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603B1 - 분사형 용기용 애프리케이터(Applicator) - Google Patents

분사형 용기용 애프리케이터(Applic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603B1
KR880001603B1 KR8200390A KR820000390A KR880001603B1 KR 880001603 B1 KR880001603 B1 KR 880001603B1 KR 8200390 A KR8200390 A KR 8200390A KR 820000390 A KR820000390 A KR 820000390A KR 880001603 B1 KR880001603 B1 KR 880001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rush
wall
container
appl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부로 오바따
가즈오 이또
Original Assignee
고바야시 야쓰이
라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바야시 야쓰이, 라이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바야시 야쓰이
Priority to KR8200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60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Brush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사형 용기용 애프리케이터(Applicator)
제1도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용기에 부착되어진 애프리케이터의 측 단면도.
제2도는 애프리케어터의 배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主)몸체 1a : 헤드(head)부
1b : 몸통 1c : 주름진 부분
2 : 가동노즐 3 : 캡(Cap)
4 : 외면벽 4a : 홈
4b : 언더컷(Under Cut)부 5 : 방출관
5a : 열린끝단 5b : 끝단
5c : 내주면(內周面) 10a : 관형부분
5d : 수축면 l0b : 밑면
6 : 노즐누름부 10c : 강모(剛毛)
7 : 연결부분 10d : 관형벽
8 : 손가락 구멍 10e : 출구
10 : 브러쉬 (Brush) 10f : 노브 (knob)
본 발명은, 노즐(nozzle)이 눌러졌을때 가스(Gas)압력에 의하여 내용물을 방출하기 위해 용기의 상단부로 부터 돌출되어진 가동노즐을 갖춘 분사형 용기용 애프리케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척장치로 사용되고 그러한 용기에 고정할 수 있는 브러쉬 (brush)와 캡(Cap)을 갖춘 애프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물건들은 그러한 분사형 용기안에 들어있는 거품 세척제로, 그리고 용기의 가동노즐을 누름으로써 물건위에 세척제의 거품을 뿌리고 물건을 솔질함으로써 세척되어진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용기와 브러쉬는 서로 각각 분리되어 있으며 그 결과 사용, 보관 및 보존에 불편하였다.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예전에 경험하였던 불편함을 극복하고 노즐을 갖춘 분사형 용기에 사용할 애프리케이터의 마련에 있으며, 이것은 브러쉬와 캡으로 구성되는데 캡은 일체로 함께 주형되며 브러쉬를 거기에 부착하고 용기의 내용물을 브러쉬에 공급하기 위해 노즐을 끼워지는 방출관과 노즐 그리고 노즐 누름부를 둘러쌓아 용기 몸체의 헤드부에 끼워질 수 있게된 외면벽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브러쉬를 갖춘 애프리케이터는 용기에 부착되어 사용, 보관 및 보존되어 질 수가 있으며,사용이 간편하고, 구조가 소형이며, 부품의 수를 극소화하며, 조립하기 쉽고, 만드는데 저렴하며 누설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아래에서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면에 의하면 분사형 용기의 주몸체는 1로써 표시되어 있다. 주몸체 1은 이것의 헤드부 la로부터 위로 돌출된 가동노즐 2를 가지고 있다. 노즐 2가 수직위치 또는 경사진 위치로 내려 눌러지면, 용기 주몸체 1에 넣어진 밸브(Valve)가 열려서 주몸체 1에 채워진 거품 세척제는 주몸체 1에 넣어진 가스의 압력에 의해 입구로 부터 노즐 2의 선단끝으로 뿜어져 나오게 된다. 캡 3은 약간의 유연성을 가진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합성수지로써 일체로된 조각의 형태로 주형된다. 캡 3은 그것은 밑의 끝단에 홈 4a를 형성하고 있는 외면벽 4을 가지고 있다. 홈 4a는 헤드부 la가 주몸체 1의 몸통1b에 결합되는 곳인 주름진 부분1c에 끼워진다. 홈 4a를 정해주는 외부의 벽의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언더 컷(Under Cut)부분 4b는 주름진 부분 Ic에 맞물려 진다. 캡의 외면벽 4는 용기 주몸체 1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열린 선단부를 가지고 있다. 