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369B1 - 슬라이드 파스너 상지구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 상지구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369B1
KR880000369B1 KR1019860007384A KR860007384A KR880000369B1 KR 880000369 B1 KR880000369 B1 KR 880000369B1 KR 1019860007384 A KR1019860007384 A KR 1019860007384A KR 860007384 A KR860007384 A KR 860007384A KR 880000369 B1 KR880000369 B1 KR 880000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transfer
arm
earth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791A (ko
Inventor
고오조오 와다나베
아키요시 칸도오
요시유키 호리타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19662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5750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401058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6651Y2/ja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2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18Slide fasteners with a third member or members, other than the slider, connected to the edges of adjacent stringers when closed, e.g. third member moved into position by a slid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60Applying end stops upon stringer ta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01Slide fastener or slide fastener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291Slide fastener
    • Y10T29/53296Means to assemble stop onto stringer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 Slide Fasten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 상지구 공급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상지구 부착 기계에 상지구들을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한 상지구 부착 기계의 파단 사시도.
제2도는 상지구들이 부착될 연속 슬라이드 파스니 체인의 파단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에 따른, 부착된 상지구들을 보이는 단면도.
제4도는 상지구 공급장치의 확대 파단 사시도.
제5도는 장치의 슈우트에 연관되어 한번에 하나씩 상지구를 전달하는 게이트 수단의 파단 사시도.
제6a도-제6f도는 상지구들이 공급장치에 의해 한번에 2개씩 부착 기계의 보유부에 공급되는 방식을 보이기 위한 도시적인 측면도.
제7도는 장치에 의해 공급된 상지구들을 보유하는 보유부의 확대 파단 정면도.
제8도는 상지구들이 부착기계에 의해 한쌍의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어 테이프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방식을 보이기 위한 확대 파단 정면도.
제9도는 종래의 상지구 공급 장치의 도식적인 사시도.
제10도는 변형된 상지구 공급장치를 보이기 위한 제1도와 유사한도면.
제11도는 변형된 장치의 확대 파단 사시도.
제12a도-제12d도는 변형된 장치에 의한 일련의 상지구 공급작동 단계들을 예시하는 도식적인 부분 측단면도.
제13도는 변형된 장치에 의해 상지구들을 공급받은 부착기계 보유부의 확대 파단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79 : 상지구 공급장치 21 : 상지구 부착기계
22 : 상지구 23 :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
24 :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어 테이프 25 : 슬라이드 파스너 가장자리 비이드
26 : 결합 엘레멘트열 27 : 무엘레멘트 공간
28 : 부착기구 29 : 펀치 아암
30 : 펀치/다이호울더 31 : 다이
32, 33 : 요홈부 34 : 보유공동부
35 : 호울더안내부 36 : 프레임
37 : 피봇핀 38 : 제1피봇핀
39 : 링크 40 : 제2피봇핀
41 : 램 42 : 체인 안내부
45 : 고정 안내레일 46 : 보울
47 : 진동 부품 이송기 48 : 가동 안내레일
49, 80 : 전달 유니트 50 : 직립 지지블록
51 : 게이트수단 52, 53 : 흡입파이프
54, 55 : 방향제어밸브 56 : 주파이프
57 : 미끄럼블록 58 : 수직지지판
59 : 안내구멍 60 : 안내봉
61 : 브래킷트 62 : 제1압축코일 스프링
63 : 제2압축코일 스프링 64 : 아암호울더
64a : 수직단부벽 64b : 수평바닥벽
65, 82 : 전달아암 66, 83 : 전달핑거
66a : 요홈바닥벽 67 : 랭크
68 : 피스톤로드 69 : 공압실린더
70, 71 : 스토퍼 보울트 72 : 마이크로 스위치
73 : 작동 보울트 81 : 안정부재
84 : 지지봉 85 : 안내채널
87 : 너트
이 발명은, 연속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에 상지구들을 부착하는 상지구 부착기계의 보유부에 상지구들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지구 공급장치가 일본국 특허공보 소48-4258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첨부 도면중 제9도에 다시 예시되고 있다. 이 장치는, 다수의 대략적인 U형 상지구들(16)을 미끄러질 수 있게 수용하는 중력식 경사 슈우트(15)와, 슈우트(15)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상지구 부착기계의 상지구 호울더(19)의 보유부(18)에 상지구들을 한번에 하나씩 공급하는 왕복동 푸셔아암(17)으로 구성된다.
