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319Y1 - 청소작업이 용이한 창문의 회동장치 - Google Patents

청소작업이 용이한 창문의 회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319Y1
KR870000319Y1 KR2019840003605U KR840003605U KR870000319Y1 KR 870000319 Y1 KR870000319 Y1 KR 870000319Y1 KR 2019840003605 U KR2019840003605 U KR 2019840003605U KR 840003605 U KR840003605 U KR 840003605U KR 870000319 Y1 KR870000319 Y1 KR 870000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ixed
coil spring
door fram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3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831U (ko
Inventor
김호근
Original Assignee
김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근 filed Critical 김호근
Priority to KR2019840003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319Y1/ko
Publication of KR8500088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8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3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4Vertic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청소작업이 용이한 창문의 회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장치가 형성된 창문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조립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일측부만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결단면도.
제6도는 보호관의 내부를 나타낸 조립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A-A'선 단면도.
제8도는 꼬임판을 단속하는 코일스프링의 내경이 변화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1c, 1d : 상, 하, 좌, 우 문틀재 2 : 단열부위
3a, 3b : 내, 외 창문 4 : 보호관
5 : 고정간 5a : 돌편
6 : 나사못 7 : 코일스프링
8 : 회동간 9 : 고정왓셔
10 : 꼬임판 11 : 습동간
12 : 걸림판 13 : 회동축
14 : 고정키
본 고안은 알미늄의 재료로서 여러형태로 제작되는 문틀재의 중앙부에 실내외의 온도를 차단할 수 있도록 이중유리와 단열부위를 형성케 하여 문틀재에 기인한 열손실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필요시에 창문을 실내측으로 간단하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청소시등에 안전하고 신속히 유리세척작업을 할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청소작업이 용이한 창문의 회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건축물에 사용되는 창문으로 손실되는 열에 의한 열효율 저하로 인해 보온성이 양호한 이중유리에 보온재로 밀폐토록 하거나 일본특허공보 소 27-1834호에 게재된 것과 같이 꼬임판을 스프링으로 단속케하여 창문을 임의의 위치에서도 정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은 이미 알려져 왔으나 이를 복합하고 창문을 내측으로 회동토록 하여 안전하게 창문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되는 좀 더 완벽하고 모든 장점을 두루 겸비한 창문을 필요로 하였다. 본 고안은 보온창문의 개폐를 상·하 작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창문을 임의 위치에서 정치시킬 수 있게 할뿐만 아니라 창문을 실내측으로 회동될 수 있게 하므로서 고층건물의 창문 등에 있어 그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창문의 개폐를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러 형태로 제작된 문틀재(1a)(1b)(1c)(1d)의 중앙부에 단열재로 단열부위(2)를 각각 형성한 통상의 보온창문 좌, 우 문틀재(1c)(1d)를 내측 창문(3a)과 외측 창문(3b)이 실내로 각각 회동될 수 있도록 폭이 상이한 단층을 형성시키고 좌, 우 문틀재(1c)(1d) 내측에 보호관(4)을 고정시킨다.
보호관(4)의 상단에는 고정간(5)을 삽입시킨 후 고정간(5)과 좌, 우 문틀재(1c)(1d)를 나사못(6)으로 고정시키고 고정간(5)의 하부에 ㄱ자형으로 돌출된 돌편(5a)에는 박판의 코일스프링(7) 상축끝단부를 협지하며 코일스프링(7)의 하단은 회동간(8)에 돌설된 돌편(8a)에 협지되도록 하여 고정왓셔(9)로 회동간(8)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보호관(4) 하단에 삽착한다.
