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510Y1 - 열풍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열풍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510Y1
KR860002510Y1 KR2019840006619U KR840006619U KR860002510Y1 KR 860002510 Y1 KR860002510 Y1 KR 860002510Y1 KR 2019840006619 U KR2019840006619 U KR 2019840006619U KR 840006619 U KR840006619 U KR 840006619U KR 860002510 Y1 KR860002510 Y1 KR 860002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hot air
flame
hea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6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897U (ko
Inventor
오공수
Original Assignee
오공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공수 filed Critical 오공수
Priority to KR2019840006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510Y1/ko
Publication of KR8600018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8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5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8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풍 발생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 A-A선에서본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제4도는 제2도 B-B선단면도.
제5도는 제2도 C-C선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풍발생실 2 : 로통
3,3' : 배연관 6 : 경사주면
7 : 화염회류실 8 : 원추부
9 : 증공통체 10 : 방열관
본고안은 비닐하우스용이나 건조실용으로 사용하기위한 열풍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열풍발생실내에 버어너로 가열되는 로통을 장설하고 로통으로부터 방열관을 증공통체에 연결하여 송풍팬에서 열풍 발생실내로 취입되는 공기를 증공통체와 방열관및 로통에 접촉, 가열시켜 열풍을 발생시키는 장치는 버어너의 화염이 로통내에서 신속히 배출될뿐 아니라 증공통체내로 유입된 배연열도 열풍 발생실내에서 곳바로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되어 있으므로 열기배출이 빠르게 진행되는 데다가 로통에서부터 열풍발생실 외부로 이어지는 배연경로 중의 전열면적이 작기 때문에 열효율이 그다지 좋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의 종래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버어너의 화염이 집중되는 로통의 후단부에는 화염회류실을 형성함과 함께 로통의 주면으로부터 다수의 방열관을 화염회류실 선단부측에 형성한 증공통체로 연통되게 관착한후 그 증공통체로부터 배연관을 다시 로통측으로 우회 배관하여 버어너에서 방사되는 열의 측열 및 전열 효과를 향상 하므로서 열효율을 크게 향상할수 있는 열풍발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온 단열제가 처리된 열풍발생실(1)내에 버어너로 가열하게된 로통(2)을 장설하여 그 로통(2)으로부터 다수의 방열관(10)을 중공통체(9)에 연관하여 송풍팬(5)으로 열풍발생실(1)내에 취입되는 공기를 가열, 배출되게 한것에 있어서, 로통(2)의 선단부에 로통(2)과 경사주면(6)으로 연결된 원추부(8)를 중공통체(9)까지 근접되게 연장하여 화염회류실(7)을 형성함과 함께 중공통체(9)의 양측하단에 배연관(3)(3')을 설치하여 로통(2) 전방측에 있는 연통(4)쪽으로 우회 배관하여서된 것으로, 도면중 부호 11은 버어너, 12는 열풍배출구를 표시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송풍팬(5)으로 열풍발생실(1)내에 공기를 취입하면서 버어너(11)로 로통(2)내부를 가열하면 버어너(11)에서 방사되는 화염은 일단은 화염방출력에 의해 화염회류실(7)로 집중되고 화염회류실(7)로 집중된 화염은 화염회류실(7)선단에 막혀있는 원추부(8)에 의해 다시 화염회류실(7)내주면부를 따라 로통(2)쪽으로 회류된후 로통(2)과 화염회류실(7)사이의 경사주면(6)에 관착되어 있는 방열관(10)을 통해 중공통체(9)로 유입되고 이와같이 중공통체(9)로 유입된 연소가스는 다시 로통(2)측으로 우회 배관된 배연관(3)(3')을 통해 연통(4)으로 보내져 외부로 배출되게된다. 따라서 열풍발생실(1)내부로 취입된 공기는 전술의 화염 우회 경로 즉, 로통(2)에서 화염회류실(7)과, 원추부(8), 방열관(10), 중공통체(9), 배연관(3)(3') 및 연통(4)으로 이어지는 가열 경로에 접촉하면서 가열되어 열풍으로된후 열풍발생실(1)저면을 통해 외부로 개구된 열풍 배출구(12)로 배출되는 것인바, 이때 본 고안은 열풍발생실(1)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화염이 집중되어 고온으로 가열되는 화염회류실(7)과 그선단의 원추부(8)에 접촉되어 가열을 받을뿐만 아니라 배연열을 받고 있는 중공통체(9)내부면과 원추부(8)외 주면사이로 확산되면서 그중공통체(9) 및 방열관(10)의 배연열에 의하여 가열을 받고, 또한 이공기는 로통(2)의 외주면 및 배연관(3)(3')과의 접촉으로 인한 가열을 복합적으로 받으면서 가열되므로 단시간내에 열풍으로 가열되게 된다.
또 한편, 본 고안은 화염경로의 측면에서보면 로통(2)내로 방사된 버어너의화염이 곳바로 배연관으로 배출되지 않고 원추부(8)가 길게 연장되어 구성하는 화염회류실(7)에 의하여 원추부(8)측까지 갔다가 다시 로통(2)쪽으로 회류된후 방열관(10)을 통해 우회하여 중공통체(9)로 유입되고 다시 배연관(3)(3')으로 우회 배출되는 것이므로 열풍발생실(1)내에서의 열체류 시간이 상당히 길게되며, 화염회류실(7)과 원추부 (8)및 방열관(10)과 중공통체(9) 그리고 우화배관된 배연관(3)(3')에 의해 전열면적이 크게 되므로 열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같이 로통을 버어너로 가열하여 열풍 발생실내의 공기를 가열할때 로통에서 이어지는 화염배출경로상에 화염회류실과 방열관 및 중공통체와 우회된 배연관을 형성하여 축열효과를 크게함과 동시 전열면적이 넓어지게 하므로서 열풍발생기의 열효율을 크향 상할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Claims (1)

