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791B1 - 디지탈 페이징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탈 페이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791B1
KR860001791B1 KR1019830004888A KR830004888A KR860001791B1 KR 860001791 B1 KR860001791 B1 KR 860001791B1 KR 1019830004888 A KR1019830004888 A KR 1019830004888A KR 830004888 A KR830004888 A KR 830004888A KR 860001791 B1 KR860001791 B1 KR 860001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message
paging
codes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579A (ko
Inventor
타까시 오오야기
요시오 이찌가와
Original Assignee
닛본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세끼모도 타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세끼모도 타다히로 filed Critical 닛본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5Selective call decoders
    • H04W88/028Selective call decoders using pulse address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94Condition code generation, e.g. Carry, Zero fla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9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with other provisions not elsewher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15341Preparation processes therefor
    • H01F1/1535Preparation processes therefor by powder metallurgy, e.g. spark ero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 페이징 시스템
제1도는 전송율이 변수로서 채택된 BER대 C/N특성도.
제2a도 내지 제2f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징 시스템에 응용할 수 있는 페이징 신호의 포오맷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징 시스템의 페이징 터미날 구조를 도시한 블럭계통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제어부내의 제어동작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제5a도 내지 제5c도는 제3도의 페이징 터미날에서의 페이징 코드의 기록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5a도는 각각의 코드워드의 합성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5b도는 메시지가 기록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5c도는 어드레스 번호가 기록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징 시스템의 페이징 수신기의 블럭 계통도.
제7a도 및 제7b도는 각각 제6도에 도시한 수신기의 LPF의 개략 회로도 및 주파수 특성도.
제8a도 내지 제8d도는 페이징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제6도의 페이징 수신기 동작을 설명하는시간도표.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징 시스템에 의해 사용될 페이징 신호의 워드번호 지정비트와 그의 기능을 함께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수신부 3 : 주파수변렬기
4 : 저여통과필터 5 : 슬라이서
6 : 디코더 8 : 메시지제어기
11 : 액정표시기 12 : 데이타처리부
100 : 페이징터미날 102 : 전화교환회로망
103 : 트렁크 104 : MF수신기
105,109 : 레지스터 106 : 음색발생회로
107,113 : I/O포트 108 : PB음색수신기
115 : 변조기 116 : 복조기
117 : 송신기 126 : 타이머
본 발명은 디지탈 페이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드레스코드 및 메시지코드를 포함한 페이징코드로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는 디지탈 페이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페이징 시스템에는 주파수의 효율적인 이용에 대한 필요성, 및 비트오차율(BER: Bit Error Ratio)의 저하로 인한 페이징코드 수신 능률의 감소에 대한 우려 때문에, 전송율의 상한치 및 하한치가 설정되어 있다. 한편, 어드레스 또는 호출 코드 이외에 숫자나 문자로 표현된 메시지코드가 전송되어 페이징 수신기가 이러한 메시지 코드를 수신 및 표시하게 하는 페이징 시스템에 대한 여러가지 제안이 있어왔다. 공지된 이러한 제안의 일예로는 영국 특허출원 제2,1061,582호(본 출원인에게 양도되고 1981년 5월 13일에 공개됨)로 엠. 