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346B1 - 다결정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결정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346B1
KR880001346B1 KR1019850008112A KR850008112A KR880001346B1 KR 880001346 B1 KR880001346 B1 KR 880001346B1 KR 1019850008112 A KR1019850008112 A KR 1019850008112A KR 850008112 A KR850008112 A KR 850008112A KR 880001346 B1 KR880001346 B1 KR 880001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dte
cds
forming
in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532A (ko
Inventor
고용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5000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346B1/ko
Publication of KR870004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결정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에 메탈네트를 설치하기 전상태의 평면도.
제3도는 종래의 태양전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광성기판 2 : 인듐(In)막
3 : Cds막 4 : CdTe막
5 : 은(Ag)막
본 발명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 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속에서 저온 열처리에 의한 확산방법을 이용하여 다결정박막을 형성하도록 된 다결정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를 이용한 태양전지로서는 규소(실리콘 : Si)를 소재로한 것과 비화칼륨(GaAs) 등 Ⅲ-Ⅴ족 물질을 소재로한 것 그리고, Ⅱ-Ⅵ족을 소재로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들 가운데 Ⅱ-Ⅵ족을 소재로한 것 중에서 종래에는 황화카드뮴(Cds : 이하 Cds라 함)물질에 1족 또는 7족의 불순물을 첨가하여 n형 Cad막을 형성시키고, 카드뮴텔루륨(CdTe : 이하 CdTe라 함)물질에 1족 또는 5족의 불순물을 첨가하여 p형 CdTe막을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n형 반도체에 인듐(IN)물질을 증착하여 전극을 형성시키고, p형 CdTe막에는 은(Ag)물질을 증착시켜 전극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n형 및 p형 반도체를 형성하는 불순물을 첨가시키고, 상기 각 형태의 반도체에 전극물질을 부착하는 공정을 구별하여 개별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불순물이 함유되지 않은 Cds와 CdTe 물질에 인듐(In)및 은(Ag)을 각각 진공속에서 저온열처리를 하여 p형 n형 전극을 형성시킨 다결정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a) 투광성기판(1) 상단에 인듐물질을 진공 증착하여 인듐막(2)을 형성시켜 전극을 뽑아내는 제1공정과
b) 상기 인듐막(2) 상단에 Cds 물질을 진공속에서 증착시킨후 저온열처리를 함으로써 n형 반도체인 Cds막(3)을 형성시키는 제2공정
c) 상기 Cds 막(3) 상단에 CdTe막 물질을 증착시켜 CdTe막(4)을 형성시키는 제3공정
d) 상기 CdTe막(4) 상단에 은을 진공중착시킨 후 진공저온 확산방법을 통해 상기 CdTd 막(4)을 p형 반도체로 형성시키는 한편 은막(5)에 전극을 뽑아내는 제4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6은 전도성 테이프, 7은 n-Cds막, 8은 p-CdTe막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성층된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투광성기판(1) 상단에 인듐물질을 진공증착하여 인듐막(2)을 형성시켜 전극을 뽑아내고(제1공정), 상기 투광성기판(1) 상에 형성된 인듐(2) 상단에 Cds 물질을 진공도 10-(∼10-1torr인 진공상태에서 증착시킨후, 온도 100∼300℃로 30∼60분 동안 저온열처리에 의한 확산방법을 통하게 되면 n형 반도체인 Cds 막(3)이 형성되며(제2공정), 상기 Cds 막 (3) 상단에 CdTe 물질에 증착시켜 CdTe막(4)을 형성시키고 (제3공정), 상기 CdTe막(4) 상단에 은물질을 진공도 10-(∼10-1torr하에서 진공증착시킨 후 온도 150∼300℃로 60∼120분 동안 저온열처리에 의해 확산방법으로 p형 반도체인 CdTe막(4)을 형성(제4공정) 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2도는 성층이 완료된 소자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인듐(2)에 전도성테이프(6)를 붙혀 단자를 형성시키고 다수의 형태로 이루어진 은막(5)에 전도성테이프(6)를 붙혀 단자로 형성시킨 구조를 잘 나타내고 있다.
