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627Y1 - 배 기 변 - Google Patents

배 기 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627Y1
KR870000627Y1 KR2019850006589U KR850006589U KR870000627Y1 KR 870000627 Y1 KR870000627 Y1 KR 870000627Y1 KR 2019850006589 U KR2019850006589 U KR 2019850006589U KR 850006589 U KR850006589 U KR 850006589U KR 870000627 Y1 KR870000627 Y1 KR 870000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vent hole
water
exhaust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6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4992U (ko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김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수 filed Critical 김병수
Priority to KR2019850006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627Y1/ko
Publication of KR8600149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49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6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16K24/04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the float being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element, the assembly of float and valve element following a substantially translational movement when actuated, e.g. also for actuating a pilot valve
    • F16K24/046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the float being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element, the assembly of float and valve element following a substantially translational movement when actuated, e.g. also for actuating a pilot valve the assembly of float and valve element being a single spherical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 기 변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성명
1 : 변체 2 : 원통체
3 : 유도관로 4 : 통수실
5 : 통수실 6 : 부구실
7 : 구멍 8 : 구멍
9 : 구멍 10 : 부구안내돌조
11 : 부구 12 : 부구시이트
12' : 통기구명 13 : 캡
14 : 보올활동판 14' : 통기구멍
15 : 금속보올
본 고안은 상구도의 통수관내에 발생되는 공기를 부구의 승강작용으로 배기되게 한 배기변을 구성함에 있어서 외부의 오수가 통기구멍을 통하여 변체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배기변은 급수시에는 수압으로 부구가 상승하여 통기구멍을 폐쇄시키게 되고 단수에는 부구가 하강하여 통기구멍을 개방시키게 된 구조이므로 부구가 통기구멍을 폐쇄시키게 되는 급수시에는 외부의 오수가 통기구멍을 통하여 부구실태로 유입될 염려가 없으나 부구가 하강된 단수 상태에서는 통기구멍은 항상 개방된 상태로 있게 됨으로 이의 통기구멍을 통하여 외부의 오수는 쉬부구실내로 유입되게 되고 유입된 오수는 급수시에 물에 섞여 배출케 됨으로 매우 비위생적 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점을 말끔이 해소시킬 수 있는 배기변을 안출하게 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체(1)내에 유도관로(3)차 구멍 (7)(8)이 뚫린 통수실(4) 및 구멍(9)이 뚫린 통수실(5)이 형성되고, 부구안내돌조(10)를 돌설한 부구실(6)이 형성된 원통체(2)를 끼워서 부구(11)를 내입하고 변체(1)의 상부에는 통기구(12')이 뚫린 부구시이트(12)를 안착시켜 배기구멍(13')이 뚫린 캡 (13)을 나사맞춤함에 있어서, 캡(13)내에 완경사로 형성한 중앙에 통기구멍 (14')을 뚫어서 이의 통기구멍 (14')에는 금속보울(15)을 이동자재하게 안착시킨 보올활동판(14)을 배기구멍(13')과 부구시이트(12)사이에 위치되도룩 나사맞춤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7'는 구멍이고, 16은 배출구멍이며, 17은 유입구이고, 18은 유출구이며, 19는 변판이고, 20은 핸들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기존의 배기변과 같은 요령으로 수도미터의 인접 수도관에 관접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인바, 핸들(20)을 돌려 유입구(l7)를 개방시키게 되면 유입구(17)로 유입되는 물은 구멍(7)과 구멍(7'), 통수실(4), 구멍(8)을 거쳐 부구실(6)로 유입케 되는데 이때 금속보올(15)은 내부의 공기압에 의하여 일측으로 밀려나 통기구멍(14')을 개방시키게 되며 내부의 공기가 통기구멍(12')(14') 및 배기구멍 (13')을 통하여 밖으로 모두 배기된 후에는 금속보올(15)은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중앙으로 굴러 통기구멍(14')을 밀폐시킴과 동시에 부력에 의하여 부구(11)는 상승하여 부구시이트(12)에 밀접케 되고 부구실(6)로 유입된 물은 구멍(9) 및 통수실(5)을 거쳐 배출구멍(16)을 통하여 유출구(18)로 유출케 됨은 공지된 바와 거의 같다.
본 고안은 부구시이트(12)와 배기구멍(13')사이의 캡(13)내에다 중앙 통기구멍(14')쪽으로 경사상으로. 형성한 보올활동판(14)을 위치시키고 금속보올(15)로 통기구멍 (14')을 개폐케 하였으므로 단수상태에서도 통기구멍(14')은 금속보올에 의하여 밀폐된 상태로 있게 됨으로 캡(13)의 배기구멍(13')으로 유입되는 오수는 부구실(6)내부로 유입될 염려가 없고 또한 급수시에는 내부의 공기압에 의하여 금속보올(l5)이 일측으로 밀려나 통기구멍 (14')을 개방시킬 경우에도 통기구멍(12')(14')으로 배출되는 내부의 센 공기압에 의하여 금속보올(15)주위의 오수는 배기와 같이 밖으로 분사배출케 되고 내부에 묻은 일부의 물기는 여러개의 배기구멍(13')을 통하여 항상 순환되는 공기에 의하여 건조케 됨으로 오수의 유입이 완벽하게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캡(13)내에 완경사로 형성한 중앙에 통기구멍(14')을 뚫어서 이의 통기구멍(14')에는 금속보올(15')을 이동자재하게 안착시킨 보올활동판(14)을 배기구멍(13')과 부구시이트(12)사이 위치되도록 나사맞춤하여서 된 배기변.
KR2019850006589U 1985-05-30 1985-05-30 배 기 변 KR870000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589U KR870000627Y1 (ko) 1985-05-30 1985-05-30 배 기 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589U KR870000627Y1 (ko) 1985-05-30 1985-05-30 배 기 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992U KR860014992U (ko) 1986-12-30
KR870000627Y1 true KR870000627Y1 (ko) 1987-02-21

Family

ID=1924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6589U KR870000627Y1 (ko) 1985-05-30 1985-05-30 배 기 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6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992U (ko) 198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104498A1 (es) Valvula de descarga automatica para bano con control de flujo mejorado
US3584644A (en) Toilet tank supply valve assembly
JPS5649466A (en) Nonreturn air valve
CA2053391A1 (en) Free float steam trap
KR870000627Y1 (ko) 배 기 변
JPS57190170A (en) Automatic stop cock
KR800000784Y1 (ko) 공기변이 형성된 지수밸브
JPS6458888A (en) Air valve for sewage
KR900010064Y1 (ko) 배기변
CA2280683A1 (en) Power flush tank with air inducer
DE3372811D1 (en) Valve for a flushing tank
JPS6044093A (ja) 曝気装置
WO1998050643B1 (en) Water waste preventer
KR910002803Y1 (ko) 퇴수겸용 공기 자동 배출변을 설한 온수 순환 조절밸브
KR0130253Y1 (ko) 수족관용 산소공급밸브구조
KR920000501Y1 (ko) 수도용 급속 공기밸브
KR920000500Y1 (ko) 급속 배기밸브
KR870000621Y1 (ko) 온냉수 밸브
JPS5830528Y2 (ja) エアポツトの転倒時流水防止装置
JPH0450474U (ko)
KR820001186Y1 (ko) 온수 보일러의 온수순환기
JPH0234289Y2 (ko)
JPS61154824U (ko)
JPH0454380Y2 (ko)
KR900001836Y1 (ko) 씽크대 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05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