마사키(M.Masaki)씨에 의해 출원된 "디지탈 무선 페이징 통신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한 메시지코드의 전송은 각각의 디시지 코드가 보통 방대한 량의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단순한 어드레스코드의 경우보다 2내지 3배의 전송용량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통신선로가 각각의 가입자에 의해 점유되는 기간이 확장되어, 이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가입자 용량이 불가피하고 제한된다. 이러한 결점은 전송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해소될 수 있지만, 위에서 언급한것 처럼 다시 페이징 코드 수신능률의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어드레스코드 수신능률의 감소는 페이징 수신기가 어드레스코드가 정확히 검출된 후에만 어드레스 코드에 수반되는 메시지코드의 처리를 시작하기 때문에 페이징 시스템에 치명적인 것이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페이징코드(특히, 어드레스 코드)수신능률에 악영향을 미치지않고 메시지코드를 효과적으로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는 페이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기코드및 어드레스코드를 포함한 페이징 코드를 저 비트율로 전송하고 메시지코드를 고비트율로 전송할 수 있는 페이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비트율로 전송된 어드레스 또는 호출코드 및 고비트율로 전송된 메시지코드를 수신할 수 있는 페이징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페이징 수신기는 제1전송율을 갖고 있는 제1코드, 제2전송율을 갖고 있는 제2코드 및 제1코드와 제2코드를 구별하기 위한 식벽코드를 포함한 페이징코드르르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장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차단주파수를 절환하여 제1 및 제2코드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수신기 장치의 출력에 접속된 저역 통과필터(LPF)장치, 및 수신된 식별코드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어, 이 제어신호를 LPF장치에 공급하고, 추출된 제1 및 제2코드를 해독하기 위해 LPF장치의 출력에 결합된 데이타 처리부 장치로 구성된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1도는 전송율과 BER이 서로 대립하는 관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동일한 BER을 얻기 위해서, 반송파 대 잡음(C/N)비, 즉 전송전력은 200비트/초의 전송을 보다 400비트/초의 전송율에서 더 커야 된다. 다시말하면, 신호가 동일한 전송전력으로 전송되는 경우에, BER의 저전송율(200비트/초)에서 보다 고 전송율(400비트/초)에서 더 크게 되어, 이에 따라 페이징 수신기에서 더 낮은 페이징코드 수신능률을 갖게된다.
제2a도는 어떻게 페이징코드의 그룹들이 함께 형성되고 각각의 수신기가 이 그룹들중 한 그룹 또는 다른그룹에 할당되는지를 도시한 것이다. 제2b도는 각각의 그룹이 어떻게다른 코드로 구성되는지를 도시한 것이고, 제3c도는 워드 동기 및 그룹동기를 달성하기 위한 동기코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제2b도에서, 데이타 부분 #1-#8은 어드레스 또는 메시지코드를 포함한다. 제2d도는 BCH(31,16)코드가 사용되는 경우에, 각각의 수신기를 선택적으로 호출하기 위한 어드레스 또는 호출코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어드레스 코드의 비트율은 이 경우에 200비트/초이다. 제2e도는 메시지 코드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에는 비트율을 어드레스 코드의 경우보다 2배로 높임으로써 BCH(63,45)코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렇지만, 여기에서 사용된 메시지 코드는 프레임 동기화 때문에 BCH(63,45)코드보다 1비트 짧다. 제2f도는 전송된 페이징 코드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S 및 S'는 동기코드이고, A1 내지 A5는 각각의 수신기를 선택적으로 호출하기 위한 어드레스 코드이며, M1내지 M3는 전송율만이 400비트/초로 높아진 메시지 코드이다.
제3도를 참조하여, 페이징 터미날(100)의 각각의 요소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다. 페이징 터미날(100)은 푸시버튼 또는 다른 형태의 전화기 셋트(101)을 포함하는 통상의 전화교환 회로망(102)에 접속된다. 다중주파수(MF)수신기(104)는 트렁크(trunk, 103)을 통해 전송된 MF신호를 수신하여 레지스터(105)에 공급한다. 이와마찬가지로, 푸시버튼(PB)수신기(108)은 트렁크(103)을 통해 보내진 PB음색(tone)을 수신하여 레지스터(109)에 공급한다. 음색 발생회로(106)은 페이징 터미날(100)으로부터 나온 유효 및 무효 음색을 전화기 셋트(101)등에 보내는데 사용된다. 타이머(126)은 입. 출력(I/O)포트(107)이 I/O타이밍을 갖게하도록 제공된 것이며, 레벨변화회로(114)는 제어기(110)으로부터 공급된 코드의 레벨을 변조기(115)에 적합하게 변환시키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송신기(117)은 전송선로(118)을 통해 변조기(115)로부터 전송되어 복조기(116)에 의해 복조된 페이징 신호를 안테나(119)를 통해 무선 주파수로서 송신한다. 이 페이징 터미날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앞서 언급한 마사키의 특허에 기술되어 있다.
