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519Y1 - 목제의 탄화장치 - Google Patents

목제의 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519Y1
KR870003519Y1 KR2019850008228U KR850008228U KR870003519Y1 KR 870003519 Y1 KR870003519 Y1 KR 870003519Y1 KR 2019850008228 U KR2019850008228 U KR 2019850008228U KR 850008228 U KR850008228 U KR 850008228U KR 870003519 Y1 KR870003519 Y1 KR 870003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ontainer
carbonization
container
cylinde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8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265U (ko
Inventor
강봉주
Original Assignee
강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봉주 filed Critical 강봉주
Priority to KR2019850008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519Y1/ko
Publication of KR870002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2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5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9/00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direct heating with heat-carrying agents including the partial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 C10B49/02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direct heating with heat-carrying agents including the partial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with hot gases or vapours, e.g. hot gases obtained by partial combustion of the charge
    • C10B49/04Destructive distill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s by direct heating with heat-carrying agents including the partial combustion of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with hot gases or vapours, e.g. hot gases obtained by partial combustion of the charge while moving the solid material to be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2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cellulose-contain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목제의 탄화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조통 2 : 이송편
3 : 입구 4 : 홉퍼
5 : 탄화통 5' : 측면
5'' : 이송편 6 : 안내통
7 : 공기공급관 8 : 통공
9 : 배출부 10 : 커버
11 : 배출통로 12 : 이송편
13 : 원통
본 고안은 선출원된 특허원 제84-7494호를 계량한 것으로서 선원은 건조통과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건조통의 선단에 탄화통을 중첩되게 형성하여 건조통의 후단에서 목제 부스러기가 연소되면서 탄화되어 탄화통을 통과하게 되면 완전 탄화가 되도록 한 것으로서 역류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건조통(1)내에 이송편(2)이 형성되고 입구(3)에는 홉퍼(4)가 형성된 것에 건조통(1)의 후단에 탄화통(5)이 중첩되어 건조통(1)과 일체가 되게 형성하되 탄화통 (5)내에는 건조통(1)내의 이송편(2)과 반대방향으로 이송편(5')을 형성하며, 건조통(1)의 선단과 탄화통(2)의 측면(5")과 사이가 떨어지도록 하고, 측면(5')에 형성된 안내통(6)에 공기공급관(7)이 끼워져 횡설하며, 탄화통(2)의 선단에는 수개의 통공(8)이 형성된 배출부(9)를 형성하고 배출부(9)를 커버(10)로 씌우되 커버(10)의 밑에 형성된 배출통로(11)가 이송편(12)의 밑에 이송편(12)이 형성된 원통(13)내에 유입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4,14'는 회동롤러, 15는 커버, 16,16',16''은 연돌,17은 집진기,18은 열분산판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톱밥 또는 대패밥과 같은 나무부스러기를 홉퍼(4)에 넣고 원동기에 의하여 회동롤러(14)를 회동시키면 회동롤러(14)에 의하여 건조통(1)이 회동하면서 나무부스러기가 이송편(2)을 따라 건조통(1)의 선단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어 선단쪽에 거의 왔을때 공기공급관(7)을 통하여 불덩어리를 건조통(1)내로 넣어주면 나무부스러기에 불이 붙게 되면서 발생되는 열과 개스는 공기가 공기공급관(7)을 통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입구쪽으로 이동하면서 건조통(1)내의 나무부스러기를 건조시켜 준다.
따라서 처음에 공급되는 건조된 나무부스러기가 좋고 그 다음부터는 습기 많은 나무부스러기가 공급된다하더라도 연소열에 의하여 건조되고 나무부스러기가 건조되어 발생되는 증기는 건조통(1)의 입구에 형성된 연돌(16'')을 통하여 집진기 (17)로 이동된다.
그리고 건조통(1)내에 형성된 열분산판(18)은 연소열이 한쪽으로만 이동되는것을 방지하고 사방으로 분산되게 하여 건조통(1)의 면에 열이 많이 전달되게 함으로써 항상 열이 달아져 있는 상태로 하여 주기 때문에 건조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나무부스러기가 연소가 되면서 공기공급관(7)의 선단에서 건조통 (1)의 선단쪽으로 이동되면 공기의 공급이 잘 안되기 때문에 나무부스러기가 불꽃이 일어나면서 연소되는 것이 중단되며 불꽃은 사라지고 불기가 있는 상태로 이송되면서 나무부스러기가 탄화가 된다.
그리고 건조통(1)에서 이동되면서 탄화과정에 있는 나무부스러기는 건조통 (1)의 선단에서 떨어져 탄화통(5)에 유입되어 이송편(5'')에 의하여 배출부(9)쪽으
이와같이 탄화통(5)내에서 완전히 탄화된 나무부스러기는 통공(8)을 통하여 배출되어 커버(10)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통로(11)를 따라 회동롤러(14)(14')에 의하여 회동되는 원통(13)내에 유입되어 이송편(12)에 의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탄화가루가 배출통로(11)를 통하여 배출될 때 탄화가루에 수분을 조금씩 공급하면 탄화가루내의 불이 완전히 꺼진 상태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탄화과정에서 발생된 연소열과 분진은 연돌(16)을 통하여 집진기(17)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중 정전이 되어 원동기가 가동치 못하게 될 경우에는 연돌(16')에 형성된 뎀퍼를 열어주면 연소개스는 커버(15)에 형성된 연돌(16')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원은 선원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탄화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건조통(1)내에 이송편(2)이 형성되고 입구(3)에는 홉퍼(4)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건조통(1)의 후단에 탄화통(5)이 중첩되어 건조통(1)과 일체가 되게 형성하되 탄화통(5)내에는 건조통(1)내의 이송편(2)과 반대방향으로 이송편(5')를 형성하며 건조통(1)의 선단과 탄화통(2)의 측면(5'')과 사이가 떨어지도록 하고, 측면(5')에 형성된 안내통(6)에는 공기공급관(7)이 끼워져 횡설되며, 탄화통(2)의 선단에는 수개의 통공(8)이 형성된 배출부(9)를 형성하고 배출부(9)를 커버(10)로 씌우되 커버(10)의 밑에 형성된 배출통로(11)가 이송편(12)이 형성된 원통(13)내에 유입되도록 하여서 된 목제의 탄화장치.
KR2019850008228U 1985-07-03 1985-07-03 목제의 탄화장치 KR870003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8228U KR870003519Y1 (ko) 1985-07-03 1985-07-03 목제의 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8228U KR870003519Y1 (ko) 1985-07-03 1985-07-03 목제의 탄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265U KR870002265U (ko) 1987-03-17
KR870003519Y1 true KR870003519Y1 (ko) 1987-10-16

