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4435Y1 - 캐비넷등의 선반에 화일을 걸어 보관할 수 있는 화일의 현설구조 - Google Patents

캐비넷등의 선반에 화일을 걸어 보관할 수 있는 화일의 현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4435Y1
KR880004435Y1 KR2019860000815U KR860000815U KR880004435Y1 KR 880004435 Y1 KR880004435 Y1 KR 880004435Y1 KR 2019860000815 U KR2019860000815 U KR 2019860000815U KR 860000815 U KR860000815 U KR 860000815U KR 880004435 Y1 KR880004435 Y1 KR 880004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suspension
shelf
hang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0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941U (ko
Inventor
한양분
Original Assignee
한양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분 filed Critical 한양분
Priority to KR2019860000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4435Y1/ko
Publication of KR8700119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9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4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4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캐비넷등의 선반에 화일을 걸어 보관할 수 있는 화일의 현설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화일을 캐비넷 선반에 현설시킨 것을 보인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화일을 현설시키는 현가레일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화일을 펼친상태의 사시도.
제4(a)도, 제4(b)도, 제4(c)도는 화일의 전면 표지와 전면 현설구의 도면으로서, 제4(a)도는 전면표지에 전면 현설구를 취부하기전 상태의 사시도이고, 제4(b)도는 제4(a)도의 A-A 선 단면도이며, 제4(c)도는 전면표지에 전면 현설구를 취부한 상태의 단면도.
제5(a)도, 제5(b)도는 화일의 후면표지에 푸면 현설구를 취부한 상태의 사시도와 B-B'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화일 전, 후면 표지에 취부된 전, 후면 현설구의 결착상태를 보인 도면.
제7도는 본 고안의 화일을 현가레일에 걸어 보관하는 실시예.
제8도는 화일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캐비넷등의 선반 저부에 각종서류를 묶은 화일을 가지런히 걸어 보관할수 있으며, 걸려있는 화일을 수평으로 꺼낼수 있도록 한 화일의 현설구조에 관한 것으로, 선반 저부에 부착되는 보강간 대신에 보강기능을 겸하고 걸이간과 지지간을 돌설한 현가레일을 부착하여, 이에 화일을 걸어놓을수 있도록 화일의 전면 및 후면표지에 미끄럼 만곡면과 걸림돌부 및 요홈이 대칭 형성된 두개의 현설구를 취부하는 구성으로, 선반상에 화일을 걸어둔 상태로 보관할수 있어 종래처럼 화일이 옆으로 쓰러지는 현상이 전혀 없으므로 화일의 보관관리가 용이하며, 현가레일에 수직상태로 걸려있는 화일을 수평상으로 꺼낼수 있음과 동시 현가레일에 걸려있는 화일을 좌우로 이동시킬수 있으므로 화일의 선별작업이 쉽고 이에 따라서 화일의 선택 인출작업이 매우 용이한 것이다.
종래에도 화일을 걸어둘수 있는 현설구조가 있으나, 이의 구성은 화일을 수직상으로 꺼낼수 있게 되어 있어 서랍에 적합한 것이나. 선반이 다단으로 격설된 캐비넷등과 같은 보관고에는 적합한 것이 못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선반이 다단으로 격설된 각종 보관고에도 화일을 가지런히 걸어서 보관과 인출작업이 매우 용이하도록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7도의 구성은 일반서류용 화일의 현설구조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캐비넷과 같은 보관고(1)에 다단으로 격설된 선반(2) 저부와 상판 저부에, 상향으로 절곡된 단부(3a')에 활주구(4)를 삽착시킨 걸이간(3a)은 길고, 곡면(3b')을 갖는 지지간(3b)은 짧게 돌설한 현가레일(3)을 보울트등으로 부착시켰으며(제2도 참조), 일반서류용 화일(5)의 전면표지(5a)와 후면표지(5b)에 현가레일(3)의 걸이간(3a)에 걸려질 수 있도록 미끄럼 만곡면(6)(6') 걸림돌부(7)(7')와 요홈(8)(8')이 대칭되어 합치되는 전, 후면 현설구(9)(9')를 각각 부착하였다.
