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016B1 - Radiotelephone with hand-free operation - Google Patents

Radiotelephone with hand-free op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016B1
KR880001016B1 KR8201283A KR820001283A KR880001016B1 KR 880001016 B1 KR880001016 B1 KR 880001016B1 KR 8201283 A KR8201283 A KR 8201283A KR 820001283 A KR820001283 A KR 820001283A KR 880001016 B1 KR880001016 B1 KR 880001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ate
circuit
output signal
predetermin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12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30009702A (en
Inventor
찰스 이스트몬드 브루스
Original Assignee
빈센트 죠셉 라우너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빈센트 죠셉 라우너,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빈센트 죠셉 라우너
Priority to KR820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016B1/en
Publication of KR830009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7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0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25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mplemented as integrated speech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Abstract

The appts. includes a microphone, a speaker, and a control circuitry. The control circuitry of speakerphone interfaces a microphone to a transmit signal and speaker to a receive signal of a duplex communication path, such as a radio channel or telephone line. An audio switch opens or closes the microphone audio path in response to the binary complement of the control signal. Transmit and receive signal detectors each includes a logarithmic amplifier, an envelope detector, a smoothing filter, a valley detector, a summer and a comparat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udio signals in environments that may be subject to high background noise.

Description

핸드프리(hand free)작동의 무선전화기Hand free cordless telephone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핸드프리 제어회로를 유용하게 사용한 자동차 무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wireless system using the hand-free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fully.

제2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핸드프리 제어회로의 상세구성도.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hand-free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제2도에서 핸드프리 제어회로의 제어 논리부분의 상세 회로도.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control logic portion of the hand-free control circuit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자동차 무선전화 시스템 110 : 자동차 무선기100: car wireless telephone system 110: car wireless

111 : 마이크로폰 112 : 스피커111: microphone 112: speaker

113 : 제어 및 다이얼링 유니트 101 : 자동차113: control and dialing unit 101: car

103 : 인공위성 수신기 102 : 기지 스테이션103: satellite receiver 102: base station

104 : 제어단자 105 : 전화중앙국104: control terminal 105: telephone central station

201 : 이득단 202 : 음향 스위치201: gain stage 202: sound switch

205 : 고역통과필터 200 : 제어회로205: high pass filter 200: control circuit

213 : 이득단 214 : 스케너(주사기)213: gain stage 214: scanner

220 : 자동차 무선수신기 221 : 듀플렉스220: car wireless receiver 221: duplex

222 : 무선송신기 230 : 제어회로222: wireless transmitter 230: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및 포터블 무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러한 무선 시스템에서 자동차 및 포터블 무선 사용자에게 핸드프리(hand free)작동을 제공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automotive and portable wireless systems, and more particularly to circuitry for providing hand free operation to automotive and portable wireless users in such wireless systems.

무선 및 유선 전화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귀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한쪽 종단에 스피커를 그리고 입에 근접하는 다른쪽 종단에 있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핸드셋으로 통화하였다. 그러므로, 한쪽 손이 전화기 핸드셋을 잡게되어 사용자는 한쪽 손만이 자유롭게 된다. 사용자에게 보다 높은 정도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피커폰이 유선전화 시스템에서 개발되었다. 보통 이러한 스피커폰은 양측의 볼륨을 비교하여 크게 말하는 폭을 선택한다. 이러한 종래의 스피커폰들은 유선 전화기에서 활용될 때에는 매우 적합하나, 무선에서 사용할 때는 자동차에서 발생된 높은 주위잡음 때문에 정확하게 작동할 수가 없다. 예를들자면, 높은 레벨의 주위잡음은 이러한 스피커폰이 항상 핸드프리쪽만 선택하도록 하며, 결과적으로 다른쪽에서의 모든 통화를 막아버린다.In wireless and wireline telephone systems, a user has talked on a handset that includes a speaker at one end positioned proximate the user's ear and a microphone at the other end proximate the mouth. Therefore, one hand is holding the telephone handset so that the user is free only one hand. In order to provide users with a higher degree of convenience, speakerphones have been developed in wireline telephone systems. Usually, these speakerphones choose a width that is louder by comparing the volumes on both sides. These conventional speakerphones are well suited for use in landline telephones, but cannot operate correctly due to the high ambient noise generated in automobiles when used wirelessly. For example, high levels of ambient noise cause these speakerphones to always select only the hands-free side, thus blocking all calls from the other side.

핸드프리 작동의 한 형태는 무선 송신기를 작동시키고 스피커의 음성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를 활용하므로써 무선 시스템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핸드프리쪽에서 통화하고 싶을 때마다, 발스위치를 작동시켜야만 된다. 그러므로, 핸드프리쪽은 스피커폰의 경우에서 처럼 동작의 완전한 자유를 갖지 못한다. 동작의 완전한 자유는 핸드프린인 경우 자동차를 운전 할때 극히 중요하다. 발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작의 제한은 사고를 유발하거나, 인명의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스피커폰이나, 발스위치 작동 송신기는 자동차류에서 필요한 핸드프리 작동의 형태를 제공하지 못한다.One form of hand-free operation is in a wireless system by utilizing a switch that operates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applies a voice signal from the speaker. However, whenever you want to talk on the hand-free side, you must activate the footswitch. Therefore, the handfree side does not have complete freedom of operation as in the case of the speakerphone. Full freedom of movement is extremely important when driving a car on a handprint. Restrictions on the operation of actuating the footswitch may cause an accident or damage to life. Therefore, conventional speakerphones or foot switch operated transmitters do not provide the form of hand free operation required in automobil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프리쪽이 동작의 완전한 자유를 갖는 핸드프리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개량된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circuit which enables the handsfree side to make a handsfree voice call with complete freedom of op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은 레벨의 주위 잡음의 분위기에서 핸드프리 음성통화를 허용하는 개량된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circuit that allows for hand-free voice calls in an atmosphere of high levels of ambient noi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 상대자 사이의 스위칭이 자동적으로 그리고 균등하게 수행되어 두 상대자들이 상호 양호한 통화상태가 되는 그리고 두 상대자들 사이에 핸드프리 음성통화를 허용하는 개량된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circuit which allows switching between two parties to be carried out automatically and evenly so that the two parties are in good condition with each other and to allow a hands-free voice call between the two parties.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개량된 제어회로는 무선 채널과 같은 통화통로에서 스피커와 같은 활용 회로로의 음성신호들의 인가와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향 신호원에서 통화 통로로의 음향신호의 인가를 제어한다. 제어회로는 음향신호들의 존재를 표시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제각기 통화통로 및 마이크로폰에서의 음향신호가 공급되는 제1 및 제2지연회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각기의 출력신호는 가청신호들이 없는 간격 다음에 선정된 시간간격 동안 존재함을 표시한다. 제1 및 제2지연회로에서의 출력신호는 제1및 제2스위칭 회로가 음향신호가 통화 통로에서 스피커에 또한 음향신호가 마이크로폰에서 통화통로에 제각기 인가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회로에 접속된다. 제1지연회로 출력신호가 통화통로에서의 음향신호가 선정된 시간간격 동안 없는 경우 그리고 마이크로폰에서의 음향신호가 있는 경우를 나타낼 때 제어신호는 마이크로폰에서 통신통로에 음향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제1상태가 된다. 제2지연회로 출력신호가 마이크로폰에서의 출력신호가 선정된 기간동안 없고 통화통로에서 음향신호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낼 때를 표시할 때 제어신호의 제2상태는 통화통로에서 스피커로 음향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므로, 한쪽 음향신호가 선택되어지며 그리고 다른쪽 음향신호가 선정된 시간간격 동안 없을때 자동 스위칭이 통화통로에서의 음향신호와 마이크로폰에서 음향신호 사이에 제공된다.Briefly, the improved control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application of voice signals from a call path, such as a wireless channel, to a utilization circuit, such as a speaker, and the application of sound signals from a sound signal source, such as a microphone, to a call path. . The control circuit includes first and second delay circuits to which sound signals from the communication path and the microphone are supplied, respectively,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indicative of the presence of sound signals. Here, each output signal indicates that it exists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an interval where no audible signals are present. The output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delay circuits are connected to control circuit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circuits generate control signals such that the acoustic signals are applied to the speaker in the call passage and the acoustic signals are respectively applied to the call passage in the microphone. do.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delay circuit is absent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when there is an acoustic signal at the microphone, the control signal is in a first state for applying the acoustic signal to the communication passage at the microphone. Becomes The second state of the control signal applies an acoustic signal to the speaker in the call passage when the second delay circuit output signal indicates when the output signal from the microphone has been abs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there is an acoustic signal present in the call passage. . Therefore, when one acoustic signal is selected and the other acoustic signal is absent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utomatic switching is provided between the acoustic signal in the call path and the acoustic signal in the microphone.

