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012B1 - One push button type automatic umbrella - Google Patents

One push button type automatic umbrell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012B1
KR870001012B1 KR1019840001709A KR840001709A KR870001012B1 KR 870001012 B1 KR870001012 B1 KR 870001012B1 KR 1019840001709 A KR1019840001709 A KR 1019840001709A KR 840001709 A KR840001709 A KR 840001709A KR 870001012 B1 KR870001012 B1 KR 870001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opening
umbrella
tubular
intermedi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7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50006671A (en
Inventor
대썽퉁
Original Assignee
대 썽 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 썽 퉁 filed Critical 대 썽 퉁
Priority to KR1019840001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012B1/en
Publication of KR85000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6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0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5/143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automatic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one push button type automatic umbrella. The mechanism is operated as follows; when the push button (6) is pressed, the upside ring (41) and the inner axle (4) are moved up, and stretchers (51)(52) are moved up and spread out.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o the oppsite direction, the middle axle (2) is moved up, and the upside, middle side and bottom side rings (41) (21)(11) and stretchers (51)(52)(53) are moved to fold the umbrella.

Description

단일 푸쉬버튼식 자동개폐우산Single pushbutto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mbrella

제1도는 본 발명의 우산이 완전히 접어진 상태의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umbrell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ly folded.

제2도는 본 발명의 우산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종단면도.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umbrella of the present invention fully deployed.

제3도는 본 발명의 우산이 제2도의 상태에서 접어진 상태의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umbrella of the present invention folded in the state of FIG.

제4도 (a)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4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4도 (b)는 제4도에 나타낸 부위의 종단면도.4 (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art shown in FIG.

제5도는 본 발명의 하부 내축에 형성된 슬롯트와 개구를 나타낸 정면도.5 is a front view showing a slot and an opening formed in the lower inner shaf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제1도에 나타낸 푸쉬버튼 기구의 조작을 나타낸 확대 요부 단면도.6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ushbutton mechanism shown in FIG.

제7도는 본 발명의 타실시예의 관형외곽축의 계합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ing means of the tubular outer axi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관형 외곽축 11 : 하부 링1: tubular outer axis 11: lower ring

12 : 환상 플랜지 13 : 확개부12: annular flange 13: extension portion

14,15,16 : 개구 2 : 관형 중간축14,15,16 opening 2: tubular intermediate shaft

21 : 중간 링 22 : 안내 돌조21: middle ring 22: guide stone

23,24 : 개구 3 : 하부 내축23, 24: opening 3: lower inner shaft

31 : 손잡이 32 : 안내 요조31: knob 32: guide

34 : 개구 35 : 슬리브34 opening 35 sleeve

38 : 슬롯트 39 : 확개구38: slot 39: expansion opening

4 : 상부 내축 41 : 상부 링4: upper inner shaft 41: upper ring

42 : 안내 요조 43 : 캡42: guide yo 43: cap

5 : 우산살 51 : 외곽 살5: umbrella life 51: outskirts

52 : 뻗침살 53 : 받침살52: Stretching 53: Base

6 : 푸쉬버튼 63 : 스프링6: push button 63: spring

7 : 제1코일스프링 8 : 제2코일스프링7: 1st coil spring 8: 2nd coil spring

9 : 탄지대 92 : 록킹 헤드9: bullet zone 92: locking head

93 : 돌출편 95 : 탄지편93: protrusion piece 95: bullet tip piece

96 : 록킹헤드96: locking head

본 발명은 자동 개폐우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 푸쉬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개폐가 가능토록 된 우산에 관한 것이다. 자동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자동우산은 예컨대, 미합중국 특허 No.3,856,030과 같이 이미 수종이 개시된 바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mbrella,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mbrella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by the operation of a single pushbutton. Automatic umbrella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have already been disclosed, for example, in US Patent No. 3,856,030.

이러한 종래의 우산은 개폐작동을 각각 2개의 푸쉬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이어서,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립시에도 번거로움과 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가격이 고가로 되어지는 것이다.Such a conventional umbrella is to perform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two push buttons, respectively, not only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but also the hassle and difficulty when assembling, and thus the price is expensive.

또한, 작동동기구가 커지기 때문에, 이에 작동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이것이 필연적으로 우산 외관이 미적인 감각에도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ng mechanism is large, it takes up a lot of operating space, which inevitably affects the aesthetic sense of the umbrella appearance.

더우기, 푸쉬버튼 장치에 있어서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푸쉬버튼의 오조작으로 우산이 잘못펼쳐지거나 접어지게 되어 푸쉬버튼 장치의 고장으로 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었다.Moreover, since the safety device was not provided in the pushbutton device, the umbrella could be unfolded or folded due to the wrong operation of the pushbutton, resulting in a failure of the pushbutton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자동우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단일 푸쉬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개폐 가능토록된 전자동 우산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drawbacks of the conventional automatic umbrella, to provide a fully automatic umbrella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operation of a single push butt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푸쉬버튼을 우연히 잘못 눌렀을시에 우산의 개폐가 잘못되고, 또한 개폐기구의 고장의 원인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2단 잠금기구로 된 단일 푸쉬버튼으로 조작되는 자동우산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perate an automatic umbrella operated by a single push button made of a two-stage locking mechanism that can prevent the umbrella from being opened or closed incorrectly by accidentally pressing the push button accidentally and causing the breakdown mechanism. It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푸쉬버튼의 조작이 유연하고 간단하여, 이러한 우산의 작동기구로 인하여 그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단일 푸쉬버튼으로 조작되는 자동우산을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umbrella operated by a single push button, which is flexible and simple to operate the push button, and the appearance of which is beautiful due to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umbrell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그 제작단가가 저렴하게 되는 우산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mbrella whos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which makes the manufacturing cost cheaper.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는 다음의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examples which are described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를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an optim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1도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우산은 관형외곽축(1), 관형 중간축(2), 하부내축 (3), 상부내축(4), 다수개의 우산살(5), 조작 푸쉬버튼(6), 제1코일 스프링(7) 및 제2코일 스프링(8)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umbrell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has a tubular outer shaft (1), a tubular intermediate shaft (2), a lower inner shaft (3), an upper inner shaft (4), a plurality of umbrella bars (5), and an operation pushbutton (6). And a first coil spring 7 and a second coil spring 8.

