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597Y1 - 부복(俯伏)독서용 몸 받침대 - Google Patents

부복(俯伏)독서용 몸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597Y1
KR860001597Y1 KR2019840002251U KR840002251U KR860001597Y1 KR 860001597 Y1 KR860001597 Y1 KR 860001597Y1 KR 2019840002251 U KR2019840002251 U KR 2019840002251U KR 840002251 U KR840002251 U KR 840002251U KR 860001597 Y1 KR860001597 Y1 KR 860001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support
guide groove
main body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2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263U (ko
Inventor
오하영
Original Assignee
오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하영 filed Critical 오하영
Priority to KR2019840002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597Y1/ko
Publication of KR8500072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2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5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복(俯伏)독서용 몸 받침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종 단면도
제3도는 사용상태 측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턱 받침부
5 : 어깨 안내홈 6 : 상박 안내홈
7 : 중앙 만곡부 8 : 통기공
9 : 슬립 방지 돌조 10 : 골반 받침부
11 : 대퇴받침부
본 고안은 엎드린 자세에서 편안하게 독서를 할 수 있도록 부복(俯伏) 독서용 몸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를 할 경우에는 의자에 앉거나 방바닥에 다리를 꼬고 앉아 독서를 하게 되는 것이 상례이나 몸이 불편하거나 허리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앉아서 독서하기 어렵고 정상적인 신체를 가진 사람도 장시간 동안 앉아서 책을 보게 되면 척추에 무리가와 허리가 아프고 몸 전체가 긴장되어 좀 더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되나 별도의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엎드리는 경우가 허다하나 엎드린 자세를 그대로 유지내지는 지탱하여 줄 수 있는 받침이 없어 베개등을 가슴에 받치고 엎드린 자세에서 독서를 하게되나 팔굽이 결리고 목, 가슴이 아플뿐만 아니라 척추에 무리가 와 허리에 통증이 전달되어 독서를 계속할 수 없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없애기 위하여 인체공학을 이용한 몸의 앞부분 전체를 받칠수 있는 받침대를 신체의 앞부분 굴곡에 알맞는 곡면상으로 만곡 성형하되 가슴부위를 받쳐 주는 곳에는 곡선상의 구멍을 뚫었으며 본체 일측에는 설합이 착설된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받침대 본체(1)의 전면(2) 상단에는 턱받침부(3)가 상면(4)에는 어깨 안내홈(5)과 상박 안내홈(6)이 삭설되고 본체(1)의 중앙 만곡부(7)에는 통기공(8)이 천공되고 슬립방지 돌조(9)가 있는 하측으로 골반 받침부(10)와 대퇴받침부 (11)가 순차적으로 내향 만곡된 본체(1)의 측면에 설합(12)을 착설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무릎 이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대퇴부는 대퇴받침부(11)에 골반은 골반 받침부(10)에 대고 엎드리게 되면 목 부분은 턱 받침부 (3)에 걸쳐져 목을 억지로 들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중앙 만곡부(7)에는 슬립방지 돌조(9)를 횡으로 입설시켜 신체의 하복부를 받쳐주므로 신체의 앞부분이 자꾸 밀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본체(1)의 중앙에 천동된 통기공(8)은 밀폐된 신체 앞부분과 외부공기가 서로 유통되게 하여 항상 신선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성의 경우에는 신체중 젖가슴 부위가 통기공(8)과 마주치게 되어 젖가슴에 압박감을 주지 않으므로 편안한 마음으로 독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골반 받침부(10)는 골반부를 편안하게 올려놓을 수 있어 신체공학적으로 볼때 경추와 척추 및 요추를 S자형 그대로 유지시켜 신체에 압박을 주지 않으므로 안정된 자세에서 독서를 할 수 있어 장시간 동안 편안한 자세로 책을 볼 수 있어 독서하는 국민, 공부하는 학생을 육성하는데 공헌할 뿐 아니라 성장과정에 있는 학생의 척추이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책을 바꾸어 보거나 치우고져 할 때에는 측면에 착설된 설합(12)에 보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1)

  1. 받침대 본체(1)의 전면(2) 상단에는 턱 받침부(3)가 상면(4)에는 어깨 안내홈(5)과 상박 안내홈(6)이 삭설되고 본체(1)의 중앙 만곡부(7)에는 통기공(8)이 유선형으로 천공되고 슬립방지 돌조(9)가 있는 하측으로 골반 받침부(10)와 대퇴받침부(11)가 순차적으로 내향만곡된 선단측면에 설합(12)을 착설하여서 된 부복(俯伏)독서용 몸 받침대.
KR2019840002251U 1984-03-15 1984-03-15 부복(俯伏)독서용 몸 받침대 KR860001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251U KR860001597Y1 (ko) 1984-03-15 1984-03-15 부복(俯伏)독서용 몸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251U KR860001597Y1 (ko) 1984-03-15 1984-03-15 부복(俯伏)독서용 몸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263U KR850007263U (ko) 1985-10-10
KR860001597Y1 true KR860001597Y1 (ko) 1986-07-23

Family

ID=1923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2251U KR860001597Y1 (ko) 1984-03-15 1984-03-15 부복(俯伏)독서용 몸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5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5408B2 (en) 2015-10-28 2021-02-23 Ki Yeal NAM Portable body support comprising mask and sadd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5408B2 (en) 2015-10-28 2021-02-23 Ki Yeal NAM Portable body support comprising mask and sad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263U (ko) 1985-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3993A (en) Adjustable body positioner
US6182311B1 (en) Therapeutic between-the-legs support pillow assembly
US5738640A (en) Upper spine and neck support cushion
CA2204247C (en) Support pillow with lumbar support for use in nursing and other applications
US6052848A (en) Body support pillow
US6874183B1 (en) S-shaped pillow for flexible body support
US5664271A (en) Support pillow assembly
US6484337B1 (en) Multipurpose pillow assembly
US4345347A (en) Head and neck support cushions
US6560800B1 (en) Lumbar reinforcement device
US4394783A (en) Body cushion
EP1906905B1 (en) Support cushion for recumbent person
US4683601A (en) Medical pillow
US5288135A (en) Lumbar supporting seat cushion
US6052847A (en) Mattress with a concavity for the breasts
NO158403B (no) Anordning ved stol.
US6691353B2 (en) Arm pillow
AU2613000A (en) Head support device for infants
US5504953A (en) Cushion support for a person during massage
US6132004A (en) Back support pillow system
US5407247A (en) Lumbar supporting seat cushion
US6044505A (en) Support pillow for pregnant women, obese people, people who suffer from various forms of back pain and people who suffer from sleep apnea, snoring and sciatica
KR860001597Y1 (ko) 부복(俯伏)독서용 몸 받침대
NZ257309A (en) Labour/delivery chair to position mother adjustably between standing and kneeling forward leaning squat positions and provide body, chest, forehead and thigh support
KR100355031B1 (ko) 다기능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