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126B1 - 송신장치 - Google Patents

송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126B1
KR870000126B1 KR1019840007978A KR840007978A KR870000126B1 KR 870000126 B1 KR870000126 B1 KR 870000126B1 KR 1019840007978 A KR1019840007978 A KR 1019840007978A KR 840007978 A KR840007978 A KR 840007978A KR 870000126 B1 KR870000126 B1 KR 870000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input
signal
nand gate
puls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498A (ko
Inventor
이석민
김명호
Original Assignee
이석민
김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민, 김명호 filed Critical 이석민
Priority to KR1019840007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126B1/ko
Publication of KR860005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17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using multilevel codes
    • H04L25/4923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using multilevel codes using ternary c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송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계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의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회로도.
제5도는 송신기의 회로도에 따른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쉬미트 트리거회로부 3, 4, 5, 33 : 발전회로
6 : 10진-BCD변환회로 7, 22, 31, 32, 35 : 낸드게이트부
8 : 입력회로 9-12, 25, 26 : 쉬프트레지스터
13-15 : 102, 101, 100단위의 구동회로 16-18 : 디지트론
19 : 표시구동회로 20 : 데이터셀렉터
21 : 카운터 23 : 데이터선택펄스제어회로
24 : 발진회로 27-29 : BCD-10진변환회로
30 : 출력펄스제어회로 37 : 변조 및 발진회로
W1-Wn: 음차발진기 50 : 송신기
60 : 단말기 70 : 수신기
본 발명은 일정한 거리내에서 동작되는 송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에 연결된 송신기를 예컨데 은행원이 조작하게 되면 수신기를 휴대한 고객이 호출될 수 있도록 된 송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은행에서 고객이 저금을 하거나 인출을 할때에는 은행원으로부터 번호표찰을 받고 상당시간 기다리게 한 다음 해당 고객의 성명이나 표찰번호를 육성이나 마이크로 호출하는 방법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육성이나 마이크로 고객을 호출하게 되면 다른 업무수행자의 정신을 산만하게 하여 업무 능률을 저하시켜주게 될뿐만아니라 휴식을 취하면서 대기하고 있는 고객들에게도 이 소음으로 인해 불쾌감을 주게 되고, 또 간혹 잡지 등을 보면서 기다리고 있던 고객으로서는 자기의 성명이나 표찰번호가 호출되어도 이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가끔 발생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예컨대 은행원이 단말기로부터 유선으로 연결된 송신기(전면판에 있는 키를 조작하여 셋팅시킨 데이터가 표시부와 단말기로 송신됨)를 동작시켜, 단말기내에 있는 음차발진기의 신호와 키조작에 의해 셋팅된 데이터를 견합시켜줌으로서 발진 및 변조시켜 안테나를 통해 일정한 거리고 송출시켜주게 되면, 일정한 거리내에 있던 해당 고객이 휴대하고 있는 수신기와 안테나로 입력되어 단말기내에 있는 음차발진기의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와 매칭되어 해당 예금자가 시각적이고 청각적으로 호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도록 된 송신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발명은 숫자키(
Figure kpo00001
