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979Y1 - 화분 재치대 - Google Patents

화분 재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979Y1
KR870003979Y1 KR2019850005092U KR850005092U KR870003979Y1 KR 870003979 Y1 KR870003979 Y1 KR 870003979Y1 KR 2019850005092 U KR2019850005092 U KR 2019850005092U KR 850005092 U KR850005092 U KR 850005092U KR 870003979 Y1 KR870003979 Y1 KR 870003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flower pot
planter
spiral
disp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5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4067U (ko
Inventor
유태열
Original Assignee
유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열 filed Critical 유태열
Priority to KR2019850005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979Y1/ko
Publication of KR860014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40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9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분 재치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분리한 사용상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 단면한 요부 분리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종단면도.
제 4도는 본 고안의 지지판 부분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 2 : 기대
3 : 나선상내통 4 : 활개부
5,5' : 압착덮개 6 : 화분재치구
6' : 돌봉 7,'7,7˝: 화분재치판
8 : 고무패킹 9 : 화분
본 고안은 조립식 화분 재치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화분 재치대는 단일체로 형성된 것이 대부분이고 조립식으로 다양하게 재치대를 구성하는 것은 그렇게 흔치않은 실정이다. 다시 맡하면 지주를 중심으로 화분 재치판을 상. 하. 좌. 우로 그 위치를 다양하게 형성 하자면은 그 조립과정이 복잡하고 견고성이 결여되는 등 여러가지 난점이 발생되므로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조립식 화분 재치대의 종래와 그 대표적인 예를 부술하면 스프링이 내설된 심봉을 다단으로 결합하여 단일체의 긴 심봉을 형성한 뒤 스프링의 신축으로 심봉의 상단 및 하단을 내설의 바닥과 천정에 꼭 끼이게 세운다음 달팽이 모양의 받침대를 나사식으로 돌리면서 심봉에 결합시켜 왔으나, 이는 천정이 없는 외부에서는 실시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으며, 하부에 기대를 크게 형성하여 외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끔 한다 하여도 화분 받침대가 지주와 완전히 결함된 상태가 아니고 화분을 열어놓으므로서 그 무게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이는 화분의 정확한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또 받침대와 결합자체도 불안하며, 조그만 충격에도 떨어져 부서지는 등 제반결점을 많이 내포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심봉에 구멍을 뚫어 받침대에 형성된 긴지지돌봉을 끼워 구성하는 것이 있으나, 이 또한 견고하지 못하여 넛트 및 볼트에 의해 결합하는 것도 있으나, 이는 조립이 번거롭고 운반이 용이하지 않으며, 화분의 크기에 따라 즉시에 그 높이를 조절하기에는 미흡하였던 겄이다.
기타 몇가지 더 나은게 있으나 이는 화분 받침대를 지주에 결합하는 위치가 항상 일정하며,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하자면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지는 못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분해조립이 간단하여 운반이 용이할뿐 아니라 결고하고 화분의 크기에 따라 그 높이와 위치를 즉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주(1)의 상단부에는 저부에 돌봉(6')이 형성된 꼬깔모양의 화분 재치구(6)를 끼워붙이고 지주(1)의 중간부와 하단부에는 원통 측벽에 활개부(4)가 형성된 나선상내통(3)을 감삽하여 그 나선상내통(3) 위에 대소 다양한 화분 재치판(7)(7')(7')과 저면에 사방에 고무패킹(8)이 부착된 기대(7)를 삽설한 후 그 상·하 양면으로 부터 내면에 나선이 형성된 하광 상협의 압착덮개(5)(5')로 나착고정하여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9는 화분이다.
이와 조립방법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주(1)의 맨 하단의 화분 재치판(7) 부터 조립하여 점차 상단으로 형성하여 가는데 제2도에서와 같이 맨 먼저 하측 압착덮개(5')를 지주(1) 외측에 끼운다음 일측활개부(4)가 형성된 나선상내통(3)을 역시 지주(1) 외측으로 끼우면서 하측 압착덮개(5) 내에 나사식으로 끼우고 이어 화분 재치판 (7)을 나선상내통(3) 외측으로 끼운 다음 마지막으로 상측 앞착덮개(5)를 나선상내통 (3) 외측에 나사식으로 끼워서 상·하측 압착덮개(5)(5')를 양 손으로 동시에 돌러주며, 상측의 압착덮개(5)는 하협 상광으로 된 암나사로 되어 수나사로 된 나선내통(3)에 하향으로 내러오면서 활개부(4)의 격차가 차차 좁혀지고, 하측 압착덮개(5')는 상광 하협의 암나사로 되어 나선내통(3)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활개부(4)의 격차를 차차 좁혀가면서 오무려들게 되고, 이어 상·하측 압착덮개(5)(5')를 완전히 나착하면 나선상 내통(3)은 지주(1)의 외주벽에 꼭 끼이어 환착되고 동시에 상·하측 압착덮개(5)(5')는 화분 재치판(3)의 상하면도 완전 압착 고정 시키면서 전체는 지주(1)에 견고히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화분 재치판(7)(7')(7˝)을 지주(1)에 전체적으로 완전 조립한 후에라도 화분 재치판(7)(7')(7˝)의 높이나 방향 등을 조절해야 할때에는 상· 하측 압착덮개(5)(5')를 간단히 조금만 나해하면 즉시에 조작이 이루어지며, 상·하측 압착덮개(5)(5')에 의하여 화분 재치판(7)(7')(7˝)은 견고히 결합되므로 완만한 크기의 화분(9)이라도 그 무게를 이겨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대(2) 부착에 고무패킹(8)은 바닥을 보호할뿐 아니라 재질상 쉽게 미끄러지지 않아 바닥면과의 밀착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Claims (1)

