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274B1 - 용기본체 - Google Patents

용기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274B1
KR870001274B1 KR1019830003548A KR830003548A KR870001274B1 KR 870001274 B1 KR870001274 B1 KR 870001274B1 KR 1019830003548 A KR1019830003548 A KR 1019830003548A KR 830003548 A KR830003548 A KR 830003548A KR 870001274 B1 KR870001274 B1 KR 870001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ed body
container body
container
heat
thermo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110A (ko
Inventor
가즈미 히로다
기꾸오 마쓰오까
이찌로오 호리
Original Assignee
도오요오 세이깐 가부시기 가이샤
다까사끼 요시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요오 세이깐 가부시기 가이샤, 다까사끼 요시로오 filed Critical 도오요오 세이깐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30003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274B1/ko
Publication of KR85000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8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formed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기본체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인 용기본체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 A부의 확대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용기본체에 뚜껑부를 히트실해서 이루어진 밀봉용기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선에 의한 종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밀봉용기를 개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6도는 본원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인 용기본체의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에 의한 횡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Ⅷ-Ⅷ선에 의한 종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용기본체를 갖는 밀봉용기를 레토르트 살균 처리가 끝난 후의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X-X선에 의한 횡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XI선에 의한 종단면도.
제12도 일본원 발명의 제3실시예인 용기본체의 동체벽부의 요부 횡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용기본체를 가압 처리한 후의 동체벽부의 요부 횡단면도.
제14도는 본원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서 용기본체를 가압 처리한 후의 정면도.
제15도는 본원 발명의 제5의 실시예인 용기본체의 종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B부의 확대도면.
본원 발명은 용기본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이면서도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며, 또한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컵 모양의 용기 본체에 관한 것이다.
금속박(金屬箔)과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비교적 얇은 가요성의 적층체(積層體)의 블랭크(blank)를 드로잉(drawing) 성형함으로서 형성된 컵 모양의 용기본체는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며, 경량이고 염가라는 이점을 갖지만, 반면에 내용물을 충전 후 뚜껑부에 의해 밀봉한 밀봉용기를 손으로 잡아서 개봉할 때나, 수송중 등에 용기가 변형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특히 개봉시에 찌그러지면 내용물이 넘쳐서 주변을 더럽히는 등의 폐단을 초래하기 쉽다.
또, 이상과 같은 컵 모양 용기본체의 동체벽부(胴體壁部)나 저벽부(底壁部)에 소정 형상의 요(凹) 무늬를 형성하여, 의장 효과를 높이거나 또는 제조공장명 등의 표시를 하고 싶을 경우가 있다. 그러나 드로잉 성형에 의해서 요무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요무늬에 대응하는 각기 철(凸) 무늬 및 요무늬가 형성된 다이 및 펀치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 제작이나 작업시의 금형조정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더구나 요무늬의 종류에 따라서는 성형 후의 발취(拔取)의 관계로 성형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상술한 컵 모양의 용기본체를 열성형(예를 들면 당해 플라스틱의 연화 온도로 가열하고 나서 진공성형을 함)에 의해서 형성하려고 할 경우에는 요무늬의 형성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이 경우, 일반적으로 커다란 열변형을 수반하므로, 얇은 금속박이 파단하여 불연속으로 되어서, 가스 배리어성이 상실 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원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경량이고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며, 또한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컵 모양의 용기본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특수한 목적은 벽부에 레토르트(retort) 가압 가열처리 등에 의해 요무늬가 형성 가능한 컵 모양 용기본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 하나의 플랜지부를 갖는 외부 성형체와, 플래지부를 가지며 상기 외부 성형체내에 수납되는 보강내부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컵 모양의 용기본체를 제공한다. 상기 외부 성형체는 외부 성형체의 내부면을 형성하기 위한 열가소성 필름 및 금속박을 포함하는 가요성 적층체를 드로잉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내부 성형체는 외부 성형체의 내부면을 형성하기 위한 열가소성 필름에 열접착 가능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열성형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외부 성형체에 상응하는 형태를 지닌다. 외부 성형체 및 내부 성형체는 최소한 플랜지부에서 열접착에 의하여 상호 밀폐 접합된다.