제1도에서, 본 발명을 실시한 핸드프리 제어회로를 유용하게 활용한 자동차 무선전화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무선 전화기 시스템, 즉 IMTS(Improved Mobile Telephone Service)과 같은 시스템에서, 자동차(101)내의 사용자는 제어단자(104)에 의하여 유선전화 중앙국(105)에 상호접속된 기지 스테이션(102)에 자동차 무선기(110)로서 통화한다. 이러한 제어단자(104)는 제어회로(131)와 하이브리드(132)를 포함하며, 제어회로(131)와 하이브리드(132)는 기지 스테이션(102)과 전화 중앙국(105)에 상호 접속된 가입자선 또는 중계선 사이에 통신통로를 제공한다. 제어 및 다이얼 유니트(113)의 수단에 의하여 자동차측에서 다이얼된 숫자는 제어단자(104)에 수신되어져 전화중앙국(105)의 가입자선 또는 중계선에 전달된다. 전화중앙국(105)는 다이얼된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자동차측을 필요한 유선측에 연결시킨다. 유사한 처리는 무선사용자가 자동차측의 번호를 다이얼했을때 활용된다. 또한, 이러한 무선전화기 시스템은 미합중국 특허 제3,906,166호 및 제3,962,553호에서 설명된 형태의 포터블(휴대용) 무선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포터블 무선장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유대될 수 있으며 그리고 예를들어 그의 직장에서나 또는 자동차에서나 작동될 수 있다. 제어단자(104)에 대한 회로의 특성 및 신호처리의 자세한 것은 모토롤라 서비스 메뉴얼 68p81028E65를 참조하고, 기지 스테이션(102)에 대하여서는 모토롤라 서비스 메뉴얼 68p81033E10, 및 자동차 무선장치(110) 및 제어 다이얼링 유니트(113)에 대하여서는 모토롤라 서비스 메뉴얼 68p81039E25, 68p81029E65 및 68p81037E85를 참조하나, 이러한 모든것은 모토롤라 서비스 공보에 의하여 공지되었다.In FIG. 1, there is shown an automobile radiotelephone system 100 that utilizes a handfree control circuit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ventional cordless telephone system, i.e., a system such as the IMTS (Improved Mobile Telephone Service), the user in the vehicle 101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102 interconnected by the control terminal 104 to the landline central station 105. Talk as the car radio 110. This control terminal 104 includes a control circuit 131 and a hybrid 132, the control circuit 131 and the hybrid 132 is a subscriber line inter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102 and the telephone central station 105 Or it provides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relay lines. The number dialed on the vehicle side by means of the control and dial unit 113 is received at the control terminal 104 and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 line or relay line of the telephone central station 105. The central office 105 receives the dialed telephone number and connects the automobile side to the required wired side. Similar processing is utilized when the wireless user dials the number on the car side. Such cordless telephone systems also include portable (portable) wireless devices of the type described in US Pat. Nos. 3,906,166 and 3,962,553. Such portable radios can be tied by a user and can be operated, for example, at his workplace or in a car. For details of the circuit characteristics and signal processing for the control terminal 104, see the Motorola Service Manual 68 p 81028 E 65, for the base station 102 the Motorola Service Manual 68 p 81033 E 10, and the automotive radio ( 110) and the control dialing unit 113, see the Motorola Service Manuals 68 p 81039 E 25, 68 p 81029 E 65 and 68 p 81037 E 85, all of which are known by the Motorola Service Bulletin.

이러한 종래의 무선전화 시스템은 자동차 무선기(110)에서의 전송이 양호하게 수신되어지도록 큰 지역을 커버할 수 있는 인공위성 수신기(103)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 스테이션(102)는 지구면적에서 중심적으로 위치하는 고출력 송신기(120)를 포함하므로서 여기에서의 전송은 지구면적에서 모든 자동차 무선기(110)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대단히 낮은 전력의 전송기를 갖는 자동차 무선기(110)에서의 전송은 기지 스테이션 수신기(121)에 항상 도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나, 인공위성 수시기(103)중 하나에 의하여 계속 수신되어질 수 있다.This conventional radiotelephone system may include a satellite receiver 103 that can cover a large area so that transmissions in the car radio 110 are well received. The base station 102 includes a high power transmitter 120 located centrally in the earth's area so that the transmission here can reach all of the vehicle radios 110 in the earth's area. However, transmissions in the automotive radio 110 with very low power transmitters may not always reach the base station receiver 121 but may continue to be received by one of the satellite receivers 103.

유선측이 받는 전화기 서비스와 동일한 형태를 자동차측이 받도록 하기 위하여, 무선전화 시스템의 제각기 무선 채널은 분리송신 및 분리수신 주파수들을 갖는 2중 무선채널이 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자동차 무선기(110)는 하나의 주파수에서 송신을 그리고 다른 주파수에서 수신을 동시에 하므로서 자동차와 유선측은 동시에 말하며 들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어 및 다이얼링 유니트(113)는 유선전화 기구에서 보통 볼 수 있는 핸드셋과 유사한 핸드셋을 포함한다. 자동차측이 유선측에서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핸드셋을 귀까지 들어올리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화통화 동안의 대화가 어떤 물리적 행동의 필요없이 달성될 수 있다면 자동차측에 대단히 편리함과 더욱 안전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핸드프리 제어회로를 활용하므로서,자동차측은 물리적 움직임의 필요없이 자동차측은 호출기간 동안 유선축과 대화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안전한 주행을 방해하는 것을 자동차측에서 없이 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차량 법규에는 자동차측에서 상대방의 번호를 다이얼링할 때 자동차를 세우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은 자동차측과 공공안전을 기하도록 규정되고 있다. 왜냐하면 다이얼링 처리동안 자동차측의 주의분산은 자동차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로서, 많은 새로운 무선전화 제어 및 다이얼링 유니트(113)(이것은 미합중국 특허 제4,122,203호 및 제4,220,820호에서 설명된 것과 같음)는 메모리내에 기억된 전화번호의 자동 다이얼링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핸드셉은 대화를 위하여 이러한 유니트에서 떨어져야만 되었다. 본 발명을 활용하므로서, 신규의 핸드프리 제어회로가 자동차측이 운전대에서 한쪽 손을 움직일 필요없이 대화하도록 하므로서 더욱 자동차의 안전성을 강화한다.In order for the automobile side to receive the same form as the telephone service received by the landline, each radio channel of the radiotelephone system needs to be a dual radio channel with separat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requencies. Therefore, the vehicle radio 110 transmits at one frequency and receives at the other frequency simultaneously, so that the vehicle and the wireline can speak and listen at the same time. Control and dialing unit 113 typically includes a handset similar to a handset commonly found in landline telephony equipment. It is necessary to lift the handset to the ear, just as the car does on the wired side. However, if the conversation during the telephone call can be achieved without the need for any physical action, it provides the vehicle side with great convenience and safety. By utilizing the hand-free control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side can communicate with the wired shaft during the call period without the need for physical movement, thereby preventing the vehicle side from interfering with safe driving of the vehicle. In addition, some vehicle regulations require that the vehicle be stopped when the vehicle dials the other party's number. This need is regulate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automobile and the public. Because the distraction of the car side during the dialing process can cause a car accident. As a result, many new wireless telephone control and dialing units 113, which are as described in US Pat. Nos. 4,122,203 and 4,220,820, provide for automatic dialing of telephone numbers stored in memory. However, the handcept had to be removed from this unit for the conversation. By utiliz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new hand-free control circuit further enhances vehicle safety by allowing the vehicle side to communicate without having to move one hand at the steering wheel.

