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629Y1 - 괘정장치 - Google Patents

괘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629Y1
KR860001629Y1 KR2019840002317U KR840002317U KR860001629Y1 KR 860001629 Y1 KR860001629 Y1 KR 860001629Y1 KR 2019840002317 U KR2019840002317 U KR 2019840002317U KR 840002317 U KR840002317 U KR 840002317U KR 860001629 Y1 KR860001629 Y1 KR 860001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key
reed switch
switch
ru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2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700U (ko
Inventor
고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40002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629Y1/ko
Publication of KR8500077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7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6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17Key profiles
    • E05B19/0023Key profiles characterized by variation of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key and the tumbler pins or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03Details
    • E05B27/0017Tumbler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38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 E05B47/0045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using permanent magnets keys with permanent magne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괘정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 괘정장치의 요부 종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 괘정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누름스위치 4´: 누름스위치접점
5,5´: 출몰핀 9 : 리드스위치
9´: 리드스위치 접점
본 고안은 한개의 괘정장치에 기계식과 전자식의 병용한 곳으로서 특히 기계적인 동작에 의하여 괘정되는 장치와 전자회로의 작용에 의하여 괘정되는 장치가 한 개의 열쇠를 사용하여 동시에 해정될 수 있도록한 괘정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기계식 괘정장치에는 이에 적합한 기계적인 열쇄를 사용해서 해정시켜야 되고, 전자식 괘정장치에는 이에 적합한 전자적인 열쇠를 사용해서 해정시켜야 되었다.
따라서 도정에 만전을 기하기위하여 두 가지를 다 설치한 경우에는 각각의 괘정장치를 해정시킬 수 있는 열쇠2개를 가지고 다녀야 되었으므로 열쇠를 간수하기가 어렵게 되고, 또 해정시에는 기계적인 괘정장치의 해정조작과 전자적인 괘적장치의 해정조작을 따로따로 해야되는 불편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같이 해정조작을 따로따로 하게될 때에는 각각의 해정조작이 전혀 별개의 조작이므로 주인이 아닌 사람이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한 가지씩 해정조작을 해서 해정시킬수 있게되어 완벽한 괘정장치의역활을 수행할수 없게되는 경우가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기계식과 전자식을 병용한 괘정장치에서 기계적인 괘정장치의 실린더에는 누름스위치를 설치하고 실린더를 둘러쌓는 몸체에는 리드스위치를 설치하여 열쇠의 끝에는 자석을 설치하여,해정시에는 이열쇠를 실린더에 꼽고 밀면 누름수위치의 작용에 의하여 누름스위치가 온되고 열쇠로 실린더를 돌리면 리드스위치가 온됨과 동시에 기계적인 괘정장치가 해정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위치들과 실린더의 기계적인 동작을 포함하여 모두3가지의 상태가 동시에 만족되어야만 해정되므로 괘정장치의 안전성이 높아지게 되고, 또 한개의 열쇠로 기계적인 괘정장치의 해정조작과전자적인 괘정장치의 해정조작을 동시에할 수 있으므로 해정조작하기가 매우 편리해지게되며, 특히 열쇠는 한개만 잘 간수하기만 하면 되게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구성은 제1,2도와 같이 괘정장치(1)의 몸체(2)에 꼽힌 실린더(3)의 내측 끝에는 누름스위치(4)가 설치되고, 실린더(3)의 벽속에는 스프링(6)에 탄지되어 꼽혀진 출몰핀(5,5´)이 설치되며 몸체(2)에는 열쇠(7)끝의 자석(8)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하여 온 오프되는 리드스위치(9)가 설치되므로 누름스위치 접점(4´)과 리드스위치(9´)접점은 전원 공급회로(10)와 전자식 개폐장치(11)의 사이에 직열로 연결된 것으로서 스위치(12)는 전자식개폐장치(11)를 문안에서 해정시키기 위한 것이고 13은 전도선이다.
상기 전자식 개폐장치(11)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개폐장치로서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코일로서 문의걸림고리를 개폐할 수 있는 통상의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괘적장치의 요부의 종단면도로서 열쇠(7)를 실린더(3)에 꼽으면 출몰핀들(5,5´)이 열쇠(7)에 의하여 통상과 같이 몸체(2)쪽 방향으로 밀려서 출몰핀(5,5´)의 접속선이 실린더(3)와 몸체(2)의 경계선에 일치되므로 실린더(3)는 몸체(2)내에서 회전될 수 있게 되므로 실린더(3)를 몸체(2)내에 회전시키면 통상의 기계적인 괘정장치와 같은 작용으로 해정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계적인 해정부분의 도시는 통상의 것이므로 도시되지 않았다.
그리고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전자식 개폐장치(11)는 실내스위치(1 2)가 온되거나 또는 누름스위치 접점(4')과 리드스위치 접점(9')이 온되어 전원 공급회로(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적으로 해정되는 것이다. 리드스위치(9)는 자석이 인접하면 온되고 자석이 떨어지면 오프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기계적인 해정 및 전자석인 해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본 고안에 의한 괘정장치가 해정되는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괘정장치의 괘정시에는 상기와 역순으로 열쇠(7)를 실린더 (3)에 꼽은 채로 실린더(3)를 상기와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먼저 리드리드스위치(9)가 오프되고, 열쇠(7)를 빼면 기계적인 괘정장치가 괘정됨과 동시에 누름스위치(4)가 오프되므로 전자식 개폐장치(11)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전자식 개폐장치(11)가 괘정되는 것이다.
실제의 실시에 있어서는 열쇠(7) 끝부분의 자석(8)의 위치와 이와 대응되게 리드스위치(9)의 위치를 적절히 조합하여 변경시키면 괘정장치와 안정성을 더욱 높힐 수 있으며 리드스위치(9)를 다수개 설치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열쇠(7)에도 자석을 다수게 형성하여 리드스위치 접점들을 제2도와같이 전원공급회로(10)와 전자식개폐장치(11)사이에 직렬로 연결하면 괘정장치의 안정성을 더욱 높힐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한 개의 열쇠로 기계적인 괘정장치와 전자적인 괘정장치를 동시에 해정시킬수 있으므로 해정조작은 간편해지고 또 리드스위치와 누름스위치 및 출몸핀들의 3가지의 상태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열쇠로만 해정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성도 매우 높아지게되어 도정의 염려가 없게되는 것이다.

