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020Y1 - 안강망용 닻 - Google Patents

안강망용 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020Y1
KR870002020Y1 KR2019850002244U KR850002244U KR870002020Y1 KR 870002020 Y1 KR870002020 Y1 KR 870002020Y1 KR 2019850002244 U KR2019850002244 U KR 2019850002244U KR 850002244 U KR850002244 U KR 850002244U KR 870002020 Y1 KR870002020 Y1 KR 8700020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ranch
blade
ne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2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1790U (ko
Inventor
김길훈
김금숙
Original Assignee
김길훈
김금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훈, 김금숙 filed Critical 김길훈
Priority to KR2019850002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020Y1/ko
Publication of KR8600117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17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0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38Anchors pivoting when in use
    • B63B21/44Anchors pivoting when in use with two or more flu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강망용 닻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닻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닻채 3,3' : 닻가지
4 : 닻장 5 : 지축
6,6' : 지지공 7,7' : 원통체
8,8' : 스프링 9,9' : 유착부
10,10' : 요홈
본 고안은 안강망에 의한 어로작업시 사용되는 안강망용 닻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망의 유실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안강망에 의한 어로작업은 그물을 닻으로서 해저 지면에 고정 설치하고 조수의 흐름방향으로 그물입구가 벌어져 있도록 하여 조류의 흐름에 따라 고기가 그물내에 포획되게 하는 것인데, 이때 닻은 조수가 그물을 견인함에 따라 한쪽의 닻가지가 지면에 박히고 반대쪽 닻가지는 지면위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게 되어 닻줄에 연결된 그물의 위치를 지정시켜 주게 된다.
또 한편, 안강망 어로작업은 조수의 흐름을 이용하는 어로작업이므로 전술의 닻에 연결된 그물은 조수의 방향 즉, 밀물과 썰물에 따라 그 위치가 닻을 중심으로 하여 180도로 이동 변화되게 되는바, 서해안의 경우 하루에 2회 간만이 생기므로 결과적으로 그물의 위치는 하루에 4번 반대 방향으로 바뀌게 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그물의 위치가 반대방향으로 이동될때 종래의 닻은 닻채와 닻가지가 일체고정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한쪽의 닻가지가 지면위로 돌출되어 있게되고 이 돌출된 닻가지에 닻줄이 감기게되며 이렇게 닻가지에 닻줄이 감기면 다음번 그물의 이동시 닻줄이 닻을 지면으로부터 뽑아내는 역할을 하게되므로 그물이 제멋대로 이동하게 되고 마침내는 고가의 안강망 어로장비의 일체가 조수에 쏠려 유실되어 버리고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의 종래 안강망용 닻의 그물을 유실시키기 쉬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닻이 지면에 고정될 때 닻가지가 지면위로 돌출되지 않아 그물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안강망용 닻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고안은 닻채와 닻가지를 일체로 고정함이 없어 서로 유동되도록 상호 유착하여 한쪽 닻가지가 그물의 견인력에 의해 지면에 박힐때 닻가지 전체가 유동되면서 지면측을 향한 상대측의 닻가지가 닻채에 밀접되게 지상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없도록 구성하므로서 닻줄이 닻가지에 걸리지 않아 전술의 본고안의 목적이 달성되도록 안출한 것인 바, 본 고안을 이하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닻줄 결착고리(2)를 갖는 닻채(1)와 이 닻채(1)에 연결된 닻가지(3)(3') 및 닻장(4)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닻채(1)와 닻가지(3)(3')를 상호 유동가능하게 지축(5)으로 유착 연결하고 닻가지(3)(3')에 지지공(6)(6')을 형성하여 그 지지공(6)(6')내에 원통체(7)(7')를 진퇴 가능하게 삽입하고 지지공(6)(6')과 원통체(7)(7')내에 스프링(8)(8')을 탄력 설치함과 함께 원통체(7)(7')의 내단부를 유착부(9)(9')에 의하여 닻채(1)의 중심을 잡아주도록 형성하고 닻가지(3)(3')의 내면에 닻채(1)가 삽입될 수 있는 요홈(10)(10')을 형성하여서된 것으로, 도면중 부호 11,11'는 스프링고정 보울트, 12,12' 및 13,13'는 지지공의 외단부를 보강함과 함께 닻줄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편 14,14'는 닻가지 자체의 보강편, 15는 안강망에 연결되는 닻줄, 16은 해저 지면을 각각 표시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통상시에는 양측 닻가지(3)(3')와 닻채(1)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있는 스프링(8)(8')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닻채(1)가 양측 닻가지(3)(3')의 중심각에 놓여 통상적인 닻의 형태를 취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안강망 어로작업시 닻을 해저로 투입하면 지면에 닿은 후 얼마간까는 통상의 닻의 형태 즉, 양측 닻가지(3)(3')가 닻채(1)로부터 동일한 각도로 벌어져 있게되나 이후 조수에 밀리는 그물이 닻채(1)를 견인하면 두개의 닻가지(3)(3') 중 어느 하나가 지면(16)에 박히기 시작하고 이렇게 한쪽닻가지가 지면에 박히면 닻가지(3)(3') 전체가 지축(5)을 중심으로 하향유동하면서 지상축으로 위치하고 있던 닻가지(3) 이하 제5도 경우의 부호로 설명함)가 닻채(1)에 밀접되면서 그 닻가지(3)의 요홈(10)에 닻채(1)가 삽입되어 닻전체에서 볼 때에는 지면에 박힌 닻가지(3') 하나만이 있는 지의 형태를 취하게 되고 지사위로는 돌출되는 닻가지의 부리부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때 닻가닻(3)(3')와 닻채(1) 사이에서 지지공(6)(6')과 원통체(7)(7')내에 탄력 설치된 스프링(8)(8')은 원통체(7)가 지지공(6)내로 진입됨에 따라 스프링(8)은 압축되고 스프링(8')은 원통체(7')가 지지공(6')내에서 후퇴함에 따라 자체 탄성만지니채 그대로 남이 있게 되며 이 스프링(8)(8')들은 이후 다음번 사용시 다시 균형을 이루어 닻채가 통상적인 닻의 형태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닻가지(3)가 지상으로 돌출되지 않고 닻채(1)에 밀착되면 조류의 변환에 의해 그물의 위치가 반대로 변해 닻줄(15)이 왔다갔다 하드라도 닻에는 닻줄이 걸릴 수 있는 부위가 없게 되므로 닻이 뽑혀져 나갈 염려가 없게되고 닻가지(3)(3')에 형성된 요홈(10)(10')은 닻채가 유동시 닻채와 닻가지를 일체화되게 결합시키는 역활을 하게되므로 닻이 측방으로 비틀린다거나 견일될 때 닻채(1)나 닻가지(3)(3')를 상호 보강하는 효과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안강망 어로 작업시 닻에 닻줄이 걸려서 그물 및 그에 수반하는 고가의 어로장비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닻자체도 견고하게 되는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Claims (1)