외곽축(1)의 상단부에 하부 링(11)을 삽입 고정하고, 이 외곽축(1)내부로 중간축(2) 을 습동자재로 삽입하며, 이 중간축(2)의 상단부에 중간 링(21)을 삽입고정시킨다. 2개의 내축(3),(4)중에서, 하부내축(3)은 상기한 중간축(2)의 하부측 내부로 습동자재로 삽입하고, 그 끝단부에 손잡이(31)를 부착시키며, 상부내축(4)은 중간축(2)의 상부측 내부로 습동자재로 삽입하고, 그 상단부에 상부링(41)을 삽입 고정시킨다.The lower ring 11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shaft 1, and the intermediate shaft 2 is inserted into the outer shaft 1 as sliding material. 21) Insert. Among the two inner shafts (3) and (4), the lower inner shaft (3)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material into the lower side of the intermediate shaft (2), attaching the handle 31 to the end thereof, and the upper inner shaft. (4)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material into the upper side of the intermediate shaft (2), and the upper ring 41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상기한 링(11),(21),(41)에 각 우산살(5)의 일단을 회동자재로 고정하고 중간축(2)의 상부를 빙둘러 싸게되며, 중간링(21)과 하부링(11) 사이에 제1코일 스프링 (7)을 설치한다.The one end of each umbrella (5) to the ring (11), (21), (41) is fixed to the rotating material and the upper part of the intermediate shaft (2) is cheaply wrapped, the intermediate ring (21) and the lower ring The first coil spring 7 is installed between the elevens.

푸쉬버튼(6)은 하부 내축(3)과 손잡이(31) 상부에 작동되게 배설하고, 중간축 (2) 내부에 상부 내축(4)과 하부 내축(3) 사이에 제2코일 스프링(8)을 설치한다.The pushbutton 6 is arranged to be operated above the lower inner shaft 3 and the handle 31, and the second coil spring 8 between the upper inner shaft 4 and the lower inner shaft 3 inside the intermediate shaft 2. Install it.

상기한 외곽축(1)의 상단부에 하부링(11)이 삽입 고정됨과 동시에 하단부에 확개부(13)를 형성하고, 이 확개부(13)의 끝단을 내향 절곡하여 환상의 플랜지(12)를 형성한다. 또한, 외곽축(1)의 일측으로 하측부위와 중간부위에 개구(15)(14)를 각각 형성하여, 이에 후술하는 탄지편(95)과 계합자재토록 한다. 외곽축(1) 내부에 습동자재로 삽입된 중간축(2)의 길이는 외곽축(1)의 길이 보다 길고, 이 중간축(2)의 상단부에 중간 링(21)이 삽입 고정되고, 또한 상, 하부위 내측으로 제4도(a) 및 제4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향으로 안내 돌조(22),(22)를 적어도 한개, 바람직 한 것은 본 실시예와 같이 대칭으로 2개를 형성한다.The lower ring 11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shaft 1 and an extension 13 is formed at the lower end, and the end of the extension 13 is bent inward to form an annular flange 12. Form. In addition, openings 15 and 14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shaft 1 at the lower side and the middle portion, respectively, so as to engage with the tungsten piece 95 to be described later. The length of the intermediate shaft 2 inserted into the outer shaft 1 as sliding material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outer shaft 1, and the intermediate ring 21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shaft 2.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22, 22 inwardly, as shown in Figs. 4 (a) and 4 (b), upper and lower portions, preferably two symmetrically as in this embodiment. To form.

작동시에, 상기 2개의 안내 돌조(22),(22)는 상, 하부 내축(4)(3)이 중간축(2)내에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2개의 내측(4)(3)이 상기 중간축(2)내에 상하 습동시에 안내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중간축(2)의 일측방으로 하단 부위와 중간부에 각각 개구(23),(24)를 형성한다.In operation, the two guide protrusions 22, 22 prevent the upper and lower inner shafts 4, 3 from pivoting in the intermediate shaft 2, and also the two inner side 4, 3 ) Performs the guide role in the up-and-down movement in the intermediate shaft (2). In addition, the openings 23 and 24 are formed in the lower end part and the intermediate part to one side of the intermediate shaft 2, respectively.

