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230Y1 - 재사용 가능한 봉함용기 - Google Patents

재사용 가능한 봉함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230Y1
KR880003230Y1 KR2019850010149U KR850010149U KR880003230Y1 KR 880003230 Y1 KR880003230 Y1 KR 880003230Y1 KR 2019850010149 U KR2019850010149 U KR 2019850010149U KR 850010149 U KR850010149 U KR 850010149U KR 880003230 Y1 KR880003230 Y1 KR 880003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inner cover
reuse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0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870U (ko
Inventor
장성철
Original Assignee
장성철
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철, 장호 filed Critical 장성철
Priority to KR2019850010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3230Y1/ko
Publication of KR870003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8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2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68Means for reclosing the cover after its first opening
    • B65D77/2096Adhes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2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B65D77/36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disposed beneath a wrapper, label, or other element of sheet material securing a lid, cover, or container mou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사용 가능한 봉함용기
제1도는 봉함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부분 확대도.
제4도는 다이컷팅 후, 점선으로 표시되어 나타내는 봉합덮개로 접기 전 상태를 표시하는 용기 원판의 평면도.
제5도는 봉합 덮개의 확대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10 : 주머니
14 : 재사용 덮개 17-2 : 측면 주변부
20, 26 : 파열방지구멍 19 : ㄴ자형 절단부
24 : 내부덮개 25-2 : 후방 주변부
28 : 감압 접착제 A : 부착선
본 고안은 한번 사용한 후에도 여러번 재봉함, 재사용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상면에 여러번 재봉함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덮개가 형성된 용기에 관한 고안인 것이다.
수요자는, 한번 덮개를 열어 사용한 후에도 그 덮개나 용기가 파손되지 않으면서 재사용이 가능한 봉함수단에 의하여 용기내의 내용물이 보호되는 저렴한 가격의 용기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시도가 많았지만, 많은 결점이 나타나있다.
첫째로, 종래의 시도에 있어서는 많은 부품의 복잡한 구조가 필요하였고 또한 제조과정에서 고가의 다이컷팅이 요구 되어왔다.
둘째로, 이와같은 재봉함 기구는 제한된 회수 만큼 개폐를 한 후에는 종종 봉함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또는 점착이 잘 되지 않게되어 신뢰성이 없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용기의 봉함부품은 대체로 분리가 되는 별도의 부품인 것이어서 사용자가 정확하게 위치를 정하지 못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개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주머니(10)로 된 용기(1)의 외부면(11)은 내부덮개(24)와 이 내부덮개(24)를 덮는 재사용 덮개(14)를 갖추고 있다. 내부덮개(24)는 전방 주변부(25-1)와 후방 주변부(25-2)로 되어있고, 전방 주변부(25-1)는 외부면(11)의 소망의 지점으로부터 절단되기 시작하여 후방 주변부(25-2)에서 절단이 끝나면서 또한 이 후방 주변부(25-2)는 부착선(A)을 따라 용기(1)의 외부면(11)에 일체로 부착되게 된다.
이와같은 내부덮개(24)는 부착선(A)을 따라 용기(1)의 외부면(11)에 대하여 피펫트 결합되어 들어 올리수 있는 것이다. 재사용 덮개(14)의 봉함덮개(16)는 그 일면, 즉 내부면에 감압점착제(28)가 도포되어있고, 점착제(28)에 의하여 내부덮개(24) 위체 겹쳐져 덮어 있게 된다.
또한 봉함덮개(16)는 내부덮개(24)보다 크기가 커서 내부덮개(24) 주위에 주변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주변부는 전면 주변부(17-1)와, 측면 주변부(17-2) 및 후면 주변부(17-3)로 구성되며, 후면 주변부(17-3)는점착에 의하여 내부덮개(24)의 후방 주변부(25-2)를 덮으면서 용기(1)의 외부면(11)에 영구점착되게 된다.
또한 재사용 덮개(14)의 봉합덮개(16)에서 대향되는 한쌍의 ㄴ자형 절단부(19)는 대향 양단으로부터 시작하여 봉합덮개(16)를 형성하는데, 봉함덮개(16)의 측면 주변부(17-2)를 따라 전면 주변부(17-1)를 향하여 부분적으로 뻗고 영구점착된 후면 주변부(17-3)까지 향한 후 부착선(A)에서 종결한다.
