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348Y1 -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연탄 보일러 - Google Patents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연탄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348Y1
KR860001348Y1 KR2019840006105U KR840006105U KR860001348Y1 KR 860001348 Y1 KR860001348 Y1 KR 860001348Y1 KR 2019840006105 U KR2019840006105 U KR 2019840006105U KR 840006105 U KR840006105 U KR 840006105U KR 860001348 Y1 KR860001348 Y1 KR 860001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oiler
jaw
barrel
ja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6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808U (ko
Inventor
고재철
Original Assignee
고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철 filed Critical 고재철
Priority to KR2019840006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348Y1/ko
Publication of KR8600008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8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3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2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연탄 보일러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종단면도이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단열층
3,3′,3″: 턱부 4 : 탄통
5 : 하부수조 5′: 받침환턱
6 : 상부수조 6′: 받침환턱
7 : 덮개 8 : 뚜껑
9 : 급수관 10 : 배수관
11 : 가스 배출구 12 : 탄통받이
13 : 공기 유입구
본 고안은 연탄 보일러에 있어서 가스 배출구나 수관등의 소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보일러를 임의대로 분해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연탄 보일러를 분해조립 할 수 있게한 것이 있었으나, 이는 탄통을 감싸고 있는 수조가 탄통의 하부까지 형성되어야 하고, 또한 수조의 일부를 절결해야 하는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져 있기 때문에 제작이 불편하고 열효율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고, 또한 급수관과 배수관등에 스러지가 끼었을때는 스러지의 제거가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가스 배출구나 수관등이 막혔을 때는 급수관이나 배수관을 연결하는 유니온을 회동시켜 이를 분리한 후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수조를 드러내어 수관이나 가스배출구내에 붙어있는 스러지를 제거한 후 가열수조를 외통안에 넣고 급수관과 배수관을 유니온으로 연결함으로써 스러지의 제거를 손쉽게 할 수 있고, 또한 수조를 탄통의 하단까지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며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중 외통은 이상이 없고 가열수조만이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외통은 그대로 놓고 가열수조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경제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본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통(1)내에 단열층(2)을 형성하여 이에 가열수조 부분을 끼었다 빼어 낼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단열층(2)내에 턱부(3)(3′)(3″)를 환설하여 턱부(3)에는 탄통(4)의 저면이 재치되고 턱부(3′)에는 하부수조(5)의 저면에 형성된 받침환턱(5′)을 재치하며 턱부(3″)에는 상부수조(6)의 저면의 받침환턱(6′)이 재치되도록 하고 단열층(2)의 상단에는 덮개(7)가 재치되어서된 것이다. 도면 중미설명부호 8은 뚜껑, 9는 급수관, 9′는 유니온 10은 배수관, 10′는 유니온 11은 가스 배출구, 11′는 가스배출공, 12는 탄통받이, 13은 공기 유입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탄통(4)내에서 연탄이 연소되면 연소열은 상승하면서 상부수조(6)의 하단과 하부수조(5)의 상부를 연결하는 받침환턱(6′)에 뚫린 가스배출공(11′)을 통하여 가스배출구(11)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사용중 급수관(9)이나 배수관(10)과 가스배출구(11)내에 스러지가 붙어 구멍이 막혀 물의 순환이나 가스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을 때는 뚜껑(8)과 덮개(7)를 차례로 들어낸 후에 유니온(9′)(10′)을 풀어 상부수조(6)와 하부수조(5)에서 분리되게 한후 가열수조를 위로 들어내면 된다.
이와 같이 들어내진 상태에서 급수관(9)이나 배수관(10) 및 가스배출구(11)등에 생긴 스러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소제가 끝난 후에는 가열수조를 외통(1)내에 형성된 단열층(2)내로 넣으면 탄통(4)의 저면은 턱부(3)에 재치되고, 하부수조(5)의 저면에 형성된 받침환턱(5′)을 턱부(3′)에 재치되며, 상부수조(6)의 하단에 형성된 받침환턱(6′)을 턱부(3″)에 재치한다. 이 상태에서 유니온(9′)(10′)에 의하여 배수관(10)과 급수관(9)을 보일러에 연결한 후 단열층(2)의 상단에 덮개(7)를 덮고 뚜껑(8)을 올려 놓으면 조립이 끝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은 분해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리가 용이하고 또한 수관이나 가스배출구의 스러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조를 탄통의 하단까지 형성하지 않으므로서 제작이 용이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보일러의 전체를 한꺼번에 같이 교환하지 않고 파손된 부분만을 임의로 교환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외통(1)내에 단열층(2)을 형성하여 이에 가열수조 부분을 끼었다 빼냈다 할수 있게한 것에 있어서 단열층(2)내에 턱부(3′)(3′)(3″)를 환설하여 턱부(3)에는 탄통(4)의 저면이 재치되고 턱부(3′)에는 하부수조(5)의 저면에 형성된 받침 환턱(5′)을 재치하며 턱부(3″)에는 상부수조(6)의 저면에 형성된 받침환턱(6′)을 재치하여서된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연탄보일러.
KR2019840006105U 1984-06-28 1984-06-28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연탄 보일러 KR860001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105U KR860001348Y1 (ko) 1984-06-28 1984-06-28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연탄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105U KR860001348Y1 (ko) 1984-06-28 1984-06-28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연탄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808U KR860000808U (ko) 1986-02-15
KR860001348Y1 true KR860001348Y1 (ko) 1986-07-02

Family

ID=1923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6105U KR860001348Y1 (ko) 1984-06-28 1984-06-28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연탄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3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808U (ko) 198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348Y1 (ko)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연탄 보일러
KR850001155Y1 (ko) 수중난로
KR870000583Y1 (ko) 온수 보일러
KR830002622Y1 (ko) 온수 보일러
KR900007936Y1 (ko) 굴뚝에 온수가열기가 부설된 어묵튀김솥
KR870000106Y1 (ko) 주철제 온수 가열기
KR850002059Y1 (ko) 온수 보일러
KR810000438Y1 (ko) 구멍탄용 온수 보일러
KR910003530Y1 (ko) 분리형 연탄보일러
KR790001436Y1 (ko) 입형 온수보일러의 화실
KR950006620Y1 (ko) 팬히터 기름받이의 수분검지 및 배수안내구조
CN2397115Y (zh) 浮动式气化炉密封滤焦装置
KR820000763Y1 (ko) 연탄 보일러용 보조연소통
KR790002115Y1 (ko) 소제장치를 가진 온수 보일러
JPS643923Y2 (ko)
KR880001249Y1 (ko) 조립식 구멍탄 온수 보일러
KR880000451Y1 (ko) 공탄보일러용 복관온수조
KR890002765Y1 (ko) 난방용 구멍탄 보일러
KR800000121Y1 (ko) 온수 보일러
KR810000798Y1 (ko) 욕탕수 폐열 회수장치
KR860003075Y1 (ko) 온수 및 난방 겸용 구멍탄 보일러
KR910006618Y1 (ko) 온수 보일러
SU60220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езвоживани нефти
KR800001610Y1 (ko) 온수 보일러
KR840000155Y1 (ko) 주물제 보일러의 조립식 연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