이제 제4도를 참조하여, 제3도 내의 제어기(110)이 통상의 전화회로망으로부터 어드레스번호와 메시지데이타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관해 설명하겠다. 제어기(110)은 어드레스 번호가 레지스터(105)로 들어갈때까지 대기한다[제4도의 스텝(200)참조]. 스텝(200)에서 어드레스 번호를 엔트리(entry)할때, 제어기(110)은 레지스터(105)로 부터 I/O포트(107)을 통해 데이타를 받아들이도록 스텝(201)로 전이하며, 이 데이타를 등속호출 메모리(RAM, 111)에 저장된 가입자화일 데이타와 비교한다. 스텝(202)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때 동작의 진행은 비교 결과에 따라 두개의 분기중 한 분기를 따르게 된다. 어드레스 번호가 가입자 화일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동작진행은 스텝(203)으로 계속되며,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204)로 계속된다. 스텝(203)에서는, 무효음이 음색발생회로(106)으로 부터 발생되며, 그와동시에 종료절차를 취하여 대기작용을 하는 스텝(200)으로 복귀하게 된다.
스텝(204)에서, 제어기(110)은 교환회로망(102)가 페이징 터미날(100)을 전화기 셋트(101)에 직접 접속하는 것에 응답하여 유효음을 내보낸다. 이러한 직접 접속에 의해, 페이징 터미날(100)은 PB음색 수신기(108)로써 전화기 셋트(101)로 부터 PB음색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에, 제어기(110)은 스텝(205)로 진행하여, 메시지 데이타의 입력 개시음색의 엔트리를 기다린다. 입력개시 음색은 예를들어 PB전화기 셋트(101)의 #마크키이로 유입된다.
개시 음색이 선정된 기간내에 유입되지 못하면, 동작진행은 스텝(206)으로 이동하여, 어드레스코드가 소위 음색 전용페이징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준비되고, 이렇게 준비된 코드는 RAM(111)의 송출코드 영역에 기록된다. 어드레스번호의 각각의 디지트는 4비트 2진 코드로 변환되므로, 어드레스번호 제2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데이타부분 당 4디지트씩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메시지데이타의 입력개시 음색이 수신된면, 제어기(110)은 스텝(207)로 진행하여 메시지데이타를 받아들인다. 스텝(208)에서는 스텝(207)에서 받아들인 데이타에 메시지 단부 음색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지며, 스텝(207)은 이 단부 음색이 검출되어 결과적으로 충분히 전체 메시지를 수신할때까지 반복된다. 개시음색과 유사한 이 종료 음색은 전화기 셋트(101)의 마크키이로 유입된다. 스텝(208)에서 메시지 종료 음색을 검출할때, 동작순서는 스텝(209)로 진행하여, 각각 수신된 어드레스 번호 및 메시지로부터 어드레스 코드 및 메시지 코드를 준비하게 된다. 메시지데이타의 각각의 디지트는 4비트 2진코드로 엔코드되어, 그 결과 메시지는 제2e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한 데이타 부분당 11디지트씩 전송될 수 있다. 엔코딩후, 제어기(110)은 이 코드들을 송출코드 영역에 기록한다. 이와동시에, 어드레스번호와 메시지를 구별하도록 식별(DS)코드(아래에 설명됨)가 최상위 비트(MSB)로서 삽입된다. 한개의 DS비트가 어드레스 번호에 사용되고 두개의 DS비트가 메시지에 사용된다. 기록을 완료하면, 제어기(110)은 스텝(210)으로 진행하여 종료절차를 취한다음, 스텝(200)으로 복귀한다.