이 ㄴ자형 절단부(19)의 종료부에는 제1의 한쌍의 봉함덮개 파열 방지구멍(20)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덮개(24)의 후방 주변부(25-2) 절단선의 종료부에는 제2의 한쌍의 내부덮개 파열 방지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파열 방지구멍(20), (26)은 부착선(A)을 따라 일직선 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따라서 재사용 덮개(14)의 봉함덮개(16)는 내부덮개(24)를 그 내부덮개(24)가 절단된 곳에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어서 봉함할 수 있도록 피벗트 작용하여 내릴 수 있고, 또한 봉함덮개(16)의 전면 주변부(17-1)와 측면 주변부(17-2)를 갖춤으로서 용기(1)의 외부면(11)을 봉함하면서 점착제(28)에 의하여 외부면(11)을 점착하고,영구점착된 후면 측면부(17-3)를 들어올리지 않고 또한 내부덮개(24)가 봉함덮개(16)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용기(1)를개방할 수 있도록 피벗트 작용하면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덮개(24)의 후방 주변부(25-2)는 내부덮개(24의 폭을 일정하게 하도록 직선상으로 전달될 수도 있고, 도면이서와 같이, 봉함덮개(16)의 후면 주변부(17-3)의 절단부와 ㄴ자형 절단부에 평행하도록 양단이 형성되게끔 절단될 수도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주요한 목적은 단지 두 개의 주요한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는 재봉함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 두개의 부품은 단일의 다이컷팅으로 되는 종이 또는 호일 모재와 봉함덮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두 개의 부품으로 조합된 단일 물품으로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재봉함이 가능한 용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두번째 목적은 봉함 작용이 그치기 전에 수많은 회수도안 사용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봉함 덮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기로부터 봉함부를 깜쪽같이 분리, 점착할 수 있도록 용기에 봉합부를 부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봉함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인 재사용 가능한 봉합용기(1)는 주머니(10)로 되어 있는데, 이 주머니(10)는 내용물(13)이 들어가면 커지고 내용물을 꺼내면 작아지도록 하는 아코오디언형 절곡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재상용 덮개(14)의 봉합덮개(16)는 용기(1)를 봉합하기 위하여 용기입구(18)를덮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봉함덮개(16)가 부착되는 부착선(A)의 끝부분에는 봉합덮개(16)가 열릴 때 이 지점에서의 압력을 줄이고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열 방지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22)를 들어올리면 봉함덮개(16)가 들려 용기(1)가 열리게 된다.
제2도, 제3도는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용기 입구(18)가 명확하게 보이고 있다.
재사용 덮개(14)가 열린상태에서, 내부덮개(24)와 내부덮개의 파열 방지구멍(26)이 나타나 있다.
봉합 덮개(16)의 저면에는 감압 점착제(28) 가 도포되어 있어 주머니(10)는 반복하여 봉함 또는 재봉함 될 수 있다.
제4도는 직사각형으로 컷팅된 원판(30)을 나타내고 있다. 원판(30)에는 아코오디언형 절곡부(12)가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또한 내부덮개(24)와 2개의 내부덮개 파열 방지구멍(26)이 원판(30)에 컷팅되어 있다.
아코오디언형 절곡부(12)가 형성된 후에 용기(1)를 성형하기 위하여, 상단은 상부 접합선(32)을 따라 영구접착법에 의하여 고정되고, 하단은 역시 하부 접합선(34)을 따라 영구접착법에 의하여 고정되고,후단 접합은 후방부 봉합선(36) (38)을 서로 영구접착하여 고정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용기가 성형된 후에는, 재산용 덮개(14)는 점선으로 나타나는 바와같이, 감압 접착제(28)에 의하여 부착된다.
제5도는, 두 개의 봉함덮개 파열방지 구멍(20)과 내부덮개(24)와 내부덮개 파열 방지구멍(26)이 점선으로 나타나는 봉함덮개(16)의 확대 평면도이다.