그와같은 구조의 장치에 있어서, 상지구들이 푸셔아암(17)의 왕복운동에 따라서 슈우트(15)를 타고 단속적으로 미끄러져 내려오기 때문에 서로 겹쳐 놓이기 쉽다. 이와같이 겹쳐진 상지구들이 슈우트(15)를 막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신뢰할만한 상지구 공급작동의 달성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에 상지구들을 부착하는 상기 부착기계의 보유부에 상지구를 한번에 하나씩 확실하게 공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지구 공급장치는, 진동부품 이송기에 매달려 있는 고정 안내 레일로부터 상지구를 받는 수납위치와 상지구를 수납 위치에서 상지구 부착기계의 보유부로 공급하는 전달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는 가동안내 레일과, 고정안내 레일에서 나온 맨앞 상지구를 가동안내 레일을 통하여 보유위치로 전달하기 위해 보유 위치에 가까이 혹은 멀리 왕복운동할 수 있는 전달 유니트로 구성된다. 가동 안내레일과 전달유니트는, 가동 안내레일을 수납위치에서 전달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전달 유니트가 그의 왕복 행정 범위안에서 가동 안내레일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맨앞 상지구가 고정 및 가동 안내 레일의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에서 멀리 상방으로 벗어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전달 유니트는, 맨앞 상지구가 고정 및 가동 안내레일의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를 따라 이동될 때 그 맨앞 상지구에 계속 걸릴 수 있는 수직 안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원리는 제1도에 보인 바와 같은 상지구 공급장치(20)에 실시될 때 특히 유용하다. 이 장치(20)는 상지구 부착기계(21)에 관련된 것으로서, 연속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23)에 실질적으로 U형인 상지구들(22)을 부착하는 장치(21)의 보유부에 그 상지구들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23)은, 그 위에 일련의 결합 엘레멘트열(26)을 지지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 비이드(25)(제2도)를 각각 지닌 한쌍의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어 테이프(24)로 구성된다.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23)은 또한 일련의 결합 엘레멘트열들(26)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무엘레멘트공간(27)도 가진다. 상지구들(22)은 각각의 결합 엘레멘트열의 끝에 인접한 무엘레멘트 공간(27)의 가장자리 비이드(25)에 부착된다.
상지구 부착기계(21)는, 수직, 펀치/다이호울더(30)에 각 운동할 수 있게끔 장착된 한쌍의 수직펀치 아암(29), (29)과, 펀치/다이호울더(30)에 고착되어 펀치 아암(29), (29)의 하단부들 사이에 위치되는 다이(31)로 구성된 부착기구(28)로 구성된다. 펀치 아암(29), (29)의 내측면 각각에는 요홈부들(32), (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반면에 다이(31)의 양 외측면에는 요홈부들(32), (32)을 마주보게끔 위치된 요홈부들(33), (33)이 그 안에 형성되어 잇다. 이 요홈부들(32), (33)은 그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U형인 상지구들(22)을 보유하기 위한 한쌍의 보유 공동부(34), (34)를 함께 이룬다.
펀치/다이호울더(30)는, 상지구들을 받기 위한 상부 위치와 이들을 부착하기 위한 하부위치 사이를 도시되지 않은 적당한 작동기에 의하여 채널형 호울더 안내부(35)를 따라 위·아래로 운직일 수 있다. 채널형 호울더 안내부(35)는 기계(21)의 프레임(36)에 조여져 있다. 펀치 아암들(29), (29)은 펀치/다이 호울더(30)상의 각 피봇핀들(37), (37)에 의하여 각 운동할 수 있게끔 지지되며, 피봇핀들(37)은 펀치 아암들(29), (29)의 중간부 아래에, 다시 말하면 펀치 아암(29), (29)의 상단부보다 그 하단부에 더 가까이 위치한다. 펀치 아암들(29), (29)의 상단부들은 제1피봇 핀들(38), (38)로 한쌍의 링크들(39), (39)에 작동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또 이 링크들(39), (39)은 제2피봇핀(40)으로 램(41)의 하단부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램(41)은 공암 실린더(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적당한 작동기에 연결되어 있다. 작동기가 작동된 때 램(41)은 위·아래로 왕복운동하여 펀치 아암들이 피못핀(37)을 중심으로 서로에 가까이 혹은 멀리 각 운동하게 한다.
상지구 부착기계(21)는, 결합 엘레멘트열들(26)의 한쪽 끝에 인접하여 무엘레멘트 공간(27)을 이루는가장자리 비이드(25)에 U형 상지구들(22)을 쉽게 부착하기 위하여 그러한 가장자리 비이드(25)가 위를 향하는 방식으로, 무엘레메트 공간(27)을 부착기구(28)에 대하여 위치시키게끔 파스너 체인(23)을 안내하도록 부착기구(28)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체인 안내부(42)도 포함한다.
제1도 및 제4도에 보인 바와같이, 상지구 공급장치(20)는 대개, 진동부품 이송기(47)(제4도)의보울(bowl)(46)에서 부착기구(28)의 보유부(34), (34)쪽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고정 안내레일(45)과, 고정 안래레일(45)과 부착기구(28)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각각의 고정 안내레일(45)의 하류 끝과 보유부(34)사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는 한쌍의 가동 안내 레일(48)(제4도)과, 고정안내레일(45)로 부터 가동 안내레일(48)을 통하여 상지구(22)를 한번에 2개씩 보유부(34)에 공급하도록 고정 안내레일(45)위에 배치되어 안내레일(45)과 가동 안내레일(48)을 따라 왕복운동할 수 있는 왕복등 전달 유니트(49)로 구성된다.