내부 성형체는 그 벽 부분에 소정 형태를 가진 요형부와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성형체의 외부면은 요형부를 제외하고, 외부 성형체의 내부면과 실질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외부 성형체는 용기본체에 유체압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요형부에 대응하는 요형 무늬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제1도, 제2도에 있어서, (1)은 용기본체이며, 가요성의 적층제의 블랭크에서 드로잉 성형 후, 컬링(curling) 가공에 의해 형성된 외부 성형체(2)와, 외부 성형체(2) 내부에 수납된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열성형함으로써 형성된 보강용 내부 성형체(3)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 성형체(2) 및 내부 성형체(3)는 각기 플랜지부(4) 및 (5)를 가지며, 외부 성형체(2)에 형성된(curl)(6)를 제외하고, 양 성형체는 대응하는 형상, 즉 양 성형체가 끼워 맞추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드로잉 가공 또는 드로잉 성형이라 함은 펀치, 공동(空洞)이 있는 다이, 및 블랭크홀더를 사용하여 컵 모양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의미하며, 이 방법에서는 다이의 상부면의 블랭크 부분이 블랭크홀더에 의해 상부면에 대하여 밀려서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상부면과 블랭크홀더 사이의 공동 안으로 미끄러져 연신(延伸)될 때 블랭크가 펀치에 의해 공동 안으로 유도되어 성형체를 성형하게 된다. 연신 성형체의 동체 벽부의 두께는 대략 블랭크의 두께와 동일하다. 드로잉은 통상 실온 하에서 행한다.
내부 성형체(3)의 플랜지부(5)와 외부 성형체(2)의 플랜지부(4)상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내층(2a)은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열융착부(7)를 통해서 열접착함으로써 기밀(氣密) 접합되어 있다. 그래서 외부 성형체(2)와 내부 성형체 (3)의 이탈이 방지되며, 또 레토르트 살균 처리시에 양 성형체간에 수증기나 공기 등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외부 성형체(2)의 동체벽부(2X)와 내부 성형체(3)의 동체부(3a)가 밀착하고 있는 것이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의 움푹 들어가기 쉬운 것을 방지하며, 또한 레토르트 가열 살균 처리시의 열전달을 높이는데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외부 성형체(2)의 저벽부(2y)와 내부 성형체(3)의 저벽부(3c)도 밀착하고 있는 것이 레토르트 가열 살균 처리시의 열전도율을 높이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진공하에서 내부 성형체(3)를 외부 성형체(2)내에 삽입합으로써 상기 밀착은 용이해진다.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외부 성형체(2)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내층(2a), 금속박(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강철박, 전해철박)으로 이루어진 중간층 (2b)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외층(2c)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층은 우레탄계 접착제또는 카르본산 변성폴리올레핀 등의 접착제층(도시 생략)을 통해서 접합되어 있다.