  1. 지주(1)의 상단부에는 돌봉(6')이 형성된 화분 재치구(6)를 끼워 붙이고 중간부와 하단부에는 측벽에 활개부(4)가 형성된 나선상내통(3)을 관삽하여 나선상내통(3) 위에 화분 재치판(7)(7')(7″)과 기대(2)를 삽설한 후 상·하 양면으로 부터 내벽에 나선이 형성된 하광 상협의 압착덮개(5)(5')로 나착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재치대.
KR2019850005092U 1985-05-02 1985-05-02 화분 재치대 KR870003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5092U KR870003979Y1 (ko) 1985-05-02 1985-05-02 화분 재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5092U KR870003979Y1 (ko) 1985-05-02 1985-05-02 화분 재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067U KR860014067U (ko) 1986-12-08
KR870003979Y1 true KR870003979Y1 (ko) 1987-12-15

Family

ID=1924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5092U KR870003979Y1 (ko) 1985-05-02 1985-05-02 화분 재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97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366A (ko) * 2002-08-30 2004-03-09 배종진 꽃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067U (ko) 198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2388A (en) Bird feeder
USD312705S (en) Adjustable floor lamp
USD279175S (en) Water reservoir for potted plants
KR870003979Y1 (ko) 화분 재치대
USD478021S1 (en) Hanging Christmas tree
USD451839S1 (en) Christmas tree stand
USD359708S (en) Flower pot
USD321670S (en) Christmas tree stand
USD264423S (en) Collar supporting bracket for attachment to a pot for growing African Violets
USD385317S (en) Adjustable exercise step for aerobic exercise
USD442883S1 (en) Support stand for Christmas trees and other trees and plants
USD259870S (en) Support to hold potted plants above water level
USD303494S (en) Screw
USD368675S (en) Vase insert and artificial flower holder
US5911495A (en) Plant lamp fixture
KR830001454Y1 (ko) 전기스탠드
US11839321B2 (en) Fixing structure for flower combination
USD330939S (en) Feeding bottle
USD299172S (en) Oil lamp
USD433530S (en) Lamp with fluted stem of square cross section
JP3929521B2 (ja) 郵便受け
USD424716S (en) Candle and array
CN219199076U (zh) 可配合灯具使用的可角度调节装置
CA2348198A1 (en) Auger for combine header
JP2879439B1 (ja) 植木鉢の支柱台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