수평 고정 안내레일(45)은, 끝이 진동 부품 이동기(47)에 연결되어 있고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한쌍의 기다란 판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끝은 보울(46)의 출구와 연통한다. 안내레일(45)의 양 하류끝들은 부착기구(28)의 정면에 배치된 직립 지지블록(50)에 못미쳐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진동부품 이송기(47)가, 진동을 발생시키면 U형 상지구들(22)은 그들의 다리가 각 안내레일(45)의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에 올라라도록 보울(46)에서 안내레일(45) 위로 출발하게 하고, 그다음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를 따라 안내레일(45)의 하류쪽을 향하여 점차 전진하게 한다. 안내레일(45)이 진동부품 이송기(47)에 매달려 이송기(47)의 진동에 일치하여 진동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지구들(22)은 서로 겹치지 않은채 줄을지어 전진된다.
제5도에 보인 바와같이, 상지구(22)의 전진 이동은 각 안내레일(45)의 하류 끝보다 약간 상류에 배치된 게이트 수단(51)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저지된다. 게이트 수단(51)은, 안내레일(45)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지구들(22)이 따라가는 안내레일(45)의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쪽으로 수직으로 터져 있는 한쌍의 제1및 제2 흡입 파이프(52), (53)로 구성된다.
제1및 제2흡입 파이프들(52), (53)은 안내레일(45)의 길이방향에 따른 상지구(22)의 길이보다 약간 큰 거리만큼 서로 횡으로 이격되어 있다. 흡입 파이프들(52), (53)은 한쌍의 제1및 제2방향 제어밸브(54), (55)를 통하여 주파이프(56)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또 주파이프(22)는 적당한 진공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이같은 구성으로 상지구(22)는, 안내레일(45)의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와 각각의 흡입파이프(52), (53) 사이에서 작용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안내레일(45)상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보유된다. 제1 및 제2밸브(54), (55)가 제1및 제2흡입파이프(52), (53)를 교대로 차단하도록 작동되기 때문에, 이로인하여 상지구들이 고정 안내레일(45)의 진동에 의하여 게이트 수단(51)을 통해 한번에 1개씩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게이트수단(51)을 떠난 맨앞 상지구(22)는 안내레일(45) 하류끝의 바로 상류 위치에서 자동으로 멈춘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고정 안내레일(45)의 하류 끝부분은 진동부품 이송기(37)에서 받은 진동의 크기를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잇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공압 게이트수단(51)이, 고정 안내레일(45)의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를 가로질러 교대로 움직일 수 있는 한쌍의 차단 핑거들을 지닌 기계식 게이트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안내레일(45)의 진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4도에 보인 바와같이 가동 안내레일(48)은, 고정 안내레일(45)에 정렬하여 연장하고 평행하게 이격된 한쌍의 기다란 판으로 되어 있다. 이 안내레일(48)은 지지블록(50)의 상부 요홈부안에 미끄러질 수 있개끔 수용되어 있는 장방형 미끄럼블록(57)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잇다. 각 안내레일(48)의 상류끝이 고정 안내레일(45)의 하류 끝에 접촉되게끔 유지되는 수납위치와, 각 안내레일(48)의 하류 끝이 부착기구(28)의 해당 보유부에 맞닿게 유지되는 전달위치와의 사이를 안내레일(48)이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미끄럼블록(57)은 안내레일(48)에 평행하게 미끄럼운동할 수 있다.
한쌍의 수직 지지판(58), (58)이 부품 이송기(47)를 향하는 미끄럼블록(57)의 단부벽에 고착되어 있는데, 지지판(58)은 미끄럼블록(57)의 양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 지지판(58)은 한쌍의 안내구멍(59)(1개만 도시됨)을 포함하여, 한쌍의 안내봉(60)이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여 연장한다. 안내봉(60) 의 끝은 한쌍의 브래킷트(61), (61)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브래킷트들은 지지판(58), (58)을 마주보도록 지지블록(50)의 상부에 고착되어 있다. 브래킷트(61)는 부착기구(28)에 가까이 배치되어 지지블록(50)의 한끝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브래킷트(61)는 미끄럼블록(57)이 위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미끄럼블록(57)을 약간 올라탄다. 안내봉(60)은 가동 및 고정 안내레일(48), (45)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그들의 반대편 끝이 장치(20)의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고착되어 있다. 각각의 안내봉(60)은, 브래킷트(61)와 해당 지지판(58)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1압축 코일스프링(62)을 그 위에 지지한다.
이와같은 구조로 인하여 미끄럼블록(57)이 평상시 제1압축코일 스프링(62)으로 부품 이송기(47)쪽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가동 안내레일(48)이 수납위치에 유지된다. 소정길이의 한쌍의 제2압축 코일 스프링(63)이 지지판(58)에 대하여 제1압축 코일 스프링(62)을 마주보게끔 각각의 안내봉(60) 들레에 배치되어 있다.