내층(2a)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저융점의 열융착이 용이한 플라스틱,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그들의 공중합체 또는 블렌드, 나일론 11,나일론 12, 선상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지며, 내층(2a)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10-2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100㎛이다. 약 10㎛보다 얇으면, 상술한 내부 성형체(3)와의 열 융착부(7)에 있어서의 충분한 접합강도가 얻어지지 않으며, 한편 약 200㎛보다 두꺼우면, 드로잉 성형에 수반하는 잔류 응력이 커져서, 드로잉 성형 후의 스프링백이 증대하거나 레토르트 가열 살균 처리시에 열변형이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가 절감의 점에서도 드로잉 성형 후의 자기형태 유지성과 열융착 강도가 확보되는 범위에서 내층(2a)은 되도록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2b)을 형성하는 금속박의 두께는 약 7-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약 7㎛보다 얇으면 박이 유공성(有孔性)으로 되어서, 가스 배리어성(산소, 탄산가스, 수증기 등에 대한)이 상실되기 때문이다. 약 100㎛보다 두꺼우면 원가절감, 경량화라고 하는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데 금속박의 두께는 되도록 얇은 것, 즉 약 7-60㎛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 이 경우는 통상의 블랭크홀더 방식의 드로잉 성형에서는 플랜지부(4)와 동체벽부(2x)에 주름의 발생이 현저하며(주름 발생을 방지하려고 해서 커다란 주름 억제력을 가하면 파단되므로), 만족스러운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자들이 앞서 영국 특허공개 GB 2001893 A호 공보에 있어서 제안한 방법에 따라, 다이스 어깨부에 있어서 피가공재에 고무 탄성압을 가하면서 드로잉 성형을 하면, 주름을 발생시키지 않고 만족스러운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외층(2c)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용 플라스틱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연신 또는 무연신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그들의 공증합체나 블렌드 등이 사용된다. 외층(2c)의 두께는 드로잉 성형 후의 자기 형태 유지성과 금속박의 부식방지를 확보하고, 적층작업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되도록 얇은 것이 원가저감상 바람직하다. 따라서 통상은 약 50㎛ 이하이다. 그리고 외층(2c)을 형성하는 필름의 뒷면에 그라비야 인쇄함으로써, 인쇄용기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중간층(2b)이 비교적 두꺼울 경우는 외층(2c)으로서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을 적층하지 않고, 금속박에 직접 부식방지 가열압착도막을 형성해도 된다.
내부 성형체(3)는 내층(2a)과 열접착 가능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즉 바람직하게는 내층(2a)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동일하거나 같은 종류(같은 종류란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말함)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열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열성형이란, 진공성형, 압축공기성형, 사출성형 등의 연화상태 또는 용융상태에 있어서 행해지는 성형법을 말하며, 성형 후 잔류 응력은 거의 없거나 약간이다. 따라서 레토르트 살균 처리에 의한 열수축은 거의 없거나 약간이다.
내부 성형체(3)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0.3-2㎜,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1㎜이다. 약 0.3㎜보다 얇으면 벽부는 휘기 쉬워져서, 외부 성형체(2)에 대한 보강 효과가 상실되며, 한편 약 2㎜보다 두꺼우면, 플랜지부의 열접착이 곤란해지고, 또 원가고, 중량화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플랜지부의 열 접착에는 고주파 유도가열 방식, 초음파 방식, 임펄스 방식 등의 임의의 방법이 채용된다.
제3도, 제4도는 용기본체(1)에 내용물(14)을 충전 후, 뚜껑부(8)를 히트실 (heat seal)하여 밀봉한 밀봉용기(15)를 나타낸다. 뚜껑부(8)는 내면측에 내부 성형체 (3)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도시 생략 )이 적층된 금속판(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판 또는 양철)로 이루어지며, 그 둘레 가장자리부(8a)에 있어서, 내부 성형체 (3)의 플랜지부(5)와 히트실되어 히트실부(19)를 형성하고 있다. 뚜껑부(8)는 이른바 완전히 열리는 형의 열기 용이한 뚜껑으로서, 링풀탭(ring pull-tap)(16)이 고착부 (16a)에 있어서 뚜껑부(8)에 접착되어 있고, 또한 뚜껑부(8)의 외면에는 개구부를 구획하는 원주형의 스코어(score)(17)가 형성되어 있다.
제5도는 손가락(18)으로 링풀탭(16)을 끌어 올려서 스코어(17)를 절단하여 열고 있는 용기(15)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용기본체(1)를 도시생략의 다른쪽 손으로 스코어(17)의 절단에 요하는 힘에 항거하여, 어느 정도 강하게 잡는 것이지만, 그때 내부 성형체(3)의 보강작용에 의해 용기본체(1)가 찌그러지고, 내용물(14)이 넘쳐 나오는 폐단이 일어나는 일은 없다.