  1. 닻채(1)와 닻가지(3)(3') 및 닻장(4)으로 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닻채(1)와 닻가지(3)(3')를 상호 유동가능하게 지축(5)으로 유착 연결하고 닻가지(3)(3')에 형성한 지지공(6)(6')내에 닻채(1)와 유착부(9)(9')로 유착 연결시킨 원통체(7)(7')를 진퇴 가능하게 삽입하고 지지공(6)(6')과 원통체(7)(7')내에 스프링(8)(8')을 탄력 설치하여 닻채(1)의 중심을 잡아주도록 형성하며 닻가지(3)(3')의 내면에 닻채(1)가 삽입될 수 있는 요홈(10)(10')을 형성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강망용 닻.
KR2019850002244U 1985-03-07 1985-03-07 안강망용 닻 KR8700020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244U KR870002020Y1 (ko) 1985-03-07 1985-03-07 안강망용 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244U KR870002020Y1 (ko) 1985-03-07 1985-03-07 안강망용 닻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790U KR860011790U (ko) 1986-10-06
KR870002020Y1 true KR870002020Y1 (ko) 1987-06-10

Family

ID=1924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2244U KR870002020Y1 (ko) 1985-03-07 1985-03-07 안강망용 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0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790U (ko) 198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7896B1 (en) Breakaway coupling
US4703579A (en) Fishing lure
US2693046A (en) Device for catching fish
US4536986A (en) Method of construction of skirt for fishing lures
US4998371A (en) Fishing lure
KR870002020Y1 (ko) 안강망용 닻
CN100581357C (zh) 钓具
US4528771A (en) Sinker-anchor device
US2632278A (en) Attachment for fishhooks
CA1107502A (en) Fishing pole eye
CA2037167A1 (en) Fishing lure and method
US2754615A (en) Fishing line connector
US4563972A (en) Anchoring arrangement for floating structures
KR870003159Y1 (ko) 안강망용 닻
KR870002021Y1 (ko) 안강망용 닻
KR890002220Y1 (ko) 안강망용 닻
KR870003160Y1 (ko) 안강망용 닻
KR900005198Y1 (ko) 안간망용 닻
KR20210123498A (ko) 두족류 낚시용 에자
JPH0236383Y2 (ko)
WO199800412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ishing
KR900006845Y1 (ko) 안강망용 닻
KR880001663Y1 (ko) 안강망용 닻
JPH0224466Y2 (ko)
KR200307813Y1 (ko) 낚시용 봉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