회동간(8)의 내부에는 꼬임판(10)이 삽입되어 있으며 꼬임판(10)이 끝단부에는 돌핀(10')이 돌설되어 습동간(11) 상부에 고정된 걸림판(12) 사이에 삽입되고 습동간(11)의 하부에서 유동이 가능하게 직각 방향으로 축설된 회동축(13)에 요홈(13')을 요설하여 내, 외측 창문(3a)(3b)의 양측 하단에 고정된 고정키(14)가 요홈(13')에 끼워지도록 함과 동시에 회동축(13)을 중심으로 내, 외측 장문(3a)(3b)이 회동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내, 외측 창문(3a)(3b)의 상단 양측에는 걸림턱(15a)(15b)을 탄력 설치하여 걸림턱(15a)(15b)이 돌설된 상태에서 내, 외측 창문(3a)(3b)의 상하 습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내, 외측 창문(3a)(3b)이 좌, 우 문틀재(1c)(1d)에서 이탈되는 것을 단속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4도에서 표현된 것과 같이 내측 창문(3a)의 폭을 외측 창문(3b)의 폭보다 약간 크게 하여 내, 외측 창문(3a)(3b)이 고정키(14)를 중심으로 실내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용이하도록 하고 내, 외측 창문(3a)(3b)에 형성된 유리(16)는 2중으로 하되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그 사이를 진공부(A)가 형성되도록 건조제를 충진하여 상, 하, 좌, 우 문틀(1a)(1b)(1c)(1d) 및 내, 외측 창문(3a)(3b)의 각 외주연부 중앙에는 강도와 접착력이 높고 단열의 효과가 양호한 단열부위(2)를 형성시키는 공지의 보온창문을 사용한다면 실내와 실외의 열이 완전히 차단되어 열손실이 거의 없게 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좌, 우 문틀재(1c)(1d)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 외측 창문(3a)(3b)의 측방에 코일스프링(7)을 내부에 고정시킨 보호관(4)을 나사못(6)으로 고정시키게 되는데 보호관(4)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7)의 상단은 고정간(5)에 돌설된 돌편(5a)에 협지되어 있고 그 하단은 회동간(8)에 돌설된 돌편(8a)에 각각 협지고정되어 있으며 코일스프링(7)의 내측으로는 꼬임판(10)이 설치되어 내, 외측창문(3a)(3b)과 함께 상하 습동하게 된다.
내, 외측창문(3a)(3b)의 양측 끝단부에 고정된 고정키(14)에 요설된 요홈(13')으로 끼워 넣게 되면 회동축(13)은 습동간(11)에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으며 습동간(11)의 상단과 이에 고착된 걸림판(12) 사이에는 꼬임판(10)의 하단에 돌설된 돌핀(10')이 삽입되어 습동간(11)의 상하 습동시에 꼬임판(10)도 함께 상하 작동하게 되고 동시에 보호관(4) 하단에 형성된 회동간(8)을 회동시킨다.
회동간(8)은 고정왓셔(9)와 보호관(4)의 끝단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됨돠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그 단면은 첨부도면 제7도에서 표현된 것과 같이 "□"형으로 중앙이 천공되어 꼬임판(10)이 상하 작동할때 꼬임방향을 따라 회동간(8)은 일정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므로 꼬임판(10)이 하강할 때 즉 내, 외측 창문(3a)(3b)이 하강할 때에는 회동간(8)이 협지고정된 코일스프링(7)을 꼬는 방향으로 회동간(8)이 회동하게 되고 내, 외측창문(3a)(3b)이 상승할 때에는 코일스프링(7)을 풀어주는 방향으로 회동간(8)이 회동하여 코일스프링(7)을 회전시키는 데 이와 같은 이유는 코일스프링(7)의 감기는 방향을 이용하여 내, 외측창문(3a)(3b)을 하강시킬 때에 코일스프링(7)이 꼬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여 첨부도면 제8도에 가상선의 위치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은 위치로 그 직경이 좁아지게 되므로 코일스프링(7)의 내측에 위치된 꼬임판(10)을 협지하게 되어 꼬임판(10)의 하강을 억제시커 내, 외측창문(3a)(3b)이 임의의 위치에서도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내, 외측창문(3a)(3b)을 필요에 따라 상승시킬 경우에는 고정키(14)에 조립된 회동축(13)이 습동간(11)의 상승에 따라 꼬임판(10)을 상승시키어 외동간(8)의 회전방향을 코일스프링(7)이 풀어지는 쪽으로 회전시키므로 코링스프링(7)의 내경이 다시 커지게 되어 꼬임판(10)의 외주면을 압착하던 것이 자유롭게 되면서 내, 외측창문(3a)(3b)의 상승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겸하게 된다.
그리고 창문 또는 유리(16)를 세척할 때에는 먼저 내측 창문(3a)을 하단 문틀재(1b)로 부터 분리되도록 약간 상승시킨 뒤에 첨부도면 제4도에서 표현될 것과 같이 걸림턱(15a)을 인위적으로 창문의 내측으로 당겨 걸림턱(15a)과 좌, 우 문틀재(1c)(1d)가 분리되도록 한 후 내측창문(3a)을 실내측으로 회동시키면 되는데 이때에는 고정키(14)가 조립된 회동축(13)이 습동간(11)에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어 회동축(13)을 중심으로 내측 창문(3a)이 실내로 회동하게 된다.