이제 제5a도 내지 제5c도를 참조하여 제4도의 스텝(206) 또는 (209)에서의 코드기록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제2b도의 데이타부분에 대응하는 기록용의 각각의 워드 또는 코드 워드는 제5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62비트로 구성된다. 메시지코드 비트들은 제5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드 워드의 비트들과 1대 1대응관계로 기록되므로, 코드워드 마다 62비트의 정보가 기록된다. 한편, 어드레스코드 비트는 제5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드 워드의 매 2비트중의 한 비트의 비율로 기록되므로, 코드워드 마다 단지 31어드레스코드 비트만이 기록된다.
코드들은 메시지의 경우와 동일한 비율(이 특정에에 있어서는 400비트/초)로 제어기(110)으로부터 전송된다. 따라서, 어드레스 코드의 각각의 비트는 메시지코드의 2비트와 등가이고, 어드레스 코드의 전송율은 메시지코드의 절반, 즉 200비트/초로 된다.
제6도에 있어서, 페이징 수신기는 안테나(1),r,f수신부(2), 주파수변별기(3), 차단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는 저역통과 필터(LPF,4), 및 데이타 처리부(12)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타 처리부는 슬라이서 또는 파형정형회로(5), 디코더(6), 어드레스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해독-전용 메모리(ROM,7), 메시지제어기(8), 스피커구동버퍼(9), 스피커(10) 및 액정 표시장치(LCD,11)을 포함한다.
페이징코드에 의해 주파수 변조되어 제3도의 송신측으로부터 전송된 무선주파 반송파는 안테나(1)에 의해 픽업되어, 수신부(2)에 의해 증폭되고 주파수 변환되며, 이 수신부의 출력은 주파수 변별기(3)에 의해 기본대역 신호로 복조된다. 기본대역 신호는 LPF(4)에 의해 추출된후 슬라이서(5)에 의해 파형-정형되어 디지탈신호로서 디코더(6)에 공급된다. 디코더(6)은 슬라이서(5)의 출력을 해독하여, 제2c도에 도시된 동기코드의 검출시 프레임 동기화 및 그룹 동기화를 달성한다.
그후, 수신기에 지정된 어드레스번호 코드가 ROM(7)로 부터 독출되어, 수신된 어드레스코드와 비교된다. 수신된 어드레스코드가 ROM(7)로부터 독출된 어드레스코드와 동일한 것으로 식별되면, 디코더(6)은 LPF(4)의 차단주파수를 절환시키는 제어신호 S2를 공급하여, 400비트/초의 비율로 데이타를 수신할 수 있게하고 이와 동시에, 메시지제어기(8)을 작동시킨다. 메시지 제어기(8)은 메시지코드를 수신하여 해독하고, 스피커(10)으로 부터 나온 경보음을 버퍼(9)를 통해 방출하거나 해독된 메시지코드를 LCD(11)상에 표시함으로써 가입자에게 경고한다.
제7a도는 제6도내의 LPF(4)회로를 도시한 것으로, 연산 증폭기(41)을 사용한 2차 버티워드(Butterworth)LPF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스위칭회로 SW1 및 SW2는 제어신호 S2에 의해 동작되고, 저항 R1내지 R4 및 개패시터 C1과 C2는 차단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스위칭회로 SW1 및 SW2가 개방될 때 사용된 차단주파수를 fcl으로 표시하고, 두개의 스위칭회로가 폐쇄될때 사용된 차단주파수를 fc2로 표시한다면, R1=R4,R2=R3 그리고 C1=C2인 경우에 두개의 차단주파수는 다음식으로 주어지게 된다.
fc1=
Figure kpo00001
fc2=
Figure kpo00002
이들 차단주파수 fc1 및 fc2는 신호가 각각 200비트/초 및 400비트/초의 전송율로 수신될때 사용된 것이다. 차단주파수 fc1(120Hz)에서, LPF(4)는 변별기(3)의 출력 S1으로부터 어드레스코드를 출력 S3으로서 추출해낸다. 차단주파수 fc2(24OHz )에서, LPF(4)는 또한 출력 S1으로부터 메시지코드를 출력신호 S3으로서 추출해낸다. 최종신호 S3은 슬라이서(5)에 인가된다. 제7b도는 제7a도에 도시한 LPF(4)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차단주파수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LPF는 스위치형 캐패시터필터(SCF) 또는 디지탈필터 따위의 몇가지 다른 종류의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LPF는 차단주파수가 서로 다른 두개의 LPF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LPF의 차단주파수를 절환시킴으로써, 저전송율로 전송된 신호가 최적한 차단주파수를 가진 LPF로써 수신될 수 있으므로 잡음이 제거될 수 있다. 제7b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전송율이 200비트/초 일때, LPF로부터 나온 출력잡음의 레벨은 전송율이 400비트/초인 경우보다 3dB낮게 되어, 이에 따라 코드수신 능률을 향상시키게 된다.
