로 삽입되어 제이공간부(70b)내에 장착된 리일(30)에 감기게 된다.
리일(30)은 제이공간부(70b)의 단부 내공(72)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판(38)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리일(30) 상부 후랜지의 형성된 마쳇트휠(33)과 제이공간부(70b) 일측에 돌출된 돌기(60)와 교합에 의해서 감는 일방향으로만 회동이 되어 있어서 치간청소끈(10)은 상기 양 지지간(15a)(15b)에 치간청소 시술구간(10a)을 갖도록 탄탄하게 고정이 되어지며 상기 치간청소 시술구간(10a)에 있는 치간청소끈(10)이 사용을 다하면 권출장치의 푸쉬버튼(55)의 상단부를 누르면 푸쉬버튼(55)의 하단의 후랜지(55-2)가 스프링(50)으로 탄력설치된 보빈(25)의 상면을 하향토록 하여서 보빈(25) 상면에 형성된 치형(25-2)과 고정구(35) 저면에 돌출된 돌기(35-2)와의 교합을 이탈시키게 되어서 보빈(25)이 회동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에 권취장치의 커버플레이트(9)의 일측방에 돌출된 돌기(91)로서 일방향으로만 회동시키면 카버플레이트(90)의 중심봉(92)의 의 일측방에 돌출 부착된 키(93)와 리일(30) 중심부의 관통공(31)의 키홈(32)의 삽입에 의해서 리일(30)이 회동이 되며 이 회동은 라쳇트 휠(33)와 돌기(60)에 교합에 의해서 일방향으로만 회동이 되며 이를 상기 치간청소 시술구간(10a)의 길이만큼 회동을 시키면 제일통로(20a)를 통해서 수장된 새로운 치간청소끈(10)이 나오게 되며 이를 적당길이만큼 치간청소 시술구간(10a)에 놓으면 이때에 권출장치의 푸쉬버튼(55)의 두부를 놓으면 스프링(50)의 탄발로 다시 보빈(25) 상면의 치형(25-2)과 고정구(35) 저면에 돌출된 돌기(35-2)의 교합에 의해서 상기 보빈(25)이 고정되고 또한 권취장치의 카버플레이트(90)의 회동이 정지되면 라쳇트 휠(33)과 돌기(60)에 의해서 되풀어지지 않게 되어서 양지지간(15a)(15b)사이에 치간청소끈(10)이 팽팽하게 걸어지게 된다.
다음, 제7도 내지 제11도에 나타낸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치간청소끈(10)의 권출장치 및 권취장치만을 간결하게 한 것이며, 그 외의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0도에 나타낸 권출장치는 상단면에 환상의 치형(25-2)이 돌출 형성된 보빈(25)의 저면 중심부에 적당한 깊이(스프링(50)의 자유장 보다는 짧게)로 중심공(25-3)을 형성하여 이에 스프링(50)을 삽입하여 탄력을 받도록 제일공간부(70a)에 상기 보빈(25)을 삽입하고, 하단에 후랜지(55-2)가 형성된 푸쉬버튼(55)을 상기 보빈(25) 상면 중심부위에 놓고, 중심부에 관통공(35-3)과 바깥둘레 외곽에 단부(35-1)가 형성되고 저면에 그 끝부가 쐐기형으로 된 돌기(35-2)가 하향돌출하되 그 높이는 상기 푸쉬버튼(55)의 후랜지(55-2) 높이보다는 약간 높게 형성하여서 된 고정구(35)의 관통공(35-3)에 상기 푸쉬버튼(55)의 상단부를 삽통하여 상기 돌기(35-2)가 보빈(25) 상단면의 환상의 치형(25-2)에 교합이 되도록 상기 고정구(35)의 단부(35-1)를 제일 공간부(70a)의 내경에 빡빡하게 끼워서 고정시킨 것이다.
