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021Y1 - 기계식 프레스의 안전운행 장치 - Google Patents

기계식 프레스의 안전운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021Y1
KR870000021Y1 KR2019820001665U KR820001665U KR870000021Y1 KR 870000021 Y1 KR870000021 Y1 KR 870000021Y1 KR 2019820001665 U KR2019820001665 U KR 2019820001665U KR 820001665 U KR820001665 U KR 820001665U KR 870000021 Y1 KR870000021 Y1 KR 870000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shaft
ram
clutch
gea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1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700U (ko
Inventor
나오끼 오리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마다
아마다 이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마다, 아마다 이사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마다
Priority to KR2019820001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021Y1/ko
Publication of KR8300027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7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28Arrangements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or damage to, presses or parts thereof
    • B30B15/287Arrangements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or damage to, presses or parts thereof preventing unintended ram movement, e.g. using b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r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계식 프레스의 안전운행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기계식 프레스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 기계식 프레스의 개략도.
제3도는 제2도의 Ⅲ-제2도의 Ⅲ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 및 제3도의 부분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원리에 입각한 다른 하나의 태양(態樣)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6도는 제5도의 부분 다면도.
제7도는 제5도 및 제6도의 Ⅶ-제6도의 Ⅶ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금속 또는 기타 물질과 같은 작업물체를 가공하는 기계식 프레스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계식 프레스의 안전운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계식 프레스에 있어서, 상부치구(tool)즉, 상부금형을 잡고 있는 램은 가공 작업중 크랭크축 또는 편심축에 의하여 수직운동을 하는데, 즉, 램은 하부금형에 놓여 있는 작업물체를 가공하기 위하여 하부치구 즉, 하부금형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운동을 한다. 작업물체를 하부금형에 손으로 끼우고 다시 분리해 내는 수작업(手作業)에 있어서는 기계식 프레스는 다음과 같이 설계해야 한다. 즉, 램은 일회의 작업 사이클 또는 행정을 마친후에 그 상부 이동한계 위치에서 분명히 정지하게끔 해야 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기계식 프레스는 클럿치와 브레이크가 구비되며 이 두가지는 조립체로서 구비되고 대부분의 경우 기압식으로 운행되며, 그리고 램은 클럿치와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할때 정지한다. 물론 클럿치는 다음과 같이 설계해야 한다. 즉, 클럿치는 플라이휠(관성바퀴)이나 모우터와 같은 동력원에 의해 램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크랭크축을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야 하고, 한편 클럿치가 상기 동력원으로부터 크랭크축을 단절할때 브레이크는 크랭크축을 동시에 정지시킨다.
기계식 프레스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점이었다. 즉, 램이 일회의 행정을 마신후 그이동 상한에 정지하는데 실패하고 다시 한번의 행정을 반복한다는 점인데 그 원인은 클럿치 및 브레이크 또는 전기식 내지 기압식 장치의 작동불량에 있는데 즉, 후자는 상기 장치를 제어하거나 또는 기타의 목적으로 솔레노이드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 등을 가리킨다. 말할것도 없이 램이 이동 상한에서 정지하지 않고 의도에 부합되지 않는 행정을 반복한다면, 프레스 조작자가 다칠위험이 있는 것이다. 실제로 기계식 프레스 조작중 대부분의 사고는 이러한 의도에 부합되지 않는 램의 반복성 행정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어떤 기계식 프레스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를 이중으로 구비하여 클럿치와 브레이크를 제어하므로서 특별한 안전책을 강구하고 있으나, 물론 이러한 배열로서도 솔레노이드밸브 이외의 다른 고장에 기인하는 램의 2중 행정이 의도치 않게 일어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다. 또한 어떤프레스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크랭크 축이 그 상한점을 지나서 의도치 않게 더 회전하지 못하게끔 핀과 같은 정지장치에 의해 기계적으로 강제적으로 정지시켜서 램이 그 이동상한을 지나 2중 행정을 하지못하게끔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도 램의 2중 행정을 확실히 막지 못하였으며, 다만 크랭크축과 동력원과의 연결이 굳건치 않을 때만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뿐만아니라, 또한 상기 배열은 프레스와 그 부품이 부러지는 원인이 되었는데, 그 이유는 램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킬때 충격이 생기는 까닭이다. 기계식 프레스에 있어서의 램이 아무문제 없이 한 행정을 마친후 그 이동상한을 지나 의도치 않는 행정을 반복하지 못하게끔 확실하고 안전하게 정지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주된목적이다.