)와 기능키(CALL, CLEAR), 채터링 방지용 쉬미트트리거회로부(1)(2), 반전회로부(3)(4)(5), 10진-BCD변환회로(6) 및 낸드게이트부(7)로 구성되어 상기 숫자키와 기능키를 조작해줌에 따라 10진코드가 BCD코드로 변환되는 입력회로(8)에 숫자키와 기능키에 따른 BCD코드의 신호가 공급되는 쉬프트레지스터(9-12)와 102, 101, 100단위의 구동회로(3-15) 및 디지트론(16-18)으로 구성되는 표시구동회로부(19)가 연결되고, 상기 표시구동회로부(19)에는 상기 쉬프트레지스터(9-12)로부터 입력되는 병렬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경시켜주는 데이터셀렉터(20)와 카운터(21) 및 낸드게이트부(22)로 구성되어 병렬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송출하는 데이터 선택펄스 제어회로(23)가 연결되며, 상기 입력회로(8)와 표시구동회로부(19) 및 데이터 선택펄스제어회로(23)로 구성되는 송신기(50)에는 유선으로 상기 카운터(21)의 클록신호를 송출하는 발진회로(24)와 직렬데이터가 입력되는 쉬프트레지스터(25)(26)102, 101, 100단위의 BCD-10진 변환회로(27-29) 및 번호 지정된 10진코드의 신호가 입력되는 낸드게이트부(31)로 구성되는 출력펄스제어회로(30)가 연견되고, 상기 출력펄스제어회로(30)에는 송신기(50)의 숫자키에 따라 셋트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음차발진기(W1-Wn), 낸드게이트부(32)(35)와 반전회로(33) 및 원샤트회로(34)로 구성되어 입력펄스를 한곳으로 모으는 입력펄스제어회로(36)가 각각 연견되며, 상기 입력펄스제어회로(36)에는 트랜지스터(TR1-TR5), 유도코일(T1)(T2), 저항(R20-R30), 다이오드(D21-D22), 콘덴서(C20-C27), 티액터(L1)(L2) 및 크리스털(CY)로 구성되는 변조 및 발진회로(37)가 연견된 단말기(60)가 견합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S1-S12는 쉬미트트리거회로, IV1-IV19는 인버터, ND1-ND7는 낸드게이트, CR는 크리어단, a,b는 각 회로부이 입력단자등을 나타낸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정한 거리내에서 동작되는 송신기(50)가 연견된 단말기(60)와 수긴기(7)로 구성되어 은행이나 건물내에서 사용되는 송신장치로서, 일례로 은행원이 조작하는 송신기(50)로부터 유선으로 연견되는 단말기(60)를 동작시켜주기 위해 송신기(50)의 숫자키(
Figure kpo00002
)와 기능키(CLEAR, CALL)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은행원의 키조작에 의해 입력된 신호는 채터링방지와 10진신호를 BCD신호로 변경시키는 입력회로(8)를 통해 7세그먼트의 표시구동회로(19)에 입력되어 표시부로 표시되는 한편 7세그먼트의 표시구동회로(19)에 입력되었던 병렬신호가 데이터선택제어회로(23)를 통해 직렬신호로 변경되어 유선을 거쳐 단말기(60)로 공급되게 되는데, 이 단말기(60)에는 출력펄스제어회로(30), 입력펄스제어회로(36), 음차발진기(W1-Wn), 발진 및 변조회로(37)로 구성되게 된다.
즉 송신기(50)를 통해 은행원이 선택한 번호데이터는 단말기(60)이 출력펄스제어회로(30)에서 다시 병렬로 환원된 후 BCD 신호를 10진신호로 변경시켜 해당음차발진기(W1-Wn)에 따라 입력펄스제어회로(36)로 공급되게 되고, 그후 송신기(50)의 CALL신호에 따라 입력펄스제어회로(36)를 통과한 신호는 발진 및 변조회로(37)를 통해 안테나로 송출되게 되며, 이렇게 송출된 신호는 해당고객이 휴대한 수신기(70)의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후 증폭되어 그에 해당한 주파수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수신기(70)내에 있는 발광다이오드와 멜로디회로가 구동되게 되어 해당고객은 청각적이고도 시각적으로 자기가 호출되고 있음을 알게 되므로 차후동작을 취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계통적 신호흐름에 의해서 동작하는 본 발명을 제3도 내지 제5도의 구체적인 회로동작에 입각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50)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단말기(60)로부터 유선으로 연견된 송신기(50)의 전면판에 있는 숫자키(
Figure kpo00003
)와 기능키(CLEAR, CALL)를 은행원이 조작하게 되면 해당된 키가 눌러지게 되므로 저항(R)을 통해 콘덴서(C)에 충전된 전하는 누름과 동시에 쉬미트트리거회로부(1)(2)에 의하여 채터링이 방지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눌려진 숫자키(
Figure kpo00004
)의 신호들은 반전회로(3)(4)의 인버터(IV1-IV9)에 의해 반전된후 변환회로(6)에서 10진신호에서 BCD신호로 변경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숫자키(
Figure kpo00005
)의 신호는 인버터(IV10)로부터 반전된후 다시 낸드게이트부(7)의 낸드게이트(ND2)를 통해 로우상태의 신호로 변경되어 쉬프트레지스터(9-12)의 클록단에 인가됨에 따라 102,101,100단위의 구동회로(13-15)로 0000신호가 공급되게 된다. 또 숫자키(
Figure kpo00006
)가 아닌 CLEAR키의 신호는 인버터(IV11)에서 반전된후 쉬프트레지스터(9-12)의 크리어단자(CR)에 각각 공급되므로 102, 101, 100단위이 구동회로(13-15)가 크리어되어 디지트론(16-18)이 "0"으로 나타나게 되고, 또 CALL키의 신호는 카운터(21)의 a, b단에 입력되어 하이상태로 크리어시킨후 유선으로 연견된 단말기(60)에 있는 발진회로(24)의 제5도의 (a)과 같은 클록신호가 공급됨에 따라 카운터(21)를 카운팅할 수 있게 된다.