개구(23)는 2개의 안내돌조(22)(22) 사이에 위되하고 탄지대(9) (후술한다)의 록킹해드(92)와 계지토록 되어 있으며, 개구(24)는 탄지대(9)의 상부측으로 위치되어 탄지편(95)과 계지토록 되어 있다. 상, 하부 내축(4)(3)은 각각 제4도(a) 및 제4도(b)에 나타낸 바와같이 안내요조(32)(42)를 적어도 한개, 바람직한 것은 대칭으로 2개를 배설한다. 하부 내축(3)의 상단부위를 중간축(2)의 하단부위 내부로 습동자재로 삽입되고, 상부 내축(4)의 하단부위를 상기 중간축(2)의 상단부위 내부로 습동자재로 삽입이 되어서, 상기 중간축(2)의 상, 하부에 형성된 안내돌조(22)(22)는 상, 하부 내축(4)(3)의 안내 요조(42)(32)에 삽착되어, 중간축(2)내에서 상, 하부 내축(4) ,(3)은 회동이 방지되어 진다. 손잡이(31)는 하부 내축(3)의 상단부위에 삽입되어 록킹핀(33)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31) 상단부위에 슬리브(35)를 형성하고, 이 일측에 사각 개구(34)를 형성하여 이에 푸쉬버튼(6)을 조작이 자재롭게 설치한다.The opening 23 is located between the two guide protrusions 22 and 22 and engages with the locking head 92 of the magazine zone 9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pening 24 is the magazine zone 9. It is loc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engaging piece 95 and the engaging. The upper and lower inner shafts 4, 3 respectively dispose at least one guide yoke 32, 42, preferably two symmetrically, as shown in FIGS. 4A and 4B, respectively. . The upper end of the lower inner shaft 3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material into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shaft 2,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inner shaft 4 is inserted into the upper material of the intermediate shaft 2 into the sliding material. The guide protrusions 22 and 22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termediate shaft 2 are inserted into the guide recesses 42 and 32 of the upper and lower inner shafts 4 and 3, respectively. In the upper and lower inner shafts (4), (3) is prevented from rotating. The handle 31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inner shaft 3 is fixed by the locking pin 33, to form a sleeve 35 on the upper end of the handle 31, the square opening 34 on one side To form a push button (6) operation is installed freely.

탄지대(9)는 하부 내축(3)의 내부로 거의 전장에 걸쳐서 설치되고, 이 탄지대 (9)의 고정단(91)이 하부 내축(3)의 상단부위에 형성된 요홈(37)에 삽입 고정되고, 이 탄지대(9)의 중간부위에 록킹해드(92)를 형성하여, 이것이 하부 내축(3)에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트(38)의 상단부위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토록 하며, 상기 탄지대(9)의 타단에는 놋치(94)를 가지며, 상기 록킹해드(92)보다 더 돌출된 F자형의 돌출편(93)을 형성한다. 이 돌출편(93)은 상기 슬롯트(38)를 관통 돌출하여, 이에 푸쉬버튼(6)을 부착하여 조작토록 한다.The magazine stand 9 is install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lower inner shaft 3, and the fixed end 91 of the magazine stand 9 is inserted into the groove 37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inner shaft 3. It is fixed, and forming a locking head 92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magazine 9, so as to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slot 38 formed longitudinally on the lower inner shaft (3) The other end of the magazine zone 9 has a notch 94 and forms an F-shaped protrusion 93 that protrudes more than the locking head 92. The protruding piece 93 protrudes through the slot 38 and is attached to the push button 6 to be manipulated.

푸쉬버튼(6)은 슬리브(35)의 개구(34)를 통하여 돌출되고, 이 푸쉬버튼(6)의 이면에는 구멍(61)이 형성되어 돌출편(93)을 상하 이동자재로 삽착토록 한다. 즉, 상기 구멍(61)의 개구측 저면에 후크상의 걸림턱(62)을 상향으로 돌설하고, 이에 상기 돌출편(93)의 놋치(94)와 계합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멍(61)의 상내면과 돌출편(93) 사이에 스프링(63)을 탄설하여 푸쉬버튼(6)이 제6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항시 상향으로 부세되어 위치토록 하여서 상기 후크상의 걸림턱(62)과 놋치(94)와 계합토록 되어 있다. 상기한 슬롯트(38)와 연통되고 하방으로 확개된 사각의 확개구(39)를 형성하여 이것이 슬리브(35)의 개구(34)와 대응되게 위치된다. 한편, 상기한 탄지대(9)의 상방으로 하부 내축(3)의 상단부위에 탄지편(95)을 설치하고, 이 탄지편(95)의 록킹헤드 (96)가 개구(30)를 통하여 중간축(2)의 개구(24)에 걸리도록 한다. 상부링(41)은 상부 내축(4)의 중간 부위 상측으로 삽입 고정시키고, 상부내축(4)의 상단부는 캡(43)으로 나사 결합시킨다.The push button 6 protrudes through the opening 34 of the sleeve 35, and a hole 61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ush button 6 to insert the protruding piece 93 into the vertical movement material. That is, the hook-shaped locking projection 62 protrudes upwar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side of the hole 61, and engages with the notch 94 of the protruding piece 93. Then, the spring 63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le 61 and the protruding piece 93 so that the push button 6 is always pushed upward and positioned as shown in FIG. It is made to engage with the latching jaw 62 and the notch 94. A rectangular enlargement opening 39 is formed which communicates with the slot 38 and extends downwardly so that it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34 of the sleeve 35. On the other hand, a carbon finger piece 95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inner shaft 3 above the magazine zone 9, and the locking head 96 of the finger piece 95 is placed in the middle through the opening 30. Engage the opening 24 of the shaft 2. The upper ring 41 is inserted and fixed above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inner shaft 4,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inner shaft 4 is screwed into the cap 43.