램이 한 행정을 마친후 그 이동상한을 지나 의도치 않은 행정을 반복하지 못하게끔 램을 아무 문제 없이 확실하고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주된 목적이다.
기본적으로 이 목적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프레스의 주된 클럿치와 램 사이에 또 하나의 클럿치 장치를 구비시킴으로서 달성하는 데 이 추가된 클럿치 장치는 크랭크축과 동력원 사이에 기압식으로 연결되 있으며, 크랭크축이 그 상한점을 지나 원치 않는 회전을 하여 램의 불필요한 행정이 반복되려하면 곧 하나 또는 여러개의 스프링에 의해 크랭크 축의 연결이 단절되는 것이다.
아와 관련하여 주된 클럿치가 작동하지 않을때 크랭크축과 동력원 사이의 연결을 단절하는 보조적 클럿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본 고안의 또 하나의 목적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잇점은 이하의 설명 및 첨부도면에 의해 더 분명해질 것이며, 첨부 도면에는 본 고안 및 그 원리의 선택된 태양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를 참조하면, 제1번으로 일반 지칭된 기계식 프레스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종래식인 것이다. 즉, 그것은 C-형프레임(3)으로 구성되 있으며, 작업대(5)를 구비하는데 이 작업대 위에 하부치구 즉, 하부금형(도시 되지 않음)이 설치된 다는 점이다. 종래식이니만치 프레스(1)는 그 상부 부위에 램(7)을 구비하며 이 램(7)의 하단에는 상부치구 즉, 상부금형(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크랭크축 또는 편심축(11)에 의해 커넥팅로드(13)를 거쳐 안내장치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램(7)을 구동시키는 크랭크축(11)은 모우터(15)에 의해 플라이휠(17) 및 트랜스미션(동력전달 장치)(19)을 통하여 종래식 방법으로 구동되며, 이것은 출력기어(23)를 구비한 클럿치 및 브레이크 조립체(21)를 위시하여 제2도 및 제5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크랭크축(11)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종래의 것과 다르다. 즉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11)은 출력기어(23)와 연결되고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물론, 클럿치 및 브레이크 조립체(21)와 출력기어(23)는 제2도 및 제5도의 것과는 다른 방식을 구비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클럿치 및 브레이크 조립체(21)가 종래식 방법으로 동력을 크랭크축(11)에 전달하면 램(7)은 크랭크축(11)에 의해 수직으로 하강되어 작업대(5)에 이르러 그 위에 놓인 작업물체를 가공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식이니 만치 램(7)은 램(7) 및 그에 부착된 부품등의 이동중량을 균형잡기 위한 균형장치(25)를 구비한다. 균형장치(25)는 어떤 형태이든 관계 없으며, 그러나 이 장치는 가압식 실린더(27)로 구성되어선택된 태양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29) 및 그에 부착된 피스톤 로드(31)가 각 실린더(27)에 구비된다. 또한 두개의 균형장치(25)가 제1도, 제2도 및 제5도에 나타나 있으나, 프레스의 형과 규격에 따라 몇개의 균형장치를 구비시키든 관계 없다. 균형장치(25)는 프레스(1)의 정상부의 정지 부위에 설치되며, 그 피스톤로드(31)들은 램(7)에 부착되어 서로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램의 이동 중량을 균형잡기 위하여 균형장치(25)의 쳄버(33)에는 공기원(35)으로 부터 도관(37)을 통하여 공기가 공급되며, 도관(37)에는 감소밸브(39) 및 첵크밸브(41)가 구비된다. 이렇게 램(7)은 균형장치(25)에 의해 균형이 잡히며, 균형장치(25)의 쳄버(33)내의 공기 압력에 저항하며 작업대(5)쪽으로 하강하여 작업물체를 가공하게 된다. 이하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이해할 수 있겠거니와, 본 고안에 의한 균형장치(25)는 램(7)이 의도치 않게 이중행정을 하지 않고 부드럽게 정지하게끔 하는데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제2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크랭크축(11)은 트랜스미션(19)에 인접하는 그 말단에 기어(43)를 구비하는데, 이 기어(43)은 그 내부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여러개의 클로우(Claw)(45)를 구비한다. 