제8a도 내지 제8d도는 제2a도 내지 제2f도에 도시한 코드를 수신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제6도의 페이징 수신기의 동작예를 도시한 것이다. 디코더(6)은 어드레스코드 Ai를 수신할때까지 신호 S2를 제8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L"레벨로 유지하여 그 신호를 200비트/초의 전송율로 수신한다. 제8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신기에 대한 어드레스코드 Ai를 수신할때, 디코더(6)은 제8b도에 도시한 어드레스 검출펄스(ADP)를 메시지 제어기(8)로 보낸다. 이와동시에, 디코더는 제어신호 S2를 제8c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H"로 높여서, LPF(4)의 차단주파수를 400비트/초의 전송율에 대응하는 것으로 절환시켜, 메시지코드의 수신을 개시한다.
메시지제어기(8)은 ADP펄스에 의해 작동되어, 슬라이서(5)로 부터 나온 복조된 기본대역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메시지 코드의 한 워드를 수신할 때, 메시지제어기(8)은 워드의 제1의 2비트에 따라 수신된 워드가 메시지코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메시지코드인 경우에, 다음의 2비트의 워드 지정 정보에 따라 워드가 다른 메시지 코드를 수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제8d도에 참조한 메시지 수신 종료 펄스 MRP를 디코더(6)에 발신한다. 워드 지정 정보비트와 다음 메시지 워드의 수 사이의 관계는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디코더(6)은 MRP펄스에 응답하여, 제어신호 S2를 "L"레벨(제8c도)로 변화시키고, LPF(4)를 200비트/초의 비트율로 전송된 신호에 대응하는 차단주파수로 복귀시키며, 어드레스코드의 수신을 다시 시작한다.
제8a도는 메시지코드를 다른 것과 구별하도록 두개의 MSP가 식별(DS)코드로 사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만일 DS코드가 "11"이라면, 이 코드는 메시지코드로 된다. 그러므로, MSB는 수신된 코드가 어드레스코드로 되도록 "0"으로 되어야 한다. 또한 이경우에, 메시지코드내의 다음 두비트는 상술한 바와같이 워드번호 지정정보로서 사용된다. 이 정보에 따라, 다음 코드워드가 메시지코드 워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LPF의 차단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가상할 수 있는 코드의 구조에서, 모든 다음신호의 전송율(200 또는 400비트/초)에 관한 정보는 제2c도에 도시한 동기코드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술한 바와같은 메시지 식별코드 및 워드 번호 지정코드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코드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어드레스코드가 저 비트율로 구성될 수 있고 메시지코드가 고 비트율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입자 용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호출코드 수신 능률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메시지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페이징 수신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장치(2,3)과 이 페이징 신호를 해독하기 위한 데이타 처리 장치로 구성된 페이징 수신기에 있어서, 페이징 신호가 제1전송율을 갖고 있는 제1코드(A1,A2…), 제2전송율을 갖고 있는 제2코드(M1,M2…), 및 제1코드와 제2코드(A1,A2…M1,M2…)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DS)를 포함하고, 이 수신기가 제어신호(S2)에 응답하여 차단주파수를 절환시키고 제1 및 제2코드(A1,A2…;M1,M2…)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수신기 장치(2,3)의 출력에 접속된 저역통과 필터 장치(4), 및 수신된 식별코드(DS)에 응답하여 제어신호(S2)를 발생시키고, 저역통과 필터장치(4)에 제어신호(S2)를 공급하며, 추출된 제1 및 제2코드(A1,A2…;M1,M2…)를 해독하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장치(4)의 출력에 결합된 데이타 처리부 장치(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코드가 어드레스코드(A1,A2…)이고, 제2코드가 메시지 코드(M1,M2…)이며, 제2전송율이 