  1. 열풍 발생실(1)내에 버어너로 가열하게된 로통(2)을 설치하고 로통(2)의 전방에 중공통체(9)를 다수의 방열관(10)으로 연통되게 연결하여서된 것에 있어서, 로통(2)의 선단부에 원추부(8)를 그 선단이 중공통체(9)까지 근접되도록 연장형성하여 화염회류실(7)을 형성하고 중공통체(9)에 양측하단에 배연관(3)(3')을 설치하여 로통(2)전방의 연통(4)에 연결하여서된 열풍발생장치.
KR2019840006619U 1984-07-11 1984-07-11 열풍 발생장치 KR860002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619U KR860002510Y1 (ko) 1984-07-11 1984-07-11 열풍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619U KR860002510Y1 (ko) 1984-07-11 1984-07-11 열풍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897U KR860001897U (ko) 1986-03-15
KR860002510Y1 true KR860002510Y1 (ko) 1986-09-30

Family

ID=1923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6619U KR860002510Y1 (ko) 1984-07-11 1984-07-11 열풍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5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897U (ko) 198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4514A (en) Heat-recovering apparatus for furnaces
KR860002510Y1 (ko) 열풍 발생장치
KR970062480A (ko) 열유체 발생로
KR200172768Y1 (ko) 폐열 회수장치를 부설한 건조기
KR910002248Y1 (ko) 열풍 발생 장치
US2394627A (en) Heating apparatus
US4661057A (en) Combustion device
KR200226249Y1 (ko) 온풍기
US3771945A (en) Gas burner having a diffuser for mixing combustion air and gas
GB2082761A (en) Space Heaters
KR880001044Y1 (ko) 열풍 발생기
KR900005597Y1 (ko) 엽연초 건조기의 흡입공기 예열장치
JPS5487301A (en) Boiler
KR910006604B1 (ko) 온수난방장치
KR880003720Y1 (ko) 열풍기
PL177233B1 (pl) Urządzenie grzewcze z elementem promiennikowym
KR900001178Y1 (ko) 온풍기
JPH0118964B2 (ko)
KR200142645Y1 (ko) 가스보일러의 배기풍압 보상을 위한 버플플레이트의 구조
KR880006498A (ko) 사이클론 연소식 보일러
KR790001699Y1 (ko) 기체가열용 연소장치
KR100334755B1 (ko) 열풍 혼합 장치
KR890007976Y1 (ko) 개스 열풍기(熱風機)
JPH0539924A (ja) 遠赤外線発生装置
KR920004212Y1 (ko) 열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