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998Y1 -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회로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998Y1
KR860000998Y1 KR2019830011491U KR830011491U KR860000998Y1 KR 860000998 Y1 KR860000998 Y1 KR 860000998Y1 KR 2019830011491 U KR2019830011491 U KR 2019830011491U KR 830011491 U KR830011491 U KR 830011491U KR 860000998 Y1 KR860000998 Y1 KR 860000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ircuit
voltage
led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1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429U (ko
Inventor
이석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30011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998Y1/ko
Publication of KR850005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9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1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elements
    • G09G3/14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5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by lamps or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회로
제1도는 본 고안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 회로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상세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 관계도로서,
(a)는 고주파(FM)수신안테나의 전계강도에 따른 고주파 중간주파수 증폭 및 검파회로의 출력전압 특성도.
(b)는 고주파 수신안테나의 지향 방향에 따른 멀티패스(Multi Path)회로의 출력전압 특성도.
(c)는 고주파 수신안테나의 지향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주파 프론트엔드 2 : 고주파중간주파수증폭 및 검파회로
3 : 멀티플렉스복조회로 4 : 멀티패스회로
5 : 아날로그스위치회로 6 : 기능표시입력회로
7 : 기능표시회로 8 : 낸드게이트회로
9 : 비교회로 10 :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
본 고안은 에프엠(FM)방송 수신기나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 수신레벨을 표시하기 위한 레벨메터(Meter)로서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드라이브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레벨메터로 2가지의 기능을 서로 다른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게한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레벨메터에 있어서는 1개의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로 1가지 기능만을 표시하게 되어 있으므로, 2가지 기능을 표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또 다른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를 추가하던가, 아니면 1개의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로서 하나의 기능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가면서 표시하고 또 다른 기능은 발광다이오드를 소등시키면서 표시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될 뿐 아니라,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의 표시기능을 사용자가 쉽게 구별하여 인지할 수 없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1개의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로서 서로다른 2가지 기능을 표시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회로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주파 수신안테나(11)로 수신된 고주파(FM)신호가 고주파 프론트엔드(FM front end) (1)에서 증폭된 후 국부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와 혼합되어 출력되고, 이 고주파 프론트엔드(1)의 출력신호는 고주파 중간 주파수 증폭 및 검파회로(2)에서 고주파 중간주파수 증폭 및 검파된 후 멀티플렉스 복조회로(3)를 통해 좌, 우채널단자(L), (R)로 출력되는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수신안테나(11)에 