자동차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핸드프리 작동을 제공하도록, 분리된 마이크로폰(111)과 분리 스피커(112)가 음성통화를 위하여 제공된다. 또한, 유선응용에서는 제어 및 다이얼링 유니트(113)의 핸드셋 내의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는 핸드프리쪽에 대하여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핸드프리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하여 자동차내의 분리 마이크로폰(111)을 활용하는 것은 장점이 된다. 실험에 의하여, 자동차에서 마이크로폰(111)에 대한 최적 장착위치는 자동차의 지붕 내부선상이거나 차양판 또는 차양판의 변바로 전임을 알았다. 이러한 위치는 주위잡음 픽업이 최소가 되고 음성 픽업은 최고가 됨을 알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장착위치는 어느정도 간섭진동의 완충을 제공한다. 그리고 무지향성 전극 마이크로폰 카트리지가 성능이 매우 좋고 효율적임이 판명되어 있었다.A separate microphone 111 and a separate speaker 112 are provided for voice calling to provide hand-free operation for automotive applications. In addition, in a wired application, the microphone and speaker in the handset of the control and dialing unit 113 may be applied to the hand-free side. It is an advantage to utilize the separate microphone 111 in the vehicle to receive the hand free voi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optimum mounting position for the microphone 111 in the vehicle is on the inner line of the roof of the vehicle or the front of the awning plate or the awning plate. These locations indicate that ambient noise pickup is minimal and voice pickup is best. This mounting position also provides some cushioning of interference vibrations. The omnidirectional electrode microphone cartridge was found to be very good and efficient.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실시한 핸드프리 제어회로(200)의 상세한 블록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핸드프리 제어회로(200)는 제1도의 자동차 무선기(110)내에 또는 자동차 무선기(110)와 제어 및 다이얼링 유니트(113)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하여 종래의 무선 전화기에서 활용된 분리장비박스내에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hand free control circuit 200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hand-free control circuit 200 may be located in the car radio 110 of FIG. 1 or in a separate equipment box utilized in a conventional cordless phone to interface the car radio 110 with the control and dialing unit 113. .

제2도에서 핸드프리 제어회로(200)는 마이크로폰(111)과 스피커(112)를 무선송신기(222)와 수신기(220)에 제각기 공유접속시킨다. 두개의 음성 스위치(202)와 (212)는 마이크로폰(111)에서의 음향신호를 또는 제어로직(230)에서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스피커(112)에로의 음향신호를 통과시키도록 폐쇄되거나 또는 저지하도록 개방된다. 그러므로 단지 하나의 통로가 어떤 주어진 시간에서 음향 스위치(202)와 (212)에 의하여 폐쇄된다. 실시예에서, 음향스위치(202)와 (212)는 전이상태가 없는 접합 FET트랜지스터 스위치이다. 또한 제각기 음향통로들은 마이크로폰 음향통로내의 이득단들(201) 및 (203)과 스피커 음향통로내의 이득단(211) 및 (213)을 포함한다. 스피커 음향통로내의 증폭기(213)는 스피커(112)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하여 자동차측에 의하여 조절되는 가변이득을 갖는다.In FIG. 2, the hand-free control circuit 200 shares and connects the microphone 111 and the speaker 112 to the wireless transmitter 222 and the receiver 220, respectively. The two voice switches 202 and 212 are closed or blocked to pass the acoustic signal at the microphone 111 or the acoustic signal to the speaker 112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at the control logic 230. To open. Therefore only one passage is closed by the acoustic switches 202 and 212 at any given time. In an embodiment, the acoustic switches 202 and 212 are junction FET transistor switches without a transition state. Each of the acoustic passages also includes gain stages 201 and 203 in the microphone acoustic passage and gain stages 211 and 213 in the speaker acoustic passage. The amplifier 213 in the speaker sound path has a variable gain adjusted by the vehicle side to control the volume of the speaker 112.

마이크로폰 음향통로내의 음향신호들은 증폭기(203)에서 무선 송신기(222)에 인가되며, 이것은 안테나(23)를 통하여 송출하기 위하여 듀플렉서(duplexer)(221)에 무선신호를 공급한다. 안테나(223)에 의하여 수신된 무선신호들은 듀플렉서(221)에 의하여 무선 수신기(220)에 선택적으로 인가되며, 이것은 스피커 음향통로내의 증폭기(213)와 주사기(214)에 적용하기 위한 무선신호에서 음향신호를 복조한다. 무선 전화기 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무선 송신기(222)는 통화의 전체 기간동안 구동된다. 그러나, 축전지 작동되는 전송기들내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즉 미합중국 특허들 제3,906,116호 및 제3,962,553호에서 기술된 포터블 무선기들에서 사용된 바와같음), 무선송신기(222)는 자동차 또는 포터블측이 말을할때의 시간동안만 전송키 신호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무선 송신기(222)는 호출의 기간동안에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기본 스테이션 수신기(103) 및 (121)는 예를들어 무선 송신기(222)에서의 감시 음향톤이 있고 없음의 검출에 근거를 둔 스켈치 회로와 같은 스켈치회로가 필요하다. 자동차 무선 전화기는 전술된 모토롤라 지시 메뉴얼 68p81039E25에서 그리고 알베르트 제이. 레이치 및 도날드 엘.린더의 제목 "조직 시스템용 포터블 무선 전화기"인 그리고 미시간 디어본, 1980년 9월 15일 내지 17일 자동차 기술회사의 30차 연례회의의 절차에서 공지된 기술내에 설명되어 있다. 송신기(222), 듀플렉서(221) 및 수신기(220)를 활용한 통상적 회로의 상세함은 상술된 모토롤라 지시 메뉴얼 68p81039E25, 68p81029E65 및 68p81037E85에서 설명되어 진다.The acoustic signals in the microphone sound path are applied from the amplifier 203 to the radio transmitter 222, which supplies radio signals to the duplexer 221 for transmission through the antenna 23. The radio signals received by the antenna 223 are selectively applied to the radio receiver 220 by the duplexer 221, which is acoustic in radio signals for application to the amplifier 213 and the syringe 214 in the speaker acoustic path. Demodulate the signal. In a cordless telephone system, the wireless transmitter 222 typically runs for the entire duration of the call. However, in order to save power in battery operated transmitters (ie as used in portable radios described in US Pat. Nos. 3,906,116 and 3,962,553), the radio transmitter 222 is communicated by an automobile or portable side. It can only be driven by the transmission key signal during the time required. Therefore, since the radio transmitter 222 does not operate during the duration of the call, the base station receivers 103 and 121 are squelch based on the detection of, for examp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upervisory sound tone in the radio transmitter 222. A squelch circuit like the circuit is needed. The car cordless telephone is described in the above Motorola instruction manual 68 p 81039 E 25 and by Albert J. The title "Portable Cordless Phone for Organizational Systems," by Leach and Donald L. Linder, and Michigan Dearborn, described in a publicly known technique at the 30th Annual Meeting of the Automotive Technology Company, September 15-17, 1980. . Details of conventional circuits utilizing the transmitter 222, duplexer 221 and receiver 220 are described in the Motorola instruction manuals 68 p 81039 E 25, 68 p 81029 E 65 and 68 p 81037 E 85 described above.

