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622Y1 - 재봉기의 침위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침위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622Y1
KR880000622Y1 KR2019850011083U KR850011083U KR880000622Y1 KR 880000622 Y1 KR880000622 Y1 KR 880000622Y1 KR 2019850011083 U KR2019850011083 U KR 2019850011083U KR 850011083 U KR850011083 U KR 850011083U KR 880000622 Y1 KR880000622 Y1 KR 880000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achine
needle
light receiving
disc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1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921U (ko
Inventor
이영배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1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622Y1/ko
Publication of KR8700039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9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6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봉기의 침위치 검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재봉기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속도 및 침위치 검출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속도 및 침위치 검출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 전압을 나타내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디스크 3a, 3b, 3c : 통공
5 : 베이스 6 : 발광소자 프린트 기판
6a, 6b, 6c :발광소자 7 : 수광소자 프린트 기판
7a, 7b, 7c : 수광소자 8, 14 : 나사
10 : 프레임 11 : 축
본 고안은 공업용 재봉기에 사용되는 재봉기의 침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업용 재봉기는 일반적으로 전자클러치, 브레이크를 가지는 모터로 구동되며, 연속 회전하는 모터의 힘을 전자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클러치 및 브레이크 메카니즘을 통하여 재봉기측에 전달하고 있다.
또한 공업용 재봉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 모터 구동 및 제어회로와 결합된 검출 장치로 부터 재봉기의 속도 제어와 침의 정지 위치를 제어하고 있다.
종래의 속도 검출장치는 자석을 이용하여 홀(hall)소자나 코일을 여자시켜 여기서 출력되는 정현파 신호을 이용한 것이 있고, 또한 침위치 걸출 장치는 자석과 홀 소자, 또는 광 센서를 이용한 것이 많았다.
여기서, 자석과 홀 소자 및 유도코일을 사용하여 속도를 검출할 때에는 회전부에 영구 자석을 부착하고 이 자석의 극수에 의해 소자 및 코일을 여자시킴으로서 이때 유도되는 전압을 검출하고 있으나 이 방식은 속도가 너무 낮아지면 출력파형의 일그러짐이나 자석 극수의 불균일 등으로 속도가 변하게 되는 결함이 있고, 또한 침 위치 검출장치는 회전자축에 비자성체를 사용하여 자석을 N극과 S극을 따로 정착시키고 이것이 회전함으로서 홀 소자를 개폐시키거나, 철판을 사용하여 광센서의 빛을 반사시키는 구조로 되어 위의 어느 것이나 소형인 방식은 곤란하고 또한 각종 유도자등에 의한 누설 자속으로 인하여 검출 장치가 오동작할 우려가 있으며, 검출 장치에 쓰이는 자석은 고가의 것을 사용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터에 연결된 재봉기 축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에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일정 위치의 구멍을 형성시키고, 프레임에 고정된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디스크를 설피하여, 디스크 회전시 발광부에서 발하는 빛을 수광부에서 감지 하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재봉기의 속도 및 침 위치를 보다 안정되고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침위치 검출장치(1)는 재봉기 헤드(2)의 후측단에 위치되고, 강도가 높은 덮개(9)로서 내부의 부품들을 보호하고 있다.
또한,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검출장치(1)의 덮개(9)를 제거하고 도시한 정면도이며, 내부에 디스크(3)와 속도 및 위치 검출센서 조립체(4)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3)는 철판이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원판상의 주위로 속도 검출을 위한 요철 형상의 구멍(3a)과 안쪽에 침의 정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2개의 통공(3b)(3c)을 가지고 있다.