제4도에 보인 바와같이, 전달 유니트(49)는 대개, 안내봉(60)에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되며 대략 L형인 아암 호울더(64)와, 아암 호울더(64)에 피봇 연결되고 대락 L형인 전달아암(65)으로서 아암(65)의 하단부로 부터 가동 안내레일(48)쪽으로 돌출한 한쌍의 두갈래 전달 핑거들(66)을 지닌 전달 아암(65)과로 구성된다.
각각의 전달 핑거(66)는 고정 및 가동 안내레일들(45), (48)의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에 미끄러져 걸리는 요홈 바닥벽(66a)(제6a도 1개만 도시됨)을 포함한다. 전달 아암(65)의 상단부는 링크(67)에 피봇 연결되며, 이 링크(67)는 장치(20)의 프레입에 의하여 수평으로 지지되는 공압실린더(69)의 피스톤로드(68)에 연결되어 있으며, 실린더(69)는 안내레일(45)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제6a도-제6f도에 보인 바와같이, 전달아암(65)의 각 운동을 일정범위내로 제한하기 위하여 한쌍의 상·하 스토퍼 보울트(70), (71)가 전달아암(65) 피봇축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부 스토퍼 보울터(70)는 아암(65)에서 아암 호울더(64)의 수직 단부벽(64a)쪽으로 수직으로 돌출하며 그 수직 단부벽(64a)에 못미쳐 끝난다. 아암(65)이 제6a도-제6f도의 시계방향으로 선회될 때, 스토퍼 보울터(70)가 제6f도에 보인 바와같이 수직 단부벽(64a)에 걸림으로써,아암(65)이 더이상 각 운동하지 못하게 한다.
한편, 하부 스토퍼 보울터(71)는 아암(65)을 가로질러 연장하여 아암 호울더(64)의 수평 바닥벽(64b)의 밑으로 수직 단부벽(64a)쪽으로 돌출한다. 아암(65)의 반시계 방향 각운동을 제한하도록 하부 스토퍼 보울트(71)가 수평 바닥벽(64b)에 걸린다.
전달 핑거들(66)의 요홈 바닥벽(66a)이 안내레일(45)의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와 살작 접촉되게끔 유지되는수평 작업위치(제6a도)와, 핑거(66)와 안내레일(45)의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 사이를 상지구(22)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핑거들(66)이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에서 멀리 상방으로 이격되는 상방 경사 비작업 위치(제6f도)와의 사이를 전달 핑거들(66)이 확실하게 각 운동하도록 아암(65)의 각 운동범위를 조정할 수 있게끔 상·하 스토퍼 보울트들(70), (71)이 축선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4도에서, 마이크로 스위치(72)가 하나의 가동 안내레일(48)의 하류끝에 인접히 배치되어 있다. 부착기구(28)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스위치(72)가 부착기구(28)용 작동기(도시되지 않음)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72)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 스위치(72)의 작동기에 걸릴 수 있는 작동 보울트(73)가 지지판(58) 중의 하나 위에서 지지된다. 마이크로 스위치(72)와 작동 보울트(73)는, 가동 안내레일(48)이 그 수납위치에 도달할 때만 작동 보울트(73)가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마이크로 스위치(72)에 걸리게끔 위치되어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72)가 작동하자마자 부착기구(28)가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23)쪽으로 하강되어 상지구들(22)을 스트링어 테이프(24)의 길이방향 비이드(25)에 부착시킨다. 작동 보울트(73)가 마이크로 스위치(72)에서 분리되어 있는 동안에는 부착기구(28)의 하방 이동이 일어나지 못한다.
가동 안내레일(48)이 고정 안내레일(45)로 부터 분리되어 있는 동안 상지구들이 각각의 고정 안내레일(45)의 하류 끝에서 우연히 떨어지지 못하게 진동 부품 이송기(47)의 작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스위치(72)가 부품 이송기에 연결되어도 된다.
이하 상지구 공급장치(20)의 작동에 대하여 제6a도-제6f도를 참고로 기술하겠다.
설명의 편의상 부품들이 제6a도의 상태에 있을 때 장치(20)의 작동이 시작하는 것으로 하자. 이 상태에서 실린더(69)의 피스톤 로드(68)가 약간 연장하여 전달 핑거들(66)을, 각각의 안내레일(45)의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를 따라 안내레일(45)의 하류 끝부분까지 도달된 한쌍의 맨앞 상지구들(22)의 바로 상류에 위치시킨다. 가동 안내레일(48)은, 수납위치에 유지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해당 고정 안내레일(45)에 접하게 된다.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펀치/다이 호울더(30)는 상지구들(22)을 받기 위한 최상 위치에 유지된다.