다음, 권취장치는 리일(30)의 상부에 바깥둘레에 치형(37)을 형성한 회동판(39)을 형성하고 그 직하부에 인접해서 회동판(39)의 직경보다는 약간 작은 라쳇트 휠(33)을 일체로 형성하며, 제이공간부(70b) 일측방에 요홈(73)을 형성하고 요홈(73)에 돌편(40)을 소나사(41)로 돌편(40)이 회동토록 고정하고, 상기 돌편(40)이 일방향으로 만 탄력을 받도록 스프링(42)을 상기 소나사(41)로 돌편(40)과 함께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회동판(39)의 바깥둘레 일부가 몸체(8) 밖으로 표출토록(제7도 참조) 상기 제이공간부(70b)가 위치 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리일(30)을 제이 공간부(70b)에 삽입하되 라쳇트 휠(33)의 치형이 상기 돌편(40)에 교합이 되도록 하여 상기 리일(30)이 일방향으로만 회동토록하고 그 상면 제이공간부(70b) 개구를 카버플레이트(90)로 덮되 그 일측의 돌기(91)가 상기 요홈(73)도 덮어지도록 몸체(80)에 카버 플레이트(90)를 부착하고 카버 플레이트(90)의 일부분이 몸체(80)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잘라내기(92)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권출장치와 권취장치만을 간단하게 한 것으로 그외의 작용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와 같은 것으로, 본 실시예의 권출장치는 고정구(35) 중심부의 관통공(35-3)으로 표출된 푸쉬버튼(55)의 두부를 누르면 푸쉬버튼(55)의 하단의 후랜지(55-2)가 스프링(50)으로 탄력 설치된 보빈(25)의 상면을 하향토록 하여서 보빈(25)의 상면에 형성된 치형(25-2)과 고정구(35) 저면에 돌출된 돌기(35-2)와의 교합을 이탈시키게 되어서 보빈(25)의 회동기 자유로운 상태로 놓여 있게 된다.
이때에 권취장치의 리일(30)의 회동판(39)이 몸체(80) 밖으로 표출되어 있으며, 또한 이 회동판(39)의 바깥둘레에 치형(37)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를 일 방향으로(치간청소끈(10)이 감기는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회동판(39)이 리일(30)과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라쳇트 휠(33)과도 일체로 되어 있어서 리일(30)이 회동되어서 치간청소끈(10)이 감기게 되며, 상기 라쳇트 휠(33)이 일방향으로 회동이 되게 항시 라쳇트 휠(33)의 치형에 돌편(40)이 탄력설치되어 있어서 역회동을 방지하게 되어 진다. 즉, 치간 청소끈(10)을 치간청소 시술구간(10a)의 길이 만큼 새로운 치간청소끈(10)으로 바뀔시에는 상기한 권출장치의 푸쉬버튼(55)의 두부를 누른상태하에서 상기한 권취장치의 회동판(39)을 회동시키면 간단하게 치간청소끈(1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길이만큼 이동시킨 후 상기한 푸쉬버튼(55)의 두부를 놓으면 스프링(50)의 탄발로 다시 보빈(25) 상면의 치형(25-2)과 고정구(35) 저면에 돌출된 돌기(35-2)의 교합에 의해서 상기 보빈(25)이 고정되고 또한 권취장치의 회동판(39)의 회동이 정지되면 라쳇트 휠과 돌편(40)의 교합에 의해서 되풀어지지 않게 되어서 양지지간(15a)(15b)사이에 치간청소끈(10)이 팽핑하게 걸어지게 되며, 특히 본 실시예는 한손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서 신체 장애자 들도 용이하게 사용토록 한 것이다.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양지지간(15a)(15b)사이에 치간 청소끈(10)이 팽팽하게 걸어지게 되어서 이를 손잡이 겸용으로 된 몸체(80)를 잡고 치간청소끈(10)을 치아사이에 끼우고 플러그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며 칫솔로서 제거가 안되는 치아와 치아사이를 낀 플러그를 본 고안을 이용하여 손쉽게 제거하게 되며 본 기구를 적절히 사용하며는 치간청소 시술구간(10a)이 망가질 염려가 없어서 치간청소끈(10)을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칫솔(65)을 본 고안의 전방끝부에 부착하여 치솔 / 치간청소구로서 겸용할 수 있으며 치간청소끈을 교체할 필요는 없지만 교체할 수 있게 한 것이다(본 도구의 치간 청소끈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면 하나의 보빈(끈이 감긴것)으로서 칫솔이 다 쓸데까지 충분한 것이다.)