Claims (1)

  1. 괘정장치(1)의 실린더(3)의 끝부분에 누름스위치(4)를 설치하고 실린더(3)의 주위벽에는 통상의 출몰핀(5,5')을 설치함과 동시에 주위벽 외부에는 열쇠(7)의 자석 (98)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리드스위치(9)를 설치하여 누름스위치 접점(4')과 리드스위치 접점(9') 및 출몰핀(5.5')이 작동되는 상태하에서만 해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괘정장치.
KR2019840002317U 1984-03-17 1984-03-17 괘정장치 KR860001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317U KR860001629Y1 (ko) 1984-03-17 1984-03-17 괘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317U KR860001629Y1 (ko) 1984-03-17 1984-03-17 괘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700U KR850007700U (ko) 1985-10-15
KR860001629Y1 true KR860001629Y1 (ko) 1986-07-23

Family

ID=1923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2317U KR860001629Y1 (ko) 1984-03-17 1984-03-17 괘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6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700U (ko) 198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8360A3 (en) Electrically operated lock
US6298699B1 (en) Electronic input and dial entry lock
EP0566385B1 (en) Electromechanical lock arrangement
US2654073A (en) Locking device for electric plugs
US4090175A (en) Opto-electronic lock device
US3797004A (en) Lock tumbler cylinder picking alarm
EP0736218B1 (en) Safety switch assemblies
KR840006841A (ko) 통합 전자로크 기구를 갖는 로크 실린더
US5000018A (en) Hardware, in particular for doors or the like
US3765709A (en) Door lock mechanism
CA2012055A1 (en) Self-releasing deck lid latch
US4598182A (en) Lock inhibitor for toggle switch actuator
DE2966975D1 (en) Cylinder lock with key for mechanical and/or electromechanical latching
KR860001629Y1 (ko) 괘정장치
US3801755A (en) Key cylinder and electrical switch
ES8306518A1 (es) "perfeccionamientos en barras anti-panico con dispositivo de bloqueo electrico".
GB2123078A (en) Electrically lockable fastening
GB2138485A (en) A magnetic-electronic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locks
DE59006220D1 (de) Schlüsselbetätigbares Schloss.
ES2004970A6 (es) Automovil con varias cerraduras de puertas
US3606776A (en) Lock assembly
US3806675A (en) Key indicating switch
US2716039A (en) Door latch
US2123507A (en) Lock switch
EP0778384A3 (en) Electronic 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