봉함덮개(16)와 내부덮개(24)는 점착되어 결합되어 있고, 봉함덮개 파열 방지구멍(20)-(20)의 선은 내부덮개 파열 방지구멍(26)-(26)의 선과 일직선 상에 있다.
이러한 배열로 인하여, 주머니(10)로부터 봉함덮개(16)를 분리하는 동안 재사용 덮개(14)가 부드럽게 휘고 감쪽같이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재사용 가능한 봉함 용기(1)는 단지 두 개의 부품인 주머니와 재사용 덮개로만 이루어져 있어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고, 용기(1)의 주머니(10)에 대하여 재사용 덮개(14)를 잡아 당기어 떼어낼 경우에, 파열 방지구멍(20),(26) 각각에 의하여 재사용 덮개(14)와 내부덮개(14)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재사용 덮개(14)의 측면 주변부(17-2) 양쪽후방에 ㄴ자형 절단부(19)가 형성된 것에 의하여는, 용기(1)를 재사용 하기 위하여 주머니(10)에 대하여 재사용 덮개(14)를 잡아 당길 때에, 재사용 덮개(10)의 잡아 당김력은 직선상으로 작용하다 ㄴ자형 절단부(19)에 의하여 직교한는 변위의 힘으로 변환하기 때문에 1차적으로 잡아 당김력을 분산 저지시킬 수 있어 재사용 덮개(10)의 파손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로인하여는, 봉함덮개의 점착력이 다하기 전이라하여도 수많은 횟수동안 사용할 수 있어 신뢰도가 놓아질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신규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용기(1)의 주머니(10)의 일측 상면에 내부덮개(24)와 재사용 덮개(14)를 형성하여 용기(1)를 재사용토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용기(1)의 주머니(10)의 일측상면에 내부덮개(24)가 후방 주변부(25-2)에 형성한 파열 방지구멍(26)을 지점으로 회동 열림 가능하게 하고, 일측면에 감압 점착제(28)가 형성된 재사용 덮개(14)의 측면 주변부(17-2) 양쪽 후방에 ㄴ자형 절단부(19)를 각각 절취시키어 상기 내부덮개(24)의 파열 방지구멍(26)과 부착선(A)로서 일치되게 한 파열 방지구멍(20)과 연이어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가능한 봉함용기.
KR2019850010149U 1985-08-07 1985-08-07 재사용 가능한 봉함용기 KR880003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149U KR880003230Y1 (ko) 1985-08-07 1985-08-07 재사용 가능한 봉함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149U KR880003230Y1 (ko) 1985-08-07 1985-08-07 재사용 가능한 봉함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870U KR870003870U (ko) 1987-03-30
KR880003230Y1 true KR880003230Y1 (ko) 1988-09-15

Family

ID=1924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0149U KR880003230Y1 (ko) 1985-08-07 1985-08-07 재사용 가능한 봉함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32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870U (ko) 198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2269A (en) Resealable sealing device
US4573203A (en) Reusable plastic bag with loop handle
US4902141A (en) Resealable flexible packaging and sealing tape therefor
US4464154A (en) Method of making reclosable pour opening structure for a packaging container
US4679693A (en) Label resealing container
US4713839A (en) Resealable reusable flexible plastic bag with loop handle
US4266666A (en) Blister package
JP3461942B2 (ja) 液体容器のための開封装置
US5167455A (en) Container
US3002674A (en) Improvements in paper bags and the like
US4119203A (en) Reclosable hinged blister card package
SE463762B (sv) Aaterfoerslutningslock med oevervikt klaafingerskydd
US4339053A (en) Container with attached pull tab opener and indicator
RU2108274C1 (ru) Упаковочный материал с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для вскрытия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4819807A (en) Tear-strip opening envelope apparatus
NO313455B1 (no) Gjenlukkbar emballasje
CA1038799A (en) Tape seal for container
US4569442A (en) Reclosable blister package
US3653585A (en) Container with tear-type opener
KR880003230Y1 (ko) 재사용 가능한 봉함용기
US3358873A (en) Containers with opening means
US4126245A (en) Pull tab tops for sealed containers
JPS60228281A (ja) 板状食品の包装品
US3966079A (en) Seal for can or like container
JPH07315375A (ja) 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9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