피스톤 로드(68)가 제6b도의 위치까지 더욱 연장함에 따라 아암 호울더(64)는 실린더(69)에 의하여 강제로 안내봉(60)을 따라 펀치/다이 호울더(30)쪽으로 전방으로 미끄러진다. 아암 호울더(64)의 전방 이동으로 인하여 전달 핑거(66)가 고정 안내레일(45)과 가동 안내레일(48)의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를 따라 계속해서 미끄러지게 되고, 따라서 맨앞 상지구들(22)이 고정 안내레일(45)에서 가동 안내레일(48)로 옮겨진다. 그동안 가동 안내레일(48)은 제1압축 코일스프링(62)의 탄성력에 의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유지된다.
피스톤 로드(68)가 전방으로 더욱 이동함에 따라 전달 핑거(66)는 맨앞 상지구들(22)을 각각의 가동 안내 레일(48)의 하류 끝부분까지 전진시킨다. 그동안 아암 호울더(64)는 제2압축 코일스프링(63)에 걸리게 되어 지지판(58)을 제1 및 제2 압축 코일스프링(62), (63)의 조합 탄성력에 거슬러 전방으로 밀며, 이때 미끄럼블록(57)이 전방으로 미끄러져 가동 안내레일(48)을 제6c도에 보인 바와같이 그들의 전달위치로 이동시킨다. 이같은 전달이위치에서 각각의 가동 안내레일(48)의 하류 끝은 펀치 아암(29)과 다이(31) 사이의 보유부(34)(제7도)에 꼭맞게 유지된다. 제2압축 코일스프링(63)의 길이는, 맨앞 상지구들(22)이 고정 안내레일(45)에서 가동 안내레일(48)로 전달된 후에만 아암 호울더(61)가 이 제2스프링들(63)을 누르면서 이에 걸리도록 하기에 충분히 짧은 길이이다. 제2압축 코일스프링들(63)이 제1압축 코일스프링(62)에 직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안내레일(48)의 전방 행정이 상당히 크게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각각의 가동 안내레일(48)의 하류 끝이 부착기구(28)의 해당 보유부(34)에 확실하게 꼭 맞게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68)가 제6d도에 보인 바와같이 완전히 신장된 때, 맨앞 상지구들(22)은 전달 핑거들(66)에 의하여 가동 안내레일(48)에서 보유부(34)로 공급된다.
상지구(22) 전달이 완료되자 마자, 실린더(69)가 작동외어 제6e도에 보인 바와같이 그의 피스톤 로드(68)를 후퇴시킨다. 피스톤 로드(68)의 후퇴 이동이 전달 아암(65)을 시계방향으로 피봇운동시키는 경향이 있지만, 그러나 아암 호울더(64)가 안내봉(60)을 따라 후방으로 미끄러지게끔 제2압축 코일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하여 힘을 받기 때문에 이같은 피봇 운동은 일어날 수 없다.
아암 호울더(61)가 제2스프링(63)에서 분리된 때, 전달아암(65)은 스토퍼 보울터(70)가 아암 호울더(64)에 맞닿을 때까지 제6e도의 시계방향으로 선회되어, 결과적으로 적달 핑거들(66)을 가동 안내레일(48)의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에 빼낸다. 동시에, 미끄럼 블록(57)은 제1스프링(62)의 탄성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밀리어 가동 안내레일(48)을 그들의 수납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동안 다음번 두개의 상지구들(22)이 게이트 수단(51)(제5도)을 떠나 고정 안내레일(45)의 하류 끝부분쪽으로 향한다.
피스톤 로드(68)가 더욱 후퇴됨에 따라 전달 핑거(66)는 맨앞 상지구들(22)을 그냥 지나가고, 피스톤로드(68)가 완전히 후퇴된 때 전달 핑거들(66)은 제6e도에 보인 바와같이 이 상지구들의 약간 상류에 위치된다. 그다음 피스톤 로드(68)가 약간 신장되어 실선 위치에서, 전달 핑거(66)가 고정 안내레일(45)의 상부 가장자리 모서리에 꼭 접촉되게끔 유지되는 이점 쇄선 위치로 아암(65)을 피봇 운동시킨다.
상지구 쌍들은 부착기구(28)의 보유부(34)에 계속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주기가 부착기구(28)의 작동에 일치하여 자동으로 반복되어 부착기구(28)는 무엘레멘트 공간(27)의 연속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23)에 상지구를 길이방향 간격으로 부착할 수 있게된다. 상지구들(22)이 전달되기 전에 펀치 아암들(29), (29)은 상지구들(22)을 쉽게 수용하도록 그 하단부가 약간 벌어지게 작동된다. 상지구들(22)이 전달된 후에 펀치 아암들은 그 하단부들이 서로 가까워지게 움직이도록 작동되어, 전달된 상지구(22)을 보유부(34)에 단단히 보유한다.