즉, 은행원이 송신기(50)에 있는 CLEAR키를 눌러 전술한 바와같이 사용할 수 있는 초기상태를 만든 후 숫자키(
Figure kpo00007
)중 해당된
Figure kpo00008
의키를 누르게 되면 저항(R)을 통해 콘덴서(C)에 충전된 전하가 누름과 동시에 쉬미트트리거회로(S1-S3)에 의해 채터링이 방지되게 되고, 그 신호들은 인버터(IV1-IV3)에서 위상이 반전된후 10-BCD변환회로(6)로 입력되므로 10진신호로부터 BCD신호로 변환되어 반전회로(5)의 인버터(IV12-IV15)와 낸드게이트부(7)의 낸드게이트(ND1)에 각각 입력되게 된다. 이로부터 상기 인버터(IV12-IV15)의 출력신호는 쉬프트레지스터(9-12)의 입력단(a)(b)에 입력되면서 낸드게이트(ND1)의 출력신호가 인버터(IV6)에서 반전되어 낸드게이트(ND2)를 통해 표시구동회로(19)에 있는 쉬프트레지스터(9-12)의 클록단에 각각 공급되게 된다.
그러면, 쉬프트 레지스터(9-12)의 출력신호는 102, 101, 100단위의 구동회로(13-15)와 데이터셀렉터(20)에 각각 공급되게 되고, 이에따라 102, 101, 100단위의 구동회로(13-15)에서
Figure kpo00009
에 따른 숫자신호가 표시부의 디지트론(16-18)에 인가되므로
Figure kpo00010
이라는 숫자가 표시되는 한편, 데이터선택펄스제어회로(23)에 있는 데이터셀렉터(20)에 입력된 신호가 병령이 데이터로 랫치되어 있다가 전술한 바있는 CALL키에 의해 카운터(21)가 하이상태로 크리어되게 되므로 제4도에 도시된 단말기(60)에 있는 발진회로(24)의 출력신호인 제5도의 (g)과 같은 클록신호가 낸드게이트(ND3)에서 반전되어(a)과 같은 신호로서 송신기(50)에 있는 카운터(21)의 클록단에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이 카운터(21)가 동작되어 그 출력신호가 제5도의 (b)(c)(d)(e)와 같은 신호로서 데이터셀렉터(20)에 입력되게 되어 전술한 바와같이 병렬의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직렬데이터로 변경되게 되는데, 이렇게 변경된 직렬데이터는 낸드게이트부(22)의 낸드게이트(ND4)에 입력됨에 따라 낸드게이트(ND4)의 출력신호가 1비트에서 16비트로 송출될때까지 단말기(60)에 있는 출력펄스제어회로(30)의 쉬프트레지스터(25)가 동작되게 되어 그 출력신호는 쉬프트레지스터(26)로 입력되므로 101단위의 데이터와 100단위의 데이터가 BCD-10진 변환회로(28)(29)로 각각 입력되게 된다.
