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080B1 - On hook dial device - Google Patents

On hook di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080B1
KR880000080B1 KR1019850007008A KR850007008A KR880000080B1 KR 880000080 B1 KR880000080 B1 KR 880000080B1 KR 1019850007008 A KR1019850007008 A KR 1019850007008A KR 850007008 A KR850007008 A KR 850007008A KR 880000080 B1 KR880000080 B1 KR 880000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cr
switch
dial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0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70003634A (en
Inventor
신현정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이재연 · 하인츠 디러 케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이재연 · 하인츠 디러 케루트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50007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080B1/en
Publication of KR87000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6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0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Abstract

In the invention, a time constant circuit includes a bridge diode BD, a hook switch HS1, an on-hook relay OHR, a resister R1, an on-hook switch OHK1, silicon control regulators SCR1 and SCR2, capacitos C1, C2 and resisters R2, R3. Between the anode and the gate of SCR2 there are contact points (1) and (2) of the on-hook relay OHR, resisters R4, R5 and an on-hook switch OHR2 in connection. Capacitors C3, C4 and a resister R6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gate and the cathode of the SCR2. The system provides a dialing without an on-hook switching after a use.

Description

논 로킹온 후크 다이얼 장치Non Locking On Hook Dial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이다.A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본 발명에 따른 논 로킹 (non - locking ) 온 후크 다이얼 회로부100 non-locking on hook dial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0 : 스피커부 300 : 다이얼 회로부200: speaker portion 300: dial circuit portion

400 : 전화부 회로부 BD : 브리지 다이오드400: telephone circuit section BD: bridge diode

HS1: 후크 스위치 OHK1: 온 후크 스위치HS 1 : Hook Switch OHK 1 : On Hook Switch

OHR ; 온 후크 릴레이 SCR2, SCR2: 실리콘 제어 정류기OHR; On Hook Relay SCR 2 , SCR 2 :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R1∼R6: 저항 C1∼C5: 충방전용 콘덴서R 1 to R 6 : resistance C 1 to C 5 : charge and discharge capacitor

본 발명은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지 않고 온후크 스위치만 누르면 스피커를 통해서 흘러나오는 다이얼 신호를 들으면서 다이얼 할 수 있는 온 후크 다이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논 로킹 버튼을 이용해서 온 후크 다이얼 할 수 있는 논 로킹 온 후크 다이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hook dial device that can dial while listening to a dial signal flowing through a speaker by pressing an on-hook switch without lifting a handset of a telephone. A locking on hook dial device.

종래의 전화기의 온 후크 다이얼 장치를 살펴보면 본건 출원인의 종래의 고안 (실용 신안공보 80-1941호)에서는 하나의 로킹 온 후크 스냅 스위치가 있어서 한번 누르면 버튼이 로킹되어 송수화기를 놓은 채 다이얼링 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후크 스위치에 후립후롭 회로와 릴레이 및 트랜지스터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통화후 송수화기를 놓으면 별도의 외부 스위치 조작없이 로킹되어 있던 버튼이 복귀되어 자동으로 통화회로가 개로되도록 되어 있었다.Looking at the on-hook dial device of a conventional telephone, the applicant's conventional desig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80-1941) has one locking on hook snap switch so that a button can be locked and dialed while the handset is released. Since the hook switch is equipped with a rear flop circuit, a relay, and a transistor, when the handset is released after a call, the locked button is returned without an external switch operation and the call circuit is automatically opened.

그러나 이 장치는 버튼을 복귀시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후립후롭이 별도의 보조전원 공급 장치를 필요로하고 있어서 가격이 고가이고, 국선전원과 다이얼 회로부 사이에 이 장치가 직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전화기에 부착시켜서 사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반드시 내장되어야 되는 결점이 있었다.However, this device is expensive because the rear flop, which plays a major role in returning the button, requires a separate auxiliary power supply, which is expensive, and since the device is configured in series between the trunk line power supply and the dial circuit part, Not only can not be attached, but also must be built-in defects.