또한, 제2도에서의 핸드프리 제어회로(200)은 자동차측 음성신호와 유선측 음성신호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하여 자동착측 및 유선측 신호 검출기(206) 및 (207)를 제각기 포함한다. 만약 마이크로폰(111)이 고역 통과 응답을 제공하지 못한다면, 고역 통과 필터(205)는 마이크로폰(111)과 자동차측 신호 검출기(206)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신호는 우선적으로 낮은 음향 주파수에서 집중되는 자동차 주위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역 통과 여파된다. 대략 300Hz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 고역 통과 필터는 이러한 저주파수 주위잡음의 대부분을 여파한다. 유사한 고대역 통과여파는 자동차 무선 수신기(220)에서 보통 제공된다. 자동차 무선 수신기(220)는 이러한 고역통과여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블록(205)에 유사한 고역통과필터는 수신기 신호를 여파하도록 가신되어 진다. 또한, 이러한 낮은 주파수 주위잡음을 특징으로 하지 않는 적용에서, 블록(205)와 같은 고역통과 필터는 음향통로에 필요없게 된다.In addition, the hand-free control circuit 200 in FIG. 2 includes auto-attached and wired-side signal detectors 206 and 207, respectively,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vehicle-side voice signal and the wired-side voice signal. If the microphone 111 does not provide a high pass response, the high pass filter 205 may be inserted between the microphone 111 and the automobile side signal detector 206. The microphone signal is first high pass filtered to remove ambient noise from the car, which is concentrated at low acoustic frequencies. A high pass filter with a cutoff frequency of approximately 300 Hz filters most of this low frequency ambient noise. Similar high pass filters are usually provided in the automotive wireless receiver 220. If the automotive radio receiver 220 does not include such a high pass filter, a high pass filter similar to block 205 is hidden to filter the receiver signal. In addition, in applications not characterized by such low frequency ambient noise, a highpass filter such as block 205 is eliminated in the acoustic path.

자동차측 및 유선측 신호 검파기(206) 및 (207)는 똑같은 회로 블록(240) 내지 (244)을 포함한다. 블록(206) 및 (207)는 대수 증폭기(240)(공통적으로 "소프트"제한기로서 공통적으로 참조된다). 엔벨로프(포락선) 검파기(241), 벨리(Vally) 검파기(242), 합산기(243) 및 비교기(244)를 포함하는 종래의 회로를 포함한다. 대수 증폭기(240)는 증폭 특성에 기인하여 검파기(241)의 동적영역을 연장한다. 엔벨로프 검파기(241)는 음향 신호의 최대 및 최소에 따르는 출력을 제공한다. 벨리 검파기(242)는 엔벨로프 검파기 출력의 최소를 추적하는 출력을 제공한다. 근본적으로 벨리검파기 출력은 검파기(206)의 경우에 마이크로폰(111)에서 또는 검파기(207)의 경우에 수신기(220)에서 존재하는 안정상태 주위잡음에 대응한다. 합산기(243)는 기준전압 VR을 벨리 검파기 출력에 가산한다. 오프셀 전압 VR을 벨리 검파기 출력에 가산하므로서, 비교기(244)는 주위잡음의 존재에 기인하여 스퓨리어스 출력신호를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비교기(244)는 만약 엔벨로프 검파기 출력이 기준전압 VR의 진폭에 의하여 안정상태 주위잡음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출력신호를 제공할 것이다. 오프셋 전압 VR은 자동차내에서 존재하는 주위잡음에 기인한 스퓨리어스 비교기 출력신호의 발생을 회피하도록 엔벨로프 검파기(241)의 응답 특성과 동시에 선택된다. 비교기(244)에서의 출력신호는 엔벨로프 검파기 출력이 오프셋 전압 VR에 의하여 벨리 검파기 출력을 초과하며, 제어회로(230)에 저전압 레벨을 제공 할때 고전압 레벨을 갖는다. 비교기(244)에서의 고전압 레벨은 마이크로폰(111)에서의 음향신호가 검파기(206)의 경우에 검출되었으며 그리고 수신기(220)에서의 음향신호가 검출기(207)의 경우에는 검출 되었음을 나타낸다.Automotive side and wire side signal detectors 206 and 207 include identical circuit blocks 240-244. Blocks 206 and 207 are logarithmic amplifiers 240 (commonly referred to as "soft" limiters). A conventional circuit including an envelope (envelope) detector 241, a valley detector 242, a summer 243, and a comparator 244. The logarithmic amplifier 240 extends the dynamic range of the detector 241 due to the amplification characteristic. Envelope detector 241 provides an output that conforms to the maximum and minimum of the acoustic signal. The belly detector 242 provides an output that tracks the minimum of the envelope detector output. Essentially the bell detector output corresponds to the steady state ambient noise present at the microphone 111 in the case of detector 206 or at the receiver 220 in the case of detector 207. Summer 243 adds the reference voltage V R to the belly detector output. By adding the off-cell voltage V R to the belly detector output, the comparator 244 will not generate a spurious output signal due to the presence of ambient noise. Therefore, comparator 244 will provide an output signal if the envelope detector output does not exceed steady state ambient noise by the amplitude of the reference voltage V R. The offset voltage V R is selected simultaneously with the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envelope detector 241 to avoid the generation of the spurious comparator output signal due to the ambient noise present in the vehicle. The output signal from the comparator 244 has a high voltage level when the envelope detector output exceeds the belly detector output by the offset voltage V R and provides a low voltage level to the control circuit 230. The high voltage level at the comparator 244 indicates that an acoustic signal at the microphone 111 was detected in the case of the detector 206 and an acoustic signal at the receiver 220 was detected in the case of the detector 207.

가산기(214)는 FM수신기(220)에서의 음향신호와 음향스위치(212)에서의 음향신호의 합산신호를 검파기(207)에 인가한다. 증폭기(213)는 자동차측이 스피커(112)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가변이득 제어된다. 그러므로 합산기(214)에 의하여 검파기(207)에 인가한 신호는 스피커(112)의 볼륨이 변화하는 데로 변화한다. 스피커(112)의 볼륨이 증가되도록 검파기(207)에 인가된 신호레벨을 증가시키므로서 유선측 신호 검파기(207)와 자동차측 신호 검파기(206)에 인가된 신호 레벨들 사이의 균형을 유지한다. 결과로서, 검파기(206) 및 (207)의 상승 및 하강시간은 스피커(112)의 볼륨영역에 걸쳐 통화된다. 이러한 구조는 마이크로폰 음향통로와 스피커 음향통로 사이의 불필요한 스위칭을 회피하도록 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서, 스피커(112)의 볼륨 증가는 자동차측에서 스피커 음향통로가 한번 개방되면 마이크로폰 음향토로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adder 214 applies the summation signal of the sound signal from the FM receiver 220 and the sound signal from the sound switch 212 to the detector 207. The amplifier 213 is variable gain controlled so that the vehicle side adjusts the volume of the speaker 112. Therefore, the signal applied to the detector 207 by the summer 214 changes as the volume of the speaker 112 changes. The balance between the signal levels applied to the wireline side signal detector 207 and the automobile side signal detector 206 is maintained by increasing the signal level applied to the detector 207 so that the volume of the speaker 112 is increased. As a result, the rise and fall times of detectors 206 and 207 are communicated over the volume area of speaker 112. This structure avoids unnecessary switching between the microphone sound path and the speaker sound path. In addition, in this structure, the volume increase of the speaker 112 allows the microphone sound path to remain closed once the speaker sound path is opened at the vehicle side.