기어(43)는 베어링(47)에 의해 크랭크축(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랜스미션(19)의 출력기어(23)와 결합된다. 또한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여러개의 클로우(51)를 가진 클럿치링(49)은 기어(43)에 인접한 크랭크축(11)의 말단에 축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클로우(51)는 기어(43)의 클로우(45)와 결합할 수 있다. 제4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럿치링(49)은 다음과 같이 배열되어 있다. 즉 기어(43)에 인접하여 크랭크축(11)의 말단에 형성된 여러개의 스플라인(Spline)(53)을 따라 접동할 수 있게 배열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크럿치링(49)의 클로우(51)가 기어(43)의 클로우(45)와 결합되어 있을때는 클럿치 및 브레이크 조립체(21)가 플라이휠(17)로 부터 동력을 전달하여 출력기어(23)를 구동시키는한 크랭크축(11)은 기어(43)에 의해 회전되어 램(7)을 구동시킨다. 반면에 클럿치링(49)이 기어(43)로 부터 멀어져 가며 스플라인(53)를 따라 크랭크축(11)상에서 접동하여, 클로우(45)와의 결합상태로 부터 클로우(51)를 풀어내어 오면 크랭크축(11)은 기어(43)에 의해 더 이상 구동되지 않는데, 이것은 클럿치 및 브레이크 조립체(21)가 동력을 전달하고 있는 경우라도 그러한 것이다. 클럿치링(49)은 다음과 같이 배열된다. 즉 클럿치링(49)은 실린더형 플런저(Plunger) 부재(55)에 의해 기압식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되는데, 상기 플런저부재(55)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한 피스톤 형태를 취할 수 잇다. 제4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럿치링(49)은 핀(57)에 의해 플런저부재(55)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데 그 형태는 플래인지와 같이 원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반면에, 플런저 부재(55)는 길죽한 실린더 플런저 쳄버(59)에 접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데, 상기 플런저 쳄버(59)는 크랭크축(11)의 말단에 축방향 중심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기어(43)의 반대편 내부끝에는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유출구(61)가 구비되며 이 유출구(61)로 부터 공기가 공급된다. 여기서, 크랭크축(11)의 반경방향 유출구(61)는 다음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즉, 크랭크축(11)이 상한점에 도달하여 램(7)을 이동상한에 위치시킬때에는 유출구(61)가 완전히 상향 개방되게끔 되어 있다. 도한 플런저 부재(55) 및 클럿치링(43)이 각각 크랭크축(11)의 안팎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크랭크축(11)은 기어(43)의 인근에 그리고 크랭크축(11)의 정반대편 부위에 한쌍의 길쭉한 축방향 슬롯트(63)를 구비하며, 이 슬롯트내에서 그리고 이 슬롯트를 따라 핀(57)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플런저 쳄버(59)의 외측 단부는 뚜껑부재(65)에 의해 닫히며, 스프링(67)은 플런저부재(55)와 뚜껑부재(65)사이에 그리고 플런저 쳄버(59)내에 삽입되어 플런저부재(55)를 뚜껑부재(65)로 부터 미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유출구(61)로 부터 공기가 플런저쳄버(59)로 공급되면, 플런저부재(55)는 스프링(67)에 의해 밀림을 받아 클럿치링(49)의 클로우(51)와 기어(43)의 클로우(45)와의 사이에 접촉을 유지시킨다. 반면에 플런저쳄버(59)로 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즉시 플런저부재(55)는 스프링(67)에 의해 움직여져서 클럿치링(49)과 기어(43)의 클로우(45)와의 결합을 풀며 동력원으로 부터 크랭크축(11)을 단절시킨다.