제3도는 종래이 성층된 태양전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투광성기판(1)상에 3족 또는 7족의 불순물이 첨가된 Cds 물질을 증착시켜 n형 반도체인 n-Cds막(7)을 형성시키되 상기 Cds막(3)상단에 인듐물질을 증착시켜 전극인 인듐막(2)을 형성시키고, 또한 상기 n-Cds막(7) 상단에 1족 또는 5족의 불순물이 첨가된 CdTe 물질을 증착시켜 p형 반도체인 p-CdTe막(8)을 형성시키되 상기 n- CdTe막(8) 상단에 은물질을 증착시켜 전극인 Ag 막(5)을 형성시키는데 이는 불순물첨가 및 전극물질을 부착하는 공정을 구별하여 개별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종래의 불순물을 사용하여 n형 및 p형 반도체를 제조하는 공정과 전극을 상기 각 반도체상에 부착시키는 공정을 하나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처리온도 및 시간에 의해 도우핑농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a) 투광성기판(1)상단에 인듐물질을 진공증착하여 인듐막(2)을 형성시켜 전극을 뽑아내는 제1공정과, b) 상기 인듐막(2) 상단에 Cds 물질을 진공증착시킨 다음 진공속에서 저온열처리를 하여 n형 반도체인 Cds막(3)을 형성시키는 제2공정, c) 상기 Cds 막(3) 상단에 CdTe 물질을 증착시켜 CdTe막(4)을 형성시키는 제3공정.
    d) 상기 CdTe막(4) 상단에 은을 진공증착시킨 다음 진공저온 확산방법을 통해 CdTe막(4) p형 반도체로 형성시키는 한편 은막(5)에 전극을 형성시키는 제4공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결정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19850008112A 1985-10-31 1985-10-31 다결정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880001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8112A KR880001346B1 (ko) 1985-10-31 1985-10-31 다결정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8112A KR880001346B1 (ko) 1985-10-31 1985-10-31 다결정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532A KR870004532A (ko) 1987-05-11
KR880001346B1 true KR880001346B1 (ko) 1988-07-25

Family

ID=1924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112A KR880001346B1 (ko) 1985-10-31 1985-10-31 다결정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3608B2 (en) 2007-11-02 2016-02-16 First Solar, Inc. Photovoltaic devices including doped semiconductor film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3608B2 (en) 2007-11-02 2016-02-16 First Solar, Inc. Photovoltaic devices including doped semiconductor films
US10319873B2 (en) 2007-11-02 2019-06-11 First Solar, Inc. Photovoltaic devices including doped semiconductor films
US10861994B2 (en) 2007-11-02 2020-12-08 First Solar, Inc. Photovoltaic devices including doped semiconductor films
US11843070B2 (en) 2007-11-02 2023-12-12 First Solar, Inc. Photovoltaic devices including doped semiconductor fil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532A (ko) 198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1954A (en) Monolithic solar cell array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ing
US4113531A (en) Process for fabricating polycrystalline inp-cds solar cells
US4496788A (en) Photovoltaic device
US5948176A (en) Cadmium-free junction fabrication process for CuInSe2 thin film solar cells
Fahrenbruch Ohmic contacts and doping of CdTe
Tiwari et al. CdTe solar cell in a novel configuration
US4152535A (en) Continuous process for fabricating solar cells and the product produced thereby
US3290175A (en) Semiconductor photovoltaic devices
US4523051A (en) Thin films of mixed metal compounds
US5125984A (en) Induced junction chalcopyrite solar cell
US4400221A (en) Fabrication of gallium arsenide-germanium heteroface junction device
US515505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hotovoltaic device
US4879251A (en) Method of making series-connected, thin-film solar module formed of crystalline silicon
US4595790A (en) Method of making current collector grid and materials therefor
US20060102230A1 (en) Thermal process for creation of an in-situ junction layer in CIGS
EP1817113A1 (en) Thermal process for creation of an in-situ junction layer in cigs
JPS6252478B2 (ko)
EP4163983A1 (en) High-efficiency cadmium telluride thin-film solar cel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JPH0878659A (ja) 半導体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4342879A (en) Thin film photovoltaic device
JP3311873B2 (ja) 半導体薄膜の製造方法
CN110085683A (zh) 无掺杂晶体硅异质结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EP0248953A1 (en) Tandem photovoltaic devices
KR880001346B1 (ko) 다결정박막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US4101341A (en) CdSe-SnSe photovoltaic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