상기 전, 후면 현설구(9)(9')를 화일(5)의 전, 후면 표지(5a)(5b)에 부착시키는 공정을 설명하면, 제4도와 제5도의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면표지(5a)(5b)의 부착 가장자리를형으로 제작하고, 이의 하방에 수개의 구멍을 천공시킨다음,형 요구(a)가 형성된 전, 후면 현설구(9)(9')를 전, 후면 표지(5a)(5b)에 삽착하고, 이어서 전, 후면표지(5a)(5b)에 설정된 간격으로 천공된 수개의 구멍과 일치하는 지점(b)를 고주파열을 가하여 주면 제4(c)도와 제5(b)도의 도시와 같이 전, 후면 현설구(9)(9')의 내측벽면이 용융되면서 전, 후면 표지(5a)(5b)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외측벽면에 일체화 상태로 접합됨으로 그 연결부(c)에 의하여 전, 후면 현설구(9)(9')는 전, 후면 표지(5a)(5b)에 확고하게 취부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전면 현설구(9)의 내측면에는 괘지돌부(10a)를 상, 하로 돌출시킨 체결구(10)를 돌설하였으며, 후면 현설구(9')에는 전면 현설구(9)의 체결구(10)를 끼울수 있는 삽입공(11a)과 체결공(11b)을 천공하였으며, 요홈(8)(8') 일측에 안내계단(12)(12')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제8도와 제9도는 규격이 비교적 큰 전산용지 또는 카다록등을 묶어둘수 있는 화일(5')에는 묶어지는 서류용지의 하증을 충분히 견딜수 있도록 두개의 체결판(13)(13')에 현설구조를 형성시킨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두개의 체결판(13)(13')에 미끄럼 만곡면(6)(6'), 걸림돌부(7)(7')와 일측에 안내계단(12)(12')이 형성된 요홈(8)(8')을 형성하였다.
이하 미설명부호 14와 15, 15'는 일반 서류용화일(5)의 체결구와 규격이 큰 화일(5')의 체결구이고, 16은 화일(5)(5')의 표지에 부착된 명함꽂이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 일반서류용 화일(5)을 캐비넷등의 보관고(1)에 보관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화일(5)의 전면표지(5a)에 부착된 전면현설구(9)의 체결구(10)에를 후지표지(5b)에 부착되어 있는 후면현설구(9')의 삽입공(11a)에 끼워준 다음, 삽입공(11a)과 이어져 있는 체결공(11b)에 체결구(10)가 위치하도록 전면 또는 후면표지(5a) 또는 (5b)를 밀어주면(제6도 참조), 전, 후면 현설구(9)(9')는 합치되어지며, 또한 체결공(11b)에 삽치된 체결구(10)는 괘지돌부(10a)에 의하여 그 결착 상태를 확고히 유지할수 있게 됨으로서 화일(5)에 많은 분량의 서류를 묶어주었을 경우에도, 전, 후면 표지(5a), (5b)가 펼쳐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위와같이 전, 후면 표지(5a)(5b)를 접어준 상태에서 보관고(1)에 보관하고자할 때에는 선반(2) 저부에 횡으로 부착되어 있는 현가레일(3)의 긴 걸이간(3a) 단부(3a')에 삽착된 활주구(4)상에 전, 후면 현설구(9)(9')의 걸림돌부(7)(7')가 걸리도록 화일(5)을 수평상으로 집어넣어 주면 화일(5)을 현가레일(3)에 걸어줄수 있게 되는데, 전, 후면 현설구(9)(9')의 미끄럼 만곡면(6)(6')과 걸림돌부(7)(7')의 간격은 현가레일(3)의 걸이간(3a)의 단부(3a')와 이에 삽착된 활주구(4)의 높이보다 약간 크게 구성하였고, 또한 미끄럼만곡면(6)(6')에 의하여 걸리간(3a)의 단부(3a')에 합치된 전, 후면 현설구(9)(9')의 걸림돌부(7)(7')가 원활히 삽입되어지는 한편, 전, 후면 현설구(9)(9')는 화일(5)의 전, 후면표지(5a)(5b)에 일측으로 편중시켜서 취부하였음으로 현가레일(3)의 걸이간(3a)에 걸려진 화일(5)은 편중된 걸림돌부(7)(7')를 중심으로 하여 일측으로 기울어지려는 작용을 하게되는데, 현가레일(3)의 지지간(3b)의 위치와 같은 간격으로 요설한 요홈(8)(8')에 지지간(3b)이 삽입되어 지지하게 됨으로 화일(5)은 똑바르게 현설되어지는 것이며 (제7도 참조), 또한 요홈(8)(8')일측의 안내계단(12)(12')은 걸림돌부(7)(7')를 걸이간(3a)에 삽입시킬때 지지간(3b)의 곡면(3b')이 합치된 전, 후면 현설구(9)(9')의 상면에 닿지 않고 그 상면보다 낮은 안내계단(12)(12')에 닿도록 함으로서, 화일(5)의 기울림 각도를 어느 정도 줄일수 있어 현가레일(3)의 양측걸이간(3a)과 지지간(3b)의 높이를 축소시킬수 있고 또 보관고(1)의 내부공간 면적이 불필요하게 확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현가레일(3)의 걸이간(3a) 단부(3a')에 활주구(4)를 삽착한 것과 지지간(3b)의 단부를 곡면(3b')으로 구성한 것은 제1의 실시예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화일(5)을 현설시킨 상태에서 좌, 우 이동이 원활토록함과 동시 전, 후 현설구(9)(9')의 마모현상을 배제시킬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8도와 제9도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는 일반 서류용지보다 규격이 큰 전산용지나 카다록같은 것을 묶어 주는 화일(5')은 앞서 설명한 화일(5)처럼 전, 후면 표지(5a)(5b)에 전, 후면 현설구(9)(9')를 부착하지 않고 서류의 무게를 충분히 견딜수 있도록 두개의 체결판(13)(13')으로 구성하고, 이에 일측으로 편중시켜서 걸림돌부(7)(7')와 요홈(8)(8')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 