제1전송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수신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저역 통과 필터장치(4)가 버터 워드 특성을 갖도록 셋트되고, 이 저역 통과 필터 장치(4)의 입력 및 출력 단자에 결합되고 반전 및 비반전 입력 단자(I,N)을 갖고 있는 연산증폭기(41), 저역 통과 필터 장치(4)의 입력과 반전 입력 단자(I)사이에 직렬 접속된 다수의 저항기(R1 내지 R4), 반전 입력 단자와 비반전 입력 단자(I,N)사이에 접속된 제1캐패시터(C1), 출력단자와 다수의 저항기(R1 내지 R4) 중 한 저항기 사이에 접속된 제2캐패시터(C2), 및 제어신호(S2)에 응답하여 다수의 저항기(R1 내지 R4)중) 바람직한 것을 단락시키기 위한 스위칭소자SW1,SW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수신기.
  4. 제2항에 있어서, 식별 코드(DS)가 어드레스 코드(A1,A2…)(및 메시지코드(M1,M2…)의 최상위 비트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수신기.
  5. 제2항에 있어서, 데이타 처리부 장치(12)가 저역통과 필터 장치(4)의 출력을 파형 정형하기 위한 장치(5), 식별코드(DS)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어신호(82)를 발생시키고, 페이징 신호가 어드레스코드(A1,A2…)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 어드레스코드와 수신기에 지정된 어드레스 코드를 비교하여 두개의 어드레스코드가 동일한 경우에 경보신호를 내보내거나, 또는 페이징 신호가 메시지로 판단되는 경우에 메시지 검출펄스를 내보내기 위해 파형 정형장치(5)의 출력에 결합된 디코더부(6), 및 메시지 검출펄스에 응답하여 파형 정형 장치(5)로 부터 메시지(M1,M2…)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해 파형 정형 장치(5)및 디코더부(6)에 접속된 메시지 처리부(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수신기.
  6.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수신된 페이징 신호를 해독하는 수단을 포함한 페이징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페이징 신호가 제1전송율을 갖고 있는 제1코드(A1,A2…), 제2전송율을 갖고 있는 제2코드(M1,M2…) 및 제1코드와 제2코드(A1,A2…; M1,M2…)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코드(DS)를 포함하고, 이 방법이 제어신호(S2)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코드(A1,A2…; M1,M2…)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통과시키는 수단, 수신된 식별코드(DS)에 응답하여 제어신호(S2)를 발생시키는 수단, 및 통과된 제1및 제2코드(A1,A2…; M1,M2…)를 해독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신호 수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코드(A1,A2…; M1,M2…)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통과시키는 수단이 저역 통과필터(4)의 차단주파수를 절환하여 제1 및 제2코드(A1,A2…; M2…)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신호 수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제1코드가 어드레스 코드(A1,A2…)이고, 제2코드가 메시지 코드(M1,M2…)이며, 제2전송율이 제1전송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신호 수신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식별코드(DS)가 어드레스코드(A1,A2…) 및 메시지코드(M1,M2…)의 최상위 비트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신호 수신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제1코드(A1,A2…)를 제1전송율로 전송시키고, 제2코드(M1,M2…)를 제2전송율로 전송시키며, 각각의 제1 및 제2코드(A1,A2…; M1,M2…)의 선행여부에 배치된 식별코드(DS)를 전송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신호 수신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제1전송율이 200비트/초이고, 제2전송율이 400비트/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수신기.
  12. 제9항에 있어서, 제1전송율이 200비트/초이고, 제2전송율이 400비트/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신호 수신방법.
