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309Y1 - 전자시계를 이용한 타이머 - Google Patents

전자시계를 이용한 타이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309Y1
KR880000309Y1 KR2019850001551U KR850001551U KR880000309Y1 KR 880000309 Y1 KR880000309 Y1 KR 880000309Y1 KR 2019850001551 U KR2019850001551 U KR 2019850001551U KR 850001551 U KR850001551 U KR 850001551U KR 880000309 Y1 KR880000309 Y1 KR 880000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imer
triac
ca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1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1004U (ko
Inventor
김동열
Original Assignee
김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열 filed Critical 김동열
Priority to KR2019850001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309Y1/ko
Publication of KR8600110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10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3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3/00Clocks with attached or built-in means operating any device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intervals
    • G04C23/02Constructional details
    • G04C23/12Electric circuit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시계를 이용한 타이머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 스위치(LS)의 장전, 접속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스위치(LS)의 복구, 단락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케이스의 구조 및 실시예를 나타낸 외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S : 스위치 S3,S4,S5,S5' : 접점
L1,L2: 전원선 CO1: 솔래노이드코일
C1,C2: OFF,ON 콘센트 AC : 교류전원
NL : 지시램프 F : 퓨우즈
TRI : 트라이액 A1,A2: 트라이액의 에노드
G : 트라이액의 게이트 S6: 리이드 스위치
CO2: 리이드 스위치 코일 R1,R2: 저항
MB : 멀티바이브 레이터회로 J1,J2: 잭
W : 시계부 S1: 알람스위치
S2: 알람셋트스위치 B : 밧데리
CA1, CA2: 케이스 PT1, PT2: 고정용편
1 : 래바 1' : 걸림턱
1″:돌출부 2 : 걸림편
2' : 돌기 3 : 단락간
4 : 솔래노이드 4' : 철심
5 : 멈춤래바 1, 2″,4″,5' : 스프링
본 고안은 전자시계의 알람(ALARM)장치를 이용하여 전원 개, 폐 회로를 구성한 전자시계를 이용한 타이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타이머가 여러종류 나온바가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단가가 높으며, 무엇보다도 타이머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이 부족하여 대중화되지 못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전자시계에 타이머 기능을 부가함으로서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였는바, 이는 기성시계를 그대로 이용한 것임으로 인식을 높일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며, 제작단가가 낮은 한편, 생산이 용이한 것이다.
또한, 종래의 타이머는 한개의 케이스에 일체 구성된 것으로 이를 사용할 시 타이머에 연결된 굵은 입, 출력선이 전기기구와 함께 얽혀 복잡해짐으로 정위치에 두고 사용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사용하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한 여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없었던 단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이를 개선하고자 시계와 타이머를 각각으로 하여 가는 일선으로 연결 결합시킨 것인바, 시계는 안정한 곳에 위치시키고 소형으로 만든 타이머를 외부 콘센트 곁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임으로 종래의 단점이 해소되는 것이다. 또 이렇게 분리함으로 해서 시계의 외형을 자유로이 디자인할 수 있으며 벽걸이용 시계의 타이머로도 될 수 있다.
이와같은 장점을 지닌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선(L1),(L2)에 스위치(LS)를 설치함에 있어서 절환접점(S5),(S5')에 콘센트(C)과 콘센트(C2)를 접속하여 전원선(L2)에 접속하고, 절환접점(S5),(S5')의 중간접점을 전원선(L1)에 접속하고, 접점(S4)를 전원선(L1)과 트라이액의 에노드(A1)에 접속하고, 리이드스위치(S6)을 저항(R1)을 통하여 트라이액의 게이트(G)와 전원선(L2)에 접속하고 솔래노이드코일(CO1)을 트라이액의 에노드(A2)와 전원선(L2)에 접속하고, 저항(R2)을 트라이액의 게이트(G)와 에노드(A1)에 접속하고, 리이드스위치코일(CO2)을 멀티바이브레이터회로(MB)의 출력측에 접속하고, 멀티바이브레이터회로(MB)의 입력측을 접점(S3)에 접속한 다음, 시계부(W)에 연결 결합될 수 있도록 선을 인출하여 잭(J1)에 접속하는 한편, 이렇게 구성된 타이머를 구비된 케이스(CA1)에 형성시켰고, 이에 결합되는 시계부(W)에는 밧데리(B)와 알람셋트 스위치(S2)와 알람(ALARM)과 알람스위치(S1)가 연이어 접속된 공지의 회로로서, 타이머에 알람스위치(S1)를 통한 밧데리(B) 전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밧데리(B)와 알람스위치(S1)의 단자로부터 잭(J2)을 접속시켜 구비된 케이스(CA2)에 설치하였다.