그리고 본건 출원인의 또 다른 고안 (실용신안공보 85-820 )의 예를 보면, 이 고안에 의한 온 후크 다이얼장치는 상기의 고안과는 달리 기존 전화기에 부착시켜 온 후크 다이얼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고, 별도의 보조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었지만, 셋기능과 리셋기능을 가진 로킹 스위치를 사용 하여야 될뿐만 아니라, 아웃 펄스 송출방식과 복합 주파수 발생방식의 다이얼 기능을 겸용하여 가지고 있는 톤 펄스 방식에 사용하려고 하면 각각의 방식에 따른 두개의 온후크 다이얼 장치가 설치되어야 하고, 온후크 다이얼 장치를 동작시키는 로킹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송수화기만을 들었을때는 통화회로가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이얼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nd another example of the applicant's design (Utility Model Publication 85-820), the on-hook dial device according to this design, unlike the above design, it was possible to perform the hook dial function attached to the existing telephone Although it does not have to use a separate auxiliary power supply, it is necessary to use a rocking switch with a set function and a reset function. If you try to use it, two on-hook dial devices should be installed according to each method, and when you only pick up the handset without using the locking switch to operate the on-hook dial device, you cannot dial because the call circuit is not connected. there wa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개의 논 로킹 버튼을 장치하여 송수화기를 들지 않고 원터치 형식으로 온 후크 다이얼 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온 후크 다이얼 기능을 가진 전화기와는 달라서 별도의 버튼 조작없이도 통상의 전화기 처럼 송수화기를 들고 다이얼 하 수 있으며 통화가 끝난 후에 송수화기를 내려 놓으면 별도의 스위치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통화회로가 개방되도록 하였고 또한 아웃 펄스 송출방식과 복합주파수 발생방식의 겸용인 다이얼 회로에 사용할 경우에도 별도의 회로를 설치하지 않고 공히 하나의 톤 펄스 방식이 적용되도록 하여 온 후크 다이얼 회로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논 로킹 버튼이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보기가 좋고 사용상 매우 편리한 새로운 방식의 원터치 식 논 로킹 온 후크 다이얼 장치를 제공한는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gle non-locking butt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shortcomings, which can be on-hook dialed in one-touch format without lifting the handset, and also separate button operation unlike a conventional phone having a on-hook dialing function. You can pick up the handset and dial it like a normal telephone without it. If you put down the handset after the call, the call circuit will be opened automatically without any switch operation. It can also be used for the out-pulse and multi-frequency dialing circuits. In this case, one tone pulse method is applied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circuit. On-hook dial circuit configuration is simple, but there is only one non-locking button. Dial device We can offer you.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논로킹 온후크 다이얼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non-locking on-hook di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논로킹 온후크 다이얼 장치가 사용되는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논로킹 온후크 다이얼 회로부 (100)와 스피커부(200), 다이얼 회로부 (300) 및 전화기 회로부 (400)로 되어 있는바,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인 논로킹 온후크 다이얼 회로부(10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telephone using a non-locking on-hook di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non-locking on-hook dial circuit part 100, the speaker part 200, the dial circuit part 300, and the telephone circuit par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structure of the non-locking on-hook dial circuit unit 100, which is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국선 (L1, L2)으로 부터 인가되는 국선전원을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 (BD) 의 출력단자 (C)에는 저항(R1)(HS1) 및 온후크 릴레이 (OHR)의 두접점(③, ④)이 연결되어 있고, 저항(R1)의 다른 한 단자는 온후크 스위치 (OHK1)와 연결되어 있다.The output terminal C of the bridge diode BD that rectifies the trunk line power applied from the trunk lines L 1 and L 2 has two contacts (③) of the resistor R 1 (HS 1 ) and the on-hook relay (OHR). , ④) is connected,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resistor (R 1 ) is connected to the on-hook switch (OHK 1 ).

그리고 이 온후크 스위치 (OHK1)와 실리콘 제어 정류기 (SCR1) 및 실리콘 제어정류기 (SCR2)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시리콘 제어 정류기 (SCR1)의 애노드 단자와 게이트 단자 사이에는 콘덴서 (C1)(C2)와 저항 (R2)(R3) 직렬 및 병렬로 상호 연결되어 시정수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The on-hook switch (OHK 1 ), the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1 ) and the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2 ) are connected in series, and a capacitor is connected between the anode terminal and the gate terminal of the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1 ). (C 1 ) (C 2 ) and resistor (R 2 ) (R 3 ) are inter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to form a time constant circuit.