복수개의 우산살(5)은 통상적으로 8개 내지 10개의 외곽살(51)과 동수의 뻗침 살(52) 및 받침 살(53)로 구성된다. 각 외곽살(51)의 일단은 상부 링(51)에 회동자재로 고정시키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하며, 중간 부위에 회동 지지구(54)를 삽착시켜서, 이에 뻗침살(52)의 일단을 회동자재로 고정시키고 타단은 중간 링(21)에 역시 회동자재로 고정시키고, 또한 이 중간 부위에 회동 지지구(55)을 삽착시켜서, 이에 받침 살(53)의 일단을 회동자재로 고정시키고, 타단은 하부 링(11)에 회동자재로 고정시킨다. 중간 링(21)과 하부 링(11) 사이에 제1코일 스프링(7)을 설치하되,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우산이 접어질 때에 자유장에 가깝게 확장이 되도록 하며, 한편 제2코일 스프링(8)은 우산이 접어질 때에 압축이 되도록 하여서, 상부 내축(4)과 하부 내축(3)이 상향으로 각각 탄발을 받도록 한다.A plurality of umbrella meat (5) is typically composed of eight to ten outer meat (51), the same number of the extension meat 52 and the support meat (53). One end of each outer skin 51 is fixed to the upper ring 51 by the rotating material, and the other end is a free end, by inserting the rotation support 54 in the middle part, thereby rotating the one end of the extension 52 The material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also fixed to the intermediate ring 21 by the rotational material, and also by inserting the rotation support 55 in this intermediate portion, thereby fixing one end of the base 53 to the rotational material,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ower ring (11) with a rotating material. A first coil spring 7 is provided between the middle ring 21 and the lower ring 11, as shown in FIG. 1, so that the umbrella expands close to the free field when the umbrella is folded, while the second coil The spring 8 is compressed so that the umbrella is folded, so that the upper inner shaft 4 and the lower inner shaft 3 receive upward shots, respectively.

그리고, 중간축(2)과 외곽축(1)이 2개의 탄지대(9) 및 탄지편(95)의 록킹 헤드 (92)(96)(각각 일 방향으로만 계지가 되도록 되어 있다.)에 의하여 동시에 잠금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7)(8)의 탄발력으로도 중간축(2)과 외곽축(1), 상부 내축 (4)과 하부 내축(3)이 상호인발이 되지 않게 된다.Then, the intermediate shaft 2 and the outer shaft 1 are connected to the locking heads 92 and 96 (each of which is held in only one direction) of the two magazines 9 and the magazine pieces 95. Because of the locked state at the same time, the intermediate shaft (2) and the outer shaft (1), the upper inner shaft (4) and the lower inner shaft (3) do not become mutually pulled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7) (8) .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곽축(1)의 하단부에 전술한 바와같은 환상의 플랜지(12)대신에 이에 개구(16)를 천설하여, 이것과 중간축(2)의 개구(23)와 일치시켜도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As shown in FIG. 7, in another embodiment, an opening 16 is installed in the lower end of the outer shaft 1 instead of the annular flange 12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made to coincide with the opening 23. In the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우산이 완전히 접어진 상태에서, 우산살(5)은 하향되어 접어지게 되며, 제1코일 스프링(7)은 자유 상태에 가깝게 해방됨과 동시에 제2코일 스프링(8)은 압축되어 탄발력을 갖게 된다. 이때에, 외곽축(1), 중간축(2) 및 하부 내축(3)은 2개의 탄지대(9) 및 탄지편(95)에 의하여 잠금상태로 되어 우산은 접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 in the state where the umbrella is completely folded, the umbrella meat 5 is folded downward and the first coil spring 7 is released close to the free state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oil spring 8 Is compressed to give elasticity. At this time, the outer shaft (1), the intermediate shaft (2) and the lower inner shaft (3) is locked by the two magazines 9 and the magazine piece 95 is able to maintain the umbrella folded state .

또한, 푸쉬버튼(6)은 개구(34)의 상방으로 위치되고, 걸림턱(62)과 돌출편 (93)의 놋치(94)와 계지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ush button 6 is positioned above the opening 34 and locked with the notch 94 of the locking jaw 62 and the protruding piece 93.