수신되는 고주파신호의 전계강도에 비례하여 직류전압이 출력되는 직류전압출력단자(a)를 상기 고주파 중간주파수 증폭 및 검파회로(2)에서 인출하여 그 직류전압 출력단자(a)의 직류전압이 아날로그 스위치회로(5)에 입력되게 하고, 또한 상기 고주파 수신안테나(11)의 지향 방향에 따라 간접파가 제일작은 각도에서 최대전압이 출력되는 다수의 직류전압 출력단자(b)를 고주파 중간주파수 증폭 및 검파회로(2)에서 인출하여 그 직류전압력단자(b)의 직류전압이 멀티패스회로(4)를 통해 아날로그 스위치회로(5)에 입력되게 하되, 기능표시입력회로(6)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직류전압출력단자(a)의 직류전압 또는 멀티패스회로(4)로 통한 직류전압이 아날로그 스위치회로(5)를 통해 비교회로(9)에 비교전압으로 인가됨과 동시에 기능표시입력회로(6)의 출력전압이 낸드게이트회로(8)를 통해 상기 비교회로(9)에 기준전압으로 인가되게 하고, 이 비교회로(9)의 비교출력전압으로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10)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시그널 표시기능 또는 멀티패스 표시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하고, 또한, 상기 기능표시입력회로(6)의 출력전압을 기능표시회로(7)에 인가하여 시그널표시기능 또는 멀티패스 표시기능 상태를 표시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이를 제2도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제1도의 상세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주파 수신신안테나( 11)에 수신된 고주파 신호가 고주파 프론트엔드(1) 및 고주파 중간주파수 증폭 및 검파회로(2), 멀티플렉스 복조회로(3)를 통해 좌우채널단자(L), (R)로 출력되는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신호의 전계 강도에 따른 고주파 중간주파수 증폭 및 검파회로(2)의 직류전압출력단자(a)를 아날로그 스위치회로(5)의 아날로그 스위치(SA1)에 접속하고, 고주파 신호의 수신 지향방향에 따른 고주파 중간주파수 증폭 및 검파회로 (2)의 직류전압출력단자(b)를 멀티패스회로(4)를 통해 아날로그 스위치회로(5)의 아날로그 스위치(AS2)에 접속하되, 저항(R1, R2) 및 스위치(SW1), 콘덴서(C1), 초기리세트회로(12), 디플립플롭(FF1)으로 구성된 기능표시입력회로(6)의 디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 ()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AS1), (AS2)의 제어단자에 각기 접속함과 아울러 그 출력단자(Q), ()를 일측입력단자에 전원(B+)이 인가되는 낸드게이트(G1), (G2)의 타측입력단자에 각기 접속하고, 이 낸드게이트(G1), (G2)의 출력단자 사이에 저항(R21-R26)을 적렬접속하여 그 저항(R26-R21)의 각 접속점을 비교기(CP1-CP5)의 반전입력단자에 각기 접속하며, 이 비교기(CP1-CP5)의 비반전입력단자는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AS1), (AS2)의 출력측에 공통접속한 후 그 비교기(CP1-CP5)의 출력단자를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10)의 발광다이오드(LED1-LED5)에 각기 접속한다.
한편, 상기 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 ()를 저항(R4-R7) 및 트랜지스터 (TR1, TR2), 발광다이오드(LED6, LED7)로 구성된 기농표시회로(7)의 트랜지스터(T R1), (TR2)의 베이스측에 각기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주파 수신안테나(11)로 수신된 고주파 신호는 고주파 프론트엔드(1)에서 증폭된 후 국부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와 혼합되어 출력되고, 이 출력신호는 고주파 중간주파수 증폭 및 검파회로(2)에서 중간주파수 증폭 및 검파된 후 멀티플렉스 복조회로( 3)를 통해 좌, 우채널단자(L), (R)로 출력된다.
이때, 중간주파수 증폭 및 검파회로(2)의 직류전압 출력단자(a)에는 제3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주파 수신안테나(11)에 수신되는 고주파신호의 전계강도(N1, N2)에 비례한 직류전압(V1, V2)이 출력되나, 고주파 신호의 전계강도가 일정이상으로 될때 그 직류전압은 포화상태로 되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같이 출력된 직류전압은 아날로그 스위치(AS1)에 인가된다.
또한, 중간주파수 증폭 및 검파회로(2)의 직류전압출력단자(b)에는 제3도의 (b)에 도시한 바와같은 고주파 수신안테나(11)의 지향특성에 따른 직류전압이 출력된 후 멀티패스회로(4)를 통해 제3도의 (c)에 도시한 바와같이 출력된다. 즉, 고주파, 수신안테나(11)의 지향방향이 간접파가 가장작은 방향(180°)으로 조정되었을때 가장높은 전압이 멀티패스회로(4)의 출력측에 출력되는 것으로, 제3도의 (b)에서 실선(ℓ1)은 강전계에서 멀티패스회로(4)의 출력전압 상태를 나타내고, 점선(ℓ2)은 중간정도의 전계에서 멀티패스회로(4)의 출력전압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이 출력된 멀티패스회로(4)의 출력전압은 아날로그 스위치(AS2)에 인가된다.