한편 실리콘 제어정류기 (SCR1)의 애노드 단자와 게이트 단자 간에는 온후크 릴레이 (OHR) 와 저항 (R4) 및 저항 (R5) (단, R4》R5임), 그리고 후크 스위치 (HS2)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실리콘 제어정류기 (SCR2)의 게이트 단자와 캐소드 단자 사이에는 콘덴서 (C3)(C4)와 저항 (R6)이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이다.The on-hook relay (OHR), resistor (R 4 ) and resistor (R 5 ) (where R 4 》 R 5 ) and the hook switch (HS 2 ) between the anode and gate terminals of the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1 ) ) Is connected and a capacitor (C 3 ) (C 4 ) and a resistor (R 6 )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gate terminal and the cathode terminal of the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2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회로구성에 있어서 주의해서 보아야 할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가 사용된 실제의 전화기에는 단 한개의 논로킹 온후크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 논로킹 온후크 스위치가 회로 도면상에는 후크스위치 (HS1) (HS2)와 온후크 스위치 (OHK1)(OHK2)로 표시되어 있다는 점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nly one non-locking on-hook switch is used in the actual telephone in which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is is indicated by the hook switch (HS 1 ) (HS 2 ) and on-hook switch (OHK 1 ) (OHK 2 ).

이것은 한개의 논로킹 온후크 스위치의 접점인 연결부가 요철 형태로 되어 있어서, 이 스위치의 작동시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서로 다른 두개의 기능이 수행 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connection part of one non-locking on-hook switch has a concave-convex shape, so that two different function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when the switch is operated.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논로킹 온후크 다이얼 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non-locking on-hook di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사용자가 다이얼 하기 위하여 논로킹 온후크 스위치를 누르면, 온후크 스위치 (OHK1) (OHK2)는 닫혀지고 브리지다이오드 (BD)의 출력단자 (C)를 통해서 인가된 전류가 저항 (R1) 과 온후크 스위치 (OHK1)를 거친 후에 그 일부는 실리콘 제어정류기 (SCR1)의 애노드단자에, 그리고 그 다른 일부는 콘덴서 (C1)(C2) 및 저항 (R2)(R3)로 흘러들어 간다.When the user presses the non-locking on-hook switch to dial, the on-hook switch (OHK 1 ) (OHK 2 ) is closed and the current appli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C) of the bridge diode (BD) is connected to the resistor (R 1 ). After going through the on-hook switch (OHK 1 ), part of it is connect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1 ), and the other part to the capacitor (C 1 ) (C 2 ) and the resistor (R 2 ) (R 3 ). Flows in

이렇게 하여 콘덴서 (C1)(C2)에 충전전압이 차츰 증가되어 실리콘 제어정류기 (SCR1)의 애노드 단자와 게이트 단자 사이에 전압 이상이 형성되어 실리콘 제어정류기 (SCR1)가 통전되게 되며 실리콘 제어 정류기(SCR1)의 캐소드 단자를 통해 나온 전류는 온후크 릴레이 (OHR)에 흘러들어가 접점 (①, ②) 을 동작시키고, 이렇게 하여 온후크 릴레이 (OHR)를 통과한 전류의 일부는 스피커부 (200)로 들어가고 그 다른 일부는 저항 (R4) 및 콘덴서 (C3) 와 저항 (R5)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때 실리콘 제어 정류기 (SCR1)는 통전되는데 실리콘 제어정류기 (SCR2)가 통전되지 않는 이유는 저항 (R4)이 저항 (R5)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거의 모든 전압이 저항 (R4)에 걸려 실리콘 제어정류기 (SCR2)의 시정수 회로에는 전압 이상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턴오프 상태 즉 통전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capacitor (C 1) (C 2) is more than the voltage between the anode terminal and the gate terminal of the charging voltage is gradually increased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1) is formed to be presented is a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1) energizing silicon Current from the cathode terminal of the control rectifier (SCR 1 ) flows into the on-hook relay (OHR) to operate the contacts (①, ②), so that part of the current passing through the on-hook relay (OHR) is part of the speaker section. It enters (200) and the other part flows into resistor (R 4 ) and capacitor (C 3 ) and resistor (R 5 ). At this time, the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1 ) is energized. The reason why the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2 ) is not energized is that almost all voltages are applied to the resistor (R 4 ) because the resistor (R 4 ) is much larger than the resistor (R 5 ). Since the voltage constant does not occur in the time constant circuit of the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2 , the state is turned off, that is, in a non-energized state.

이와같이 온후크 릴레이 (OHR)가 동작하면 스피커부 (200)의 스피커를 통해서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 있는 상태, 즉 온후크 다이얼 할수 있는 상태임을 알수 있게 되어 다이얼을 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on-hook relay (OHR)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call the other party through the speaker of the speaker unit 200, that is, the on-hook dialing state can be dialed.