제2도에서의 제어로직(230)은 자동차 및 유선측 신호 검파기(206) 및 (207)에서의 출력신호에 응답한다. 제어회로(230)는 반전 게이트(204)를 통하여 음향 스위치(212)와 음향 스위치(202)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음향 스위치(212)가 개방되면, 음향 스위치(202)는 폐쇄되는 역순서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회로(230)는 무선신호가 수신기(220)에 의하여 수신되지 않을때 유선측 신호 검파기(207)에서의 출력신호를 막기 위하여 무선 수신기(220)에서의 스켈치신호에 응답한다. 그리고 자동차측이 말을 할때 제어회로(230)는 송신기(222)를 턴 온하기 위한 전송키 신호를 제공한다.The control logic 230 in FIG. 2 responds to the output signals from the automobile and wireline side signal detectors 206 and 207. The control circuit 230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opening or closing the sound switch 212 and the sound switch 202 through the inversion gate 204. When the sound switch 212 is opened, the sound switch 202 is in the reverse order of closing. The control circuit 230 also responds to the squelch signal from the wireless receiver 220 to block the output signal from the wired side signal detector 207 when the wireless signal is not received by the receiver 220. When the vehicle side speaks, the control circuit 230 provides a transmission key signal for turning on the transmitter 222.

제2도에서 제어회로(230)는 제3도의 회로도에서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서, 음향 스위치 (202) 및 (212)용 제어신호는 NOR게이트(301) 및 (302)로 구성된 래치에 의하여 제공된다. NOR게이트(302)가 2진 1상태일때, 음향 스위치(212)는 폐쇄되고 음향 스위치(202)가 개발되며 NOR게이트(202)가 2진 상태일때 음향 스위치(202)가 폐쇄되고 음향 스위치(212)가 개방된다. 음향 스위치(202) 및 (212)가 폐쇄될 때, 스위치는 음향신호들을 통과시키며, 스위치(202) 및 (212)가 개방될 때, 이들은 음향신호를 막아버린다. 유선측의 최종 스피커 작등은 유선측 신호 검파기(207)에서의 출력시호가 지연회로(321) 내지 (327)에 의하여 선정된 시간간격 동안 없고 그리고 자동차측 신호 검출기(206)의 출력신호가 자동차측에서 말을 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경우 음향 스위치(202)는 마이크로폰(111)에서 송신기(222)에 음향신호를 통과하도록 폐쇄된다. 마찬가지로 자동차측의 최종 스피커 작동은 자동차측 신호 검출기(206)에서의 출력신호가 지연회로(310) 내지 (312)에 의하여 규정된 시간동안 없고 유선측 신호 검출기(207)에서의 출력신호가 유선측에서 말을하고 있음을 표시할때, 수신기(220)에서 스피커(112)에로 음향신호를 통과시키도록 폐쇄된다.The control circuit 230 in FIG. 2 is shown in more detail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In FIG. 3, the control signals for the acoustic switches 202 and 212 are provided by latches comprised of the NOR gates 301 and 302. When the NOR gate 302 is in binary 1 state, the sound switch 212 is closed and the sound switch 202 is developed and when the NOR gate 202 is in binary state, the sound switch 202 is closed and the sound switch 212 is closed. ) Is opened. When the acoustic switches 202 and 212 are closed, the switches pass acoustic signals, and when the switches 202 and 212 are opened, they block the acoustic signals. The final speaker operation on the wired side is that the output signal from the wired side signal detector 207 is not present for the time interval selected by the delay circuits 321 to 327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automobile side signal detector 206 is not on the automobile side. In the case of indicating that is speaking in, the sound switch 202 is closed in the microphone 111 so as to pass the sound signal to the transmitter 222. Similarly, the final speaker operation on the automobile side is that the output signal from the automobile side signal detector 206 is absent for the time defined by the delay circuits 310 to 312 and the output signal from the wireline side signal detector 207 is not on the wired side. When indicating that it is speaking, the receiver 220 is closed to pass an acoustic signal from the receiver 220 to the speaker 112.

제3도를 참조하면, NOR게이트(302)는 NOR게이트(304)에서의 2진 1상태(고전압 레벨)에 의하여 2진 0상태(저전압 레벨)로 셋트될 것이다. 검파기(206)에서의 출력신호가 자동차측의 말이 검출 되었으며 유선측 신호 검파기(207)에서의 출력신호가 지연회로(321) 내지 (327)에 의하여 선정된 시간간격 동안 2진 0상태를 갖음을 나타내는 2진 1상태일때 NOR게이트(304)는 출력에서 2진 1상태를 제공한다. NOR게이트(303)가 2진 1상태일때 NOR게이트(302)가 음향스위치(212)를 구동하는 2진 1상태에 셋트될 것이다. 검출기(207)에서의 출력신호가 2진 1상태이며 그리고 검파기(206)에서의 출력신호가 지연회로(310) 내지 (312)에 의하여 선정된 시간간격 동안 2진 0상태가 될때 NOR게이트(303)는 출력에서 2진 0상태를 제공한다. 지연회로(310) 내지 (312) 및 (321) 내지 (327)은 제각기 다이오드(310) 및 (325)에 의하여 제공된 빠른 전하통로를 갖는다. 그러므로 검출기(206)에서의 출력신호가 2진 1상태로 변화될때, 콘덴서(312)가 고전압 레벨로 빠르게 충전되도록 다이오드(310)는 저항(311)을 바이패스한다. 또한, 검출기(207)에서의 출력신호가 2진 1상태로 충전되었을때 콘덴서(327)가 고전압 레벨로 빠르게 충전되도록 다이오드(325)는 저항(322), 다이오드(321) 및 (324)를 바이패스한다. 지연회로(310) 내지 (312) 및 (321) 내지 (327)는 검출기 (206 및 207)에서의 출력신호가 2진 1상태에서 2진 0상태로 제각기 변화하고 고전압 레벨에서 저전압 레벨로 방전할때 지연시간 간격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브레이크-인(break-in)으로서 쌍방간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음향 통로 스위칭은 다른쪽의 지연회로(310 내지 312) 도는 (321 내지 327)가 저전압 레벨로 방전되면 말하는 쪽을 검출하여 즉시 작동된다. 그러나 만약 음향통로가 현재 폐쇄된 쪽이 연속하여 말을 한다면, 그쪽의 지연회로(310) 내지 (312) 또는 (321) 내지 (327)이 다른쪽의 작동을 방지하도록 고전압 레벨로 충전되어 유지될 것이다.Referring to FIG. 3, the NOR gate 302 will be set to the binary zero state (low voltage level) by the binary one state (high voltage level) at the NOR gate 304. The output signal from the detector 206 detects a horse on the automobile side, and the output signal from the wired side signal detector 207 has a binary zero state for a time interval selected by the delay circuits 321 to 327. NOR gate 304 provides a binary one state at the output when the binary one state is present. When the NOR gate 303 is in binary 1 state, the NOR gate 302 will be set to the binary 1 state that drives the acoustic switch 212. NOR gate 303 when the output signal from detector 207 is in binary one state and the output signal from detector 206 is in binary zero state for a time interval selected by delay circuits 310 to 312. ) Provides a binary zero state at the output. Delay circuits 310-312 and 321-327 have fast charge paths provided by diodes 310 and 325, respectively. Therefore, when the output signal from the detector 206 changes to the binary one state, the diode 310 bypasses the resistor 311 so that the capacitor 312 is quickly charged to a high voltage level. In addition, the diode 325 bypasses the resistors 322, 321, and 324 so that the capacitor 327 quickly charges to a high voltage level when the output signal from the detector 207 is charged in binary binary state. Pass. The delay circuits 310 to 312 and 321 to 327 respectively change the output signal from the detectors 206 and 207 from the binary 1 state to the binary 0 state and discharge from the high voltage level to the low voltage level. When the delay interval is provid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path switching which is commonly applied to both as a break-in means that the other delay circuits 310 to 312 or 321 to 327 are discharged to the low voltage level. It is detected and activated immediately. However, if the side of the acoustic path currently closed continues to speak, then its delay circuits 310 to 312 or 321 to 327 will remain charged at a high voltage level to prevent operation of the other side. will be.