그리고, 스위치(LS)의 구조는 제2도와 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걸림턱(1')과 돌출부(1″)가 형성된 래바(1)를 상하 이동토록 유동 고정함에 있어서 하부에 스프링 (1)을 탄지시키고, 스프링(2″)에 탄지한 걸림편(2)을 래바상의 걸림턱(1')과 나란이 상접시켜 고정하여 걸림편상의 돌기(2')에 래바의 걸림턱(1')이 장전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래바(1) 면에 근접되게 접점(S3), (S4), (S5), (S5')들을 위치시켜 래바상의 돌출부(1″)와 접촉할 수 있도록 고정하였다. 또 래바(1)의 후면 일측으로는 단락간(3)을 죽설하여 선단은 걸림편(2)상에 위치시키고, 후단에는 스프링(4″)을 감착한 솔래노이드(4)의 철심(4')과 연결했으며, 그 상부에는 멈춤래바(5)을 스프링(5')과 함께 안치시켜서 된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는(CA1)과 (CA2)로 나누어 된 것으로서, 연결 결합할 수 있도록 잭(J1), (J2)을 각각 설치하는 한편, 타이머의 케이스(CA1)에는 벽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고정용편(PT1),(PT2)를 구조하여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NL″은 전원의 인입사항을 알려주는 지시램프, “TRI″는 트라이액, “AC″는 교류전원, “F″는 퓨우즈.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계의 알람(ALARM)조정축을 회전시켜 원하는 시각에 맞춰놓고, 스위치(LS)의 래바(1)을 누르면 래바(1)가 이동됨에 따라 하부에 스프링(1)을 압축한 채로 래바의 걸림턱(1')은 탄력으로 들어온 걸림편(2) 상의 돌기(2')에 합접하여 장전되며, 이때 래바상의 돌출부(1″)가 근접하여 위치한 접점들을 압압하여 접속시킴으로 접속된 접점(S4)을 통하여 인입된 전원은 지시램프 “NL″를 켜고, 트라이액의 에노드(A1)와 리이드스위치(S6)에 걸리며, 절환접점(S5), (S5')의 절환접속으로 ″OFF″콘센트(C1)에 전원이 공급되는 한편, 접점(S3)도 접속된다.
이와같이 조작해 놓은 이후 일정시간이 지나 셋팅된 시각에 이르게 되면 시계의 작동으로 알람스위치(S1)가 접속되어 알람(ALARM)이 작동하는 한편, 접속된 알람스위치(S1)와 멀티바이브레이터회로(MB)와 접점(S3)을 연이은 리이드 스위치코일(CO2)에도 밧데리(B) 전압이 공급되어 리이드스위치(S6)가 접속된다.
이때 리이드스위치코일(CO2)에는 멀티바이브레이터회로(MB)에 의해 단속된 전압이 공급되며, 공급된 전압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이 리이드스위치를 접속시키는 것으로, 이렇게 리이드스위치(S6)가 접속됨에 따라 저항(R1), (R2)에 의해 분압된 게이트트리가 전압이 트라이액의 게이트(G)에 공급됨으로 트라이액이 트리가 되고, 트라이액이 트리가 됨에 따라 트라이액의 에노드(A2)에 접속된 솔래노이드코일(CO1)에 전압이 공급되어 솔래노이드 철심(4')이 흡인되며, 솔래노이드 철심이 흡인됨에 따라 이에 연결된 단락간(3)이 하강됨으로 그 선단이 래바상의 걸림턱(1')에 합접된 걸림편상의 돌기(2')를 후퇴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프링(1)에 장전되었던 래바(1)가 복구되어 원위치 됨으로 접점(S3)과 접점(S4)가 개방되고, 절환접점(S5),(S5')는 절환접속되어 콘센트(C2)와 콘센트(C1)에 전원이 공급되고 차단됨으로 타이머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멈춤래바(5)에 대해 설명하자면 작동시켜 놓은 타이머를 임의로 중지시키고저 할때, 멈춤래바(5)를 압압시키면 이내 단락간(3)이 하강됨으로 장전되었던 래바(1)가 복구되는 것이다.
한편 타이머와 알람(ALARM)이 함께 작동할 수 있도록 트라이액의 게이트(G)에 리이드스위치(S6)를 구성하여 알람스위치(S1)와 연결하였다. 이때 리이드스위치코일(CO2)에 공급되는 전압을 멀티바이브레이터회로(MB)에 의해 단속 되도록 하고 래바 (1)가 복구됨과 동시에 접점(S3)과 접점(S4)가 단락되도록 구성됨은 밧데리(B)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도중 단전이 된다거나 부주의로 래바(1)가 압압될 경우가 있음으로 이에 유의한 것이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셋팅된 시각에 이르러도 타이머에 동작전원이 없으므로 래바(1)가 복구되지 못하며 셋팅된 시각에 도달하여서는 밧데리만 소모되기 때문이다. (전자시계의 알람스위치 접속상태는 약 20분간 지속되며 12시간마다 반복된다)
따라서 타이머의 전원 플럭을 전원에 항상 연결시켜 놓은 채 사용하면 문제가 없으며, 단전시나 부주의한 경우에라도 멀티바이브레이터회로(MB)에 의한 단속된 전압이 공급됨으로 소모되는 밧데리 전압은 극히 적은 것이다.