또한, 필요시에는 보호카바(도시안됨)를 칫솔(65)가 양지지간(15a)(15b)의 끝부 사이에 설치된 치간시술구간(10a)을 씌울 수 있다.
치간 시술구간의 보호카버에 소형 치약 튜우브를 포함시켜서 상기 보허카버를 만들 수도 있다.
여기에 도시되고 기술된 본 실시예는 고안자의 권리 범위를 제한할려는 의도는 없는 것이며, 본 고안의 많은 유사한 구성요소와 이들의 조합은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된다.

Claims (2)

  1. (a) 몸체는 전방끝부와 후방끝부로 되고 전방끝부와 후방끝부 사이에 권출 및 권취장치를 수납하는 두개의 공간부와 후방끝부로부터 형성된 적당거리를 사이에 둔 제일, 제이지지간과 이에 치간청소끈을 치간청소 시술구간으로 안내 및 수장토록 권출장치에서 제일지지간 자유단으로 몸체를 통해서 연속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양제일, 제이 지지간의 자유단은 양 지지간의 자유단 사이 공간에 치간 청소끈을 지지토록 형성되어지고 제이 지지간 자유단에서 권취장치로 몸체를 통해서 연속되는 통로를 갖는 약간 긴 손잡이로 되는 몸체와, (b) 상기한 일공감부에 미사용 치간청소끈을 지지하며 고정시키고 또한 권출시키는 장치와, (c) 상기한 제이 공간부에 사용된 치간청소끈을 지지하며 고정시키고 또한 권취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치간 청소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의 상기한 전방끝부에 부착된 칫솔머리를 포함하는 치간 청소구.
KR2019860007440U 1986-05-27 1986-05-27 치간 청소구 KR890000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440U KR890000565Y1 (ko) 1986-05-27 1986-05-27 치간 청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440U KR890000565Y1 (ko) 1986-05-27 1986-05-27 치간 청소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031U KR870018031U (ko) 1987-12-22
KR890000565Y1 true KR890000565Y1 (ko) 1989-03-11

Family

ID=1925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440U KR890000565Y1 (ko) 1986-05-27 1986-05-27 치간 청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5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031U (ko) 198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5424A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and/or gaps between the teeth
US3814114A (en) Apparatus for storing dental floss and for holding dental floss during use
US5127415A (en) Multi-purpose dental applicator
US3696821A (en) Device facilitating use of dental floss
US4926820A (en) Dental floss holding assembly
US5067195A (en) Device for cleaning dental implant posts
US20020170570A1 (en) Flossing device with advancing and tensioning mechanism
US20020106607A1 (en) Dental flossing device
US3340881A (en) Dental floss holder
US4206774A (en) Dental flosser
US5056540A (en) Tooth flosser
US5819769A (en) Dental floss system
US4920992A (en) Dental flossing apparatus
CA2186249A1 (en) Combined Flosser and Floss Dispenser Device
US4178947A (en) Tensioning device for a dental flossing apparatus
US5423338A (en) Dental flossing tool
ES2168738T3 (es) Aparato de limpieza de los dientes con una empuñadura.
US20100186182A1 (en) Oral hygiene device & methods of use thereof
US6488036B1 (en) Dental floss dispenser and method
JPH0713694Y2 (ja) 歯清浄具
US4966176A (en) Dental flosser
KR101462916B1 (ko) 치실 홀더
US4004597A (en) Means for supporting a strip or length of dental floss in tensioned and taut condition for ready use
US7156110B2 (en) Dental floss dispensing and tensioning device
KR890000565Y1 (ko) 치간 청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