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074B1 -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074B1
KR890000074B1 KR1019840004196A KR840004196A KR890000074B1 KR 890000074 B1 KR890000074 B1 KR 890000074B1 KR 1019840004196 A KR1019840004196 A KR 1019840004196A KR 840004196 A KR840004196 A KR 840004196A KR 890000074 B1 KR890000074 B1 KR 890000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axial
sheet
bow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052A (ko
Inventor
지이 왜릭 프랭크
Original Assignee
시일드 파워코오포레이션
에이 데이비드 죠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일드 파워코오포레이션, 에이 데이비드 죠셉 filed Critical 시일드 파워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50006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16K31/0658Armature and valve member being one single element
    • F16K31/0662Armature and valve member being one single element with a ball-shaped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51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ontrol units, e.g. valve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to fluid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밸브
제1도는 본발명에 의한 실시예인 솔레노니드 밸브를 사용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
제2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인 솔레노이드 밸브의 정면도.
제3도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 부분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5-5선 부분단면도.
제6도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변형된것을 대한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7-7선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 연장부분 26 : 하우징
27 : 가로벽 29 : 주위벽
30 : 포올부재 31 : 포올
32 : 가로벽 34 : 축방향구멍
35 : 제1시이트 37 : 삽입재
38 : 제2시이트 39 : 보올
43 : 스프링 48 : 축방향구멍
본 발명은 자동변속장치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제까지 엔진속도의 트로틀(throttle)위치와 주행속도등과 같은 변수등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기가 포함되고 변속장치에 있는 클러치를 작동하는 스푸울밸브를 조정하거나 클러치를 작동하는 스푸울밸브를 조정하거나 클러치를 직접조정하는 펄스폭이 조정되는 밸브에 펄스를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유압변속장치의 밸브가 제안된바 있다.
그런 펄스폭이 조정되는 밸브에 있어서는 유압이 정확하게 조정할수 있어야 한다.
허용되는 공간이 좁기 때문에 작은 공간을 차지하고 일정한 유압을 얻어질수 있게 펄스폭이 효과적으로 조정되는 작은 밸브가 필요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목적은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부품을 사용하고 크기가 작으며 펄스폭조정방식으로 사용되거나 방향제어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에 따라서 펄스폭이 조정되는 밸브는 가로벽을 포함하고 가로벽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 일체로된 축방향 연장부분과 축방향 연장부분이 연장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로벽의 연장된 일체로된 주위벽을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을 포함한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또한 하우징안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된 포올(pole)과, 주위벽과 접합하여 있고 반경방향의 밖쪽으로 연장된 일체로된 가로벽을 포함하는 포올 부재를 포함한다. 포올에는 관통구멍이 있고 제1원추형 시이트(seat)를 형성한다. 하우징 축방향 구멍에 끼워져 있고, 삽입재는 제2시이트를 형성한다. 보올(Ball)은 제1시이트와 제2시이트 사이에 있고 두시이트 사이에서 운동이 제한된다. 스프링장치는 제2시이트에 보올이 압착되게 한다. 삽입재가 연장된 구멍이 벽과 삽입재는 축방향 연장부분의 외부로 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간을 갖는 부분이 있다. 하우징과 포올부재는 고리모양 공간을 형성하는 코일조립체가 그 고리모양의 공간에 위치하여, 삽입재의 축방향구멍에 유체가 공급되고 코일의 전원이 차단될때 스프링장치는 제2시이트에 보올을 압착하여 삽입재에 있는 축방향 구멍으로의 유동을 방지하며 솔레노이드에 전력이 공급되면 보올은 제1시이트에 압착되어 포올의 축방향 구멍을 막고 삽입재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제2시이트를 지나 삽입재에 있는 축방향 구멍으로부터 축방향 연장부분의 외부로 유체가 흐를 수 있게 한다.