KR1019830004888A 1982-10-15 1983-10-15 디지탈 페이징 시스템 KR860001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5820 1982-10-15
JP1982155820U JPS5961644U (ja) 1982-10-15 1982-10-15 選択呼出受信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579A KR840006579A (ko) 1984-11-30
KR860001791B1 true KR860001791B1 (ko) 1986-10-22

Family

ID=1561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888A KR860001791B1 (ko) 1982-10-15 1983-10-15 디지탈 페이징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642632A (ko)
EP (1) EP0108938B1 (ko)
JP (1) JPS5961644U (ko)
KR (1) KR860001791B1 (ko)
AU (1) AU574653B2 (ko)
CA (1) CA1219916A (ko)
DE (1) DE3371129D1 (ko)
HK (1) HK70390A (ko)
SG (1) SG30290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1644U (ja) * 1982-10-15 1984-04-23 日本電気株式会社 選択呼出受信機
JPS60176339A (ja) * 1984-02-22 1985-09-10 Nec Corp 無線呼出方式
US4701944A (en) * 1986-09-17 1987-10-20 Motorola, Inc. Signalling system for trunked private calls
JPH0824386B2 (ja) * 1986-09-30 1996-03-06 日本電気株式会社 選択呼出信号受信機
JPH06101699B2 (ja) * 1986-10-21 1994-12-12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受信機のビットレートを変更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無線通信受信機
US4884267A (en) * 1986-12-27 1989-11-28 Kabushiki Kaisha Kenwood TDM transmission system
JPH0650837B2 (ja) * 1987-03-06 1994-06-29 日本電気株式会社 ペ−ジングシステム
US5187471A (en) * 1988-06-24 1993-02-16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US5070536A (en) * 1988-08-04 1991-12-03 Norand Corporation Mobile radio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4968966A (en) * 1988-10-13 1990-11-06 Motorola, Inc. High data rate simulcast communication system
US4918437A (en) * 1988-10-13 1990-04-17 Motorola, Inc. High data rate simulcast communication system
US4972439A (en) * 1989-01-19 1990-11-20 Motorola, Inc. Active signalling transmitter control
US5109220A (en) * 1989-03-15 1992-04-28 Motorola, Inc. Selective call controller
WO1991000655A1 (en) * 1989-06-26 1991-01-10 Motorola, Inc. Receiver with variable predetection bandwidth based on expected data rate
US5162790A (en) * 1989-07-10 1992-11-10 Motorola, Inc. Multiple transmitter paging system
US5206636A (en) * 1989-10-25 1993-04-27 Motorola, Inc. Signal search method for selective call receiver
ES2106773T3 (es) * 1990-01-02 1997-11-16 Motorola Inc Sistema de señalizacion de telemensajeria multiplexada por division en el tiempo.
US5282205A (en) * 1992-05-29 1994-01-25 Motorola, Inc. Data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variable length message carry-on and method therefor
US5311516A (en) * 1992-05-29 1994-05-10 Motorola, Inc. Paging system using message fragmentation to redistribute traffic
US5382949A (en) * 1993-02-01 1995-01-17 Motorola, Inc. Method for increasing battery life for selective call receivers
GB9408321D0 (en) * 1994-04-27 1994-06-15 Philips Electronics Uk Ltd Selective call system and a secondary station for use therein
US5574771A (en) * 1994-08-15 1996-11-12 Lucen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ommunication system
US5715243A (en) * 1995-03-27 1998-02-03 Hewlett-Packard Company Information service provider for transmitting multiple rate wireless information
US5550829A (en) * 1995-10-24 1996-08-27 Motorola, Inc. Method for reallocation frame assignments of receive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933553B2 (ja) * 1996-10-31 1999-08-16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ッセージのインデックス管理無線呼出装置およびインデックス管理無線呼出方法
JP3068499B2 (ja) * 1997-05-12 2000-07-24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6351557B1 (en) 1998-04-03 2002-02-26 Avid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 manipulation
US6847373B1 (en) * 1999-04-16 2005-01-25 Avid Technology, Inc. Natural color matching in a video editing system
US6552731B1 (en) 1999-04-16 2003-04-22 Avid Technology, Inc. Multi-tone representation of a digital image on a digital nonlinear editing system