이때 만일 상대방이 다른 사람과 통화 중일때에는 송수화기를 그대로 전화기에 놓으면 전류지연 상태에 있는 온후크 릴레이 (OHR)의 접점 (③, ④)이 동작하여 주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동시에 자동적으로 통화회로가 개방되게 되며, 또한 송수화기를 내려 놓지 않고 논로킹 온후크 스위치를 다시한번 누르면 온후크 스위치 (OHR2)를 통해 전류가 일시적으로 시정수 회로의 콘덴서 (C1)(C2)와 저항 (R2)(R3)에 흘러 들어가 시간지연 상태로 만들어 주면 실리콘 제어정류기 (SCR1)는 턴 오프상태가 되어 자동적으로 통화회로가 개방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f the other party is talking to the other person, if you put the handset on the telephone, the contacts (③, ④) of the on-hook relay (OHR) in the current delay state will be activated, the main power supply will be cut off and the call circuit will be opened automatically. Also, if you press the non-locking on-hook switch once again without lowering the handset, the current will temporarily flow through the on-hook switch (OHR 2 ) and the capacitor (C 1 ) (C 2 ) and the resistor (R 2 ) of the time constant circuit. If it flows into (R 3 ) and makes time delay, the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1 ) is turned off and the call circuit is automatically opened.

이때 정상상태에서 전류를 충전해두고 있던 콘덴서 (C3)는 충전전류를 방출 하기 때문에 실리콘 제어정류기 (SCR2)의 애노드 단자와 게이트단자 사이에 전압 이상이 형성되어 통전상태, 즉 턴온상태가 되어 실리콘 제어정류기(SCR2)의 캐소드단자를 통해 나간 전류는 바로 브리지다이오드 (BD)의 (d)로 흘러가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capacitor (C 3 ), which has been charging the current in the normal state, discharges the charging current, a voltage abnormality is formed between the anode terminal and the gate terminal of the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2 ) and becomes energized, that is, turned on. The current exiting through the cathode terminal of the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2 ) flows directly to the bridge diode (d) to form a loop.

한편 콘덴서 (C3)와 후크스위치 (HS2)저항 (R5)(R6)그리고 콘덴서 (C4)사이에도 루프가 형성되어 주전원이 전회기 회로 (400)이 공급 되지 않기 때문에 통화회로가 차단되어 다이얼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loop is formed between the capacitor (C 3 ), the hook switch (HS 2 ), the resistor (R 5 ) (R 6 ), and the capacitor (C 4 ), so that the main circuit is not supplied with the circuit of the previous circuit (400). It is blocked and you cannot dial.

그리고 논로킹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전화기 사용시와 같이 바로 송수화기를 들고 다이얼 할 경우에는 회로의 상단부에 후크스위치 (HS1)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온후크 릴레이 (OHR)의 두접점 (③, ④)이 전류 지연상태에 있지 않으므로 자동적 으로 온후크 다이얼 상태가 되어 전화를 걸 수 있는 것이다.And if you do not use the non-locking button and pick up the handset as if you are using a normal phone, dial the contact point of the on-hook relay (OHR) that is integrated with the hook switch (HS 1 ) at the top of the circuit (③, ④) is not in the current delay state, so it automatically goes into the on-hook dialing state to make a call.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에 의하여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의한 논로킹 온후크 다이얼 장치는 종래의 온 후크 다이얼 장치가 로킹 온후크 다이얼 방식이었기 때문에 셋과 리셋 단자가 따로 있어야 하고 아웃 펄스방식과 복합 주파수 발생방식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에 있어서는 그에 적합한 별도의 장치를 각각 설치해야 한다는 여러가지 결점들을 해결한 것으로써 단지 하나의 논로킹 온후크 스위치만을 사용하는 원터치 방식이기 때문에 온후크 스위치를 한번만 누르면 온후크 다이얼을 할 수 있으며 통화기 끝난 후에는 송수화기를 그대로 놓아도 통화회로가 개방되며, 온후크 스위치 조작없이 그대로 송수화기를 들어도 온후크 다이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가 있을 뿐아니라 간단한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아웃 펄스 방식과 복합주파수 발생 방식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톤 펄스 방식의 전화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non-locking on-hook di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t and reset terminal separately because the conventional on-hook dial device is a locking on-hook dial method, and has an out pulse method and a complex frequency. In case of a telephone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generation method, it solves various drawbacks of installing a separate device suitable for each, and it is a one-touch method using only one non-locking on-hook switch. The hook dial can be dialed and the circuit can be opened even if the handset is left unchanged, and the hook function can be performed even when the handset is lifted without the on-hook switch. Pulse In the expression multi-frequency tone generation that can be used to combine the methods of phone pulse it will be very useful inventions which can be directly applied.