제1도에는 본발명을 구체화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제어시스템과 함께 펄스폭 제어밸브로써 바람직하게 사용되는것이 도시되어있는데,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주행속도 트로틀위치, 엔진속도등을 감지하는 감지기로 부터 신호를 받아 솔레노이드밸브(15,16,17)를 제어한다. 솔레노이드밸브(15,16)는 펄스폭이 조정되고 스푸올(spool)밸브(18,19)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솔레노이드밸브(17)는 스푸울밸브(20)를 제어하기 위한 ON-OFF 형식이다. 스푸울밸브(18)는 펌프(21)로부터 밸브(15)와 솔레노이드밸브(16,17)스푸울밸브(19,20)로 소정의 압력유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스푸울밸브(20)가 클러치(23)를 조정하는것처럼 스푸울밸브(19)는 클러치(22)와 같은 변속장치의 부품을 조정한다. 제2도 내지 제5도에서, 본발명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15,16)는 완전한 주위벽(29)과 축방향 연장부분(28)이 포함되는 가로벽(27)을 갖는 하우징(26)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밸브는 주위벽(29)쪽으로 연장되고 주위벽(32)에 주위벽(29)의 끝을 구부려 연결된 가로벽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된 축방향 포올(pole)(31)을 갖는 포올부재(30)를 포함한다. 축방향 포올(31)은 축방향구멍(34)을 가지며 그것의 하부단에 제1밸브 시이트(35)를 갖는다.
포올(31)의 끝은 경사져 있다. 축방향 연장부분(28)은 축방향구멍(36)이 있고 그 구멍에 삽입재(37)가 압입된다. 삽입재(37)의 상부단은 원추형 제2밸브시이트(38)를 형성한다. 보올(39)은 시이트(35,38)사이에 있으며 그곳에서 운동이 제한된다. 삽입재(37)는 연장부분(28)의 외부에서 보올(39)의 영역까지 연장된 축방향통로(40)를 형성하는 평평한 부분(40)을 갖는다. 시이트(38)에 연한 홈(42)은 보올 주위의 유체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압축스프링(43)과 스프링(43)의 완전한부분(44)으로 형성된 스프링장치는 압입용접된 구멍이 있는 핀(pin)(45)과 구멍의 좁은부분(46)사이에 있고, 보올을 제2시이트(38)에 압착시킨다.
가로유입구(47)에는 하부단이 플러그(plug)(53)에 의하여 막히는 축방향구멍(48)이 나 있다.
하우징(26)과 포올부재(30)은 코일호울더(holder)(50)와 고리모양 코일(51)로 이루어진 코일조립체가 위치하는 고리모양공간(49)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보올(39)은 하우징의 가로벽(27)안에 있다. 밸브가 사용되는 변속기 같은 장치의 적당한 위치에 끼워넣을 수 있게 연장부분 주위에 오링(52a,52b)을 사용하였다.
코일에 전원이 차단되면 스프링(43)은 보올(39)를 제1시이트에 압착시켜 유입구(47)로부터 통로(48)로 유체가 흐르지 못하게 한다. 그러나, 통로(41)와 보올(39)주위의 홈(42)과 통로(34)를 통하여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다.
코일에 전력이 공급되면 보올(39)은 제3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시이트(35)쪽으로 끌어올려져서 유입구(47)를 유입한 유체가 통로(48)와 보올(39)를 지나서 통로(41)를 통해서 외부로 흐를 수 있다. 압력원에서 흘러들어온 유체는 보올이 시이트(35)에 압착되어 있으므로 구멍(34)으로 흐르지 못한다.
코일(51)에 의해서 유기된 자속은 주위벽(29)과 가로벽(27)을 지나서 보올(39)과 구멍(36)의 공극을 지나서 보올(39)을 지나고 보올(39)와 중앙포올(31)의 공극을 지나서 중앙포올(31)로 흐르며 중앙포올(31)에서 플랜지(32)로 흐른다. 이경우 시이트(38)와 전체 삽입재는 비자성 물질이기 때문에 아무 자속도 흐르지 않는다.
자속을 흐르게 하기 위한 물질은 저탄소강이나 소결강(sintered irons)이고 비자성인 시이트의 재료는 내구성을 위해 일반적으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강이 사용되나 다른 비자성물질도 사용될 수 있다.
펄스폭을 조정하는 방식에 있어서 조정된 토출압력은 어떤 주어진 주파수의 각 주기동안 "ON" 시간과 "OFF" 시간을 조정하여 얻는다. 밸브는 30~100헬쯔(hertz)사이의 주파수가 사용되지만 그이상 또는 그이하의 주파수로 사용될 수 있다.
