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150Y1 - 쑥 찜 기 - Google Patents

쑥 찜 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150Y1
KR870003150Y1 KR2019850004920U KR850004920U KR870003150Y1 KR 870003150 Y1 KR870003150 Y1 KR 870003150Y1 KR 2019850004920 U KR2019850004920 U KR 2019850004920U KR 850004920 U KR850004920 U KR 850004920U KR 870003150 Y1 KR870003150 Y1 KR 870003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ugwort
forming
water tank
stea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4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2993U (ko
Inventor
최병용
Original Assignee
최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용 filed Critical 최병용
Priority to KR2019850004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150Y1/ko
Publication of KR8600129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29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1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쑥 찜 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선도.
제4도의(a)(b)는 공기흡입밸브의 단면도이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쑥찜기 2 : 손잡이
3 : 수조 4 : 격판
5 : 전극판 6, 6' : 흡습층
7 : 심지 8 : 관
9 : 배출공부 10 : 물의 배출 방지벽
11 : 마개 12 : 통공
13 : 돌출부 14 : 역지변
본 고안은 증기가 순간적으로 발생되어 쑥이 쩌짐과 동시에 쑥의 엑기스가 포함된 증기가 빠른 시간내에 발생되도록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쑥찜기내에 수조실을 형성하여 그안에 히터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수조실내에 물이 끓어야만이 증기가 발생되기 때문에 쑥찜기를 사용하기 위하여서는 전원을 연결한뒤에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숙찜기에 전원을 연결하면 전원이 일정 간격으로 입설된 전극판에 연결되어 전극판과 전극판사이에 형성된 흡습층에 의하여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흡습층에 있는 물의 저항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비등하면서 고열의 수증기가 빨리 발생하도록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쑥찜기(1)의 손잡이부(2)내에 수조(3)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격판(4)의 전면에는 +와 -의 전극판(5)이 교대로 수개가 입설되고 전극판(5)사이에는 흡습층(6)(6')…을 형성하여 흡습층(6)(6')…과 연결된 심지(7)는 격판(4)에 형성된 관(8)을 통하여 수조(3)와 연결되도록 하며, 쑥찜기(1)의 정면에 뚫린 배출공부(9)의 내면에는 물의 배출방지벽(10)을 형성하고 마개(11)에는 통공(12)을 형성된 돌출부(13)를 형성하고 마개(11)에는 통공(12)을 형성된 돌출부(13)를 형성하여 이에 고무제 역지변(14)을 형성하여서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5는 스윗치, 16은 배출공, 17은 쑥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쑥찜기(1)를 사용코저 할때는 마개(11)를 열고 수조(3)내에 물을 채우고 마개(11)를 막는다.
그리고 정면에 형성된 캡내에 쑥을 넣고 전원을 스윗치(15)에 의하여 전극판(5)에 연결되면 전극판(5)과 전극판사이에 형성된 흡습층(6)(6')…에 물이 흡수되어 있기 때문이 물의 저항에 의하여 열이 발생하면서 순간적으로 비등하여 고열의 수증기가 발생되어 배출구(16)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캡내에 있는 쑥을 쩌주기 때문에 쑥의 엑기스와 같이 수증기가 배출공부(9)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배출되는 증기를 인체내의 환부나 맛사지부등에 대면효과적인 찜질을 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극판(5)과 전극판 사이에 형성된 흡습층(6)(6')…은 심지(7)와 연결되고 심지(7)는 격벽(4)에 형성된 관(8)내를 통하여 수조(3)와 연결되도록 하였는바, 이는 발생된 증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8)을 형성하여 준 것이다. 그리고 물의 공급이 원할치 않을때는 보조공(8')을 통하여 수조(3)내의 물이 심지(7)에 원할히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물이 심지(7)를 따라 흡습층(6)(6')에 공급되어 증기화 되면서 수조(3)내의 물이 줄어들게 되면 진공상태가 되어 물의 공급이 원할치 않게될때 마개(12)에 형성된 역류변(14)을 통하여 공기가 수조(3)내로 흡입되어 물의 공급을 원할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단순히 쑥찜기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숙찜기의 앞에 솔이나 빗등을 부착하여 미용기구로도 사용하고, 또한 증기 다리미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쑥찜기(1)의 손잡이부(2)내에 수조(3)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격판(4)의 전면에는 +와 -의 전극판(5)이 교대로 수개가 입설되고 전극판(5)사이에는 흡습층(6)(6')…을 형성하여 흡습층(6)(6)…과 연결된 심지(7)는 격판(4)에 형성된 관(8)을 통하여 수조(3)와 연결되도록 하며, 쑥찜기(1)의 정면에 뚫린 배출공부(9)의 내면에는 물의 배출방지벽(10)을 형성하고 마개(11)에는 통공(12)을 형성된 돌출부(13)을 형성하여 이에 고무제 역지변(14)을 형성하여서된 쑥찜기.
KR2019850004920U 1985-04-29 1985-04-29 쑥 찜 기 KR870003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4920U KR870003150Y1 (ko) 1985-04-29 1985-04-29 쑥 찜 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4920U KR870003150Y1 (ko) 1985-04-29 1985-04-29 쑥 찜 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2993U KR860012993U (ko) 1986-11-08
KR870003150Y1 true KR870003150Y1 (ko) 1987-09-24

Family

ID=19241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4920U KR870003150Y1 (ko) 1985-04-29 1985-04-29 쑥 찜 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1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2993U (ko) 198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032784T3 (es) Generador de vapor instantaneo para uso domestico y profesional.
JP4877077B2 (ja) 美容器
KR0172673B1 (ko) 사우나실용 방향발생 및 가습장치와 이를 구비한 사우나목욕장치
KR870003150Y1 (ko) 쑥 찜 기
US2347915A (en) Electrode structure
ES2043114T3 (es) Generador de vapor por recuperacion de calor perdido.
KR20070017806A (ko) 습식, 건식 및 훈연이 가능한 훈증기
ES2020809A6 (es) Plancha electrica de vapor
CN210872983U (zh) 无烟艾灸器
KR100791018B1 (ko) 훈증기
ES2071944T3 (es) Plancha electrica de vapor que comprende una platina que reagrupa los organos de regulacion.
WO1991001473A1 (es) Secador por ultrasonidos
CN213911315U (zh) 一种智能足蒸器的控温组件
ES2050236T3 (es) Aparato y procedimiento para la destilacion de agua.
KR900001815Y1 (ko) 원적외선 미용 찜질기
KR890003066Y1 (ko) 증기 발생기
KR890003055Y1 (ko) 휴대용 증기 발생기
CN215652588U (zh) 一种中药艾灸的配方艾柱及艾条
KR910002384Y1 (ko) 맛사지용 가습기
KR900001813Y1 (ko) 사우너
KR900006996Y1 (ko) 증기발생기의 가열장치
KR100211132B1 (ko) 물 침대
KR100306780B1 (ko) 찜질기의 구조
JPS54115949A (en) Beauty appliance
KR960007357Y1 (ko) 수증기 분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