그리고, 전원(B+)을 인가하는 초기에는 공지의 초기리세트회로(12)의 출력측에 펄스신호가 출력되어 디플립플롭(FF1)을 리세트시키므로 그의 출력단자(Q)에는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단자()에는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아날로그 스위치(AS1), (AS2)에 제어단자에 각각 인가된다.
이에따라 아날로그 스위치(AS1)는 도통상태로 되고 아날로그 스위치(AS2)는 차단상태로 되므로 상기와 같이 고주파 중간주파수 증폭 및 검파회로(2)의 직류전압출력단자(a)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이 아날로그 스위치(AS1)를 통해 비교기(CP1-CP5)의 비반전입력단자에 비교전압으로 인가된다.
또한, 이때 디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에서 출력된 저전위신호 및 출력단자()에서 출력된 고전위 신호가 낸드게이트(G1), (G2)의 타측입력출력에 각기 인가되므로 낸드게이트(G1)의 출력단자에는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낸드게이트(G2)의 출력단자에는 저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이에따라, 낸드게이트(G1)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된 고전위신호가 저항(R21-R26)을 순차적으로 통하여 낸드게이트(G2)의 출력단자로 흐르게 되므로 저항(R21-R26)의 각 접속점에 각기 다른 분압전압이 출력되어 비교기( CP5-CP1)의 반전입력단자에 각기 기준전압으로 인가된다. 이때 비교기(CP5)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이 가장높게되고, 비교기(CP4), (CP3), (CP2), (CP1)의 순으로 그들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이 점차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같이 고주파 중간주파수 증폭 및 검파회로(2)의 직류전압출력단자(a)에서 출력된 후 아날로그 스위치(AS1)를 통해 비교기(CP1-CP5)의 비반전입력단자에 비교전압으로 인가된 직류전압은 그들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과 각기 비교되어 비교기 (CP1-CP5)의 양 입력단자의 차전압이 그들의 출력단자에 각기 출력된다.
그런데, 비교기(CP1-CP5)의 비반전입력단자에 비교전압으로 인가되는 직류전압은 제3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주파 수신안테나(11)에 유기된 전계강도에 비교하므로 그 전계강도에 따라 비교기(CP1), (CP2), (CP3), (CP4), (CP5)순으로 고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일예로 제3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포화점부근의 전계강도(N1)에서 비교기(CP1-CP5)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직류전압(V1)보다 저항( R21), (R22)의 접속점 분압전압이 낮고, 중간부근의 전계강도(N2)에서 비교기(CP1-C P5)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직류전압(V2)보다 저항(R22), (R23)의 접속점 분압전압이 높고 저항(R23), (R24)의 접속점 분압전압이 낮게 설정시켜 놓으면, 포화점부근의 전계강도(N1)에서는 비교기(CP1-CP5)의 비반전입력단자에 비교전압으로 공통 인가되는 직류전압이 그들의 반전입력단자에 각기 인가되는 기준전압 보다 높게되어 비교기( CP1-CP5)의 출력단자에는 모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에따라 발광다이오드(LE D1-LED5)는 모두 점등된다. 또한 중간부근의 전계강도(N2)에서는 비교기(CP1-CP5)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비교전압으로 공통인가되는 직류전압이 비교기(CP1-CP3)의 바전입력단자에 각기 인가되는 기준전압보다는 높고 비교기(CP4, CP5)의 반전입력단자에 각기 인가되는 기준전압 보다는 낮게되므로 비교기(CP1-CP3)의 출력단자에만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에따라 발광다이오드(LED1-LED3)만 점등된다.
이와같이 고주파 수신안테나(11)에 유기되는 전계강도에 따라 발광다이오드( LED1), (LED2), (LED3), (LED4), (LED5)순으로 점등되어 시그널 레벨메터로서 동작을 하게되고, 저항(R21-R26)의 값을 설정함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1-LED5)의 점등레벨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10)의 저항(R11-R15)은 발광다이오드(LED1-LED5)의 전류흐름제한용이다.
