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830Y1 - 낚시용 리일의 3단계 스풀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리일의 3단계 스풀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830Y1
KR880000830Y1 KR2019840012870U KR840012870U KR880000830Y1 KR 880000830 Y1 KR880000830 Y1 KR 880000830Y1 KR 2019840012870 U KR2019840012870 U KR 2019840012870U KR 840012870 U KR840012870 U KR 840012870U KR 880000830 Y1 KR880000830 Y1 KR 880000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holder
slide
spool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2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016U (ko
Inventor
정규명
Original Assignee
정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명 filed Critical 정규명
Priority to KR2019840012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830Y1/ko
Publication of KR8600070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0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8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낚시용 리일의 3단계 스풀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에 따른 요부 분해 사시도.
제2도는 통상의 조립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a)도, 제5(b)도, 제5(c)도는 본 고안 장치에 따른 요부의 3단계 작용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드래그 장치 5 : 슬라이드관
6 : 드랙너트 8 : 드랙
9 : 샤프트홀더 10 : 슬라이드홀더
10" : 괘지턱 12 : 스톱피
12" : 괘지돌부 14 : 드랙조정너트
14',14",14"' : 조절경사단턱 15 : 진퇴작동판
15' : 안삽돌부 15" : 절곡밀부
본 고안은 낚시대의 손잡이 저부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낚시용 리일에 있어서, 낚시줄을 권취한 스풀을 드랙에 의한 제어회전과 정지 및 자유회전 되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되는 낚시용 리일의 3단계 스풀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낚시용 리일은 첨단에 스풀을 연결한 회동축의 후단부에 다수 개의 드랙와셔와 탄발스프링, 슬라이드관을 장설하여 드랙의 조작으로 슬라디드관을 전후진시켜 이에 따라 신축되는 탄발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회동축을 제어 하게 되었으므로, 조사들의 취향에 따라 스풀을 자유회전 시키기 위하여는 드랙을 끝까지 풀어야만 자유회전 되기 때문에 이후 스풀을 제어하기 위하여는 드랙을 다시 조여야만 제어할 수 있는 것이어서, 드랙을 끝까지 풀었다가 다시 조이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결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여 회전축에 샤프트홀더와 슬라이드홀더 및 탄지스프링을 끼우고 리일본체의 내부에 상호 연동되는 스톱퍼와 진퇴작동판을 장설하여 드랙조정너트로 진퇴작동판을 단계적으로 작동시킴으로서 스풀을 드랙제어회동과 정지 및 자유회동 되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일본체(1) 내에 축설한 회동축(1a)의 선단에 스풀(2)을 삽착하고, 회동축(1a) 후단부측 하방에 착설된 진동판(3')과 접촉되는 크리크기어(3)와 다수 개의 드랙와서(4a) 로 구성되는 드랙장치(4) 및 드랙장치(4)에 탄력을 주는 탄발스프링(5')과 슬라이드관(5)을 내장한 드랙너트(6)를 회동축(1a) 후단부에 장설시켜, 볼트(7)로 드랙(8)을 드랙너트(6) 후면에 연결하여 드랙(8)을 좌우로 회동할 시 드랙너트(6)내의 슬라이드관(5)이 전후진 되어 탄발스프링(5')의 탄력을 드랙장치(4)에 압력을 가감시키므로서 스풀(2)의 회동력을 제어 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종래의 것에 있어서, 크리크기어(3)와 슬라이드관(5) 사이의 회동축(1a)에 공회전되게 삽착하는 샤프트홀더(9)의 일측에 외경치(9')를 형성하고, 그 타측 외주에는 드랙장치(4)를 끼워 탄발스프링(51)의 탄력이 드랙장치(4)에 가하여 지도록 하며, 샤프트홀더(9)의 외경치(9')와 맞물리는 내경치를 형성한 슬라이드홀더(10)의 일측 외주에 괘지턱(10")이 있는 일방향치(10')를 다수 돌설 하였으며, 슬라이드홀더(10)와 크리크기어(3) 사이에 탄지스프링(11)을 끼웠고, 슬라이드홀더(10) 상방측 리일본체(1) 내면에 접촉돌부(12')와 괘지돌기(12")를 일체롤 형성한 스톱퍼(12)를 핀볼트와, 스프링(13)으로 탄동 되도록 부설하며, 링형상으로 된 드랙조정구(14)이 내면을 삭설하며 캠턱(14')(14")(14'")을 형성시켜 드랙(8)의 앞쪽 드랙너트(6) 외주에 끼우고, 진퇴작동판(15)의 후방측에 삽입돌기(15')와 상방측에 밀편(15")와 가압편(15'")을 형성하고 중앙에 안내장공(15'")을 천공하여 스프링(16)과 볼트(17)로 리일본체(1) 후단부 내주면에 장설하여 진퇴작동판(15)이 항상 드랙(8)쪽으로 밀려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제5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진퇴작동판(15)의 삽입돌기(15')가 드랙조정구(14)의 캠턱(14')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슬라이드홀더(10)는 샤프트홀더(9)의 외경치(9')에 끼워져 있게 되고 스톱퍼(12)의 접촉돌부(12')는 진퇴작동판(15)의 가압편(15")에, 괘지돌기(12")는 슬라이드홀더(10)의 괘지턱(10")에 접촉되어 있게 되어 슬라이드홀더(10)의 회동을 저지 