작동 주파수는 일정하며, 적당한 토출압력 얻기 위해 각 주기동안 "ON" 시간이 변화한다. 이론적으로 토출압력은 밸브가 "OFF"되었을때는 0이며, 밸브가 "ON"되었을때의 유입압력과, 유압회로의 탄성과 관성과 마찰에 기인하여 토출압력은 "ON"과 "OFF"시간의 비율에 따라서 유입압력과 "ON"압력사이의 어떤 평균값이 된다. 이것은 상시 닫힌(normally closed)밸브이기 때문에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보올은 스프링의 압착력에 의해서 유입압력을 차단한다. 일반적으로 "급폐(pop off)"또는 초기누설(start leak)"압력은 밸브의 사용자가 결정한다. 급폐압력의 조절(Calobration)은 보올의 유입측에 실제유압, 또는 보올이 유입구를 밀폐할때까지 로올핀(45)으로 스프링을 밀어서 스프링을 조절하는 기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이 압력을 적용하여 행한다. 그후 로올핀은 이 조절상태를 유지하도록 용접되거나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요구되는 힘을 최소로하고 자기회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보올(39)과 구멍벽(36)의 공극을 최소로하며 그 공극의 치수는 0.003인치 내지 0.01인치 정도인것이 바람직한다. 그 간격이 매우 작기 때문에 보올주위에 작용하는 유체에 의한 힘을 최소로 하고 토출구로 또는 보올주위로 저항없이 유체가 흐르게 하기 위하여 홈(42)이 마련되어 있다. 한 시이트에 보올(39)이 압착되었을때 다른 한 시이트와 보올(39)의간극은 0.006인치 내지 0.015인치 정도이다. 요구되는 작은 크기에서 필요한 성능을 얻기 위해서 보올이 누설방지재와 아마튜어(armature)로 동시에 사용되는 것이 요구된다.
코일에 접속된 전선은 가로벽(32)을 지나서 표준위 퀵코넥터(quick conector)가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오는 전선과 연결된다. 일반적에서는 코일은 100헬쯔의 주파수로 전력이 공급되며 각주기당 10ms의 작동시간을 갖는다.
신호가 가해지는 시간이 길수록 토출압력은 유입압력에 가까워진다. 이상적으로 유입압력과 토출압력의 비가 각 주기에 대한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비에 비례한다. 즉 "ON"시간이 3밀리초(ms)이면(이것은 주기 10ms의 30%를 의미한다)토출압력은 유입압력의 30%가 될 것이다. 실제에 있어서 보올을 한 시이트에서 다른 시이트로 옮기는데 필요한 시간은 1.6ms 정도이다. 이 지연시간은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해서 코일에 스프링의 힘을 극복할 충분한 자력을 발생하는데 필요한시간과 보올의 관성때문에 생긴다. 마찬가지로 코일에 전력이 차단되고서 보올이 이동하여 닫힌 상태로 되는데도 1.5ms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 장치는 유입압력의 10%-90% 정도에서 토출압력을 선형적으로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6도와 제7도에서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앞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번호에 첨자 a를 첨가하였다.
삽입재(37a)는 구멍(36a)의 하부단에 압입된 원통형 플러그(plug)부분(55)과 시이트(38a)를 형성하는 직경이 작은 원통형부분(56)으로 이루어진다. 삽입재(47a)에 있는 축방향구멍(48a)은 유입구를 형성한다.
몸체(26a)에 있는 반경방향통로(47a)는 구멍(36a)과 삽입재(37a)의 직경이 작은 부분(56)이 이루는 통로(58)이 이어진다.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압력원으로부터 유체의 흐름은 통로(47a)를 통해서 공간(58)을 지나 보올(39a)주위를 지나 통로(34a)를 통해 기름통으로 흘러나간다.
또한 솔레노이드에 전력이 공급되면 입력유는 유입구(48a)를 통해서 통로(58)을 지나서 토출구(47a)로 간다.
그래서 상부로 흐르는 유체의 통로는 보다 짧게 된다. 더우기 이 형식은 압입플러그(53)와 평편하게 기계 가공된 부분(40)이 생략되기 때문에 제작하는데 보다 저렴하다.
또한 제6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벽(29a)은 가로벽(27a)의 일부가 아니고 가로벽(32a)의 부분으로 제작되었다. 이런 형식에 있어서는 코일에 접속되는 전선을 몸체(26a)에 가까이 있게 할 수 있다.