제4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11)은 허브(Hub) 부재(69)에 축받이 되어 있으며, 이 허브부재(69)는 프레스(1)의 프레임(3)의 일부위에 고정 부착되어 반경 방향 유출구(61)가 외향 개방되는 크랭크축(11)의 그 일부위를 잡아준다. 허브부재(69)는 그 상단부에 수직 입구(71)를 구비하며, 이 입구(71)는 크랭크축(11)의 중심선 방향으로 허브부재(69)의 최상단 부위로 부터 수직방향으로 그리고 반경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또한 크랭크축(11)의 반경방향 유출구(61)가 크랭크축(11)의 중심선의 둘레를 회전하게 된다. 상기 크랭크축(11)이 그 상한점에 있고 램(7)이 그 이동상한에 있을때 크랭크축(11)의 반경방향 유출구(61)는 완전히 상향개방되게끔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첵크밸브(75)를 구비한 도관(75)이 구비되어 공기원(35)와 입구(71)를 연결한다. 이렇게 하여 크랭크축(11)이 그 상한점으로 회전하여 램(7)을 이동상한으로 가져오고 입구 및 유출구(71 및 61)가 서로 연결되면 언제나 도관(73), 허브부재(69)의 입구(71) 및 크랭크축(11)의 반경방향 유출구(61)등을 통하여 공기원(35)으로 부터 공기가 플런저쳄버(59)에 공급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부재(69)는 반경방향 배출구(77)를 구비하는데, 이 배출구(77)는 크랭크축(11)의 중심선에 대하여 원심 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반경방향 입구(71)에 대하여 소각(小角) ""를 유지하는데 이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고, 반경방향 입구(71)가 크랭크축(11)의 중심선 둘레를 회전하는 그 평면상에 그리고 그 평면을 따라 상기 배출구(77)는 존재한다. 배출구(77)는 도관(79)을 거쳐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81)와 연결되며, 이 밸브(81)는 통상시 닫혀 있다. 크랭크축(11)이 각 ""를 거쳐 그 상한점을 지나 회전할때 크랭크축(11)의 반경방향 유출구(61)는 허브부재(69)의 배출구(77)와 연결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81)는 다음과 같이 배열되어 있다. 즉 크랭크축(11)의 일부위에 고정 부착된 도그(dog)(85)가 건드리면 작동하게 되는 한계 스윗치(83)에 의해 작동 하게끔 밸브(81)는 배열되어 있다. 한계 스윗치(83)는 다음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즉 크랭크축(11)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보다 작은 각 "β"를 거쳐 그 상한점을 지나 회전할때 도그(85)에 의해 작동되게끔 한계 스윗치(83)는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계 스윗치(83)는 다음과 같은 공지의 방법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크랭크축(11)이 정상적으로 회전할때가 아니라, 크랭크축(11)이 의도에 어긋나게 그 상한점을 지나 호전하여 램(7)이 한번의 행정을 마친후 그 이동상한에서 멈추지 않고 반복하여 움직일때만 도그(85)에 의하여 한계 스윗치(83)가 작동하게끔 배열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으로 부터 다음 사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크랭크축(11)이 그 상한점을 지나 의도에 어긋나게 회전하기를 사직하자마자 램(7)은 의도에 어긋나는 2중행정을 하는 것이 즉시 정지된다는 사실이다. 크랭크축(11)이 각 ""를 거쳐 회전하여 허브부재(69)의 배출구(77)와 반경방향 유출구(61)사이에 연결이 이루어지면, 플런저쳄버(59)내의 플런저(55)에 작용하는 공기는 도관(79) 및 솔레노이드밸브(81)을 거쳐 대기권으로 배출된다. 플런저쳄버(59)로 부터 공기가모두 배출되는 즉시 플런저(55)는 스프링(67)에 의해 동작을 일으켜서 기어(430의 클로우(45)와 클럿치링(49)이 결합된 상태를 풀어버린다. 이에 의해 크랭크축(11)은 기어(43)와 같은 동력원에서 단절되며, 클럿치 및 브레이크 조립체(21)가 비록동력을 전달한다 하더라도 크랭크축(11)은 램(7)을 구동시킬 수 없게 된다. 이 결과 램(7)은 관성에 의해 하향운동을 하려해도 균형장치(25)내에 작용하는 공기에 의해 하향운동이 부드럽게 정지된다.