지연회로(310 내지 312) 및 (321 내지 327)의 타임 인터벌은 높은 주위잡음 상태에서 작동 특성의 최소화 및 최소한의 스퓨리어스 그리고 신속한 브레이트-인 등을 감안하여 설정한다. 대략 250ms (200 내지 300ms의 영역)로 선정된 타임 인터벌은 유서측 브레이트-인에 대한 지연회로(310 내지 312)에 적합함이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양호한 실시예에서, 커패시터(312)와 저항(311)은 대략 250ms의 시간정수를 갖는다. 그러나, 지연회로(321 내지 327)에 대한 타임 인터벌은 검출기(207)에서의 출력신호 간격의 크기에 관계된다. 실시예에서, 지연회로(321 내지 327)는 짧은 간격을 갖는 유선측 신호 검파기(207)에서의 출력신호에 대해서 약 50ms의 짧은 타임 인터벌을 제공하며 긴 간격을 갖는 유선측 신호 검출기(207)의 출력신호에 대해서는 대략 160ms 범위의 보다 긴 타임 인터벌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지연회로(321 내지 327)에 의하여 제공된 타임 인터벌은 최소 50ms와 최대 160ms사이에 있게된다. 예를 들자면, 지연회로(321 내지 327)에 의하여 제공된 시간간격은 50ms에서 160ms의 범위에 걸쳐 유선측 신호 검출기(207)에서의 출력신호의 간격에 비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연회로의 타임 인터벌은 30 내지 200ms에서 변화된다. 30 내지 50ms와 같이 최소의 지연값을 선정했을 경우에는 제어단자(104)와 전화중앙국(105)를 통과하는 신호의 지연에 기인하여 어느 한쪽의 통화가 중단었을때 스퓨리어스 신호가 접속되는 것을 회피하도록 하는 것이 항상 필요하게 된다. 실시예에서, 커패시터(327)와 저항(326)은 대략 50ms의 시정수를 갖으며 그리고 커패시터(323)와 저항(322)은 대략 160ms의 시정수를 갖는다.The time intervals of the delay circuits 310 to 312 and 321 to 327 ar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minimization of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and the minimum spurious and the rapid brine-in at high ambient noise. It has been found that the time interval chosen to be approximately 250 ms (range of 200 to 300 ms) is suitable for delay circuits 310 to 312 for the west side brate-in. Therefore, in a preferred embodiment, capacitor 312 and resistor 311 have a time constant of approximately 250 ms. However, the time interval for the delay circuits 321 to 327 is related to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interval at the detector 207. In an embodiment, the delay circuits 321-327 provide a short time interval of about 50 ms for the output signal from the wired side signal detector 207 with short intervals and of the wired side signal detector 207 with long intervals. The output signal provides a longer time interval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160ms. Therefore, the time interval provided by the delay circuits 321 to 327 is between a minimum of 50 ms and a maximum of 160 ms. For example, the time interval provided by the delay circuits 321 to 327 may be proportional to the interval of the output signal at the wireline side signal detector 207 over a range of 50 ms to 160 ms. In general, the time interval of the delay circuit varies from 30 to 200 ms. When a minimum delay value is selected, such as 30 to 50 ms, a spurious signal is avoided when a call is interrupted due to a delay of a signal passing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104 and the telephone central station 105. It will always be necessary. In an embodiment, capacitor 327 and resistor 326 have a time constant of approximately 50 ms and capacitor 323 and resistor 322 have a time constant of approximately 160 ms.

본 발명의 전술된 특징은 제2도의 무선 수신기(220)에 의하여 수신된 무선신호가 다중 경로 페이딩(fading)을 나타낼 때, 자동차측에서 마이크로폰 음향통로를 할 수 있다. 다중 경로 페이딩동안, 수신기(220)는 무선시호의 페이딩 인 또는 아우트에 따라 유선측 대화의 짧은 버스트를 출력한다. 만약 이 버스트들이 비교적 짧으면, 자동차측에서 말을 하고 싶을 때, 지연회로(221 내지 227)의 타임 인터벌이 본 경우보다 더욱 짧기 때문에 자동차측은 마이크로폰 음향통로를 계속 폐쇄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microphone acoustic path at the vehicle side when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radio receiver 220 of FIG. 2 exhibits multipath fading. During multipath fading, receiver 220 outputs a short burst of wired side conversation depending on the fading in or out of the radio signal. If these bursts are relatively short, when the vehicle side wants to speak, the vehicle side can continue to close the microphone sound path because the time interval of the delay circuits 221 to 227 is shorter than in this cas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을 따르면, 제2도의 무선 수신기(220)에서의 스켈치 신호가 제3도의 반전 게이트(331) 및 AND게이트(330)의 방법으로 검출기 (207)에서의 출력신호를 막도롤 활용되어 진다. 무선신호가 무선 수신기(220)에 의하여 수신되지 않을때, 스켈치 신호는 검출기(207)에서의 출력신호를 AND게이트(330)가 막도록 2진 1상태가 되며, 무선신호가 무선 수신기(220)에 의하여 수신될 때 검출기(207)에서의 출력신호를 AND게이트(330)가 통과하도록 스켈치 신호는 2진 0 상태가 된다. 만약 수신기(220)에서 스켈치 신호가 제공되지 않을 때, 점퍼(332)는 AND게이트 (330)가 검출기 (207)에서의 출력신호를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도록 반전 게이트 입력(331)으로의 입력을 접지시키도록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스켈치신호는 수신기(220)로 부터의 잡음 버스트, 즉 정상의 유선측 음성신호와 같은 방법으로 유선측 신호 검출기(207)에 의하여 검출되어 자동차 측의 잡음 마이크로폰 음향통로가 폐쇄되는 것을 방해하는 잡음 버스트를 방지하는데 사용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quelch signal in the wireless receiver 220 of FIG. 2 performs a film roll on the output signal of the detector 207 by the method of the inverting gate 331 and the AND gate 330 of FIG. It is utilized. When the radio signal is not received by the radio receiver 220, the squelch signal is in binary 1 state so that the AND gate 330 blocks the output signal from the detector 207, and the radio signal is in the radio receiver 220. The squelch signal is in binary zero state so that AND gate 330 passes the output signal at detector 207 when received by. If no squelch signal is provided at the receiver 220, the jumper 332 grounds the input to the inverting gate input 331 such that the AND gate 330 continuously passes the output signal at the detector 207. It is used to make In addition, such a squelch signal is detected by the wireline signal detector 207 in the same manner as the noise burst from the receiver 220, that is, the normal wired voice signal, which prevents the noise microphone sound path on the automobile side from being closed. Used to prevent noise burst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3도에서의 제어회로(230)는 제2도의 무선송신기에 전송 키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3도에서, NAND게이트(305)에 의하여 제공된 전송 키신호는 NOR게이트(301)가 2진 1상태가 되고 타이머(340)의 Q출력이 2진 1상태가 될 때 무선송신기(222)를 구동시키도록 2진 0상태가 된다. NOR게이트(301)는 마이크로폰 음향통로가 폐쇄될 때 2진 1상태가 된다. 타이머(340)는 자동차측 대화가 검출 되었음을 나타내는 검출기(206)에서의 출력신호의 높은 진행전이에 의하여 트리거되는 종래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일 수 있다. 타이머(240)의 시간간격은 연속 단어들 사이의 공간을 연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500ms로서 선택되어야만 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circuit 230 in FIG. 3 may provide a transmission key signal to the radio transmitter in FIG. 2 In FIG. 3, the transmission key signal provided by the NAND gate 305 Becomes the binary 0 state to drive the radio transmitter 222 when the NOR gate 301 becomes the binary 1 state and the Q output of the timer 340 becomes the binary 1 state. The NOR gate 301 is in binary 1 state when the microphone sound path is closed. The timer 340 may be a conventional monostable multivibrator triggered by a high propagation transition of the output signal at the detector 206 indicating that a car side conversation has been detected. The time interval of the timer 240 must be chosen as at least 500 ms to bridge the space between consecutive words.