비록 여기에 보인 밸브는 특별히 펄스폭을 조절할 수 있는 형식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제작되었지만, 방향 제어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가로벽을 포함하는 밸브하우징 ; 상기 가로벽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분 ; 축방향 연장부분이 연장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주위벽 ; 하우징의 안쪽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된 포올과 가로벽과 접합하여 연결되고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가로벽을 포함하는 포올부재 ; 축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을 갖는 상기 기 포올은 원추형 제1시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포올과 동일선상에 위치한 축방향구멍을 갖는 하우징의 축방향연장부분 ; 상기 축방향 연장부분에 있는 축방향에 위치하고 축방향구멍을 갖는 비자성물질의 삽입재 ; 제2시이트를 형성하는 삽입재 ; 제1시이트와 제2시이트 사이이었으며 그사이에서 축방향 운동이 제한되는 보올 ; 제2시이트에 보올을 압착시키는 스프링장치가 포함되며 ; 상기 삽입재는 삽입재가 연장된 축방향구멍의 벽과 축방향 연장부분의 외부로 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부분을 갖고 ; 상기 하우징과 포올은 그 사이에 고리모양의 공간을 형성하며 ; 상기 고리모양의 공간에 조립되고, 상기 삽입재의 축방향 구멍에 유체가 흐르고 코일에 전력이 차단되었을때 상기 스프링장치는 보올을 제2시이트에 압착시켜 유체가 상기 삽입재의 상기 축방향구멍을 흐르지 못하게 하며 삽입재에 의해서 형성된 통로를 지나 보울주위를 지나서 제1시이트를 통하여 포올의 축방향 구멍으로 흐를 수 있게하며, 솔레노이드에 전력이 공급되면, 보올은 제1시이트 쪽으로 끝려 압착되어 포올의 축방향구멍을 막고 삽입재의 축방향 구멍을 지나 제2시이트를 지나 삽입재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지나서 축방향 연장부분의 외부로 유체를 흐르게 하는 코일조립체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연장부분에 가로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재의 축방향구멍으로의 유입구를 형성하는 삽입재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장치는 상기 포올의 축방향구멍에 있는 스프링과 상기 구멍과 돌출부에서 스프링을 압축된 상태로 유지하며, 스프링으로 하여금 보올을 눌러 제2시이트에 보올을 압착시키게하며 상기 구멍에 압입된 로올(Roll)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가로벽사이에 상기 보올의 대부분이 위치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제1시이트와 제2시이트가 절두형 원추모양으로 대향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삽입재는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구멍에 압입되어 있고, 상기 부분은 상기 삽입재의 평평한 면과 상기 구멍의 벽이 이루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재의 말단을 막는 프러그, 상기 축방향 연장부분, 삽입재의 축방향구멍과 통하는 반경방향의 구멍을 갖는 상기 삽입재가 포함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재는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구멍에 압입된 플러그부분을 갖고 상기 삽입재의 시이트부분에서 상기 구멍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갖기 때문에 삽입재와 구멍의 측면에 원통형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축방향 연장부분의 외부로부터 상기 원통형통로로 반경방향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보올과 축방향구멍과의 틈새가 0.003인치 내지 0.010인치 사이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10. 제1항에 있어서, 보올이 한 시이트에 압착되었을 때 다른 한 시이트와 보올사이의 틈새가 0.006인치 내지 0.015인치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펄스폭 조정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30Hz 내지 100Hz사이의 주파수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고, 토출압력을 유입압력의 10%내지 90% 사이에서 정확하게 선형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KR1019840004196A 1984-02-07 1984-07-16 솔레노이드 밸브 KR890000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7785384A 1984-02-07 1984-02-07
US577853 1984-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052A KR850006052A (ko) 1985-09-28
KR890000074B1 true KR890000074B1 (ko) 1989-03-07

Family

ID=2431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196A KR890000074B1 (ko) 1984-02-07 1984-07-16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0160120B1 (ko)
JP (1) JPS60175884A (ko)
KR (1) KR890000074B1 (ko)
AU (1) AU569525B2 (ko)
BE (1) BE900447A (ko)
BR (1) BR8403741A (ko)
CA (1) CA1233452A (ko)
DE (1) DE3467612D1 (ko)
ES (1) ES535595A0 (ko)
IN (1) IN162514B (ko)
