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970Y1 - 보안기용 플러그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보안기용 플러그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970Y1
KR870003970Y1 KR2019850000585U KR850000585U KR870003970Y1 KR 870003970 Y1 KR870003970 Y1 KR 870003970Y1 KR 2019850000585 U KR2019850000585 U KR 2019850000585U KR 850000585 U KR850000585 U KR 850000585U KR 870003970 Y1 KR870003970 Y1 KR 870003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display
coil spring
coil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0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0135U (ko
Inventor
강욱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주무역상사
강욱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주무역상사, 강욱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주무역상사
Priority to KR2019850000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970Y1/ko
Publication of KR8600101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01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9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18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with means for reducing interference or noise;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with means for protecting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8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rot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se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안기용 플러그의 표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작동 상태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러그본체 2 : 접지봉
3 : 환형탄성편 4 : 3극관
5 : 탄성기판 6 : 히트코일
7 : 접속단자 8 : 접지단자
9 : 보호캡 10 : 기판
11 : 배선동판 13 : 접속편
14 : 감시편 15 : 코일스프링
16 : 레일홈 17 : 표시편
18 : 표시부
본 고안은 보안기용 플러그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히트코일이 설치된 배선동판을 접지단자의 접속편과 직접 연결되게 하고, 탄성기판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의 감시편을 보호캡 상면의 레일홈으로 조립시킨 표시편의 표시부에 표출되게 위치시켜서, 전화 선로에서 낙뢰 또는 과전류 및 과전압이 발생되는 경우, 코일스프링이 히드코일에서 단락되어 표시부로부터 소멸되도록 하므로써,
간단히 히트코일의 단락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보안기용 플러그에 있어서는,
히트코일이 설치된 절연판을 탄성기관에 각각 고정 설치하여 접지단자의 접속편과 코일로 연결되게 하고, 감시편을 형성시킨 작동 스프링을 탄성기판에 납땜 고정시켰던 것으로,
히트코일을 접지단자의 접속편과 연결시킴에 있어 조립공정이 복잡하게 됨은 물론, 코일이 쉽게 단선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플러그 자체의 작동이 안되는 경우를 종종 유발시켰던 것이며,
작동 스프링이 히트코일의 접속봉에서 단락 여부를 판별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호캡을 분리해 내고 확인하여야 하는 불합리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히트코일이 설치된 배선동판을 접지단자의 접속편과 직접 연결되게 하여 접속을 확실하게 하였으며, 별도의 코일을 연결시키지 않아 조립 공정의 단순화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제품의 신뢰도를 한층 높일 수가 있는 것이며,
또한, 코일스프링의 감시편을 보호캡 상면의 레일홈에 조립시킨 표시편의 표시부에 표출되게 위치시켜서 코일스프링의 단락시 표시부로부터 소멸되도록 하므로서, 외부에서도 코일 스프링의 단락 여부를 간단히 판별할 수가 있는 것이어서 실 사용면에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옴과 같다.
플러그 본체(1)의 접지봉(2)과 연결된 환형탄성편(3)에 3극관(4) 중앙이 접지되고, 3극관(4) 양측이 탄성기판(5)에 지지되어 히트코일(6)과 접속되어서 접속단자 (7)와 접지단자(8)에 연결되게 하는 플러그본체(1)에 보호캡(9)을 끼워 맞춤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히트코일(6)이 기판(10)에 설치된 배선동판(11)외 접속봉 (12)에 감겨져 3극관(4)에 접속되게 하고,
배선동판(11)의 일측을 접지단자(8)의 접속된(13)의 직접 연결 접속되게 설치하였으며, 탄성기판(5)의내측으로 감시편(1)이 형성된 코일스프링(15)을 고정 설치하여 일단이 배선동판(11)의 접속봉(12)과 납땜고정되게 설치하였다.