제3도에서 논리 회로소자(301 내지 307, 330, 331 및 340)는 1978년 택사스, 오스틴, 모토롤라 반도체 주식회사에 의하여 발간된 "CMOS 집적 회로"에서 설명된 CMOS 집적회로와 같은 종래의 집적회로에서의 회로소자를 활요하므로서 구성할 수 있다.In FIG. 3, logic circuits 301-307, 330, 331, and 340 are used in conventional integrated circuits, such as CMOS integrated circuits described in "CMOS Integrated Circuits" published by Texas, Austin, Motorola Semiconductor Corporation in 1978. It can be configured by utilizing a circuit element of.

본 발명의 핸드프리 제어회로는 한쪽이 완전한 동작의 자유를 갖는 것을 필요로 하는 넓은 응용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핸드프리 제어회로는 자동차 무선전화 시스템내의 자동차측에 그리고 또한 유선전화 시스템에서의 유선측에 핸드프리 통화를 제공하도록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높은 레벨의 주위잡음이 있는 상태에서 핸드프리 통화를 제공한다. 또한 신규의 핸드프리 제어회로는 양쪽측에 신속한 접속을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스퓨리어스 음향 통로 스위칭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The hand free control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tilized in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where one side needs to have full freedom of operation. Therefore, the hand-free control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to provide a hand-free call to the automobile side in the automobile radiotelephone system and also to the wired side in the landline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 free call in the presence of a high level of ambient noise. In addition, the new hand-free control circuitry allows quick connection to both sides and minimizes spurious sound path switching.

Claims (10)