요철형상의 구멍(3a)은 같은 간격으로 60개가 뚫려져 있으며, 2개의 통공(3b)및 (3c)는 침위치 검출부로서 185°의 간격으로 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3)의 각 구멍(3a)과 통공(3b)및 (3c)의 반경상 위치에 대응하여 속도 및 침 위치 검출 센서 조립체(4)가 프레임(10)의 하부에 나사(8)로 고정된다. 또한, 제3도의 단면도에 나타낸 센서조립체(4)는 중간에 디스크(3)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게 반달형의 홈이 파여진 베이스(5)를 개재하여 양쪽에 발광소자 프린트 기판부(6)와 수광소자 프린트 기판부(7)가 결합되어 있다.
발광소장 프린트 기판부(6)에는 발광소자(6a), (6b), (6c)가 수직선상으로 일려로 배치되고, 이 발광소자에서 방출하는 빛이 상기 디스크의 각 구멍 및 통공(3a), (3b), (3c)을 통과할 수 있는 위치에 정렬된다.
상기 발광소자(6a), (6b)및 (6c)와 대향하여 수광소자(7a), (7b)및 (7c)가 수광소자 프린트 기판부(7)에 수직선상에 일려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3)는 재봉기의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풀리와 결합된 축(11)에 스페이서(12)를 끼우고, 디스크(3)에 캡(13)을 씌운다음, 나사(14)로 축(11)에 고정되어 재봉틀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5는 베어링을 나타낸 것으로 프레임(10)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한 같은 재봉기의 속도 및 침위치 검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디스크(3)가 회전함에 따라 디스크에 형성된 구멍(3a)및 통공(3b), (3c)의 회전반경상에 위치한 센서조립체(4)의 발광소자(6a), (6b)및 (6c)에서 방출된 빛을 수광소자(7a), (7b)및 (7c)에서 감지하도록 한것으로서, 디스크(3)가 회전할때 상기 발광소자에서 일정한 빛이 방출되게 하면 발광소자(6a)의 빛이 디스크(3) 원판상의 60개의 구멍(3a)을 통하여 수광소자(7a)에 입력되어 수광소자(7a)에 입력되어 수광소자(7a)에는 제4(a)도와 같은 신호파형이 출력된다.
이 출력신호파형을 통상적인 재봉기의 모터구동 및 제어회로(도시않됨)에 인가하여 재봉기의 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페달을 밟아 재봉기를 구동시키다가 정시 시키기 위해 페달을 중립 위치에 놓게 될대, 상기디스크(3)의 통공(3b)을 통해 발광소자(6b)의 빛이 수광소자(7b)에 입력되어 제4(b)도와 같은 신호 파형이 출력되면, 이를 감지한 모터 구동 및 제어회로에서 재봉기 침이 하정지 위치에 놓여진 것을 알고 모터에 브레이크를 가해 모터의 속도를 줄이면서 재봉기 침을 하정지 위치로 유지하게 하고, 이후 사용자가 폐달을 뒤로 밟아 자동 사절 기능을 수행한뒤, 디스크(3)의 통공 (3c)을 통해 발광소자(6c)의 빛이 수광소자(7c)에 입력되면 수광소자(7c)는 제4(c)도와 같은 신호파형을 출력시키고, 이 신호출력을 받은 모터 구동 및 제어회로에는 재봉기 침이 상정지 위치로 놓이게 됨을 알고 모터 구동을 정시 시킴으로서 재봉기 침은 상정지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모터 구동 및 제어회로는 수광부(7b)에서 검출한 제4(b)도와 같은 하정지 신호를 받아 모터 구동을 계속 시키면서 재봉기 침을 하정지 위치로 유지 시키고, 하정지 위치에서 자동 사절 동작을 수행한 다음에도 수광부(7c)로 부터 제4(c)도와 같은 상정지 신호를 검출하게 될 때까지 모터 구동을 지속시켜 재봉기 침이 상정지 위치에서 약간 내려올 정도의 위치에서 모터 구동은 완전히 정지된다.