외면 외면벽 4안에 설치된 방출관 5는 벽 4로 둘러싸여진 가동노즐 2을 끼우는 한쪽끝단 5a를 가지고 있다. 방출관 5의 다른 끝단 5b는 비스듬히 뻗어져서 외면벽 4의 선단부를 지나 약간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방출관 5의 열린 끝단 5a는 테이퍼(taper)진 내주면 5c를 가지고 있고 그럼으로써 가동노즐 2를 끼우기 쉽도록 되어 있다. 관 5는 수축면 5d가 있는 중간부분이 있고 그것은 외면에서 노즐누름부 6은 그것과 함께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 6의 외주부분은 조그만 폭을 가진 가요성(可畿性)연결부분 7에 의해 외면벽의 내부표면에 연결되어진다. 누름부 6는 벽 4에 형성된 손가락 구멍 8의 반대쪽에 있고 연결부분 7의 반대쪽에 부분 6의 한 면상에 위치 한다.
폴리에틸렌이나 가요성 있는 합성수지 같은 것으로 일체로 주형된 브러쉬 10은, 캡 외면벽 4의 열린 선단부에 끼워지는 관형부분 10a를 가지고 있다. 관형부분 10a는 그것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진 강모 10c들의 집합체를 가진 밑면 10b의 바깥끝에 형성되어 있다. 밑면 10b는, 밑면 10b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한 관형벽 10d이 만드는 출구 10c를 가지고 있다. 방출된 5의 돌출된 끝단은 관형벽 10d에 끼워진다. 브러쉬 10은 캡 외면벽 4로부터 브러쉬 10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노브(knob)10f를 가지고 있다.
애프리케이터는 다음 방법으로 사용되어진다. 손으로 용기 주몸체 1을 잡고 구멍8을 통하여 캠 외면벽 안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누름부 6을 내려누르면, 적어도 방출관 5의 다른 끝부분 5b와 출구 10e의 관벽 10d중 하나와 연결부분 7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제1도에 표시된 2점 쇄선에 표시된 것 같이 경사지어진다. 누름부 6은 가동노즐 2를 경사지게 하거나 눌러서, 주몸체 1안의 거품 세척제가 거품으로 노즐 2로부터 뿜어져 나오고 방출관 5로부터 브러쉬 10의 출구 10e에 도달하게 된다. 세척제는 출구 10e로부터 브러쉬 10의 강모 10C에 공급되어진다. 그리하여 먼지는 이러한 상태의 브러쉬 10으로 물건을 솔질함으로써 세척할 물건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누름부 6이 누름으로부터 자유로와지면, 노즐 2는 주몸체 1의 설명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서 처음의 수직 또는 돌출된 위치로 되돌아가서 세척제의 분출을 멈추게 한다. 연결부분 7과 같은 탄성변형부분들은 스스로 제자리에 돌아오고 누름부 6은 처음위치로 돌아온다. 세척제는 누름부 6을 아래위로 움직이므로써 누름부 6을 반복적으로 내려누르고 늦춰줌으로써 간헐적으로 브러쉬 10에 공급하여 줄 수 있다.
위에서 묘사한 설명은 브러쉬가 경사지고 손가락 입구가 브러쉬의 반대 방향의 벽 4의 뒷부분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사용하기 쉽게 되어있다.
발명에 의하면 용기안의 내용물은 세척물이나 적당한 액체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구성은 응용되어 질 수 있다. 브러쉬는 개방세포형 탄성거품으로 구성되는 애프리케이터 요소에 의하여 대치할 수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 같이, 본 발명의 애프리케이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노즐 2를 눌렀을때 가스 압력에 의해 내용물을 분출하기 위해, 용기 주몸체 1의 머리부 1a로부터 돌출되어진 가동노즐 2를 가진 분무형 용기 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용기몸체 1의 헤드부 1a에 끼워질때, 캡 외면벽은 노즐 2를 둘러싸고 벽 4 안쪽의 방출관 5의 한쪽 끝단은 노즐 2를 끼워넣는다. 노즐 누름부 6은 방출관 5와 일체로 되어있고 외면벽 4에 형성되어 있는 손가락 입구 8과 반대쪽에 있다. 벽 4의 선단끝단에 끼워지는 브러쉬 10은 그것의 강모있는 면으로 방출관의 다른 끝단이 서로 관통 연결되어 있다. 노즐 2가 구멍 8을 통해 손가락으로 내려 눌러지는 누름부 6에 의해 눌려질때, 내용물은 방출관 5를 통하여 노즐 2로부터 브러쉬 10에 공급되어질 수 있다. 그리하여 내용물은 용기로부터 방출되어질 수 있으며, 간단히 요구하는 물건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애프리켐이터는 사용하기 쉽고 간편하여, 쉽고 능률적인 분무작업을 보장한다. 더우기 애프리케이터는 용기에 부착 되어진 그것의 캡으로써 간단히 보관되어질 수 있다. 특별히 애프리케이터는 함께 일체로 주형된 벽 4와 관 5 그리고 누름부 6을 포함한 캡 3으로 구성되었으며 브러쉬 10은 벽 4에 부착되었기 때문에 오직 두 부분으로 만들어졌으며, 또한 조립하기 쉽고 만드는데 저렴하다. 노즐 2는 오직 방출관 5에 의하여 브러쉬 10과 관통 연결되어있으므로, 내용물은 적은 저항으로, 누설없이 그리고 과도한 사용의 가능성을 줄이면서, 결과적으로 용기에 들어있는 내용물의 양을 절감하면서 부드럽게 공급되어 질수 있으며, 누름부 6의 부드러운 복귀를 가능케 한다.

