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107Y1 - 조립식 톱의 괘합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톱의 괘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107Y1
KR870003107Y1 KR2019850005416U KR850005416U KR870003107Y1 KR 870003107 Y1 KR870003107 Y1 KR 870003107Y1 KR 2019850005416 U KR2019850005416 U KR 2019850005416U KR 850005416 U KR850005416 U KR 850005416U KR 870003107 Y1 KR870003107 Y1 KR 870003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bag
metal ring
nut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5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4571U (ko
Inventor
박인환
Original Assignee
박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환 filed Critical 박인환
Priority to KR2019850005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107Y1/ko
Publication of KR860014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45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1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3/00Sawing tools for saw mills,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 B27B33/02Structural design of saw blades or saw teeth
    • B27B33/12Saw blades having inserted or exchangeably arranged bits or toothed se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1/00Hand saws without power drive; Equipment for hand sawing, e.g. saw horses
    • B27B21/08Arrangements of gauging or adjusting equipment on hand saws, e.g. for limiting the cutting dep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톱의 괘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분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연결목부 4, 4' : 모서리단
5 : 너트 6 : 금속링
6' : 내부 7 : 핸들축
7' : 나사부 8, 8' : 괘지홈
본 고안은 톱과 자루를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톱의 괘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톱과 자루의 결합시 편리하고도 완강한 괘합상태가 되게함을 목적한 것이다.
종래 휴대의 간편을 위한 조립식 톱은 절첩식으로 구성된 소형톱과 톱의 연결목부와 자루의 상단에 보울트와 너트를 고착하여 나해자재되게 한 것이 있으나 전자의 절첩식 톱은 강한 힘을 톱에 가할 수 없이 소형톱에 적합하고 뿐만 아니라 톱의 괘지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사용시 유동되고 잦은 고장이 발생하여 후자의 조립식 톱도 역시 연결목부의 너트와 자루의 보울트와의 결합시 결합여유 간격이 생기게 되므로서 톱의 사용시 흔들거리고 강한 힘을 톱에 가할 수 없으므로 톱과 자루가 일체로 된 톱에 비해 나무를 베는 능률이 저하되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톱의 연결목부 끝에 고착시킨 너트가 자루에 유삽된 핸들축의 나사부에 나합되면서 연결목부의 모서리단이 금속링의 괘지홈에 괘삽되게 하므로서 종래의 결점을 일소한 것인데 첨부도면에 따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톱(1)과 자루(2)를 조립 분해되게 한 것에 있어서 톱(1)의 연결목부(3)의 끝단에 모서리단(4)(4')이 상하로 형성되게 너트(5)를 고착시켜 자루(2)의 상단에 삽착한 금속링(6)의 내부(6')에 위치하도록 자루(2)의 내부를 관통한 핸들축(7)의 나사부(7')와 나해자재되게 하되 나합시 톱(1)의 모서리단(4)(4')이 링(6)의 괘지홈(8)(8')에 괘지되게 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7"는 핸들축(7)의 핸들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 톱(1)과 자루(2)가 분해된 상태에서 결합을 하고저 하면 톱(1)의 연결목부(3)의 끝단에 모서리단(4)(4')이 상하로 형성되게 고착한 너트(5)를 모서리단(4)(4')이 금속링(6)의 괘지홈(8)(8')에 괘합되는 상태로 금속링(6)의 내부(6')로 괘삽하여 자루(2)의 끝단에 노출시킨 핸들(7")을 돌려죄면 핸들축(7)이 회전되면서 그 선단의 나사부(7')와 너트(5)가 나합되어 톱(1)의 연결목부(3)를 자루(2) 쪽으로 강하게 잡아 당김과 동시에 연결목부(3)의 모서리단(4)(4')이 금속링(6)의 괘지홈(8)(8')에 견고하게 괘삽되므로 튼튼하게 결합되어 진다.
이와 반대로 톱(1)과 자루(2)를 분해할 때에는 핸들(7")을 전술과 다른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핸들축(7)의 나사부(7')와 연결목부(3)끝의 너트(5)의 나합상태가 해리되어 쉽게 분해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에 의해 톱(1)과 자루(2)를 조립 분해하여, 휴대하기 쉽게함과 아울러 완강한 결합력으로 조립시킬 수 있어 나무를 절단할시 톱(1)에 강한 힘을 주면서 사용을 해도 톱(1)과 자루(2)의 괘합상태가 이완되지 않으며 만약 약간의 이완이 되었을 경우에도 핸들(7")을 돌려 너트(5)와 나사부(7')의 나나합상태를 조금 더 죄게함으로써 완강한 괘합상태를 지속할 수 있어 오래사용할 수 있는 것 및 나무 절단작업에 능률향상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톱(1)과 자루(2)를 조립 분해되게 한 것에 있어서 톱(1)의 연결목부(3)의 끝단에 모서리단(4)(4')이 상하로 형성되게 너트(5)를 고착시켜 자루(2)의 상단에 삽착한 금속링(6)의 내부(6')에 위치하도록 자루(2)의 내부를 관통한 핸들축(7)의 나사부(7')와 나해자재되게 하되 나합시 톱(1)의 모서리단(4)(4')이 금속링(6)의 괘지홈(8)(8')에 괘지되게 하여서 되는 조립식 톱의 괘합장치.
KR2019850005416U 1985-05-08 1985-05-08 조립식 톱의 괘합장치 KR870003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5416U KR870003107Y1 (ko) 1985-05-08 1985-05-08 조립식 톱의 괘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5416U KR870003107Y1 (ko) 1985-05-08 1985-05-08 조립식 톱의 괘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571U KR860014571U (ko) 1986-12-08
KR870003107Y1 true KR870003107Y1 (ko) 1987-09-19

Family

ID=1924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5416U KR870003107Y1 (ko) 1985-05-08 1985-05-08 조립식 톱의 괘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1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571U (ko) 198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9463A (en) Sawing device attachable to regular electric drill
KR870003107Y1 (ko) 조립식 톱의 괘합장치
SE8207300L (sv) Festverktyg for expanderbult
FR2442365A1 (fr) Dispositif d'assemblage de panneaux
KR200194821Y1 (ko) 연결관 조임구
KR920005577Y1 (ko) 가방용 손잡이 체결구
CN218662248U (zh) 一种免工具拆装的曲柄组件
KR880002234Y1 (ko) 절단날을 형성한 워터펌프 풀라이어 (Water Pump Plier)
JPS6237661Y2 (ko)
KR920003966Y1 (ko) 착탈식 낫
KR880000728Y1 (ko) 착 유 기
CN220073452U (zh) 一种内外双层锯齿的圆锯片
KR860002132Y1 (ko) 톱날 교환식 목공톱
KR950000060Y1 (ko) 등산용 도구의 결합장치
RU2014970C1 (ru) Ножовка
SU65343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единени деталей
KR890001234Y1 (ko) 집게(pliers)가 부설된 바이스(vise)
KR910000505Y1 (ko) 쇠톱대의 톱날협지구
KR0133957Y1 (ko) 구조물조립용파이프고정장치구조
JPH02190270A (ja) プラスマイナスドライバー
KR850001571Y1 (ko) 자동 스페너
KR940006123Y1 (ko) 도어용 손잡이
KR910002428Y1 (ko) 밴드 조임구
KR810000260Y1 (ko) 가공체의 취부구
KR910001000Y1 (ko) 스틸박스 제작용 크램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