그러면 BCD신호의 102, 101, 100단위의 데이터가 BCD-10진변환회로(27)(28)를 통해
Figure kpo00011
의 10진 신호는 변경되어 낸드게이트부(31)의 낸드게이트(ND7)에 입력되면서 그에 해당된 음차발진기(W1)의 신호가 낸드게이트(ND7)로 입력되게 되므로 낸드게이트(TD7)의 출력신호는 BCD-10진 변환회로(27-29)의 출력신호가 모두 하이상태일때 음차발진기(W1)로부터 형성된 구형발진파형으로 송출하게 되고, 여기서 낸드게이트ND6……)의 입력신호가 토우상태로 입력될때 음차발진기(W2-Wn)의 발진파형이 입력되나 출력되지 않게 된다.
즉,
Figure kpo00012
에 해당된 신호와 음차발진기(W1)에서 통과된 신호가 견합되어 낸드게이트(ND7)의 출력단을 통과한 펄스신호로서 입력펄스제어회로(36)에 있는 낸드게이트부(32)의 어느 한 입력단자로 입력되어 그에 따른 구형파의 출력신호로 송출되게 되고, 이 신호는 반전회로(33)의 인버터(IV18)에서 반전되어 낸드게이트부(35)의 어느 한 입력단자로 입력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송신기(50) 전면판에 있는 CALL키를 누르면 CALL신호가 카운터(21)를 크리어시킴에 따라 16번까지 카운팅된 후 카운터(21)의 출력신호가 모두 하이상태로 낸드게이트부(22)의 낸드게이트(ND3)에 입력되게 되므로 그 출력신호가 로우상태로 변경되게 된다. 이로부터 로우상태의 신호가 단말기(60)에 있는 출력펄스제어회로(30)의 낸드게이트(ND5)에 입력되어 하이상태로 송신기(50)의 카운터(21)와 쉬프트레지스터(25)(26)의 클록단에 각각 입력되게 되고, 또 토우상태의 신호가 반전회로(33)의 인버터(IV17)에서 반전되어 하이상태로서 원샤트회로(34)에 입력되므로 원샤트회로(34)가 동작되어 원샤트의 주기는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된 주기만큼 낸드게이트부(35)의 스트로브단자로 입력되게 되며, 이로부터 낸드게이트부(35)의 출력신호는 입력된 원샤트의 주기만큼 펄스가 송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낸드게이트부(35)의 출력펄스가 변조 및 발진회로(37)에 있는 다이오드(D2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됨에 따라 이 스위칭트랜지스터(TR1)가 턴온/턴오프상태로 되어 크리스털(CY)의 발진기를 온/오프시킴으로서 크리스털발진신호가 유도코일(T1)로 유도된후 트랜지스터(TR3)에 인가됨과 더불어 낸드게이트(35)의 출력신호가 직병렬의 다이오드(D22)와 저항(R23)(R24)을 통해 트랜지스터(TR4)에 각각 입력되므로 트랜지스터(TR3)(TR4)가 턴온/턴오프상태로 되게 된다. 그러면 낸드게이트(35)의 출력신호와 크리스털발진신호가 변조(약 80%)되어 유도코일(T2)로 유도된후 트랜지스터(TR5)를 통해 증폭되게 되고, 이로부터 변조된 신호는 콘덴서(C26)(C27)와 티액터(L1)(L2)를 통해 안테나로 송출되게 되며, 이때
Figure kpo00013
에 해당된 변조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일정한 거래내로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60)의 안테나를 통해 송출된 해당 주파수가 해당고객이 휴대한 수신기(70)의 안테나로 입력되게 되고, 이로부터 수신기(70)내부에 구성된 회로가 구동되게 되므로 발광다이오드와 멜로디회로가 구동되어 시각적이고 청각적으로 표시되게 된다.