US6417891B1 (en) 1999-04-16 2002-07-09 Avid Technology, Inc. Color modification on a digital nonlinear editing system
US6571255B1 (en) 1999-04-16 2003-05-27 Robert Gonsalves Modification of media with common attributes on a digital nonlinear editing system
US6928187B2 (en) * 2000-04-07 2005-08-09 Avid Technology, Inc. Secondary color modification of a digital image
US6477271B1 (en) 2000-04-07 2002-11-05 Avid Technology, Inc. Secondary color modification of a digital image
WO2003063516A2 (en) * 2002-01-16 2003-07-31 Optix Networks Inc. An apparatus for processing otn frames utilizing an efficient forward error correc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0046A (en) * 1974-06-12 1976-11-02 Interactive Systems, Inc. Multiple terminal computer system with mixed terminal data reception rates
US4001693A (en) * 1975-05-12 1977-01-04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 first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a second radio transmitter and receiver
DE2738278C2 (de) * 1977-08-25 1982-06-03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Funkanlage mit drahtloser Übertragung zwischen tragbaren Sende-Empfangs-Geräten und mit selektivem Anruf der Teilnehmer untereinander unter Zwischenschaltung einer Zentrale
JPS5593334A (en) * 1979-01-10 1980-07-15 Nec Corp Radio selection call receiver
JPS5654133A (en) * 1979-10-09 1981-05-14 Nec Corp Selective callout receiver
US4411004A (en) * 1980-06-27 1983-10-18 Rolm Corporation Inductively coupled sensing circuit and priority system
JPS5961644U (ja) * 1982-10-15 1984-04-23 日本電気株式会社 選択呼出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6276Y2 (ko) 1992-02-20
EP0108938B1 (en) 1987-04-22
JPS5961644U (ja) 1984-04-23
AU574653B2 (en) 1988-07-14
CA1219916A (en) 1987-03-31
AU2018883A (en) 1984-04-19
EP0108938A1 (en) 1984-05-23
SG30290G (en) 1990-08-03
HK70390A (en) 1990-09-14
KR840006579A (ko) 1984-11-30
US4642632A (en) 1987-02-10
DE3371129D1 (en) 1987-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791B1 (ko) 디지탈 페이징 시스템
US5917887A (en) Emergency alert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emergency messages are received by a radio frequency receiver and routed to a telephone device
KR940001431B1 (ko) 무선호출 시스템
EP0205055B1 (en) Channel selection in a multichannel access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out occurrence of interference
CA1236167A (en) Synchronous data receiver circuit
EP0342638B1 (en) Radio paging communication system
US57546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channel caller identification data
KR920702133A (ko) 셀루러 전화기 특징 선택 및 다이얼 디지트 처리 방법
WO1993026132A1 (en) User selectable response to alert transmitted from cellular telephone base station
EP0454727B1 (en) Active signalling transmitter control
GB2078467A (en) Radio paging system capable of accepting message with access of paging receiver
JP2718266B2 (ja) 複数の選択呼出受信機と通信する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A2009463C (en) Selective call controller
US4897864A (en) Control method and appartus for a radio telephone system
US5140628A (en) Radio telephone system control method
US5317621A (en) Multi-address radio display pager
GB2291523A (en) Selective calling
JPH07131858A (ja) 1周波同時送受話方式無線機のdtmf信号伝送方式
WO1995014355A1 (fr) Systeme radioelectrique de teleappel entierement automatique et compatible avec les signaux vocaux et numeriques
EP0509649B1 (en) Selective calling receiver
RU9612286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записанного телефонного сообщения/номера
US6301230B1 (en) Radio paging system
KR100203599B1 (ko) 스피치 신호의 재생 속도를 용이하게 조정 가능한무선 수신기
EP0742988A1 (en) Fade recovery in digital message transmission systems
KR100203601B1 (ko)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및 그 수신기의 메시지 통지 수단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