이와같이 우산이 접어진 상태로부터 우산을 펴고저 할 때에, 푸쉬버튼(6)을 압압하면 탄지대(9)의 고정단(91)이 지지점으로 되어서 탄성력을 대항하여 돌출편(93)이 눌러져서 이에 록킹헤드(92)가 외곽축(1)으로부터 이탈이 되어 중간축(2)의 개구 (23)에만 걸리게 된다. 이것은, 푸쉬버튼(6)이 상향으로 놓여 있는 위치에서 압압하면 외곽측(1)의 플랜지(12)로부터 록킹헤드(92)는 탈착이 될 만큼 록킹헤드(92)가 근소한 거리만 이동 하기 때문에 중간축(2)과는 계합이 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중간축(2)과 하부 내축(3)과는 아직 계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외곽축(1)이 일측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제2코일 스프링(8)의 탄발력이 탄지편(95)에만 작용하여 그 탄발력으로 개구(14)로부터 탄지편(95)는 탈착이 되고(이 탄지편(95)은 반달형으로 일방향으로만 계지된다), 상부 내축(4)은 중간축(2)에 대하여 상향으로 이동되고, 이에따라, 상부링(41)은 상부 내축(4)과 함께 상향이동된다. 또한, 상부 링(41)에 회동자재로 고정된 우산살(5)의 외곽 살(51)도 상향이동되고, 이 외곽살(51)의 중간 부위에 뻗침 살(52)의 일단이 회동자재로 고정되고, 타단이 중간 링(21)에 회동자재로 고정되어, 상부 링(41)이 상승됨에 따라서 중간축(2)의 상단부에 고정된 중간 링(21)이 외곽 살(51)과 함께 상승되며, 또한 중간 링(21)에 회동 자재로 고정된 뻗침살(52)이 중심부로서 상승된다.In this way, when the umbrella is to be unfolded from the folded state, when the push button 6 is pressed, the fixed end 91 of the magazine stand 9 becomes a support point, and the protruding piece 93 is pressed against the elastic force. The locking head 92 is disengaged from the outer shaft 1 and is caught only by the opening 23 of the intermediate shaft 2. This is because the locking head 92 moves only a small distance so that the locking head 92 is detached from the flange 12 of the outer side 1 when the push button 6 is pressed upward. The shaft 2 remains engaged. Thus, the intermediate shaft 2 and the lower inner shaft 3 remain engaged. As the outer shaft 1 is unlocked on one side, the resilience force of the second coil spring 8 acts only on the recoil piece 95, and the reel force 95 is detached from the opening 14 by the resilience force. (This tangerine piece 95 is semi-moon-shaped and latched only in one direction.), The upper inner shaft 4 is mov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shaft 2, and accordingly, the upper ring 41 is with the upper inner shaft 4 It moves upward. In addition, the outer flesh 51 of the umbrella meat 5, which is fixed to the upper ring 41 by the rotating material, is also moved upward, and one end of the stretched meat 52 is rota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outer meat 51 by the rotating material. It is fixe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intermediate ring 21 by the rotation material, and as the upper ring 41 is raised, the intermediate ring 21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shaft 2 is raised together with the outer skin 51. In addition, an extension 52 fixed to the intermediate ring 21 by the rotational material is raised as the center portion.

뻗침살(52)의 상승에 따라서, 이에 회동자재로 고정된 받침살(53)이 제1코일 스프링(7)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압축하면서 중간축(2)에 대해서 외곽축(1)을 끌어올리게 된다. 중간 링(21)과 하부 링(11) 사이에 설치된 제1코일 스프링(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곽축(1)의 상승에 따라서 압축되어 탄성력을 갖게 되어 다음에 우산을 펼시에 이 탄성력을 이용하며, 탄지편(95)이 외곽축(1)의 하단 부위 형성된 개구(15)에 계지된 때 상기 외곽축(1)의 상승은 정지된다.In accordance with the rise of the extension bar 52, the support bar 53 fixed to the rotational material is pulled against the intermediate shaft 2 while compressing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coil spring 7. Rais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il spring 7 installed between the intermediate ring 21 and the lower ring 11 is compressed in accordance with the rise of the outer shaft 1 to have an elastic force. In this case, the rising of the outer shaft 1 is stopped when the finger piece 95 is locked to the opening 15 form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outer shaft 1.

제1코일 스프링(7)이 완전 압축이 되고, 양 코일 스프링(7)(8)이 평형상태로 될시에, 상부 내축(4)과 외곽축(1)은 더 이상 상승이 안되지만, 제2코일 스프링(8)은 아직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서 어느정도 상승하려는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우산은 완전히 펴진 상태로 되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first coil spring 7 is fully compressed and both coil springs 7 and 8 are in equilibrium, the upper inner shaft 4 and the outer shaft 1 are no longer raised, but the second The coil spring 8 still has elastic force and is in a state of being raised to some extent. 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umbrella is used in a fully extended state.

다음, 우산이 펴진 상태에서 접을 시에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쉬 버튼 (6)을 코일 스프링(63)의 탄받력을 대향하여 하향으로 압압하고, 이어서 하부 내축(3)의 확개된 확개구(39)측으로 압압한다.Next, when folded in an open state, as shown in FIG. 6, the push button 6 is pushed downward to face the ball bea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63, and then the extended expansion of the lower inner shaft 3 is performed. Pressed to the opening 39 side.