하므로 샤프트홀더(9)의 외경치(9')가 슬라이드홀더(10)의 내경치에 맞물려 있고 회동축(1a)은 샤프트홀더(9)에 삽착되어 있는 것이므로 따라서 회동축(1a) 첨단에 삽착된 스풀(2)이 회동될 수 없는 정지 상태로 있게 되는 제1단계 제어 작용을 하게 되며, 제2단게는 제1단계 상태에서 드랙조정구(14)를 약간 회동시키면 진퇴작동판(15)의 삽입동기(15')가 회동되는 캠턱(14")에 의하여 앞으로 밀려 진퇴작동판(15)이 약간 전진되어 가압편(15'")에 접촉돌부(12')를 밀어 스톱퍼(12)를 회동시켜 괘지돌기(12")를 슬라이드홀더(10)의 괘지턱(10")으로 부터 이탈시키므로서 슬라이드홀더(10)가 회동가능 하도록하여 스풀(2)을 드랙(8)의 조절로 제어회동 가능 하도록하여 스풀(2)을 드랙(8)의 조절로 제어회동하게 하는 2단계 작용을 하게되는 것이고, 이후 드랙정구(14)를 좀더 돌리면 캠턱(14"')과 삽입돌기(15')에 의하여 진퇴작동판(15)이 좀더 전진되어 밀편(15")이 슬라이드홀더(10)의 일방향치(10')를 크리크기어(3)쪽으로 밀어 샤프트홀더(9)와 분리시키며 이때에는 샤프트홀더(9)가 회동축(1a)의 후단부에 공회전 되게 끼워 있는 것이기 때문에 회동축(1a)과 함께 회동하게 되는 슬라이드홀더(10)가 공회전되어 스풀(2)이공회전하게 되는 3단계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드랙조정구(14)의 간편한 조직으로 스폴(2)을 회동되지 않게 하는 정지작동과 드랙(8)에 의한 제어회동 및 공회전 시키는 3단계로 제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종래것과 같이 드랙을 완전히 다 풀었다가 조이는 번거로운 작업이 제거되어 조사들이 원하는대로 보다 간편하게 사용하게 되는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선단에 스풀(2)을 삽착하는 회동축(1a)의 후단측에 크리크기어(3)와 드랙장치(4) 및 탄발스프링(5')을 내장한 슬라이드관(5)과 드랙너트(6)을 삽설하여 볼트(7)로 드랙(8)을 드랙너트(6)에 연결하여서된 종래의 것에 있어서, 크리크기어(3)와 슬라이드관(5) 사이의 회동축(1a)에 외경치(9')가 형성된 샤프트홀더(9)를 공회전되게 끼우고, 괘저턱(10")이 있는 일방향치(10')를 다수 형성한 슬라이드홀더(10)의 내경치에 외경치(9')가 맞물리도록 끼운 다음 크리크기어(3)와 슬라이드홀더(10) 사이에 탄지스프링(11)을 탄삽하고 접촉돌부(12')와 괘지돌기(12")를 형성한 스톱퍼(12)를 스프링(13)과 핀볼트로 슬라이드홀더(10) 상방측 리일본체(1) 내면에 탄설하며, 캠턱(14')(14")(14"')이 내주면에 형성된 드랙조정구(14)를 드랙너트(6) 외주에 끼우고, 삽입돌기(15)와 밀편(15")과 가압편(15'") " 안내장공(15"")을 형성한 진퇴작동판(15)을 리입본체(1) 후단 내주벽에 스프링(16)과 볼트(17)로 탄설하여서된 낚시용 리일의 3단계 스풀 제어장치.
KR2019840012870U 1984-12-08 1984-12-08 낚시용 리일의 3단계 스풀 제어장치 KR880000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2870U KR880000830Y1 (ko) 1984-12-08 1984-12-08 낚시용 리일의 3단계 스풀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2870U KR880000830Y1 (ko) 1984-12-08 1984-12-08 낚시용 리일의 3단계 스풀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016U KR860007016U (ko) 1986-07-10
KR880000830Y1 true KR880000830Y1 (ko) 1988-03-16

Family

ID=1923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2870U KR880000830Y1 (ko) 1984-12-08 1984-12-08 낚시용 리일의 3단계 스풀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8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016U (ko) 1986-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1740B2 (en) Adjustable lancing device
CA2541120C (en) Medical device delivery system
US5315759A (en) Power-driven pipe cutting device
US6983545B2 (en) Compass and compass-cutter with ratchet mechanism
WO2012176636A1 (ja) シャープペンシル
WO2000056384A1 (en) An adjustable needle assembly
CN110916750A (zh) 克氏针夹持装置和钻孔装置
US2405772A (en) Chuck assembly
US4299506A (en) Mechanical pencil
US4867018A (en) Phillips screwdriver with retractable slotted screwdriver blade
KR880000830Y1 (ko) 낚시용 리일의 3단계 스풀 제어장치
JPS5924516B2 (ja) 工具装置
WO2023165031A1 (zh) 一种活检枪
US2453840A (en) Insert coil setting tool
DE2741185C2 (de) Vorrichtung zum dosierten Abgeben von Dentalpräparaten
DE2060113A1 (de) Drahtwickelmaschine
DE1091645B (de) Geraet zum Einschieben einer biegsamen Stahldrahtspirale fuer ein Einfuehren von Draehten in elektrische Leitungsrohre
US2707957A (en) Tenaculum holder for uterine cannula
JPH0321138Y2 (ko)
EP3932461A1 (en) Torque device
CN216543121U (zh) 一种可调节的胶管用锁管机
KR0133130Y1 (ko)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JPS5836556Y2 (ja) シヤ−プペンシル
JPH0547671Y2 (ko)
DE2610916C3 (de) Kabeltrommel mit entriegelbarer Sperre zum selbsttätigen Aufwickeln einer elektrischen Lei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