그러므로, 수신기(70)를 휴대한 해당고객은 자기를 호출함을 인식하여 은행원이 있는 곳으로 가서 그에 대한 일을 보면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일정한 거리내에서 사용되는 송신장치로서 은행원이 단말기로부터 유선으로 연견된 송신기를 동작시켜 단말기에 있는 음차발진기의 신호와 송신기의 키조작에 의한 셋팅된 데이터를 견합해서 발진 및 변조시켜 안테나를 통해 일정한 거리로 송출하여 해당고객이 휴대한 수신기를 구동시켜주게 되므로서 시각적이고 청각적으로 은행원이 해당고객을 호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숫자키(
    Figure kpo00014
    )와 기능키(CALL, CLEAR), 채터링 방지용 쉬미트트리거회로부(1)(2), 반전회로부(3)(4)(5), 10진-BCD변환회로(6) 및 낸드게이트부(7)로 구성되어 숫자키와 기능키의 동작에 따라 10진코드가 BCD코드로 변환되는 입력회로(8)에는 숫자키와 기능키에 따른 BCD코드의 신호가 공급되는 쉬프트레지스터(9-12)와 102, 101, 100단위의 구동회로(3-15) 및 디지트론(16-18)으로 구성되는 표시구동회로부(19)가 연결되는, 상기 표시구동회로부(19)에는 쉬프트레지스터(9-12)로부터 입력되는 병렬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경시켜주는 데이터셀렉터(20)와 카운터(21) 및 낸드게이트부(22)로 구성되어 병렬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송출하는 데이터선택펄스 제어회로(23)가 연견되며, 상기 입력회로(8)와 표시구동회로부(19) 및 데이터선택펄스제어회로(23)로 구성되는 송신기(50)에는 유선으로 상기 카운터(21)의 클록신호를 송출하는 발진회로부(24), 직렬데이터가 입력되는 쉬프트레지스터(25)(26)102, 101, 100단위의 BCD-10진 변환회로(27-29), 번호 지정된 10진코드의 신호가 입력되는 낸드게이트부(31)로 구성되는 출력펄스제어회로(30)가 연결되고 상기 출력펄스제어회로(30)에는 단말기(50)의 숫자키에 따라 셋트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음차발진기(W1-Wn), 낸드게이트부(32)(35)와 반전회로(33) 및 원샤트회로(34)로 구성되어 입력펄스를 한곳으로 모으는 입력펄스제어회로(36)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입력펄스제어회로(36)에는 트랜지스터(TR1-TR5), 유도코일(T1)(T2), 저항(R20-R30), 다이오드(D21-D22), 콘덴서(C20-C27), 티액터(L1)(L2) 및 크리스털(CY)로 구성되는 변조 및 발진회로(37)가 연결된 단말기(60)를 견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KR1019840007978A 1984-12-14 1984-12-14 송신장치 KR870000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7978A KR870000126B1 (ko) 1984-12-14 1984-12-14 송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7978A KR870000126B1 (ko) 1984-12-14 1984-12-14 송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498A KR860005498A (ko) 1986-07-23
KR870000126B1 true KR870000126B1 (ko) 1987-02-11

Family

ID=1923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978A KR870000126B1 (ko) 1984-12-14 1984-12-14 송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1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498A (ko) 1986-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9811A (en) Device for marking edges of shelves
AU582195B2 (en) Device for marking edges of shelves
US3872435A (en) Opto-electronic security system
US4628541A (en) Infra-red data communications system for coupling a battery powered data entry device to a microcomputer
US4120036A (en) Time information correction in combination timepiece and calculator
US4682357A (en) Automobile telephone apparatus
KR870000126B1 (ko) 송신장치
US4300204A (en) Time and date information correction in a combination timepiece and calculator utilizing a decimal point indicator display
US4080575A (en) Electronic time signalling device
US6256034B1 (en) Device for marking edges of shelves
US3717990A (en) Time correction device for digital watches
US4225847A (en) Display circuit
SU1534319A1 (ru) Цифровое индикат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H0259516B2 (ko)
JPH0327624A (ja) 1チップ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KR830002713B1 (ko) 코드화 진폭 변조 송신기
CA1063358A (en) Electronic time signalling device for producing a time signal at a preset time
JPS6135992Y2 (ko)
US3991555A (en) Digital timing circuit for display sequencing in two-digit wristwatch
SU767842A1 (ru) -Разр дное счетно-сдвиг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FR2335901A1 (fr) Appareil engendrant un message affecte d'un caractere aleatoire, notamment une representation visuelle d'un signal musical
KR0151530B1 (ko) 감시장비에 적합한 신호 수신 및 표시회로
SU111114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SU658768A1 (ru) Передатчик телеграфного аппарата
KR940003518B1 (ko) 가전제품의 원격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