Claims (1)

온후크 스위치를 사용하여 송수화기를 들지 않고서도 다이얼 할 수 있는 전화기의 온후크 다이얼 장치에 있어서, 국선전원 (L1, L2)이 브리지 다이오드 (BD) 의 단자 (a) (b)에 연결되어 있고, 브리지 다이오드 (BD)의 출력단자 (C)에는 후크스위치 (HS1)와 온후크 릴레이 (OHR)의 두접점 (③, ④)및 저항 (R1)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저항 (R1)에는 온후크 스위치 (OHK1)및 실리콘 제어정류기 (SCR1)(SCR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실리콘 제어정류기 (SCR1)의 애노드 단자와 게이트 단자 사이에는 콘덴서 (C1)(C2)및 저항 (R2)(R3)이 직, 병렬로 연결되어 시정수 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실리콘 제어정류기 (SCR1)의 애노드 단자와 게이트 단자 사이에는 온후크 릴레이 (OHR)의 두 접점 (①, ②)과 저항 (R4)(R5)및 온후크 스위치(OHK2)가 연결되어 있고, 실리콘 제어 정류기 (SCR2)의 게이트 단자와 캐소드 단자 사이에는 콘덴서(C3)(C4)및 저항 (R6)이 병렬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로킹 온 후크 다이얼 장치.In the on-hook dial apparatus of a telephone that can be dialed without lifting the handset by using the on-hook switch, the trunk line power supply (L 1 , L 2 ) is connected to the terminals (a) (b) of the bridge diode (BD). The output terminal (C) of the bridge diode (BD) is connected to the contacts (③, ④) and the resistor (R 1 ) of the hook switch (HS 1 ), the on-hook relay (OHR), and the resistance (R). 1 ) On-hook switch (OHK 1 ) and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1 ) (SCR 2 ) are connected in series, and capacitor (C 1 ) (C) is connected between anode and gate terminals of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1 ). 2 ) and resistor (R 2 ) (R 3 ) are connected in series and in parallel to form a time constant circuit, and between the anode terminal and the gate terminal of the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 1 ), there are two on-hook relays (OHR). Contact (①, ②), resistance (R 4 ) (R 5 ) and on hook switch (OHK 2 ) are connected, and silicon control A non-locking on hook di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capacitor (C 3 ) (C 4 ) and a resistor (R 6 )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a gate terminal and a cathode terminal of a rectifier (SCR 2 ).
KR1019850007008A 1985-09-24 1985-09-24 On hook dial device KR8800000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7008A KR880000080B1 (en) 1985-09-24 1985-09-24 On hook di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7008A KR880000080B1 (en) 1985-09-24 1985-09-24 On hook di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634A KR870003634A (en) 1987-04-18
KR880000080B1 true KR880000080B1 (en) 1988-02-22

Family

ID=1924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008A KR880000080B1 (en) 1985-09-24 1985-09-24 On hook di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08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634A (en) 198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95773B2 (en) Telephone line switch
KR880000080B1 (en) On hook dial device
JPH01276988A (en) Private branch exchange
US4674118A (en) Telephone line hold and hold release apparatus
US4010332A (en) Link circuit for intercom unit
JPH0233423Y2 (en)
KR0143371B1 (en) Subscriber matching circuit for exchanger
JP2523106Y2 (en) Telephone
KR860002227Y1 (en) Home keyphone
US5317634A (en) Telephone subset arrangement
AU600523B2 (en) Apparatus for simulating the dialling pulse switch in a two-loop telephone
CN2155112Y (en) Multifunction telephone converter
KR840001253B1 (en) Signal device of telephone
CN2378887Y (en) Arrangement for transferring received calls
RU2014743C1 (en) Ringing device
CN2200894Y (en) Multifunction monitor for telepone line
KR890002561Y1 (en) Telephone circuit
KR850002018Y1 (en) Cordless phone with interference prevention circuit
KR880003782Y1 (en) Automatic hold release circuit of telephone
CN2393278Y (en) Management device for telephone set
CN2277611Y (en) Telephone line stretcher
CN2249470Y (en) Domestic telephone switching device
JPS58159055A (en) Power supply system of subscriber's circuit
JPH0350936A (en) Response circuit for telephone set
JPS5792963A (en) Network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