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688Y1 - 담배 포장갑 - Google Patents

담배 포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688Y1
KR860002688Y1 KR2019840002863U KR840002863U KR860002688Y1 KR 860002688 Y1 KR860002688 Y1 KR 860002688Y1 KR 2019840002863 U KR2019840002863 U KR 2019840002863U KR 840002863 U KR840002863 U KR 840002863U KR 860002688 Y1 KR860002688 Y1 KR 860002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oil
cigarette
cellophane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2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976U (ko
Inventor
이용규
이완호
Original Assignee
이용규
이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규, 이완호 filed Critical 이용규
Priority to KR2019840002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688Y1/ko
Publication of KR8500069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9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6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18Container formed by a flexible material, i.e. soft-packages
    • B65D85/1027Ope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담배 포장갑
제1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전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셀로판지의 전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변형예에 사용되는 은박지의 전개도.
제4도는 제1도 A-A선 단면도.
제5도는 제2도 B-B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포장과정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포장완료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포장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은박지 2 : 셀로판지
3 : 담배 포장지 4 : 접합밴드
13, 13', 13", 23 : 절취부 14, 14', 24 : 보강테이프
17, 17', 27 : 절단결 C, C' : 절취선
15, 35, 15', 35', 25, 45 : 절개부 28 : 손잡이
본 고안은 담배포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 설명하면 권련담배갑의 내부 포장용 은박지와 외부포장용 셀로판지를 한번의 절취로서 일시에 다함께 간단히 절취개봉되게한 담배포장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담배포장갑은 담배 포장갑의 외부를 싸고있는 셀로판지의 상단에 셀로판지 절취용 티어 테이프(tear tape)를 부착하여 테이프를 당기므로서 개구부측 셀로판지만 절취 제거되게 하였다.
이와같은 종래의 담배 포장갑 개봉방법은 티어 테이프를 당기는 간단한 방법으로 셀로판지를 절취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셀로판지 절취후에도 내부에 포장되어 있는 은박지를 또다시 절취 제거하여야만 비로서 개봉이 완료 될 뿐만 아니라 은박지 절취시 은박지들이 여러조각의 소편으로 떨어지면서 분리되므로 은박지를 절취하는데 불편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담배포장갑 개봉방법은 담배갑의 상면부를 덮고있던 셀로판의 상면부전체가 절취 제거되므로 휴대 또는 사용중에 내부의 담배가 빨리 건조될뿐 아니라 셀로판 포장지 자체가 담배갑에서 벗겨져나가 담배포장값이 오손되고 또한 탈락된 셀로판지가 주머니나 주위환경을 지저분하게 만드는 문제가 나타났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담배 포장방법의 결점을 개선하고 포장갑의 개봉부 일측 즉, 접합밴드의 일측에 있는 셀로판지와 은박지를 한번에 모두 절취되게 하므로서 간편한 방법으로 개봉할 수 있고 개봉부를 제외한 셀로판지 전체는 제거되지않아 담배가 빨리 건조되지 않으면 담배갑이나 주위환경을 오손시키지 않는 담배포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한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 담배자동포장기의 구조변경을 요하지않고도 전술의 제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담배포장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담배 포장갑의 개봉부측에 위치하는 은박지 또는 셀로판지의 연부에 종방향의 절단결을 갖는 보강테이프나 또는 절단결이 없는 평편한 보강테이프를 부착한 후 이 보강테이프가 부착된 은박지와 셀로판지가 봉함부에서 함께 겹쳐진 상태로 포장되게 하므로서 개봉부 절취시 셀로판지와 은박지가 일시에 함께 절취제거되도록 하여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되게 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1은 권련을 옆에서 둘러싸면서 포장되도록된 담배갑의 내부포장용 은박지이고, 제2도의 2는 담배갑의 외부포장용 셀로판지를 나타내는바, 은박지(1)와 셀로판지(2)의 제1도 및 제2도의 점선으로 표시한 절곡부에서 절곡되도록 통상적인 담배 포장방법에 따라 담배 포장지(3)의 내외측에 포장된다.
제1도와 제4도에 의하면 은박지(1)는 일면에 은박층(12)을 라미네이팅한 종이층(11)로된 통상의 은박지이고 절곡선(19)을 따라 절곡되는 은박지(1)의 상단연부에는 종방향의 절단결(17)이 형성된 보강테이프(14)를 부착하거나 또는 절단결이 없이 평편한 보강테이프(14)를 부착한다.
이 보강테이프(14)는 은박지(1)절취시 제7도에서 보는바의 접합밴드(4)의 일측에 위치하는 개봉부(X)에서 절취선(C)으로 구획되는 절취부(13)가 절취선(C)을 따라서 정확히 절취되도록 하는 것이다.