푸쉬버튼(6)의 압압에 의하여, 탄지대(9)의 탄성력을 대항하여 눌러지게 되어서 푸쉬버튼(6)의걸림턱(62) 부위가 상기 확개된 확개구(39)내로 인입되어 최저 위치에 도달되게 되어져서, 이에 록킹해드(92) 역시 최저 위치로 퇴각되어서, 이 록킹 해드 (92)가 중간 축(2)의 개구(23)로 부터 계지가 해제된다. 이때 제2코일 스프링(8)에 남어 있는 탄발력으로 하부 내축(3)을 하향으로 밀게 되지만, 손잡이(31)는 사람이, 잡고 있기 때문에 고정상태로 되어서 상부 내축(4)으로 상향으로만 누르게 되며, 이 상부 내축(4)도 코일 스프링(7)으로 압축된 상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제2코일 스프링 (8)의 탄발력은 결국은 중간측(2)으로 작용하게 되어지며, 이것이 탄지편(95)의 록킹헤드(96)를 개구(15)(24)로 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이록킹헤드(96)는 일방으로만 잠금이 되고 반대 방향으로 해지가 되도록 되어 있으며, 탄지대(9)는 이미 해제상태에 있기 때문에 중간축(2)은 자유상태 놓여짐과 동시에 제1코일 스프링(7)이 작용하여 중간축(2)을 계속 상승시키며, 상대적으로 외곽축(1)은 하향된다. 이 2개의 축(1),(2)의 상하 각각 이동 작용에 의하여 이에 상, 중, 하부 링(41),(21),(11)이 연동되고 이에 회동자재로 고정된 외곽살(51), 뻗침살(52), 받침살(53)이 각각 연계되어 우산이 접어진 상태로 되며, 이때에 제1,제2코일 스프링(7)(8)은 각각 자유상태에 가깝게 확장되어 거의 탄성력이 없게되고, 이것이 제3도에 나타낸 우산이 접어진 상태이다. 다음 작동의 마지막 단계로서, 하부내측(2)을 삽입 시키는 것으로, 우산의 상부 내축(4)의 끝부를 지면이나, 딱딱한 표면에 대고 우산의 손잡이(31)를 잡고 하향으로 누르면, 제2코일 스프링(8)을 압축시키면서 하부 내축(3)이 중간축(2) 내부로 깊숙이 눌러지게 되며 제 2코일 스프링(8)은 계속 압축이 되어지며 탄지편(95)은 계지가 안되며(일방향만 계지가 되게 반달형으로 되어 있음) 탄지대(9)의 록킹헤드(92)가 중간축(2)의 개구(23)를 관통하여 외곽축(1)의 확개부(13)에 형성된 환상의 플랜지부(12)에 계지되어 외곽축 (1)과 중간축(2)과 함께 하부 내축(3)도 계지가 되어진다.By pressing the pushbutton 6, the pusher 6 is pressed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magazine stand 9 so that the locking jaw 62 of the pushbutton 6 is drawn into the expanded opening 39 at the lowest position. Upon reaching it, the locking head 92 is also retracted to its lowest position so that the locking head 92 is released from the opening 23 of the intermediate shaft 2. At this time, the lower inner shaft (3) is pushed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remaining in the second coil spring (8), but the handle (31) is fixed because the person is holding the upper inner shaft (4) to press only upwards. Since the upper inner shaft 4 is also compressed by the coil spring 7,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coil spring 8 eventually acts as the middle side 2, which is the piece The locking head 96 of 95 is disengaged from the openings 15 and 24. The locking head 96 is locked in one direction and is relea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ince the magazine 9 is already released, the intermediate shaft 2 is placed in a free state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coil spring. (7) acts to keep the intermediate axis (2) up, and the outer axis (1) is relatively downward. Upper, middle, and lower rings 41, 21, and 11 interlock with each other by the movement of the two shafts 1 and 2, respectively, and the periphery 51 fixed to the rotating material by this. , The extension 52 and the base 5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umbrella is in a folded state.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coil springs 7 and 8 are respectively extended close to the free state, so that almost elastic force is obtained. This is the folded umbrella shown in FIG. As a final step of the next operation, by inserting the lower inner side 2, pressing the end of the upper inner shaft 4 of the umbrella against the ground or a hard surface and pressing the handle 31 of the umbrella downwards, the second coil spring While compressing (8), the lower inner shaft (3) is pressed deep into the intermediate shaft (2), the second coil spring (8) continues to be compressed and the tangerine piece (95) cannot be locked (only one direction The locking head 92 of the magazine zone 9 penetrates through the opening 23 of the intermediate shaft 2 to form an annular flange 12 formed in the extension 13 of the outer shaft 1. ), The lower inner shaft 3 is also engaged with the outer shaft 1 and the intermediate shaft 2.

한편, 제1코일 스프링(7)은 거의 자유상태로 되어 탄성력이 없게 되며, 제2코일 스프링(8)은 압축상태로 되어, 이에 탄발력을 갖게 되어 다음에 우산을 자동적으로 펼때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il spring (7) is almost free state and there is no elastic force, the second coil spring (8) is in a compressed state, it will have a resilience force to use the next time the umbrella is automatically unfolded .

이상,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되고, 상술한 본 실시예는 단일 푸쉬버튼에 의하여 수행되는 우산의 개폐작동 뿐만 아니라, 작동기구의 오동작이나, 고장을 푸쉬버튼의 2단 잠금구조의 기능으로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shown in FIGS. 1 to 7,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a function of the two-stage locking structure of the push button as well a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umbrella performed by a single push button, as well as malfunction or malfunction of the operating mechanism. This can be prevented.

즉, 우산이 펼쳐진 상태에서 접을시에 푸쉬버튼(6)은 내설된 스프링(63)의 탄성력을 대항하여 1단계 하향으로 누르고(제6도참조), 이어서 제2단계로 슬리브(35)의 내측으로 눌려서 하부 내축(3)으로 부터 중간축(2)의 계지를 해제하여야 하기 때문에 만약 푸쉬버튼(6)이 단지 누르거나 당겨도 우산에는 어떠한 작동도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펼쳐진 우산이 푸쉬버튼(6)을 우연히 누르게 되어도, 우산은 접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종래의 자동 우산은 상호 상이한 푸쉬버튼에 의하여 우산의 개폐가 각각 작동되는 것이지만,That is, when folded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umbrella, the push button 6 is pushed downward by one step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3 (see FIG. 6), and then the inside of the sleeve 35 in the second step. Since the locking of the intermediate shaft (2) from the lower inner shaft (3) to be pressed by pressing the push button (6) just press or pull does not cause any operation to the umbrella. Therefore, even if the umbrella unfolds by pushing the push button 6 by accident, the umbrella is not folded.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automatic umbrella,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umbrella are operated by different push buttons, respectively.