그리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케이스를 (CA1)과 (CA2)로 나누어 시계부(W)와 타이머를 각각으로 구조하였는바, 이에 타이머가 소형으로 되고 단순화 됨으로서 방안 콘센트 곁에 부착하여 두고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사용방법을 설명하자면 타이머에 전원선과 회로연결선을 콘센트와 시계부 잭(J2)에 각각 연결시킨후, 스위치(LS)를 셋팅시키면 타이머장치가 작동되며, 알람을 사용할 때는 알람셋트스위치(S2)를 셋팅시키고, 이를 동시에 사용할 때는 스위치 (LS)와 알람셋트스위치(S2)를 함께 셋팅시켜 놓으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순간작동에 의해 목적이 달성되는바, 작동시키거나 작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는데 있어서 전압공급이 계속되지 않아도 됨으로 밧데리나 전력이 소모되지 않으며, 고장이 없고, 수명이 반영구적인 한편, 종래의 전기식 타이머는 단전시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셋팅된 시각에만 단전이 안되면 예정되로 작동되며, 밧데리에 의한 알람기능이 항상 유지됨으로 단전에 대한 대비책을 세울수도 있는 것이다. 또 회로 그대로 110V와 220V이 전원을 양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원선(L1), (L2)에 스위치(LS)를 설치함에 있어서, 절환접점(S5), (S5')에 콘센트(C1)(C2)를 접속시키고 트라이액의 교류스위치 회로를 구성하여 접점(S4)을 통한 전원선에 연결한 다음 트라이액의 에노드(A2)에는 솔래노이드코일(CO1)을, 게이트(G)에는 리이드스위치(S6)를 접속시켜 그 리이드스위치코일 (CO2)을 멀티바이브레이터회로(MB)와 접점(S3)을 통한 시계부(W)의 알람장치에 연결 접속하여 둘로 나눈 케이스(CA1), (CA2)에 형성시켜 된 전자시계를 이용한 타이머.
  2.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LS)는 걸림턱(1')과 돌출부(1″)가 형성된 래바(1)를 탄설하여 걸림턱(1')에는 탄지된 걸림편(2)을 상접시키고 돌출부에는 접점(S3), (S4), (S5), (S5')들을 위치시키며, 이를 단락간(3)으로 솔래노이드(4)와 멈춤래바(5)에 연결하여서 래바(1)가 장전되고 복구 구동되며, 이에따라 접점들이 작동되도록 된 부분.
  3.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는 (CA1)과 (CA2)로 나누어 되고 각각 잭(J1), (J2)이 설치되며 케이스(CA1)에 고정용편(CA1),(CA2)을 구조하여 된 부분.
KR2019850001551U 1985-02-15 1985-02-15 전자시계를 이용한 타이머 KR880000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551U KR880000309Y1 (ko) 1985-02-15 1985-02-15 전자시계를 이용한 타이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551U KR880000309Y1 (ko) 1985-02-15 1985-02-15 전자시계를 이용한 타이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004U KR860011004U (ko) 1986-09-10
KR880000309Y1 true KR880000309Y1 (ko) 1988-03-10

Family

ID=1924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1551U KR880000309Y1 (ko) 1985-02-15 1985-02-15 전자시계를 이용한 타이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3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004U (ko) 1986-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1603A (en) Safety devices
US8300368B2 (en) Circuit interrupting device with end-of life testing, reverse wiring and high voltage surge capability
EP1856773B1 (en) Power socket device with enabling switch
US20070132530A1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and end-of-life protection
CA1048597A (en) Safety circuit and socket construction
US2193740A (en) Illuminated wall switch plate
CN104283039A (zh) 防触电安全用电插座
US3983407A (en) Voltage-adjusting electrical plug
KR880000309Y1 (ko) 전자시계를 이용한 타이머
US3902080A (en) Switching device
KR880000310Y1 (ko) 전자시계를 이용한 타이머
CN2168348Y (zh) 自动拔电源插头
CN209266747U (zh) 一种安全电源插座
CN210723431U (zh) 一种防触电插座
CN204243285U (zh) 安全用电插座
US3383494A (en) Electric powered lighter
JPS6212868A (ja) 電力量計の無停電取替え装置
US4888678A (en) Electric socket adapter
US1863824A (en) Fused attachment plug fitting
CN211456139U (zh) 一种提高使用安全性能的智能插座
US3126459A (en) leeson
CN2209394Y (zh) 漏电自动保护化接头
CN220103051U (zh) 一种led灯
CN219143320U (zh) 一种控制器休眠模式触发设备
KR960007459Y1 (ko) 이상전류차단 기능을 갖는 전기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