MX (1) MX155665A (ko)
ZA (1) ZA8468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6085A (en) * 1984-02-07 1985-12-03 Sealed Power Corporation Solenoid valve
US4570904A (en) * 1984-07-11 1986-02-18 Sealed Power Corporation Solenoid valve
JPS6283539A (ja) * 1985-10-05 1987-04-17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US4674536A (en) * 1986-04-25 1987-06-23 Sealed Power Corporation Electrohydraulic valves for use in a system
DE4124241A1 (de) * 1991-07-22 1993-01-28 Bosch Gmbh Robert Hydraulische bremsanlage,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7331565B2 (en) * 2003-05-14 2008-02-19 Borgwarner Inc. On/off solenoi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02365A (fr) * 1958-04-23 1960-01-11 Vanne électro-magnétique axiale
FR88831E (fr) * 1964-10-20 1967-03-31 Renault électrovanne
US3424429A (en) * 1965-10-23 1969-01-28 Sterer Eng & Mfg Co Solenoid operated valve
GB1414301A (en) * 1972-01-14 1975-11-19 Ass Eng Ltd Fluid control valves
DE2222448A1 (de) * 1972-05-08 1973-11-22 Teves Gmbh Alfred Elektromagnetisches ventil
DE2403770A1 (de) * 1974-01-26 1975-08-14 Bosch Gmbh Robert Elektromagnetische 3-wege-ventilanordnung
JPS5199255A (ja) * 1975-02-27 1976-09-01 Yoshihiro Oowatari Nijigenhikarikanchihotenshomeeta
JPS5310431U (ko) * 1976-07-09 1978-01-28
FR2439346A1 (fr) * 1978-10-16 1980-05-16 Renault Electro-distributeur hydraulique a trois voies
IT1144260B (it) * 1981-07-01 1986-10-29 Fiat Ricerche Sistema idraulico a pilotaggio elettrico proporzionale
US4556085A (en) * 1984-02-07 1985-12-03 Sealed Power Corporation Solenoid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467612D1 (en) 1987-12-23
ZA846800B (en) 1985-04-24
IN162514B (ko) 1988-06-04
JPS60175884A (ja) 1985-09-10
EP0160120B1 (en) 1987-11-19
EP0160120A1 (en) 1985-11-06
ES8505463A1 (es) 1985-06-01
BE900447A (fr) 1985-02-28
BR8403741A (pt) 1985-12-03
MX155665A (es) 1988-04-11
AU2970984A (en) 1985-08-15
CA1233452A (en) 1988-03-01
JPH0420107B2 (ko) 1992-03-31
ES535595A0 (es) 1985-06-01
AU569525B2 (en) 1988-02-04
KR850006052A (ko) 198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073B1 (ko) 솔레노이드 밸브
KR890000075B1 (ko) 솔레노이드 밸브
US4595035A (en) Solenoid valve
EP0919754B1 (en) Proportional variable force solenoid control valve with armature damping
CA2046001C (en) Electromagnetic solenoid valve with variable force motor
US5544856A (en) Remotely controlling modulated flow to a fuel gas burner and valve therefor
US6619616B1 (en) Solenoid valve device
EP0393248A2 (en) Transmission pressure regulator
EP0511760A1 (en) Threaded sleeve assembly
EP0762025B1 (en) Electrically operated flow control valve
KR890000074B1 (ko) 솔레노이드 밸브
US3765644A (en) Controlled air gap in a solenoid operated valve
KR970075616A (ko) 유량 제어 밸브
US4658231A (en) Actuating magnet with enlarged plunger pole piece
EP0481184B2 (e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fluid control valve
JP2004324740A (ja) 比例電磁弁及びその制御方法
CA1279057C (en) Low leakage solenoid valve
GB2061015A (en) Direct current solenoid operator
JPH01242884A (ja) 電磁弁
GB2033053A (en) Normally closed valve assembly
US4679593A (en) Solenoid valve
EP1209327A2 (en) Hydraulically damped low friction solenoid operated valve
JPH0313008Y2 (ko)
EP0864474A3 (en) Solenoid controlled valve and antilock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US6161815A (en) Self-compensating proportional hydraulic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