본 발명에 의한 우산은 단일 푸쉬버튼이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하고 그 구조가 단순하여 이에 따라 푸쉬버튼 부위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umbrel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ngle pushbutton, it is convenient in use and its structure is simpl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ke the appearance of the pushbutton part beautiful.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 설명한 것이지만,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수종의 유형을 만들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make several typ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within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상단부에 삽입고정된 하부링과 하단부에 형성된 계합수단과 중간 및 하단부위에 형성된 2개의 개구를 가진 관형 외곽축과 ; 상기 관형 외곽축에 습동자재로 내삽되고, 상단부에 중간 링이 삽입 고정되며, 상, 하단 부위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돌조와 하단 및 중간 부위의 일측면 형성된 2개의 계지 개구를 가진 관형 중간축과 ; 상기 관형 중간축의 하단 부위에 습동자재로 내삽되고, 상기 관형 중간축으로부터 이간된 하단 부위에 장착된 손잡이와, 상기 관형 중간축과 상기관형 외곽축을 계지 및 해지토록 하단 및 상단부위에 설치된 탄지대와 탄지편과, 이 탄지대를 조작토록 하며, 이 탄지대의 하단부에 이동자재로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 상단부위에 위치토록된 푸쉬버튼으로 된 푸쉬버튼 부재를 가진 하부 내축과 ; 상기 관형 중간축의 상단부위에 습동자재로 내삽되고, 상단에 나사 결합된 캡과 상단부에 삽입 고정된 상부 링을 가진 상부 내축과 ; 일단이 상기 상부 링에 회동토록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된 외곽살과 일단은 상기 중간 링에 회동토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곽살의 중간부위에 회동토록 연결된 뻗침살과 일단은 하부링에 회동토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뻗침살의 중간부위에 회동토록 연결된 뻗침살을 가진 다수개의 우산살과 ; 상기 중간축의 상단부위에 상기 중간 링과 하부 링 사이에 설치되어 우산이 접어지도록 된 제1탄성부재와 ; 상기 관형 중간축의 내부로 상기 상부 내측과 하부 내축 사이에 설치되어 우산이 펼쳐지도록 된 제2탄성부재로 구성된 단일 푸쉬버튼식 자동개폐우산.A tubular outer shaft having a lower ring inserted into the upper end and engaging means formed at the lower end and two openings formed at the middle and lower ends thereof; The tubular intermediat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outer shaft by sliding material, and the middle ring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and has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two locking opening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and middle parts. Axis; A handle mounted on a lower portion separated from the tubular intermediate shaft by a sliding material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tubular intermediate shaft, and a Tangerine zone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ubular intermediate shaft and the tubular outer shaft to hold and terminate the tubular intermediate shaft; A lower inner shaft having a bombardment piece, a pushbutton member adapted to be operated with the bombardment,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cage, with a pushbutton member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handle; An upper inner shaft inserted into a sliding material at an upper end of the tubular intermediate shaft, and having a cap screwed to the upper end and an upper ring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ne en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upper ring, the other end is a free end, and the other en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middle ring,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iddle part of the outer meat, and one en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lower ring. A plurality of umbrella wires connected to the other end and having a stretched tooth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stretched meat; A first elastic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intermediate ring and the lower ring at an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shaft to fold an umbrella; Single push-butto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mbrella consisting of a second elastic member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inner and lower inner shaft inside the tubular intermediate shaft to expand the umbrell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내축은 하단 부위에 확개구를 가지며, 축심과 평행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트와 상단 부위에 개구를 각각 형성하고, 이 하부 내축의 내부에 상기관형 중간축과 관형 외곽축을 계지시키도록 탄지대와 탄지편을 각각 설치하며, 상기 탄지대의 상단부의 일단을 상기 하부 내축의 측면에 고정시키고 하단은 자유 단으로 하여 상기 슬롯트의 하측을 관통할 수 있도록 돌출편을 형성하고 이 탄지대의 중간부위에 록킹 헤드를 형성하여 이를 상기 슬롯트의 상단부위로부터 돌출토록하고, 상기 돌출편은 상기 푸쉬버튼부재와 이동자재로 계합토록 하며, 상기 탄지편은 하부 내축의 상단부에 상기 탄지대의 상방으로 계합 자재로 설치되고, 우산이 접어진 상태시에 상기 탄지대의 록킹헤드가 상기 관형 중간축의 하측개구와 상기 관형 외곽축의 계합수단과 계지토록 되며, 상기 탄지편은 상기 관형 중간축의 상측 개구와 관형 외곽축의 상측 개구와 계지토록 되고, 우산이 펴진 상태시에는 상기 록킹헤드가 상기 관형 중간축의 하측 개구만 계지되며, 상기 탄지편은 상기 관형 중간축의 상측 개구와 관형 외곽축의 하측 개구와 계지토록 구성된 단일 푸쉬버튼식 자동개폐우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inner shaft has an opening in the lower portion, the slot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axis and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respectively, the tubular intermediate axis and the tubular outer axis in the lower inner shaft Each of the tungsten zone and the tangy piece is installed so as to be locked, and one end of the upper end of the tangerine is fixed to the side of the lower inner shaft and the lower end is a free end to form a protruding piece to penetrate the lower side of the slot. The locking head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tungsten zone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slot, and the protruding piece is engaged with the push button member and the moving material, and the tungsten piec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inner shaft. It is installed with a mating material above the tank area, and the locking head of the tank area is opened at the lower side of the tubular intermediate shaft and the tubular outside when the umbrella is folded.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shaft is engaged with the upper edge of the tubular outer shaft and the upper opening of the tubular intermediate shaft, and the locking head engages only the lower opening of the tubular intermediate shaft when the umbrella is opened. The finger piece is a single pushbutto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mbrella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upper opening of the tubular intermediate shaft and the lower opening of the tubular outer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 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상부측에 슬리브를 형성하고, 이 슬리브 일측에 푸쉬버튼이 위치되게 개구를 형성하여 이와 상기 슬롯트의 확개구와 대응되게 위치되며, 상기 슬리브의 개구에 위치되는 푸쉬버튼은 그 이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상기 탄지대의 돌출편과 이동자재로 계합되고, 상기 구멍 저면에 후크상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이에 상기 돌출편의 저부에 형성된 놋치와 계합토록하며, 상기 푸쉬버튼의 구멍 내부의 상면과 상기 돌출편 상면 사이에 상기 구멍내부로 탄설된 탄성수단은 상기 후크상의 걸림턱과 상기 놋치와 계지가 되도록 상기 푸쉬버튼을 항시 하방으로 부세토록 구성된 단일 푸쉬버튼식 자동개폐우산.The pushbutton member of claim 1, wherein the pushbutton member forms a sleeve on an upper side of the handle, and an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leeve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of the slot. The push button positioned at the opening of the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protruding piece and the moving material of the boulder through a hole form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a hook-like locking jaw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ole to engage the notch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rotruding piece. The elastic means that is installed in the hol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hole of the pushbutt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iece is a single push configured to push the pushbutton downward at all times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atching jaw on the hook and the notch. Button typ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mbrell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버튼은 정상 위치에서 압압시에 상기 관형외곽축의 상기 계합수단으로부터만 상기 탄지대의 록킹헤드는 해지가 가능토록 눌려지고, 상기 관형중간축의 상기 개구와는 그대로 계지되도록 눌려지며, 상기 푸쉬버튼을 하향으로 누르고, 이어서 상기 확개구로 압압하면 이 확개구로 상기 푸쉬버튼이 일부가 인입되어 상기관형 중간축과 상기 관형외곽축의 2개의 개구로부터 해지가 되도록 조작거리를 각각 구비하여서 구성된 단일 푸쉬버튼식 자동개폐우산.The locking hea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sh button is pressed so that the locking head of the cage can be released only from the engaging means of the tubular outer shaft when pressed in the normal position so as to be retained as it is from the opening of the tubular intermediate shaft.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downwards, and t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into the expansion opening, a part of the push button is inserted into the expansion opening to release the operation distance from the two openings of the tubular intermediate shaft and the tubular outer shaft. Equipped with a single pushbutto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mbrella.
KR1019840001709A 1984-03-31 1984-03-31 One push button type automatic umbrella KR8700010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1709A KR870001012B1 (en) 1984-03-31 1984-03-31 One push button type automatic umbrell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1709A KR870001012B1 (en) 1984-03-31 1984-03-31 One push button type automatic umbrell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671A KR850006671A (en) 1985-10-16
KR870001012B1 true KR870001012B1 (en) 1987-05-23