제6도, 제7도, 제8에 나타낸 용기본체(11)는 내부 성형체(13)의 동체벽부 (13a)에는 대략 축방향으로 직선상으로 뻗는 복수의(도면에서 8개)의 요홈(13b)이 열성형시에 형성되어 있는 점이 용기본체(1)와 다르다. 외부 성형체(2)에는 이와 같은 요홈이 형성되지 않으며, 따라서 내부 성형체(13)의 동체벽부(13a)및 저벽부(13c)의 외면과, 외부 성형체(2)의 동체벽부(2x) 및 저벽부(2y)의 내면이, 요홈(13b)의 부분을 남기고 실질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제9도, 제10도, 제11도는 용기본체(1)에 내용물(14)을 충전한 다음, 뚜껑부 (8)를 히트실 해서 밀봉하고, 레토르트 살균에 의해 가압 가열 살균 처리(예를 들면 2㎏/㎠에서 120℃, 30분간)된 밀봉용기(15')를 나타낸다. 레토르트 살균 처리시의 압력에 의해서, 가용성의 외부 성형체(2)의 동체벽부(2x)의 요홈(13b)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10도, 제11도에 나타낸 것처럼 반경방향 안쪽으로 누르는 힘을 받아 요홈(13b)내에 파고 들어, 요홈(13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요무늬(12)를 형성한다.
레토르트 살균 처리시의 가열에 의해, 열성형에 의해 형성된 내부 성형체(13)는 일반적으로 열수축이 없거나 또는 약간이지만(예를 들면 직경으로 약 1.0-1.5% 이하), 열수축 한다. 그러나 금속박을 포함하는 외부 성형체(2)는 금속박에 의해 구속되어 열수축하지 않으며, 또 열융착부(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15)의 경우에 있어서와 같이, 요홈(13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는 외부 성형체(2)와 내부 성형체 (13) 사이에 약간의 공극이 생겨 이 공극은 감압 상태에 있기 때문에 외부 성형체(2)에 불규칙한 요철무늬가 발생하여 상품가치를 저하시키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러나 용기(15')의 경우에 있어서와 같이 요홈(13b)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는 외부 성형체(2)에 요무늬(12)가 형성될 때, 외부 성형체(2)의 동체벽부(2x)의 다른 부분(2x1)이 원주 방향으로 인장되어서, 제10도에 나타낸 것처럼 내부 성형체(3)에 밀착하므로, 상술한 불규칙한 요철 무늬의 발생이 방지된다. 규칙적인 요무늬는 용기(15')의 외면을 아름답게 한다. 또 요무늬(12)의 유무에 의해서 용기본체(11)를 가지고 있는 용기의 레토르트 살균 처리가 끝났는지 여부의 판정이 가능하다.
레토르트 살균 처리를 하지 않는 밀봉용기, 예를 들면 내용물이 주스류 등이고, 열간(熱間) 충전(약 85-95℃에서의 충전) 후 밀봉되는 밀봉용기의 경우 또는 건조식품이 수납되는 밀봉용기의 경우는 충전전의 용기본체(11)를 공기압 또는 액체압 등의 유체압이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의 압력실내에서 가압함으로써 요무늬 (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11)를 미리 가열(약 60℃이상 융점 이하로 예를 들면 120℃로)하는 것은 또는 가열하면서 가압하는 것은 더욱 효과적이다.
요무늬를 형성하기 위한 요부는 적절한 형상으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2도에 나타낸 것처럼, 횡단면이 파도 형상의 다수의 대략 축방향으로 뻗는 요홈(23b)를 동체벽부에 형성된 내부 성형체(23)가 외부 성형체(2) 내에 삽입된 용기본체(21)라도 좋다. 이 경우도 레토르트 살균 처리 등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제13도에 나타낸 것처럼 요홈(23b)에 대응한 형상의 파도형상의 요무늬(2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4도에 나타낸 용기본체(31)의 외부 성형체(2)에는 그 동체 벽부에 마찬가지로 원환상의 요무늬(32a)파형머리띠모양의 요무늬(32b), 각기 A자형 및 C자형의 요무늬(32c) 및 (32d)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요무늬는 외부 성형체(2)의 통상의 가요성 적층블랭크의 드로잉 성형에 의해서는 성형이 불가능하다.