Claims (1)

  1. 노즐이 눌려졌을때 가스압력에 의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방출하기 위하여 용기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어진 가동노즐을 가지며, 애프리케이터는 가동노즐을 둘러싼, 용기몸체의 헤드부에 끼워질 수 있는 외면벽을 포함한 캡 및 브러쉬와, 캡 외면벽 안에 위치하고 노즐에 끼워질 수 있는 한쪽 끝단에 있는 방출관과, 방출관과 일체로 되어지고 캡 외면벽에 그것을 한 일부로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된 노즐 누름부 등으로 구성되며, 노즐 누름부는 캡 외면벽에 형성된 손가락 구멍의 반대쪽에 있으며, 방출관과 노즐 누름부는 합성수지로 일체로 주형되어 졌으며, 브러쉬는 캡 외면벽의 앞끝단에 끼워지고 그것의 강모가 있는 면으로 방출관의 다른 끝단이 서로 관통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형 용기용 애프리케이터.
KR8200390A 1982-01-29 1982-01-29 분사형 용기용 애프리케이터(Applicator) KR880001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0390A KR880001603B1 (ko) 1982-01-29 1982-01-29 분사형 용기용 애프리케이터(Applic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0390A KR880001603B1 (ko) 1982-01-29 1982-01-29 분사형 용기용 애프리케이터(Applic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603B1 true KR880001603B1 (ko) 1988-08-25

Family

ID=1922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390A KR880001603B1 (ko) 1982-01-29 1982-01-29 분사형 용기용 애프리케이터(Applic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60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3273A (en) Applicator for aerosol-type containers
US4767034A (en) Scrubber cap closure
US4143667A (en) Retractable dispensing brushes
US6152324A (en) Flow reducer member, in particular for a receptacle containing a cosmetic, and a method of manufacture
US3981597A (en) Shaving cream dispenser
US4974984A (en) Brush top/dispenser container
US20050056343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cosmetic or another care product
US2578864A (en) Seal for flexible containers
US3387911A (en) Brush dispenser
US2715236A (en) Liquid ejector and applicator
US20060081661A1 (en) Dispensing device for a cosmetic product
WO2001032512A2 (en) Liquid container with extensible dispensing tube
WO1999053797A1 (en) Unidirectional cosmetic wiper
US3495922A (en) Brush dispenser and applicator for aerosol containers
US3383157A (en) Dispensing utensil
US20050098584A1 (en) Dispensing device with pivoting spray nozzle
US6932247B2 (en) Gripping device for flexible bag dispenser
US6341735B1 (en) Receptacle fitted with a dispenser head
KR880001603B1 (ko) 분사형 용기용 애프리케이터(Applicator)
US2920333A (en) Fountain brush
WO2011055114A2 (en) Controlled dose fluid dispenser
US7651013B2 (en) Outlet device for a container or vessel
US3408151A (en) Self-lathering shaving brush
US2952027A (en) Dispensing brushes
JPS624168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7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