한편, 상기와같이 디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 ()에서 각기 출력된 저전위 신호 및 고전위 신호는 저항(R6), (R7)을 각기 통해 트랜지스터(TR1), (TR2)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2)만이 온되고, 이에따라 발광다이오드(LED7)가 점등되어 현재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10)가 시그널 레벨메터로 동작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능표시입력회로(6)의 스위치(SW1)를 순간적으로 접속시키면 그 스위치(SW1)가 접속되는 순간에 디플립플롭(FF1)의 클럭단자(C)에 펄스신호가 인가되고, 또한 이전상태에서 디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된 고전위 신호가 그의 입력단자(D)에 인가되고 있으므로 그의 출력단자(Q), ()에는 고전위 신호 및 저전위 신호가 각각 출력된다.
이에따라, 상기 시그널 레벨 기능시와는 반대로 아날로그 스위치(AS1)는 차단상태로 되고 아날로그 스위치(AS2)는 도통상태로 되므로 제3도의 (b)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주파 중간주파수 증폭 및 검파회로(2)의 직류전압출력단자(b)에서 출력되어 멀티패스회로(4)를 통한 직류전압이 아날로그 스위치(AS2)를 통해 비교기(CP1-CP5)의 비반전입력단자에 비교전압으로 공통인가되고, 또한 이때 상기 시그널 레벨 기능시와는 반대로 낸드게이트(G2)의 출력단자에는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낸드게이트(G1)의 출력단자에는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므로 비교기(CP1)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이 가장높게되고, 비교기(CP2), (CP3), (CP4), (CP5)의 순으로 그들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이 점차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때는 상기 시그널 레벨 기능시와는 반대로 비교기(CP1-CP5)의 비반전입력단자에 비교전압으로 공통인가되는 직류전압에 따라 비교기(CP5), (CP4), (CP3), (CP2), (CP1)순으로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발광다이오드(LED5), (LED4), (LE D3), (LED2), (LED1)순으로 점등되어 멀티패스기능을 표시한다.
즉, 고주파 수신안테나(11)에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가 강전계 상태에서는 제3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주파 수신안테나(11)의 지향특성에 따라 멀티패스회로 (4)의 출력측에 제3도의 (c)에 실선(ℓ1)으로 도시한 바와같은 특성의 직류전압이 출력되어 비교기(CP1-CP5)의 비반전입력 단자에 비교전압으로 인가되므로, 그 비교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발광다이오드(LED5)부터 점등되기 시작하고, 이때 고주파 수신안테나(11)가 정위치인 180°방향을 향하게 될때는 발광다이오드( LED5-LED1)모두가 점등된다. 또한, 고주파 수신안테나(11)에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가 약전계 상태에서는 그의 지향방향에 따라 멀티패스회로(4)의 출력측에 제3도의 (b)에 점선(ℓ2)으로 도시한 바와같은 특성의 직류전압이 출력되므로, 이때는 고주파수신안테나(11)의 지향 방향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5)부터 점등되기 시작하여 발광다이오드(LED3)까지 점등되어진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10)의 발광다이오드(LED5-LED1)점등상태를 보면서 고주파 수신안테나(11)의 방향설정을 정확히 할 수 있게된다.
또한, 이때 상기 디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에서 출력된 고전위 신호는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TR1)를 온시키므로 발광다이오드(LED6)가 점등되어 현재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10)가 멀티패스 기능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능표시입력회로(6)의 스위치(SW1)를 다시 순간적으로 접속시키면, 그 스위치(SW1)가 접속되는 순간에 플립플롭(FF1)의 클럭단자(C)에 펄스신호가 인가되고, 또한 이전상태에서 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된 저전위 신호가 그의 입력단자(D)에 인가되고 있으므로 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 ()에는 저전위신호 및 고전위 신호가 각각 출력되고, 이에따라 상기와 동일하게 동작되어,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10)는 시그널 레벨메터로 다시 동작되어 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1개의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로 고주파 수신안테나의 수신전계강도에 따른 시그널 표시기능과 고주파 수신안테나의 방향설정을 위한 멀티패스 표시기능을 수행하고, 특히 시그널 표시기능과 멀티패스표시기능시에 있어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의 발광다이오드 점등순서가 반대로 되고,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가 현재 시그널 표시기능 또는 멀티패스 표시기능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별도의 발광다이오드로 표시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발광다이오드 레벨 메터의 표시기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된다.