보강테이프(14)는 강인한 재질의 합성수지필름등과 같은 밴드상 물질로서 은박지(1)의 절취부(13)전체가 여러 조각으로 분리됨이 없이 일시에 절취 제거되도록 은박지의 종이층 또는 은박층을 보강하게하는 것이다. 보강테이프(14)에는 종방향의 절단결(17)을 형성하여 은박지(1)가 필요한 부분에서 정확히 절취되게 할 수 있는바, 절단결(17)의 형성은 보강테이프(14)의 부착되지 않는 면에 골이 지게 압입하거나 일정 간격으로 요홈을 형성하므로서 가능하며, 이 절단결(17)에 따라서 은박지(1)의 필요한 부위가 절개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 절단결(17)의 형성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평편한 그대로의 보강테이프(14) 사용하여도 큰 지장은 없다.
절취부(13)는 보강테이프(14)와 절단결(17)에 의하여 절취선(C)을 따라 할 수 있으나 절취할때 더욱 간단하게 절취되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절취부(13)의 절취선(C) 개시부위에 절취개시용 절개부(15)를 형성할 수도 있고 절취가 절취선(C)이 종료부쪽으로 절곡된 부분에 절개부(3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2도와 제5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담배포장갑의 외부포장용 셀로판지(2)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와 단면도로서, 이 셀로판지(2)에도 제1도의 은박지(1)에서와 마찬가지로 담배갑 개봉부(X)에 위치하는 셀로판지(2)의 절곡선(29) 상방부에 절단결(17)이 형성된 보강테이프(24) 또는 절단결(27)없이 평편한 보강테이프(24)를 부착하여 절취선(C')로 구획되는 절취부(23)가 셀로판지(2) 절취시 정확히 절취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 보강테이프(24)도 제1도와 제4도에서 은박지(1)와 관련하여 설명한 보강테이프(1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절단결(27) 또한 은박지(1)에 부착되는 보강테이프(14)의 절단결(17)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할수도 있으나, 이 절단결(27)은 또한 이것을 형성하지 않아도 큰 지장은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셀로판지(2)에 보강테이프(24)를 부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적어도 은박지(1)에만 보강테이프(14)가 부착되어 있다면 셀로판지(2)에는 보강테이프(24)의 부착을 생략할 수도 있다.
절취부(23) 또한 보강테이프(24)와 절단결(27)에 의하여 절취선(C')을 따라 쉽게 절취할 수 있으나 절취시 더욱 간단하면서도 정확히 절취되도록 하기위하여는 절취선(C')의 개시부위와 종료부위쪽으로 절곡부에 각각 절개부(25)와 절개부(45)를 형성할 수도 있는바, 절취개시부위에 있는 절개부(25)는 포장시 셀로판지(2)를 제2도에서의 절곡선(a')를 따라 접었을때 절곡선(a')에서 접힌 부분이 제7도에서 보는바의 손잡이(28)로 되게 하는 역할도 함께 한다.
제1도와 제2도에 의한 절취부(13)(23)와 절개부(15)(35)(25)(45)의 위치는 은박지(1)와 셀로판지(2)의 포장방법에 따라 그 위치는 변경될 수 있으나 포장후에는 형상 접합밴드(4)의 일측 개봉부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함은 당업계에 종사하는 자이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3도는 은박지가 제1도에서의 담배를 옆으로 둘러싸는 은박지(1)의 경우와는 달리 담배를 길이 방향으로 포장하는 담배갑에 사용되는 은박지(1')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은박지(1')를 전개하여 내면을 보인 전개도이다.
제3도에 의한 은박지(1')는 담배갑의 개봉부(X)에 위치하는 절취부(13)가 은박지(1) 자체에서 볼때 중앙상단부 한곳에만 있는 제1도 경우의 은박지(1)와는 달리 포장방법상의 차이로 인한 당연한 것이지만 2개의 절취부(13')(13")가 은박지(1')의 상하 양단부 2개소에 각각 분리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2개소에 분리되어졌던 절취부(13)(13")는 은박지(1')의 각절곡선을 절곡하여 은박지(1')의 하반부가 은박지(1')의 상반부와 대면되게 하고 은박지(1')의 하반부 양측연부가 은박지(1')의 상반부 양측연부에 서로 겹쳐지게하여 담배갑으로 포장될때에 결국 하나의 절취부로 겹쳐져서 담배갑의 하나의 개봉부(X)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므로 제3도 전개 상태에만 분리되어 있을뿐, 실제포장시 실질적으로는 이들이 하나의 절취부를 이루게되어 본질적 기능면에서는 제1도 은박지(1)에서의 절취부(13)와 상이점은 없는 것이다.