본원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의해서 제약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요무늬 형성을 위한 요부는 내부 성형체의 저벽부 외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외부 성형체 및 내부 성형체는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내에 있어서, 횡단면에 있어 모퉁이가 둥근 4각통 모양 등의 컵 모양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 뚜껑부는 스코어가 형성되지 않는, 그리고 링풀탭을 갖지 않는 히트 실부를 박리해서 개봉하는 형의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예]
내층(2a)이 두께 70㎛의 폴리프로필렌 필름, 중간층(2b)이 두께 50㎛인 연질 알루미늄박, 외층(2c)이 내면쪽에 그라비야 인쇄된 두께 40㎛의 무연신 나일론 6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각층 사이가 우레탄계 접착제로 접합된 적층체 블랭크에서 영국 특허공개 GB 2001893 A호 공보에 기재된 탄성고무 피복펀치를 사용하여 냉간 드로잉 성형 후, 컬링가공을 하여 제6도-제8도에 나타낸 형상의 외부 성형체(2)를 형성했다.
이 성형체(2)의 플랜지부(4)의 윗면까지의 높이 30㎜, 플랜지부(4)의 폭 3㎜, 플랜지부(4)의 내단부에 있어서의 직경은 65㎜로서, 내용적은 75㏄였다.
다음에 진공성형법(성형온도 190℃)에 의해, 요홈(13b)의 부분을 제외하고 외부 성형체(2)의 내부에 밀착하여, 삽입 가능한 형상, 치수를 갖는 두께 0.8㎜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제6도-제8도에 나타낸 형의 요홈(13b)를 갖는 내부 성형체(13) (동체벽부 두께는 약 0.5㎜)를 형성했다. 이어서 내부 성형체(13)를 외부 성형체(2)의 내부에 진공 중에서 삽입한 다음, 플랜지부(4) 및 (5)를 고주파 유도 가열에 의해 열융착했다.
링풀탭(16)이 있는 뚜껑부(8)는 적층블랭크로 형성되며, 적층은 두께 50㎛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내층, 두께 10㎛의 말레인 무수화물 변형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중간 접착층과, 외면이 에폭시-페놀래커코팅된 두께 100㎛의 알루미늄 박의 외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용기본체(1)에 염분 1중량%의 감자 샐러드를 70g 충전한 다음, 뚜껑부(8)를 이 플랜지부(5) 부분에 히트바(heat bar)에 의해 230℃, 1초간의 가열 조건으로 히트실하여 용접 밀폐된 용기(15')를 형성하였다.
상기 밀봉 후, 2㎏/㎠의 공기 압력하에 120℃, 30분의 레토르트 가압 가열 살균 처리를 했더니, 제9도,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요무늬(12)가 형성되고, 동체벽부 (2x)의 불규칙한 변형은 볼 수 없었다. 또 상기 살균이 끝난 밀봉용기(15')를 링풀탭 (16)을 손가락으로 끌어올려서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하여 개봉했지만, 그때 용기본체 (11)의 찌그러짐 등의 변형을 전혀 없었다.
제15도, 제16도는 컵 모양의 플라스틱 성형체(43) (내부 성형체(3)에 대응하는)의 내부에 컵 모양의 적층체 성형체(외부 성형체(2)에 대응하는)가 수납되어 이루어진 용기본체(41)를 나타낸 것이다.
적층체 성형체(42)와 플라스틱 성형체(43)가 각각의 플랜지부(44) 및 (45)에 있어서, 열융착부(47)를 형성하여 열접착 가능해지도록 적층체 성형체(42)의 외층 (42c)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이 제2도의 내층(2a)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과 종류, 두께 범위 등이 거의 같다. 외층(42c)을 제외하고, 적층체 성형체(42)와 플라스틱 성형체(43)의 재료는 각각 외부 성형체(2) 및 내부 성형체(3)의 재료와 거의 같다. 예를 들면 적층체 성형체(42)의 내층(42a) 및 중간층(42b)의 구성 등은 각기 외부 성형체(2)의 내층(2a) 및 중간층(2b)의 구성과 같다. 이 경우는 내층 (42a)의 플랜지부 (44)에 대응하는 부분에 뚜껑부(도시 생략)가 히트실 된다.