한편, 사용자가 페달을 중립(정지)위치에 놓게 될때 수광부(7c)로 부터 제4(c)도와 같은 상정지 신호가 먼저 검출되면, 모터 구동 및 제어회로는 모터 구동을 지속시켜 디스크(3)가 한바퀴 더 돌게 하며 수광부(7b)에서 제4(b)도와 같은 하정지 신호를 검출하게 함으로서 재봉기의 침을 하정지 위치에 유지 시킨다음 상술한 바와같은 후속 동작을 취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재봉기의 속도 및 위치를 보다 안정되고 신뢰성 있게 검출 할 수 있고, 소형의 집약된 검출 장치를 제공하여 작업능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큰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공업용 재봉기의 침위치 검출장치에 있어서, 스페이서(12)를 개재하여 요철 형상의 구멍(3a)과 통공(3b)및 (3c)가 형성된 디스크(3)를 재봉기의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풀리와 결합된 축(11)에 캡(13)과 나사(14)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디스크(3)의 각 구멍(3a)과 통공(3b)및 (3c)의 반경상 위치에 대응하여 발광소자(6a)(6b)및 (6c)와 수광소자(7a)(7b)및 (7c)가 프린트 기판(6)과 (7)에 설치되고, 이 프린트 기판(6)과 (7)이 상기 디스크(3)의 양면에 놓이도록 베이스(5)에 결합되어 프레임(10)에 나사(8)로 고정되고, 상기 디스크(3)가 회전할때 디스크(3)의 요철형상의 구멍(3a)을 통해 발광소자(6a)의 광출력의 수광소자(7a)에 감응되어 속도를 검출하고, 디스크(3)의 통공(3b)및 (3c)을 통해 발광소자(6b)및 (6c)의 광출력이 수광소자(7b)및 (7c)에 감응되어 재봉기 침의 하정지 및 상정지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침 위치 검출장치.
KR2019850011083U 1985-08-29 1985-08-29 재봉기의 침위치 검출장치 KR880000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083U KR880000622Y1 (ko) 1985-08-29 1985-08-29 재봉기의 침위치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083U KR880000622Y1 (ko) 1985-08-29 1985-08-29 재봉기의 침위치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921U KR870003921U (ko) 1987-03-30
KR880000622Y1 true KR880000622Y1 (ko) 1988-03-14

Family

ID=1924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1083U KR880000622Y1 (ko) 1985-08-29 1985-08-29 재봉기의 침위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6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6098A (ja) * 2006-04-28 2007-11-15 Juki Corp 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921U (ko) 198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6962A (en) Rotor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in switched reluctance motor
US4857784A (en) Motor having rotation speed detection mechanism
US4455516A (en) Brushless motor
US5689147A (en) Brushless motor
CA2023516A1 (en)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system for a motor
ATE190775T1 (de) Elektronisch kommutierter aussenläufermotor
JP2001339889A (ja) スピンドルモータのロータおよびインデックス信号出力装置とそれらを備えたfdd装置
KR880000622Y1 (ko) 재봉기의 침위치 검출장치
KR870004186A (ko) 재봉틀 구동장치
KR840001542B1 (ko) 재봉틀 침 위치검출장치
KR930020813A (ko)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JPH1132462A (ja) 永久磁石モ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ー
JP2778209B2 (ja) モータ内蔵ミシン
KR870010424A (ko) 엔코오더기구를 갖춘 터어보팬
KR950009766Y1 (ko) 브러쉬레스 모터
KR930010331B1 (ko) 전동기의 인덱스신호 발생장치
KR900000663Y1 (ko) 모터의 검지장치
KR920000850Y1 (ko) Vtr의 헤드드럼 일체형 구동모우터
KR930006581Y1 (ko) 캡스턴 장치
DE69502231T2 (de) Elektronisch kommutierter Motor
KR19990006029U (ko) 에어콘용 bldc 모터
KR930007341Y1 (ko) 직류 무정류자 모터
KR0127196Y1 (ko) 세탁기용 모터의 회전속도 감지장치
JPH0352546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850006558A (ko) 재봉틀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