제2도 내지 제4의 방법외에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제2의 태양에 의해서도 본 고안의 잇점을 달성할 수 있다. 제2의 태양에 있어서도 양자의 태양에 공통된 요소들에 대하여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제 1태양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선택된 태양에서 일종의 편심축으로 표시한 크랭크축(11)은 베어링(87)에 의하여 램(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트랜스미션(19)에 인접한 그 단부에는 링부재(89)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링부재(89)는 키(91)에 의해 상기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데 실은 그곳에 플렌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6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링부재(89)의 내부표면에는 여러개의 반경방향 요부(89d)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요부들은 서로 균등한 간격을 가지고 있고 균일한 폭을 가지고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여러개의 부채꼴 모양의 돌출물(89p)들이 그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환상의 기어(93)은 환상의 베어링 또는 붓싱(94)에 의해 링부재(89)상에 그리고 그 둘레에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끔 설치되어 트랜스미션(19)의 출력기어(23)를 결합시킨다. 또한 환상의 기어(93)의 내부 표면에는 여러개의 반경방향요부(93d)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부들은 서로 균등한 간격을 가지고 있고, 링부재(89)의 요부(89d)들과 같은 폭을 가지고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이들 사이에는 부채꼴 모양의 돌출몰(93p)이 여러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럿치링(95)이 다음과 같은 방 식으로 크랭크축(11) 둘레에 구비되어 있다. 즉 링부재(89) 및 환상의 기어(93)의 요부(89d 및 93d) 및 돌출물(89p 및 93d) 및 돌출물(89p 및 93p) 들과 대향하게끔 클럿치링(95)이 구비되어 있다. 링부재(89) 및 환상의 기어(93)쪽에 있어서, 클럿치링(95)의 표면에는 여러개의 길쭉한 클로우부재(97)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들의 수는 링부재(89) 및 환상의 기어(93)의 요부(89d 및 93d)의 수와 같다.
제7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럿치링(95)의 클로우부재(97)는 링부재(89) 및 환상의 기어(93)의 요부(89d 및 93d)들과 그 폭이 같으며, 상기 양자의 반경방향 길이를 합친것과 그 길이가 같다. 특히 클로우부재(97)는 클럿치링(95)의 표면에 다음과 같이 배열되어 있다. 즉 링부재(89) 및 환상의 기어(93)의 요부(89d 및 93d)에 맞추어져 그들과 서로 연결할 수 있게금 배열되어 있다. 클럿치링(95)의 클럿치부재(97)가 링부재(89) 및 환상의 기어(93)의 요부(89d 및 93d)와 결합하면, 환상의 기어(93), 클럿치링(95), 링부재(89)를 거쳐 출력기어(23)에 의해 크랭크축(11)이 회전한다.
제6도에서 가장 잘 볼수 있는 바와 같이 링부재(89)는 요부(89d)의 반대편 외측에 환상의 쳄버(99)를 구비하는데, 이 쳄버는 그 전길이와 깊이 걸쳐 폭이 균일하며, 또 크랭크축(11)의 중심선으로 부터 균일한 반경방향 거리에 위치하며, 원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폐쇄부재(103)를 구비한 환상의 피스톤부재(101)는 환상의 쳄버(99)에 접동 가능하게 삽입되여 상기 피스톤부재(101)는 크랭크축(11)의 중심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피스톤부재(101)는 구멍(109)을 통하여 여러개의 길쭉한 볼트(105) 및 실린더형 스페이서(spacer)(107)에 의해 클럿치링(95)와 연결 일체화 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109)은 환상의 쳄버(99)의 끝으로 부터 링부재(89)를 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크랭크축(11)의 중심선으로부터 반경방향들 거리에 그리고 그 중심선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더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길쭉한 볼트(105)는 환상의 피스톤부재(101), 실린더형 스페이서(107) 및 클럿치링(95)을 통하여 삽입되 어 있어서, 이들을 연결하여 일체화시키며, 실린더형스페이서(107)는 구멍(109)내에 접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디스크판(111)은 여러개의 볼트(113)에 의해 링부재(89)에 고정 부착되어 크랭크축(11)의 단부를 덮으며, 환상의 기어(93)를 링부재(89)상에 바른 위치에 잡아준다.
제6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디스크판(111)은 여러개의 개구(115)를 구비하여 길쭉한 볼트(105)의 끝이 돌출해 나을수 있게끔 허용한다. 이렇게하여 환상의 쳄버(99)에 공기가 공급되면 환상의 피스톤부재(101)는 환상의 쳄버(99)내에서 이동하여 길쭉한 볼트(105) 및 실린더형 스페이서(107)에 의해 클럿치링(95)을 당겨 링부재(89) 및 환상의 기어(93)의 요부(89d 및 93d)들과 클로우부재(97)들을 결합시킨다.