Claims (1)

  1. 오디오 기기에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의 드라이브회로에 있어서, 오디오 기기의 고주파 중간주파수 증폭 및 검파회로(2)의 수신전계강도 및 수신지향 방향에 따른 직류 전압출력단자(a), (b)를 아날로그 스위치(AS1)와 멀티패스 회로 및 아날로그 스위치(AS2)를 각기 통해 비교기(CP1-CP5)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공통접속하여 그들의 출력단자를 발광다이오드 레벨메터(10)의 발광 다이오드(LED1-LED5)에 각기 접속하되, 리세트단자() 및 클럭단자(C)에 초기 리세트회로(12) 및 스위치(SW1)가 각기 접속된 디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 ()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AS1), ( AS2)의 제어단자와, 일측입력단자에 전원이 인가되는 낸드게이트(G1), (G2)의 타측입력단자와, 콜렉터측에 기능표시용 발광다이오드(LED6), (ED7)가 각각 접속된 트랜지스터(TR1), (TR2)의 베이스측에 각기 공통접속하고, 상기 낸드게이트(G1), (G2)의 출력단자 사이에 저항(R21-R26)을 공통접속한 후 그 저항의 각 접속점을 상기 비교기(C P5-CP1)의 반전입력단자에 각기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회로.
KR2019830011491U 1983-12-31 1983-12-31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회로 KR860000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1491U KR860000998Y1 (ko) 1983-12-31 1983-12-31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1491U KR860000998Y1 (ko) 1983-12-31 1983-12-31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429U KR850005429U (ko) 1985-08-10
KR860000998Y1 true KR860000998Y1 (ko) 1986-05-23

Family

ID=7016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1491U KR860000998Y1 (ko) 1983-12-31 1983-12-31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9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429U (ko) 198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3343A (en) Diversity receiver
US4384219A (en) Voltage comparator hysteresis control circuit
KR910010897A (ko) Am라디오 수신기
US4311994A (en) Signal level indication with different colors
US3896386A (en) Tuning indicator with noise signal detector
KR860000998Y1 (ko)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브회로
US20050152439A1 (en) Interface for digital communication
EP0092145A2 (en) Transistor circuit
US4114097A (en) Frequency shift signal receiver
WO1985003795A1 (en) Data display apparatus
US4461960A (en) High speed switching circuit
US4812908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having a control loop including a current threshold circuit
KR940006354A (ko) 주파수 변조(fm) 전송기의 전계 강도를 결정하는 장치가 있는 주파수 변조 수신기
KR840001568Y1 (ko) 뮤트전압을 이용한 시그널 미터의 오동작 방지회로
SU1453584A1 (ru) Амплитудный детектор
KR910008937Y1 (ko) Fm/am 디지탈 튜너의 주파수 표시부의 색상 표시회로
JPS62621B2 (ko)
KR930001114Y1 (ko) 트래킹 동작 및 상태 표시회로
JP2712598B2 (ja) ステレオ表示装置
GB2058365A (en) Circuit Analyzer
RU226148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ема кодированной информации в линии связи
JPS5778283A (en) Video detection circuit
SU1084973A1 (ru) Индикатор настройки приемника
KR880000817Y1 (ko) 이중휘도 영상처리회로
KR860002771Y1 (ko) 자동 하이브렌드 양 조절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21 Withdrawal of opposition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