가동 안내레일(48)이 수납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작동 보울트(73)(제4도)가 마이크로 스위치(72)를 작동시킴으로써 부착기구(28)(제1도)를 그 최하 위치로 하강시켜 상지구들(22)을 제8도에 도시된 대로 스트링어 테이프(24)의 가장자리 비이드(25)위에 놓는다. 그다음 램(41)(제1도)이 펀치 아암들(29), (29)의 하단부를 서로쪽으로 움직이게 하강되고, 그리하여 상지구들(22)을 스트링어 테이프(24)에 부착시킨다.
제10도는 상지구 부착기계(21)와 관련하여 변형된 상지구 공급장치(79)를 도시한다. 장치(79)가 제1도에 보인 장치(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상지구들이 기계(21)의 부착기구(28)의 보유부(34)에 전달되는 동안, 상지구들(22)이 상방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전달 아암(82)에 장착된 한쌍의 안정부재(81)로 구성된 전달 유니트(80)는 예외이다. 장치(20)과 (79)가 서로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동일 부분은 동일 번호로 표시된다.
제1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정부재는 한쌍의 전달 핑거(83), (83) 바로 하류끝의 전달아암(82)에 장착된 한쌍의 직사각형 판(81)으로 되어 있는 데, 이 판들(81)은 각 안내레일(45) 평면에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한다. 각각의 안정판(81)은 전달아암(82)의 안내채널(85)을 통하여 연장하는 지지봉(84)의 한끝에 연결되어 있다. 압축 코일스프링(86)이 지지봉(84) 둘레에 배치되어 안정판(81)을 펀치아암(29)쪽으로 밀도록 전달 아암(82)과 안정판(81) 사이에서 작용한다. 지지봉(84)은 외측에 나사가 파진 그 반대 끝부분에 끼워진 너트(87)에 의하여 전달아암(82)에 보유된다. 이같은 구성으로 너트(87)을 양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안정판(81)이 안내레일(45)에 평행하게 아암(82)에 가까이 혹은 멀리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정판(81)의 하부 모서리를 맨앞 상지구(22)위에 정확히 위치시킨다.
작동에 있어서, 장치(79)의 공압 실린더(69)가 작동되어 전달아암(82)을 제12a도의 위치에서 제12b도의 위치로 전방으로 움직이게 그 피스톤 로드(68)를 연장함으로써 한쌍의 맨앞 상지구들(22)을 고정 안내레일(45)에서 각각의 가동 안내레일(48)의 하류 끝으로 이송시킨다. 그동안 안정판(81)이 상지구들(22)에 계속 걸리어 있기 때문에 상지구(22)가 안내레일들(45), (48)에서 상방으로 벗어나지 못한다. 제12도의 위치에서 안정판(81)은 제13도에 보인 바와같이 펀치아암(29) 에 거슬러 납작하게 되도록 힘을 받는다. .
피스톤 로드(68)가 제12c도에 보인 바와같이 완전히 신장된 때, 전달 핑거(66)가 상지구들(22)을 압축 코일스프링(86)의 바이어스에 거슬러 보유부(34)(제13도)안으로 밀어넣는다. 그다음 피스톤로드(68)가 후퇴되어 전달 아암(82)을 제12d도에 보인 바와같이 그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Claims (15)

  1. 실질적으로 U형인 상지구들(22)을 한번에 하나씩 부착기계(21)의 보유부(34)에 공급하는 장치(20 : 79)를 포함하는 상지구 부착기계(21)에서, (a) 진동 부품 이송기(47) : (b) 상기 부품 이송기(47)에 매달려 그로부터 보유부(34)쪽으로 연장하는 기다란 제1안내레일(45)로서 상기 부품 이송기(47)와 상기 제1안내레일(45)의 진동에 의하여 상지구들(22)이 상기 부품 이송기(47)에서 상기 매달린 제1안내레일(45)의 자유 단부쪽으로 계속적으로 이송되는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를 가지는 제1안내레일 : (c) 상기 제1안내레일(45)의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와 같은 높이로 연장하는 상부 길이 방향 모서리를 가지며 보유부(34)와 상기 제1안내레일(45) 사이에 배치되어 왕복 운동할 수 있는 기다란 제2안내레일(48)로서, 상기 제2안내레일(48)의 한 단부가 상기 제1안내레일(45)의 상기 자유단부와 접촉되게 유지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제2안내레일(48)의 다른쪽 단부가 보유부(34)에 꼭맞게 유지되는 전달위치 사이를 왕복운동할 수 있고 평상시 상기 수납 위치에 유지되는 제2안내레일 : 및 (d) 맨앞 상지구(22)를 상기 제1안내레일(45)에서 상기 제2안내레일(48)을 통하여 보유부(34)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보유부(34)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보유부(34)가까이 혹은 멀리 왕복 운동할 수 있고 상기 제1안내레일 위에 배치된 전달 유니트(49 : 80)로서, 제한된 왕복행정 범위내에서 상기 제2안내레일(48)에 걸리어 상기 제2안내레일(48)을 상기 수납 위치에서 상기 전달위치로 이동시키는 전달유니트(49 : 80) : 로 구성되는 상지구 공급장치(20 : 79).