Family

ID=1923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709A KR870001012B1 (en) 1984-03-31 1984-03-31 One push button type automatic umbrell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01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765B1 (en) * 2007-03-06 2007-12-14 임형준 an umbrella for automatic open and shu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765B1 (en) * 2007-03-06 2007-12-14 임형준 an umbrella for automatic open and sh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671A (en) 198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4374A (en) Fully automatic single push button type umbrella
EP0291589B1 (en) Fully automatic single push button type umbrella
KR910000302Y1 (en) Hinge for foldabel ladder
GB2313052A (en) Catch release for an umbrella runner
EP0425071B1 (en) Automatic umbrella
US6170498B1 (en) Multiple-fold automatic umbrella
CA2047974C (en) Lightly operable fully automatic umbrella
KR870001012B1 (en) One push button type automatic umbrella
US5058613A (en) One hand operated umbrella capable of self-closing
US4887441A (en) Quickly openable combination padlock of push-button type
JPH07112444B2 (en) Umbrella with slider release mechanism
US5060684A (en) Automatic umbrella foldably retained by tip cap
US5247955A (en) Ergonomically operating automatic umbrella
KR900000725B1 (en) Automatic umbrella
JPS6249043B2 (en)
CA1218911A (en) Fully automatic single push button type umbrella
CN205866230U (en) Self -opening umbrella
JPH01170409A (en) Automatic umbrella
KR200281038Y1 (en) Locking device for automatic umbrella
IE55014B1 (en) A fully automatic single push button type umbrella
JPH05245004A (en) Automatic opening/locking umbrella
GB2322799A (en) Umbrella having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eans
KR870001025B1 (en) Automatic umbrella
NZ207077A (en) Automatic umbrella,push button operated
KR960000079Y1 (en) Umbrella run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5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