제6도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같이, 여러개의 스프링(117)들이 클럿치링(95)과 링부재(89)사이에 구비되어 클럿치링(95)이 링부재(89)에서 멀어지게끔 클럿치링을 민다. 선택된 태양에 있어서 스프링(117)들은 여러개의 구멍(119)들에 삽입되며, 구멍(119)들은 링부재(89)가 클럿치링(95)을 대향하는 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크랭크축(11)의 중심선에서 균등한 반경방향 거리에 그리고 그 중심선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렇게하여 환상의 피스톤부재(101)에 작용하는 공기가 환상의 쳄버(99)로 부터 배출되면 클럿치링(95)은 스프링(117)에 의해 링부재 및 환상의 기어(93)로 부터 멀어지게끔 밀림을 받아 클로우부재(97)들과 요부(89d 및 93d)들과의 결합을 분리시킨다.
공기를 환상의 쳄버(99)내로 공급하거나 쳄버(99)에서 배출시키기 위해 여러개의 통로(121)들이 구비되는데 이 통로들은 링부재(89)를 거쳐 환상의 쳄버(99)와 연결되게끔 형성되어 있다. 통로(121)는 길쭉한 구멍(123)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 길쭉한 구멍(123)은 크랭크축(11)의 중심선을 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한 선택된 태양에 있어서, 통로(121)는 여러개의 홈(125)에 의해 길쭉한 구멍(123)과 연결되어 있으며, 홈(125)들은 디스크판(111)의 안쪽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통로(121)는 환상의 쳄버(99)로 부터 오히려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디스크판(111)이 있는 쪽에 링부재(89)의 반경방향 내부원둘레쪽으로 개방되게끔 형성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여러게 대신에 단 한개의 통로(121) 및 단 한개의 홈(125)을 구비시킬 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서 보이는 바와같이, 길쭉한 구멍(123)은 홈(125)의 반대편 끝에서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127)와 연결되며, 도관(129)도 또한 솔레노이드로 작동되는 밸브(131)를 통하여 공기원(35)과 연결되는 동시에 스위블 조인트(127)와도 연결되어 있다. 제5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솔레노이드로 작동되는 밸브(131)는 힘을 얻었을때는 공기원(35)으로 부터 공기를 공급하며, 힘을 잃었을때는 공기를 대기권으로 배출하게끔 배열되어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로 작동되는 밸브(131)는 크랭크축(11)의 일부위에 부착된 도그(85')에 의해 건드러지면 작동가능하게 되는 한계 스위치(83')에 의해 힘을 얻게끔 배열되 있다.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태양과 같은 방식으로 램(7)의 일회 행정 종료후 다만 크랭크축(11)이 그 상한점을 지나 의도치 않게 회전을 하려 할때에 한하여 한계 스윗치(83')는 도그(85')에 의하여 작동되어 솔레노이드 밸브(131)에 힘을 준다. 이렇게 하여 스위블 조인트(127), 길쭉한 구멍(123), 홈(125)및 통로(121)등을 통하여 공기원(35)의 공기는 도관(129)으로 부터 환상의 쳄버(99)에 공급되어, 환상의 피스톤부재(101)는 링부재(89) 및 환상의 기어(93)의 요부(89d 및 93d)들과 클럿치링(95)의 클로우부재(97)가 결합되게끔 잡아준다. 그러나 일단 크랭크축(11)이 그 상한점을 지나 회전을 시작하면 솔레노이드밸브(131)는 한게 스윗치(83')에 의해 힘을 얻어 공기가 그 밸브내로 통하여 나가게 하며, 이에 따라 스프링(117)은 클럿치링(95)을 밀어서 링부재(89) 및 환상의 기어(93)의 요부(89d 및 93d)들과 클로우부재(97)와의 결합이 분리되게끔 클로우부재(97)를 당긴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한계 스윗치(133) 및 도그부재(135)는프레스(1)의 프레임(3)의 일부위에 그리고 클럿치링(95)의 인근에 위치한다. 한계스윗치(133)는 도그부재(135)에 의해 건드려지면 모우터(15)를 정지시킬 수 있게끔 마련되고, 한편 도그부재(135)는 클럿치링(95)에 의해 밀림을 받으면 링부재(89) 및 환상의 기어(93)의 요부(89d 및 93d)들과의 결합을 풀고 분리되어 나온다.