Family

ID=19243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8228U KR870003519Y1 (ko) 1985-07-03 1985-07-03 목제의 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5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265U (ko) 198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60771B (en) Vacuum rotary dryer
KR920021929A (ko) 보일러의 연소실 및 석탄과 고무 조각의 혼합연소 방법
US6379629B1 (en) Carbonizing apparatus having a spiral, rotary vane
US2085842A (en) Method and means for drying lightweight materials
US43465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heat in product dehydration system
KR870003519Y1 (ko) 목제의 탄화장치
EP00028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particulate material
US40968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rning air-suspended particulate fuel
JPS6316032B2 (ko)
US3402684A (en) Bark feeding system
KR20230046576A (ko) 고체 연료 건조 및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발열 시스템
WO2021027760A1 (zh) 一种裂解系统和裂解工艺
WO2010045897A2 (en) Apparatus for continuous drying of particulate materials
CN210773209U (zh) 一种干燥机以及包含其的过热蒸汽烘干装置
KR860001713B1 (ko) 목재의 탄화장치 및 방법
CN206056169U (zh) 一种回转滚筒干燥机
CN201277799Y (zh) 环保节能木糠锅炉烘干机
KR20020005916A (ko) 직화열풍을 이용한 회전 드럼식 건조기
US2204145A (en) Rotary kiln
CN214371603U (zh) 一种具有研磨功能的干燥设备
CN217031248U (zh) 一种生物质锅炉的新型给料结构
CN218410546U (zh) 一种谷物烘干装置
CN203518461U (zh) 滚筒干燥装置
CN217685045U (zh) 一种油气田开发含油废弃物无害化处理装置
CN219223170U (zh) 一种粗饲料两段式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0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