  2. 제1항에 있어서, 상지구들(22)이 한번에 하나씩 통과할 수 있게 상기 제1안내레일(45)과 관련된 게이트 수단(51)을 포함하는 상지구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레일(45)의 자유 단부의 구조가 상기 진동부품 이송기(47)로 부터 전달된 진동의 크기를 실질적으로 감소할 수 있도록 된 상지구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보유부(34) 근처에 배치되며 요홈 상부를 가진 직립 지지블록(50)과, 상기 지지블록(50)의 요홈 상부에 미끄러질 수 있게 수용되어 상기 제1안내레일(45)에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제2안내레일(48)이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미끄럼 블록(57)과, 보유부(34)에서 먼쪽으로 향하는 상기 미끄럼 블록(57)의 단부벽에 고착되어 있는 최소한 1개의 수직 지지판(58)과, 상기 수직 지지판(58)과 마주보게끔 상기 미끄럼블록(57)의 상기 단부벽에서 떨어져 있는 상기 미끄럼블록(57)의 단부에 고착되어 있는 브래킷트(61)와, 상기 브래킷트(61)에서 상기 지지판(58)을 지나 상기 제1 및 제2안내레일들(45, 48)에 평행하게 상기 부품 이송기(47)쪽으로 연장하는 기다란 안내봉(60)과, 상기 안내봉(60)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브래킷트(61)와 상기 지지판(58) 사이에서 작용하는 제1압축 코일스프링(62)을 포함하는 상지구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트(61)가 상기 미끄럼블록(57)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상지구 공급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58)에 대하여 상기 제1압축 코일스프링(62)과 반대쪽에 상기 안내봉(60)의 둘레에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는 제2압축 코일스프링(6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달 유니트(49 : 80)가, 상기 안내봉(60)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 아암 호울더(64), 상기 제1및 제2안내레일들(45, 48)의 상기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에 미끄러질 수 있게끔 걸리는 전달핑거(66 : 83)를 가지며 상기 아암 호울더(64)에 피봇 연결되어 상기 제2압축 코일스프링(63)에 걸리는 대략 L형인 전달 아암(65 : 82)과, 상기 전달아암(65 : 82)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달아암(64)과 상기 아암호울더(64)를 왕복 운동시키는 작동기로 구성되는 상지구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핑거(66 : 83)가 평상시 상기 제1안내레일(45)의 상기 자유단부의 약간 상류에 위치되며, 상기 제2압축 코일스프링(63)의 길이는 상기 전달 핑거(66 : 83)가 상기 제1안내레일(45)에서 상기 제2안내레일(48)로 이동된 때만 상기 전달아암(65 : 82)이 상기 제2스프링(63)에 눌리어 걸리도록 하기에 충분히 짧은 상지구 공급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핑거(66 : 83)가 상기 제1안내레일(45)의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와 가볍게 접촉되게 유지되는 작업 위치와, 상지구들이 통과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상기 전달 핑거(66 : 83)가 상기 제1안내레일(45)의 상기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는 비작업 위치 사이를 상기 전달 핑거(66 : 83)가 움직이게끔 상기 전달아암(65 : 82)이 각 운동할 수 있는 상지구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아암(65 : 82)이 상기 작업위치에 비작업 위치를 넘어서 각운동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상지구 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수단이 상기 전달아암(65 : 82)과 상기 아암 호울더(64) 사이의 피봇축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아암호울더(64)에 걸리는 한쌍의 스토퍼 보울트(70 :71)로 구성되는 상지구 공급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핑거(66 : 83)가 상기 제1및 제2안내레일(45, 48)의 상기 길이방향 모서리를 수용하는 요홈 바닥벽(66a)을 가지는 상지구 공급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가 상기 제1안내레일(45)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공압 실린더(69)로 구성되는 상지구 공급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맨앞 상지구(22)가 상기 제1및 제2안내레일(45, 48)의 상기 길이방향 모서리에서 멀리 상방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상기 전달 유니트(80)가, 상지구(22)가 상기 제1및 제2안내레일(45, 48)의 상기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를 따라 이동될 때 그 맨앞 상지구(22)에 계속 걸릴 수 있는 안정수단(81)을 포함하는 상지구 공급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유니트(80)가 상기 제1및 제2안내레일(45, 48)의 상기 상부 길이방향 모서리에 미끄러질 수 있게 걸리는 전달 핑거(83)를 가지며, 상기 제1및 제2안내레일(45, 48)을 따라서 왕복 운동할 수 있는 전달아암(82)을 포함하며, 상기 안정수단이 상기 전달 핑거(83)에 인접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직사각형 판(81)으로 구성되는 상지구 공급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직사각형 판(81)에서 수직으로 연장하고 상기 전달아암(82)에 의하여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봉(84)과, 상기 지지봉(84)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 직사각형 판(81)과 상기 전달아암(8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축 코일스프링(86)을 포함하는 상지구 공급장치.