용기본체(41)는 플라스틱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며, 더구나 가스 배리어성이 풍부하고, 또한 찌그러짐등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8)

  1. 내면으로 되는 층이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금속박(2b)을 포함하는 가요성 적층체의 블랭크에서 드로잉 성형에 의해 성형된 플랜지부(4)를 갖는 외부 성형체(2)의 내부에, 이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과 열접착 가능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블랭크를 열성형함으로써 형성되며, 이 외부 성형체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플랜지부(5)를 갖는 보강용의 내부 성형체(3)가 수납되어 있고, 또한 이 외부 성형체와 이 내부 성형체는 최소한 각각의 플랜지부(4,5)에 있어서 열접착에 의해 기밀 접합되어 있는 용기본체.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성형체(13)의 벽부(13a) 외면에 소정형상의 요부(13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내부 성형체의 외면과 외부 성형체(2)의 내면이 이 요부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용기본체.
  3. 제2항에 있어서, 용기본체에 유체압을 가함으로써 외부 성형체에 이 요부 (13b)에 대응하는 형상의 요무늬(12)가 형성된 용기본체.
  4. 제3항에 있어서, 레토르트 가압 가열 살균 처리에 의해서 유체압이 가해진 용기본체.
  5. 제1항에 있어서, 금속박(2b)이 두께 7-100㎛의 알루미늄 박인 용기본체.
  6. 제1항에 있어서, 내면으로 되는 층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이 두께 10-200㎛의 열접착 가능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 용기본체.
  7.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성형체가 두께 0.3-2.0㎜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용기본체.
  8. 내면 및 외면으로 되는 층이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금속박(42b)을 포함하는 가요성 적층체의 블랭크에서 드로잉 성형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부 (44)를 갖는 내부 성형체(42)가 이 외면으로 되는 층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과 열접착 가능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블랭크를 열성형 함으로써 형성되며, 이 내부 성형체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보강용의 외부 성형체(43)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고, 또한 이 내부 성형체와 이 외부 성형체는 최소한 각각의 플랜지부(45)에 있어서 열접착에 의해 합체되어 있는 용기본체.
KR1019830003548A 1983-07-29 1983-07-29 용기본체 KR870001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3548A KR870001274B1 (ko) 1983-07-29 1983-07-29 용기본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3548A KR870001274B1 (ko) 1983-07-29 1983-07-29 용기본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110A KR850001110A (ko) 1985-03-16
KR870001274B1 true KR870001274B1 (ko) 1987-06-30

Family

ID=1922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548A KR870001274B1 (ko) 1983-07-29 1983-07-29 용기본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2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110A (ko) 198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549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formed articles, equipment for practicing same, and formed articles manufactured by the method
US4559257A (en) Laminate together with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AU720465B2 (en) Sealing structure for a container
US4692132A (en) Process for preparing a sealed laminated vessel
US3347419A (en) Collapsible dispensing tube
US4403010A (en) Metal-plastic laminate foil
US4595117A (en) Sealing lip for lid on thermoformed container
TW201823117A (zh) 覆膜食品易撕罐
KR870001274B1 (ko) 용기본체
EP0132468B1 (en) Container body
JP6463058B2 (ja) 再封可能な密封容器
JPS606783B2 (ja) 軽量密封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872738B2 (ja) 易開封性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3936Y2 (ko)
JPS6034330A (ja) 容器本体
CA1219820A (en) Container body
JPS63618Y2 (ko)
JPS6329558Y2 (ko)
JPS6114431Y2 (ko)
JPS6258975B2 (ko)
JPH0339368Y2 (ko)
JPH0242569Y2 (ko)
JPH0757388B2 (ja) 深底容器の製造方法
EP4082933A1 (en) Packaging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recycling method therefor
JPS5952094B2 (ja) 二重底容器ならびに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