무선전화기에 의해 수신된 음향신호를 스피커에 인가하는 것과 마이크로폰(111)으로 부터 음향신호를 무선 전화기에 인가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임계치보다 더 큰 무선전화기에 수신된 음향신호를 검출하며, 음향신호 존재시에 제1예정상태를 가지며 음향신호의 부재시에 제2예정 상태를 가지는 제1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검파회로(207)와, 임계치보다 더 큰 마이크로폰으로 부터의 음향신호의 존재를 검출하여 음향신호 존재시에 제1예정상태를 가지며 음향신호 부재시에 제2예정상태를 가지는 제2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검파회로(206)와, 제1회로가 제1예정상태를 가질 때마다 제1예정상태를 가지며 제1회로 출력신호가 제2예정상태를 가진후에 예정된 시간간격에서 제2예정상태를 가지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도록 제1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1지연회로(321 내지 327)와, 제2회로 출력신호가 제1예정상태를 가질때마다 제1예정상태를 가지며 제2회로 출력신호가 제2예정상태를 가진후에 예정된 시간간격에서 제2예정상태를 가지는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2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2지연회로(310 내지 312)와, 마이크로폰으로 부터의 음향신호가 존재할때 제1예정상태를 가지며 무선전화기에 의해 수신된 음향신호가 존재할때 제2예정상태를 가지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1 및 제2지연회로 출력신호와 제1 및 제2검파회로 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제어회로(230)와, 마이크로폰에서 무선 전화기에 음향신호를 인가하도록 제어신호의 제1예정상태에 응답하는 제1음향스위치(202)와, 무선전화기에서 스피커에 음향신호를 인가하도록 제어신호의 제2예정상태에 응답하는 제2음향 스위치(212)를 구비한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무선 수신기(220)에 수신된 음향신호를 무선 채널에서 스피커로 인가하는 것과 무선 채널상의 전송에서 마이크로폰으로 부터 무선 송신기(222)에 음향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제어회로가 무선전화기에 적용되고, 상기 무선 수신기는 예정된 음향대역을 가지며 상기 제어회로는 가변하는 배경잡음 존재시에 작동하는 음향신호 필터회로를 포함하고, 제1검파회로(207)와, 제2검파회로(206)의 임계치를 배경잡음과 함께 동적으로 가변시키는 수단과,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음향신호를 고역 통과시키는 고역통과필터(205)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제1검파회로의 제1예정상태와 제2지연회로의 출력신호의 제2예정상태에 응답하여 제어신호의 제2예정상태를 발생하고, 제2검파회로 출력신호의 제1예정상태 및 제1지연회로의 출력신호의 제2예정상태에 응답하여 제어신호의 제1예정상태를 발생시키도록 적용되며, 이 제어회로는 제1 및 제2검파회로에 의해 음향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때 제어신호의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적용되고, 상기 제1음향 스위치(202)는 마이크로폰으로 부터 음향신호를 봉쇄하도록 제어신호의 제2예정상태에 응답하며, 상기 제2음향 스위치(212)는 무선전화기로 부터 음향신호를 봉쇄하도록 제어신호의 제1예정상태에 응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Detects an acoustic signal received in a radiotelephone larger than a threshold so as to control the application of the acoustic signal received by the radiotelephone to the speaker and the application of the acoustic signal from the microphone 111 to the radiotelephone. A first detection circuit 207 for generating a first output signal having a first predetermined state at a time and generating a second output state at the absence of an acoustic signal, and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acoustic signal from a microphone larger than a threshold; A second detection circuit 206 for generating a second output signal having a first expected state in the presence of an acoustic signal and having a second expected state in the absence of an acoustic signal, and each time the first circuit has a first expected state A first delay in response to the first output signal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having a first predetermined state and having a second predetermined stat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the first circuit output signal has the second predetermined state; Furnaces 321 to 327, each time the second circuit output signal has a first predetermined state, and having a first predetermined state, and having a second predetermined stat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the second circuit output signal has a second predetermined state. Second delay circuits 310 to 312 responding to the second output signal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and when the acoustic signal from the microphone is present, has a first predetermined state and when there is an acoustic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telephone A control circuit 230 that responds to the first and second delay circuit output signals and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circuit output signals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having a second predetermined state; And a first acoustic switch 202 responsive to the first predetermined state of the control signal, and a second acoustic switch 212 responsive to the second predetermined state of the control signal to apply the acoustic signal to the speaker in the wireless telephone. Wireless i The control circu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application of the acoustic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ceiver 220 to the speaker in the wireless channel and the application of the acoustic signal from the microphone to the wireless transmitter 222 in transmission on the wireless channel. And wherein the wireless receiver has a predetermined sound band and the control circuit comprises an acoustic signal filter circuit operating in the presence of varying background noise, the first detection circuit 207 and the second detection circuit 206 Means for dynamically varying the threshold with background noise, and a high pass filter 205 for high-passing the acoustic signal from the microphone, the control circuit comprising a first predetermined state and a second delay circuit of the first detection circuit; Generates a second predetermined state of the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second predetermined stat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signal, and outputs the first predetermined state of the second detection circuit out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delay circuit. It is applied to generate a first predetermined state of the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the second predetermined state, and the control circuit is applied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control signal when no acoustic signal is de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circuits. The first sound switch 202 responds to a second predetermined state of the control signal to block the sound signal from the microphone, and the second sound switch 212 controls the sound signal to block the sound signal from the wireless telephone. And to respond to a first scheduled state of the wireless telephone. 제1항에 있어서, 제1지연회로가 무선수신기로 부터 음향신호의 기간에 비례하도록 제공되는 시간간격을 가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The radiotele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first delay circuit comprises means for varying a time interval provided in proportion to the duration of an acoustic signal from the radio recei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간격 가변수단이 30내지 200ms사이에서 제1지연수단의 시간간격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3. A radiotelephon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said time interval varying means varies the time interval of said first delay means between 30 and 200 ms. 제1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2지연수단의 시간간격이 최소한 200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4. A radiotelephone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time delay of the second delay means is at least 200 m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기가 제1예정상태의 전송 키신호에 의해 가동되고 제2예정상태의 전송 키신호에 의해 정지되며, 상기 제어회로는 제2예정상태의 제어회로와 제1예정상태의 제2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제1예정상태를 가지거나 제2예정상태를 가지는 전송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게이트(3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The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telephone is activated by a transmission key signal in a first scheduled state and stopped by a transmission key signal in a second scheduled state, and the control circuit is controlled by a control circuit in a second scheduled state and a first scheduled state. And a gate (305)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key signal having a first predetermined state or having a second predetermined state in response to the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tate. 제5항에 있어서, 무선신호가 존재할때 제1예정상태를 가지며 무선신호가 없을때 제2예정상태를 가지는 스켈치신호를 발생시키는 무선 수신기(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스켈치신호가 제1예정상태를 가질 때 제1검출수단에 의해 발생된 바와같은 동일상태의 제1출력신호를 제공하고 스켈치신호가 제2 예정상태를 가질때 제2예정상태의 제1출력신호를 제공하며 스켈치신호와 제1출력신호를 결합하도록 제1검출수단과 제어회로 사이에 배치된 게이트(330,3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6.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receiver (220) for generating a squelch signal having a first expected state when a wireless signal is present and having a second expected state when no radio signal is present; Providing a first output signal of the same state as generated by the first detection means when having a first predetermined state; providing a first output signal of a second expected state when the squelch signal has a second predetermined state; And a gate (330, 331) disposed between the first detection means and the control circuit to couple the first output signal. 제5항에 있어서,제어회로가 예정된 시간간격 동안 제1예정상태를 가지거나 제2예정상태를 가지는 제2출력신호의 제1예정상태에 응답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전송 키발생수단과 제2검출수단 사이에 배치된 타이머(340)를 포함하며, 게이트(305)는 제2예정상태의 제어신호와 제1예정상태의 타이머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제1예정상태를 가지는 전송 키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지응로 하는 무선 전화기.The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trol circuit generates an output signal in response to the first scheduled state of the second output signal having the first predetermined state or the second predetermined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 timer 340 disposed between the detection means, and the gate 305 generates a transmission key signal having the first scheduled state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scheduled state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timer of the first scheduled state. Cordless telephone specializing in doing. 제1항에 있어서, 증폭기(213)가 제1검파수단에 인가하는 제2스위칭 수단과 무선수신기로 부터 오디오신호를 합산하는 가산기(214)와 예정된 증폭 인자만큼 오디오신호를 증폭시키도록 무선신호 수신기와 제2 스위칭 수단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2. The radio signal receiver of claim 1, wherein the amplifier 213 amplifies the audio signal by a second switching means applied to the first detection means, an adder 214 that sums the audio signals from the radio receiver, and a predetermined amplification factor. And the second switching mean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213)가 가변 증폭인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The radiotelephon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said amplifier (213) has a variable amplification fa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검파회로가 오디오신호를 대수적으로 증촉시키는 대수 증포기(240)와, 대수증폭기의 신호의 최대 또는 최소치를 벗어나는 신호를 여파하는 엔벨로프 검파기(241)와, 엔벨로프 검파기로 부터의 신호의 최소치를 동적으로 검출하는 벨리검파회로(242)와, 벨리 검파회로에서 검출된 최소치와 기준전압을 합산하는 합산기(243)와, 합산기의 신호와 엔벨로프 검파회로의 신호를 비교하여 엔벨로프 검파회로의 신호가 합산기 신호보다 클때 제1예정상태의 각 검파회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엔벨로프 검파회로의 신호가 합산기 신호보다 작을 때 제2예정상태의 각 검파회로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etector circuits include an algebraic amplifier 240 for algebraically amplifying an audio signal, an envelope detector 241 for filtering signals that deviate from a maximum or minimum value of a signal of an algebraic amplifier, A belly detector circuit 242 for dynamically detecting the minimum value of the signal from the envelope detector; a summer 243 for summing the minimum value and the reference voltage detected by the belly detector circuit; and a signal and envelope detector circuit of the summer detector. When the signal of the envelope detection circuit generates the output signal of each detection circuit in the first scheduled state when the signal of the envelope detection circuit is larger than the adder signal by comparing A wireless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of
KR8201283A 1982-03-25 1982-03-25 Radiotelephone with hand-free operation KR8800010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1283A KR880001016B1 (en) 1982-03-25 1982-03-25 Radiotelephone with hand-free op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1283A KR880001016B1 (en) 1982-03-25 1982-03-25 Radiotelephone with hand-free ope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702A KR830009702A (en) 1983-12-22
KR880001016B1 true KR880001016B1 (en) 1988-06-13

Family

ID=19224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283A KR880001016B1 (en) 1982-03-25 1982-03-25 Radiotelephone with hand-free ope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01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702A (en) 198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8603A (en) Radiotelephone with hands-free operation
US4715063A (en) Speakerphone for radio and landline telephones
US4400584A (en) Speakerphone for radio and, landline telephones
US4843621A (en) Speakerphone using digitally compressed audio to detect acoustic feedback
EP0288078B1 (en) Speakerphone using digitally compressed audio to control voice path gain
US3962553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having a battery saver feature
FI88570B (en) Telephone circuit which leaves the hands free
US5668871A (en) Audio signal processor and method therefor for substantially reducing audio feedback in a cummunication unit
US5526405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a speakerphone operation mode cordless
US6798881B2 (en) Noise reduction circuit for telephones
CA1244168A (en) Speakerphone for radio and landline telephones
US3927376A (en) Speaker muting system
KR880001016B1 (en) Radiotelephone with hand-free operation
JP3251177B2 (en) Echo reduction circuit
JPH07297901A (en) Radio telephony equipment
KR100304531B1 (en) Automatic answering unit in handsfree phone
KR200211440Y1 (en) A call mode automatic switching apparatus of cellular phone
US20050213745A1 (en) Voice activity detector for low S/N
KR940000954Y1 (en) Base unit intercom circuit
JPH03117257A (en) Hand-free circuit
JPS61195048A (en) Voice switch circuit of loudspeaking telephone set
JPS6248162A (en) Hand-free telephone set
JPH0556132A (en) Loud speaker telephone system circuit
JPH0262068B2 (en)
NO157360B (en) RADIO RADIO RADIO PHONE WITH HAND-FREE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