KR1019860007384A 1985-09-05 1986-09-04 슬라이드 파스너 상지구 공급장치 KR880000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96628A JPS6257508A (ja) 1985-09-05 1985-09-05 スライドフアスナ−の上止取付装置における上止供給装置
JP196628 1985-09-05
JP14010585U JPH0216651Y2 (ko) 1985-09-13 1985-09-13
JP140105 1985-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91A KR870002791A (ko) 1987-04-13
KR880000369B1 true KR880000369B1 (ko) 1988-03-20

Family

ID=2647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384A KR880000369B1 (ko) 1985-09-05 1986-09-04 슬라이드 파스너 상지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711020A (ko)
EP (1) EP0215359B1 (ko)
KR (1) KR880000369B1 (ko)
AU (1) AU563104B2 (ko)
BR (1) BR8604349A (ko)
CA (1) CA1260238A (ko)
DE (1) DE3665008D1 (ko)
ES (1) ES2001652A6 (ko)
HK (1) HK30292A (ko)
MY (1) MY100537A (ko)
SG (1) SG27092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2402C1 (de) * 1987-04-11 1988-09-29 Opti Patent Forschung Fab Vorrichtung zum Aufsetzen von metallischen Anfangsteilen auf eine fortlaufende Reissverschlusskette
KR100721136B1 (ko) * 2006-06-07 2007-05-23 김영수 슬라이드 파스너의 스토퍼 설치장치
CN103689880B (zh) * 2013-12-30 2016-05-11 常熟市给力拉链设备有限公司 一种拉链上止进料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3388A (en) * 1945-06-18 1950-09-26 Lamar Slide Fastener Corp Top stop attaching machine
US2670778A (en) * 1948-03-06 1954-03-02 Levine Harry Hopper mechanism for slide fastener end stops
US3078558A (en) * 1960-06-08 1963-02-26 Waldes Kohinoor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ide fasteners
JPS4842582B1 (ko) * 1969-12-02 1973-12-13
US3663000A (en) * 1970-02-18 1972-05-16 Morris Perlma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sliders to a slide fastener chain
US4137621A (en) * 1977-08-25 1979-02-06 Textron, Inc. Apparatus and method of applying staple-like bottom stops to slide fasteners and the like
JPS54131442A (en) * 1978-03-31 1979-10-12 Yoshida Kogyo Kk Method and device for attaching upper clasp of slide fastener
JPS5521976A (en) * 1978-08-04 1980-02-16 Yoshida Kogyo Kk Front portion stop mounting device of slide fastener
JPS5550306A (en) * 1978-10-05 1980-04-12 Yoshida Kogyo Kk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stopper for slide fastener
JPS58159703A (ja) * 1982-03-17 1983-09-22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ダ−付き間欠連続フアスナ−チエ−ンに対する上止金具の自動取付方法およ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91A (ko) 1987-04-13
SG27092G (en) 1992-05-15
US4711020A (en) 1987-12-08
AU6206386A (en) 1987-04-09
EP0215359A1 (en) 1987-03-25
MY100537A (en) 1990-11-15
BR8604349A (pt) 1987-05-12
ES2001652A6 (es) 1988-06-01
DE3665008D1 (en) 1989-09-21
CA1260238A (en) 1989-09-26
EP0215359B1 (en) 1989-08-16
AU563104B2 (en) 1987-06-25
HK30292A (en) 1992-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4951A (en) Bottom loader for a conveyor means
EP0623535B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solid masses
US4603770A (en) Rake conveyor apparatus
GB2207413A (en) Electronic parts conveying device
KR890001116B1 (ko) 1쌍의 의류 파스너 요소들 조립 장치
KR880000369B1 (ko) 슬라이드 파스너 상지구 공급장치
US4610346A (en) Devices for separating contiguous articles
SE504366C2 (sv) Sätt och maskin för att åstadkomma en fjädermadrassbana
US4407406A (en) Walking beam mechanism
US4050610A (en) Coil spring feeding apparatus
US4202440A (en) Apparatus for accumulating materials on a shuttle conveyor
US3512629A (en) Accumulating transfer conveyor
US4030614A (en) Reciprocal transfer apparatus
US3527338A (en) Accumulating transfer conveyor
US3031185A (en) Folding of cellulosic products
JPH0583449B2 (ko)
US4327826A (en) Reciprocating pusher conveyor
KR960006917B1 (ko) 견인 탭 고정 장치
JPS6010969B2 (ja) 間歇送り用スラツトコンベヤ
US3499524A (en) Accumulating transfer conveyor
JP4148708B2 (ja) 包装機の製品供給装置
SE8303575D0 (sv) Indrivningsapparat for festeelement
KR880000595Y1 (ko) 연속 슬라이드 파스너에의 한쌍의 상지구 부착장치
KR790001881B1 (ko) 셔터스래트의 자동연결 및 해탈 방지장치
CN213833468U (zh) 一种夹子扭簧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1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