그리고, 플러그본체(1)에 끼워 맞춤 고정 설치되는 보호해(9) 상면에 형성시킨 레일홈(16)으로 조립되는 표시편(17)의 표시부(18)에 코일 스프링(15)의 감시편 (14)을 위치시켜서 코일스프링(15)이 배선동판(11)의 접속봉(12)에서 단락시, 상기 표시편(17)의 표시부(18)로부터 소멸되도록 설치한 것으로, 미설명부호 19는 환형 탄성편(3)의 T형 지지편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상술하면,
도면 제 1도에서와 같이 접속봉(12)에 히트오일(6)이 감겨져 3극관(4)과 연결 접속되는 배선동판(11)을 기판(10)에 설치하여 배선동판(11)의 일단을 접지단자(8)의 접속편(13)과 직접 연결 접속되도록 설치하여서 종래와 같이 코일에 의한 연결접속이 필요없게 되므로, 조립공정을 단축시키고 연결 접속이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며,
또한, 보호캡(9) 상측의 레일홈(16)으로 표시부(18)가 형성된 표시편(17)을 조립되게 하여 코일 스프링(15)의 단락여부를 간단히 판별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전화 선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는, 3극관(4)에서 히트코일(6)의 접속봉(12)을 통하여 코일스프링(15)에서 접속단자(7)로 전기가 흐르게 되어 도면 제 3도와 같이 코일스프링(15)의 감시편(14)이 표시편(17)의 표시부(18)에 표출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화 선로에 낙뢰, 또는 고압이 흐르게 될 경우에는,
접속단자(7)와 연결 접속되는 코일스프링(15)이 가열되어 도면 제 2도에서와 같이 배선동판(11)의 접속봉(12)에 납땜 고정되어 있다가 납(용융점 327℃)이 용융되어 순간적으로 코일스프링(15)의 탄발력으로 단락되면서 도면 제 2도의 가상선 상태와 같이 접지봉(2)과 연결된 T형 지지편(19)에 접지됨에 따라 접속단자(7)를 접지봉(2)에 연결시키게 되므로 코일스프링(15)의 감시된(14)이 표시편(17)의 표시부(18)에서 소멸되어 도면 제 3도의 빗금친 부분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화선로에서 낙뢰 또는 과전압 및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선로를 정확한 작동으로 단락시킴과 동시에 접지시켜 교환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히트코일이 설치된 배선동판을 접지단자의 접속편에 직접 연결되게 하여 접속을 확실하게 하고,
조립공정을 단순화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신뢰도를 한층 높일 수가 있는 것이며, 보호캡 상면의 표시부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단락여부를 간단히 판별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접지봉(2)과 연결된 환형탄성편(3)에 3극관(4) 중앙이 접지되고, 양측이 탄성기판(5)에 지지되어 히트코일(6)과 접속되어서 접속단자(7)의 접지단자(8)에 연결되게 한 플러그 본체(1)에 보호캡(9)이 끼워맞춤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히트코일(6)을 배선동판(11)이 형성된 기판(10)에 설치하여 접지단자(8)의 접속편(13)과 연결하고, 탄성기판(5)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코일스프링(15)의 감시편(14)을 보호캡(9)상면의 레일홈(16)으로 조립시킨 표시편(17)의 표시부(18)에 표출되게 위치시켜 코일스프링(15)이 히트코일(6)에서 단락되어 표시부(18)로부터 소멸되게 한 보안기용 플러그의 표시장치.
KR2019850000585U 1985-01-23 1985-01-23 보안기용 플러그의 표시장치 KR870003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0585U KR870003970Y1 (ko) 1985-01-23 1985-01-23 보안기용 플러그의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0585U KR870003970Y1 (ko) 1985-01-23 1985-01-23 보안기용 플러그의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135U KR860010135U (ko) 1986-08-16
KR870003970Y1 true KR870003970Y1 (ko) 1987-12-05

Family

ID=1923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0585U KR870003970Y1 (ko) 1985-01-23 1985-01-23 보안기용 플러그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9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135U (ko) 198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7857A (en) Printed circuit fuse
CN100550566C (zh) 过电压保护装置
CN102024542B (zh) 过电压保护元件
US4062054A (en) Multi-function fail-safe arrangements for overvoltage gas tubes
CA1090399A (en) Line fault protector module having a fusible element controlling a grounding circuit
US5224012A (en) Solid state station protectors
US4502088A (en) Line protector for a communications circuit
US4692833A (en) Safety device for communication equipment
US3340431A (en) Over-voltage protection instrument
US4424546A (en) Miniature central office surge protectors
CN107634511B (zh) 电涌保护模块及电涌保护器
US3281625A (en) Over-voltage protection techniques
CN210490455U (zh) 一种整体式电涌保护器
US5101317A (en) Overload protector for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4527215A (en) Valve type voltage arrester device
US4191987A (en) Clip-on protector
US5936821A (en) Overvoltage protection plug with fail-safe device having optional visual fail-fail signal indicator
KR870003970Y1 (ko) 보안기용 플러그의 표시장치
US3535779A (en) Over-voltage protection techniques
CA1202670A (en) Protection unit for telecommunications circuits
US5377067A (en) Junction box with protection function to protect from overvoltage and overcurrent
US4326231A (en) Clip-on protector
US5210677A (en) Solid state station protectors
US6084761A (en) Telephone line surge protector
CN210040095U (zh) 一种故障开路型保护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