다른 실시예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현가레일(3)에 걸어줄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작용효과도 동일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각종 보관고의 선반 저부에 걸이간과 지지간이 형성된 현가레일을 부착하고, 이에 걸수 있도록 걸림돌부와 요홈을 형성한 두개의 현설구를 화일표지에 부착시키거나, 또는 두개의 체결판상에 직접형성하는 구성으로, 보관고의 선반상에 가지런히 현설시킬수 있도록함으로서, 서류의 보관관리 상태가 양호하며, 서류의 선별작업 및 선택 인출작업이 매우 용이한 효과등을 지닌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통상의 보관고(1)의 선반(2) 저부에, 단부(3a')에 활주구(4)를 삽착시킨 걸이간(3a)과 곡면(3b')이 있는 지지간(3b)이 형성한 현가레일(3)을 부착하고, 미끄럼 만곡면(6)(6'), 걸림돌부(7)(7')와 안내계단(12)(12') 및 요홈(8)(8')을 형성된 전, 후면 현설구(9)(9')를 가지는 화일(5)을 상기 현가레일(3)에 걸수 있도록 하여서된 캐비넷등의 선반에 화일을 걸어 보관할 수 있는 화일의 현설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전면 현설구(9)의 내측면에는 괘지돌부(10a)를 돌출시킨 체결구(10)를 돌설하고, 후면 현설구(9')에는 삽입공(11a)과 체결공(11b)을 뚫어서된 캐비넷등의 선반에 화일을 걸어 보관할 수 있는 화일의 현설구조.
KR2019860000815U 1986-01-27 1986-01-27 캐비넷등의 선반에 화일을 걸어 보관할 수 있는 화일의 현설구조 KR880004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815U KR880004435Y1 (ko) 1986-01-27 1986-01-27 캐비넷등의 선반에 화일을 걸어 보관할 수 있는 화일의 현설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0815U KR880004435Y1 (ko) 1986-01-27 1986-01-27 캐비넷등의 선반에 화일을 걸어 보관할 수 있는 화일의 현설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941U KR870011941U (ko) 1987-08-01
KR880004435Y1 true KR880004435Y1 (ko) 1988-12-20

Family

ID=1924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0815U KR880004435Y1 (ko) 1986-01-27 1986-01-27 캐비넷등의 선반에 화일을 걸어 보관할 수 있는 화일의 현설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44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936B1 (ko) * 2012-10-22 2013-10-16 피아산업 주식회사 회화 및 공예품을 보관하는 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936B1 (ko) * 2012-10-22 2013-10-16 피아산업 주식회사 회화 및 공예품을 보관하는 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941U (ko) 198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5445A (en) Hanging binder
US6663201B2 (en) Vertically stabilized adjustable shelf bracket assembly
US5139155A (en) Hinged panel storage system
EP0571229A1 (en) Panel system
EP0389134A2 (en) Flexible pocket divider and support assembly
GB2091539A (en) Product display fixture
US5487617A (en) Hanging file system and apparatus
US6824231B2 (en) Storage cabinet
US4726635A (en) Hanging file folder support assembly for drawers
CN1418069A (zh) 带有两用可调挂衣间的贮物组合件
US7104411B2 (en) System for detachable suspension of shelves, drawers or the like
US5393136A (en) Drawer with convertible filing support system
US6619773B2 (en) Hanging vertical organizer for file drawer
US4818044A (en) Locker and locker-shelf insert
KR880004435Y1 (ko) 캐비넷등의 선반에 화일을 걸어 보관할 수 있는 화일의 현설구조
US5826730A (en) File folder organizer
US5658014A (en) Clipboard
JPS6227167Y2 (ko)
US4037895A (en) Document storage system
JPH0243225Y2 (ko)
US20110198305A1 (en) Angled Rolled Plan Rack
US2886183A (en) Slide-tilt tray filing system
KR20140002951A (ko) 도서 또는 잡지 진열 및 보관 겸용 서가
KR20200001086U (ko) 수납장 거치용 선반
CN211748167U (zh) 一种具有悬挂功能的搁架及衣帽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