선택된 태양에 있어서, 도그부재(135)는 프레스(1)의 프레임(3)에 수평으로 부착된 실린더형 케이스(137)에 접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스프링(139)에 의해서 클럿치링(95)쪽으로 밀림을 받게 된다. 도그부재(135)의 끝에는 롤러(141)가 구비되며 이 롤러(141)는 클럿치링(95)에 의해 건드러지게 된다. 이렇게하여 클럿치링(95)이 링부재(89) 및 환상의 기어(93)와의 결합에서 벗어나서 크랭크축(11)을 동력원으로 부터 단절시키면 도그부재(135)는 클럿치링(95)에 의해 밀림을 받아 한계스윗치(133)와 접촉하게 되어 모우터(15)가 프레스(1)를 구동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축(11)이 그 상한점을 지나 의도에 맞지 않게 회전하여 램(7)의 2중 행정을 의도에 맞지 않게 허용하려 하면 환상의 기어(93)에 의해 크랭크축(11)이 구동되는 것이 정지될뿐 아니라, 프레스(1)자체가 모우터(15)에 의해 구동될 수 없게 된다.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환상의 기어(93)와 클럿치링(95)과의 반경 방향 위상을 맞추기 위해서 프록시미티 스윗치(proximity switch)(143)가 브라켓트(145)상에, 그리고 환상의 기어(93)인근에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브라켓트(145)는 프레스(1)의 프레임(3)의 일부위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프록시미티 스윗치(143)를 작동시키는 작동화부재(147)는 환상의 기어(93)의 원주면에 부착되어 있다. 공지의 방법으로 프록시미티스윗치(143)는 작동화부재(147)가 그 근처에 접근해 오면 곧 신호를 발하게끔 마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클럿치링(95)의 클로우부재(97)가 링부재(89) 및 환상의 기어(93)의 요부들(89d 및 93d)과 결합되어 있을때 그리고 크랭크축이 예정된 회전위치에 와있을때는 작동화부재(147)는 프록시미트스윗치(143)의 인근에 접근해 있게끔 환상의 기어(45)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환상의 기어(93)와 클럿치링(95)과의 반경방향 위상을 맞추기 위해서는 다만 첫째, 크랭크축(11)을 예정된 위치까지 회전시켜 놓은후 작동화부재(143)가 접근해 왔다는 신호를 프록시미티스윗치(143)가 발할때가지, 링부재(89)상에 있는 환상의 기얼(93)를 회전시킨다. 부수적으로 클럿치링(95)과 환상의 기어(93)의 요부(89d 및 93d)와의 결합에서 벗어난후 클럿치링(95)과 환상의 기어(93)와의 반경방향 위상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설명에서 분명해 졌듯이 제2의 태양에서도 크랭크축(11)이 그 상한점을 지나 회전을 계속하려 하자마자 곧 램(7)은 균형장치(25)에 의해 부드럽게 정지하여 일회의 행정완료후 의도에 맞지 않게 2중 행정을 하는 것이 방지된다. 크랭크축(11)이 의도에 맞지않게 그 상한점을 지나 회전을 계속하려하고 한계스윗치(83')가 제1태양에서와 같이 공지의 방식으로 도그(85')에 의해 작동화되면,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131)가 힘을 얻어서, 환상의 쳄버(99)내에 압축공기가 통로(121), 홈(125), 크랭크축(11)의 길쭉한 구멍(123) 및 스위블조인트(127)등을 통하여 배출되게끔 허용한다. 따라서 이때 환상의 피스톤부재(101)는 스프링(117)에 힘에 거슬러서 클럿치링(95)을 더이상 당길 수 없게 되며, 클럿치링(95)은 스프링(117)에 의해 밀려서 링부재(89) 및 환상의 기어(93) 의 요부(89d 및 93d)와의 결합 상태로 부터 클로우부재(97)를 분리해낸다. 이결과 링부재(89) 및 환상의 기어(93)로 부터 분리되어 크랭크축(11)이 구동되지 못하게끔 하며, 따라서 램(7)은 크랭크축(11)에 의해 더 이상 구동되지 않고, 균형장치(25)에 의해 2중행정을 하는 것이 방지되어 부드럽게 정지한다. 또한 클럿치링(95)이 스프링(117)에 의해 밀려서 링부재(89) 및 환상의 기어(93)로 부터 멀어지는 즉시 이에 따라 도그부재(135)는 밀려서 한계스윗치(133)와 접촉하여 모우터(15)의 운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첫째 크랭크축(11)을 예정된 위치에 회전시켜 놓고 그 다음에 작동화부재(147)가 프록시미티스윗치(143)에 접근해 올때까지 환상의 기어(93)를 회전시킴으로서 환상의 기어(93)와 클럿치링(95)의 반경방향 위상은 맞출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크랭크축(11)이 그 상한점을 지나 의도에 맞지 않게 회전을 계속하여 램(7)이 일회의 행정을 완료한후 2중 행정을 하도록 허용하려 하면, 곧 크랭크축(11)은 동력원으로 부터 단절된다. 