이 절취부(13')(13")에도 절취가 정확히 되도록 각각 제1도에서 설명한 은박지(1)에서와 같이 절단결(17')을 값는 보강테이프(14')를 부착하는바, 이 경우 보강테이프(14')의 폭 또는 절단결(17')의 길이는 제1도에서 설명한 은박지(1)에서의 경우와는 달리 절취부(13')(13")의 폭만큼 은박지(1')의 측면 절곡선을 접어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한다.
이 경우에는 본래 절취부(13')(13")가 본래 분리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들이 절취시 따로따로 떨어지지 않고 일체로 절취 제거되도록하기 위하여는 절취부(13') 또는 절취부(13")에 접착층(16')(16")을 형성하여 절취부(13')(13")가 포장후에는 일체로 접착상태를 유지하도록하여 주어야 한다. 또한 절취부(13')(13")가 용이하게 절취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제1도에서 설명한 은박지(1)에서와 같이 절취선의 개시부와 절곡부에 절개부(15')(15")(35')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 제3도의 은박지(1')를 사용하는 예에서도 이와함께 사용되는 셀로판지는 제2도의 셀로판지(2)가 구별없이 동일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은박지(1) 또는 은박지(1')와 셀로판지(2)는 통상적인 담배 포장방법, 예를들면 담배(권련)(6)을 은박지(1) 또는 은박지(1')로 포장하여 인쇄된 담배포장지(3)로 포장하고 셀로판지(2)로 포장하는 방법과 거의 같은 방법으로 포장을 하는 것이나, 다른것은 은박지(1) 또는 은박지(1') 포장시는 윗부분을 접지 않고 입구가 개방된 상태 그대로서 인쇄된 담배포장지(3)에 의한 다음 포장순서로 넘어가 포장을 하였다가 셀로판지(2)를 포장할 때에 비로서 은박지(1) 또는 은박지(1')의 윗부분이 셀로판지(2)의 윗부분과 서로 겹쳐진후 함께 접혀져 포장되게 하고 그 위에 최종으로 접합밴드(4)를 부착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담배포장갑의 포장상태를 제6도 내지 제8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은박지(1) 또는 은박지(1')와 셀로판지(2)를 전술한바와 같은 담배 포장순서에 따라 포장하면 은박지(1) 또는 은박지(1')의 절취부(13) 또는 절취부(13')(13")와 셀로판지(2)의 절취부(23)은 함께 겹쳐진 상태에서 접혀서 포장된다.
따라서 담배포장갑을 제1도의 은박지(1)를 사용하여 포장한 경우 셀로판지(2)의 절취부(23)에 있는 절개부(25)에 의해서 형성된 손잡이(28)를 당기면 셀로판지(2)의 절취부(23)가 보강테이프(24) 또는 절단결(27)에 의하여 다른곳으로 절취되지 않고 절취선(C')를 따라서 정확히 절취됨과 동시에 이와 함께 이 셀로판지(2)에 함께 겹쳐져 있는 은박지(1)의 절취부(13)도 보강층(14) 또는 절단결(17)에 의하여 절개부(15) 및 절취선(C)를 따라 함께 절취되므로 은박지(1)와 셀로판지(2)의 절취부(13)(23)가 일시에 함께 절취 제거된다.
한편, 담배 포장갑을 제3도의 은박지(1')를 사용하여 포장한 경우에도 셀로판지는 앞에 설명한 제1도 은박지(1)와 함께 사용되었던 동일한 구조의 셀로판지(2)가 사용되는 것이므로 셀로판지(2)의 절취부(23)가 앞에 설명하였던 바와같이 절취됨과 동시에 이와함께 이 셀로판지(2)에 함께 겹쳐져 있는 은박지(1')의 절취부(13')(13")도 보강층(14')과 절단결(17')에 의하여 절취되는바, 먼저 절취부(13')의 절개부(15')에서 절취가 개시된후 절개부(35')로 이행되었다가 절단결(17')에 의하여 구성되는 절취선을 따라 그 절취부(13')에 겹쳐져서 접착층(16')(16")에 의하여 일체 접착상태로 있는 절취부(13")의 절개부(15")로 절취가 계속 이행되어 절취부(13')와 절취부(13")가 함께 절취되므로 은박지(1')와 셀로판지(2)의 절취부(13')(13")(23)가 일시에 함께 절취 제거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셀로판지를 절취할때 은박지도 함께 절취되므로 그 절취작업이 간편할뿐 아니라 은박지를 재차 별도로 절취제거 해내는 수고가 없어지게되어, 접합밴드의 일측에서만 절취되고 접합밴드의 타측 개봉부는 셀로판지에 포장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되므로 담배포장갑의 오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담배가 빨리 건조되는 것도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포장과정중 하나의 공정으로 보강테이프 부착하는 경우에도 셀로판지에 티어 테이프를 접착시키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은박지나 셀로판지에 보강용 테이프를 접착시킬수가 있으므로 기존담배 자동포장기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도 실시할 수 있게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담배를 은박지(1)(1')와 인쇄된 담배포장지(3) 및 셀로판지(2)로 포장하고 셀로판지(2)의 개봉부를 접합밴드(4)로 접합하여서되는 담배포장갑에 있어서, 포장후 접합밴드(4)의 일측 개봉부(X)에 위치하여 개봉시 절취부(13)(13')(13")(23)를 구성하는 은박지(1)(1')와 셀로판지(2)의 연부에 절단결(17)(17')(27)이 형성되었거나 또는 평편한 보강테이프(14)(14')(24)를 부착하고 포장시 그 은박지(1)(1')와 셀로판지(2)를 서로 함께 겹쳐진 상태로 포장하여 개봉시 은박지(1)(1')와 셀로판지(2)가 일시에 함께 절취되도록 형성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포장갑.