또, 외측창문(3b)은 상부 문틀재(1a)로 부터 분리되도록 약간 하강시킨후 상기에 나타난 바와같이 걸림턱(15b)을 좌, 우 문틀재(1c)(1d)에서 인위적으로 분리시키어 외측 창문(3b)을 실내측으로 회동시키면 위와 같은 작동으로 고정키(14)가 조립된 회동축(13)을 중심으로 외측 창문(3b)이 실내로 회동되어 이와같은 상태에서 내, 외측창문(3a)(3b) 및 유리(16)를 세척하면 되는 것이어서 실외로 몸을 기울어 위험하게 세척하지 않고도 편안하고 안전하게 필요한 구석까지 깨끗이 청소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세척이 끝난 후에는 위와는 반대로 외측 창문(3b)을 먼저 회동시켜 걸림턱(15b)이 좌, 우 문틀재(1c)(1d)의 외측부에 조립되도록 하고 내측 창문(3a)을 같은 방법으로 회동시키어 걸림턱(15a)이 좌, 우 문틀재(1c)(1d)내로 걸리게 하면 간단히 조립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샅은 본 고안은 창문의 상, 하 작동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임의의 위치에서도 정지시킬 수 있으며 실내에서도 간단히 유리 및 창틀을 세척할 수 있어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고층건물등에서 그 용도가 다양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 하, 좌, 우 문틀재(1a)(1b)(1c)(1d)의 중앙부에 단열부위(2)를 각각 형성하고 좌, 우 문틀재(1c)(1d)의 내측 상단에 고정간(5)이 끼워진 보호관(4)을 고정시켜 코일스프링(7)의 상부 끝단을 고정간(5)에 돌설된 돌편(5a)에 협지시키고 코일스프링(7)의 하단은 회동간(8)에 돌설된 돌편(8a)에 고정시켜 고정왓셔(9)로 회동간(8)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회동간(8)에 축삽된 꼬임판(10)을 코일스프링(7)으로 협지케 하여 창문의 상하 습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것을 구성함에 있어서, 꼬임판(10) 하단에 이중으로 돌설된 돌핀(10')을 습동간(11)과 걸림판(12) 사이에 삽입고정시켜 습동간(11)에 직각방향으로 유동 가능토록 축설된 회동축(13)의 요홈(13')에 창틀 하단부로 고정되는 고정키(14)를 조립시켜 창문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작업이 용이한 창문의 회동장치.
KR2019840003605U 1984-04-19 1984-04-19 청소작업이 용이한 창문의 회동장치 KR870000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3605U KR870000319Y1 (ko) 1984-04-19 1984-04-19 청소작업이 용이한 창문의 회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3605U KR870000319Y1 (ko) 1984-04-19 1984-04-19 청소작업이 용이한 창문의 회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831U KR850008831U (ko) 1985-11-20
KR870000319Y1 true KR870000319Y1 (ko) 1987-02-12

Family

ID=1923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3605U KR870000319Y1 (ko) 1984-04-19 1984-04-19 청소작업이 용이한 창문의 회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3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831U (ko) 198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4469A (en) Operator for a slat shade assembly
KR101621462B1 (ko) 크리센트를 이용한 기밀수단을 갖는 미서기창
US4611648A (en) Unitized secondary glazing frame and venetian blind assembly
KR870000319Y1 (ko) 청소작업이 용이한 창문의 회동장치
KR100938698B1 (ko) 환기창
JP2022125214A5 (ja) サッシ窓
KR102263847B1 (ko) 기밀도어 및 이의 작동 방법
CN208618970U (zh) 传动连接组件及窗纱一体式内开外开窗
JP2844320B2 (ja) 引違い窓の窓枠
KR200150670Y1 (ko) 여닫이를 겸한 미닫이 창문
CN214403227U (zh) 一种360度旋转窗
JPS5922237Y2 (ja) 開閉窓
KR200281176Y1 (ko) 여닫이 창을 가지는 미닫이 창
CN218150665U (zh) 一种圆形全开式塑钢窗
KR900009850Y1 (ko) 미닫이식 이중창호
JPS5911186Y2 (ja) 竪軸回転窓装置
JPS5818541Y2 (ja) 断熱サツシ
JPH0354303Y2 (ko)
TWM629160U (zh) 改良式無框玻璃窗
JPH0140945Y2 (ko)
JPH0211581Y2 (ko)
JPS6039425Y2 (ja) 開き用2重窓
JPH0326207Y2 (ko)
JPS5825114Y2 (ja) 防寒サツシ
JP2001123738A (ja) 上げ下げ窓および上げ下げ窓付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