또한 크랭크축(11)이 동력원으로 부터 단절되는 즉시 램(7)은 균형장치(25)에 의해 2중 행정을 하지 않고 부드럽게 정지하여 프레스(1)의 어떠한 부분에도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본 고안의 선택된 형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 분야에 숙달된 사람들은 본 고안의 원리에서 벗어남이 없이 본 장치에 대하여 여러가지 수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같이, 크랭크축(11)에 가설되고 있는 보조 클럿치장치(43,49,89,93,95)의 작용으로 동력원을 절단케 하고 트랜스미션(19)과 램(7)은 램(7)의 행정이 완료된 후에도 크랭크축(11)이 의도에 맞지 않는 회전으로 인하여 상한점을 지날때에는 균형장치(25)의 작용으로 정지시키며, 또 보조 클럿치장치(43,4989,93,95)는 크랭크축(11)에 가설되어 있으며, 동력의 절단은 통상의 기압식 장치를 이용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프레스의 안전운행장치.
KR2019820001665U 1982-03-05 1982-03-05 기계식 프레스의 안전운행 장치 KR870000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1665U KR870000021Y1 (ko) 1982-03-05 1982-03-05 기계식 프레스의 안전운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1665U KR870000021Y1 (ko) 1982-03-05 1982-03-05 기계식 프레스의 안전운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700U KR830002700U (ko) 1983-11-23
KR870000021Y1 true KR870000021Y1 (ko) 1987-01-28

Family

ID=1922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1665U KR870000021Y1 (ko) 1982-03-05 1982-03-05 기계식 프레스의 안전운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0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700U (ko) 198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5971A (en) Fluid operated clutch and brake
KR101498751B1 (ko) 클러치 구동 시스템
JP3764229B2 (ja) 工作機械の主軸ユニット
EP0081450B1 (en) Combination clutch-brake
US4186827A (en) Fluid operated clutch and brake
US4122926A (en) Fluid operated clutch and brake
US3643918A (en) Nail-extracting device
KR870000021Y1 (ko) 기계식 프레스의 안전운행 장치
US4190143A (en) Method and devices for safety for mechanical presses
GB545495A (en) Improvements in metal bending machines
US2708993A (en) Fluid operated cldutch
US2759582A (en) Power clutch
US2574204A (en) Cam operated clutch
US4616739A (en) Inching drive
US2204710A (en) Control means for fluid-operated clutches
JP2622278B2 (ja) ブレーキ/クラッチ装置
US4341137A (en) Material forming apparatus
EP0005634B1 (en) Safety devices for mechanically operated apparatus such as punch presses
US2848082A (en) Clutch and brake unit for presses
US2778456A (en) Disk type brake
US3171525A (en) Retractable housing assembly for clutches and the like
US4987794A (en) Stroke adjusting apparatus for a punching press
US4589533A (en) Clutch and brake assembly
CN115213315A (zh) 一种压力机自动线的主机上死点安全检测锁止系统及其锁止方法
US4312435A (en) Safety devices for mechanically operated apparatus such as a punch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