  2. 청구범위 제1항에서, 은박지(1)는 담배를 옆으로 싸게된 것이고 절취부(13)가 포장시 개봉부(X)에 위치하도록 은박지(1)와 중앙 상부 일측에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포장갑.
  3. 청구범위 제1항에서, 은박지(1')는 담배를 길이 방향으로 포장하게된 것이고 절취부(13')(13")가 포장시 개봉부(X)에 위치하도록 은박지(1')의 상하 양단에 모서리부에 각각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포장갑.
  4. 청구범위 제3항에서, 은박지(1')의 양측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절취부(13')(13")는 포장후 절취부(13')(13")가 상호 접착되도록 접착층(16')(16")을 가지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포장갑.
  5. 청구범위 제1항에서, 절단결(17)(17')(27)은 보강테이프(14)(14')(24)의 한쪽면에 요홈들을 형성시켜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포장갑.
  6. 청구범위 제1항에서, 은박지(1)(1')와 셀로판지(2)의 절취부(13)(13')(13")(23)는 절취선의 개시부와 절곡부에 절개부(15)(35)(15')(15")(35')(25)(45)를 가지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 포장갑.
KR2019840002863U 1984-03-31 1984-03-31 담배 포장갑 KR860002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863U KR860002688Y1 (ko) 1984-03-31 1984-03-31 담배 포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863U KR860002688Y1 (ko) 1984-03-31 1984-03-31 담배 포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976U KR850006976U (ko) 1985-10-04
KR860002688Y1 true KR860002688Y1 (ko) 1986-10-15

Family

ID=1923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2863U KR860002688Y1 (ko) 1984-03-31 1984-03-31 담배 포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6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976U (ko) 1985-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0676A (en) Pack, more particularly a cuboid pack, for cigarettes, small cigars and the like
RU2189928C2 (ru) Упаковка с курительными изделиями
US4735316A (en) Package for individual, disposable sanitary articl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package
CA1278555C (en) Cuboid pack for cigarettes or the like and process for producing it
RU2091283C1 (ru) Сигаретная пачка
US5511658A (en) Soft pack for cigarettes
RU2189927C2 (ru) Упаковка для кур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EP2455302B1 (en) Cigarette package
US4938363A (en) Container wrapper with integral tear tape,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KR100239862B1 (ko) 담배등을 위한 힌지식 뚜겅달린 포장물
RU2219115C2 (ru) Выкройка для сигаретной пачки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игаретной пачки из выкройки
US5957280A (en) Cuboid packet for cigarettes and blank for the packet
US5542597A (en) Precut wrapping paper for wrapping packages
PL197714B1 (pl) Sposób wytwarzania miękkich opakowań, zwłaszcza opakowań papierosów i opakowanie, zwłaszcza opakowanie papierosów
WO1999001350A1 (en) Carton, carton blank and method for forming the carton
JPH06199340A (ja) シガレットパッケージ・ケース組合せ体
CS271333B2 (en) Box package with flap closure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US6244435B1 (en) Cigarette package
US4715497A (en) Shoulder box for cigarettes or the like
KR101142750B1 (ko) 담뱃갑 용지
SU607542A3 (ru) Упаковка дл сигарет
US6390290B1 (en) Foldable material (cigarette) packaging
JPH0662186B2 (ja) 角型パツク
US3581979A (en) Parallelepiped package
GB2031385A (en) Cigarette Pack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