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712Y1 - 대문짝의 하부 받침축장치 - Google Patents
대문짝의 하부 받침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60000712Y1 KR860000712Y1 KR2019830010720D KR830010720D KR860000712Y1 KR 860000712 Y1 KR860000712 Y1 KR 860000712Y1 KR 2019830010720 D KR2019830010720 D KR 2019830010720D KR 830010720 D KR830010720 D KR 830010720D KR 860000712 Y1 KR860000712 Y1 KR 86000071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pedestal
- support shaft
- bearing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 G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대 2 : 받침대
4 : 요입부 4' : 나사공
5 : 지축 5' : 조절나사
5" : 축공 5'" : 베어링
6 : 받침축
본 고안은 요입부와 나사공이 형성된 받침대를 지지대에 일체로 결합하고 지축을 끼운 조절나사를 받침대의 나사공에 삽입하여 베어링실이 형성된 받침축을 요입부에 베어링과 함께 삽입하고 받침대의 요입부 하단 주위에 복수개의 빗물 배수용 통수공을 외부로 경사지게 뚫어서 대문짝의 하단축공을 받침축에 끼워 문기둥에 대문짝을 간편하게 달 수 있는 동시 받침대의 요입부에 빗물이 유입되어도 통수공을 배수되게 하여서 빗물에 의한 받침축과 베어링의 부식이나 녹쓰는 것을 방지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대문짝의 하부 받침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문짝은 비교적 크고 무겁기 때문에 일반적인 도어와는 달리 대문짝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탱하면서 여닫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대문짝의 상단부에 돌출된 지축은 문기둥의 고리에 유착하고 대문짝의 하단부에 형성된 축공을 바닥에 돌출된 받침축에 끼워서 대문짝을 문기둥에 설치하였으나 대문짝이 문기둥에 바르게 설치될 수 있도록 받침축의 위치와 높이를 정확하게 설치하는 작업이 까다롭고 불편하여 문기둥에 대문짝을 다는데 의외로 번거롭고 힘이 많이들뿐 아니라 대문짝을 여닫을때 대문짝의 축공과 받침축과의 심한 마찰로 마모율이 높고 대문짝의 여닫는 저항이 커서 힘이들 뿐 아니라 특히 대문짝은 대부분 밖에 설치하기 때문에 빗물에 의하여 대문짝의 받침축이 쉽게 높이 쓸고 부식되어 오래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도어의 경우에는 문짝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바닥에 설치된 힌지의 받침축을 나사봉으로 형성하여 이에 조절나사판을 끼운다음 도어를 조절나사판에 설치하게된 것이 있으나 이러한 힌지를 대문짝의 설치시에 사용할 경우 대문짝은 대부분 크고 무겁기 때문에 받침축에 끼운 조절나사판에 대문짝을 설치하여도 불안정하여서 문짝의 여닫을때 조절판이 받침축의 나사홈을 따라 승강되어서 문짝이 바르게 고정되지 못할 뿐 아니라 쉽게 파손되어서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도어의 힌지는 대문짝에 사용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대문짝의 하부를 유착하는 받침축 장치에 있어서, 대문짝의 설치장소에 매설하게 된 지지대에 요입부와 나사공이 형성된 받침대를 일체로 결합하고 지축을 끼운 조절나사를 받침대의 나사공에 삽입하여 베어링실이 하부에 형성된 받침축을 베어링과 함께 받침대의 요입부에 삽입하며 받침대의 요입부 하단주위에 복수개의 빗물배수용 통수공을 외부로 경사지게 뚫은 다음 대문짝의 설치장소에 매설하고 대문짝의 설치높이에 맞추어 조절나사로 미리 받침축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대문짝의 하부축공을 받침축에 끼워서 공지의 요령으로 문기둥에 대문짝을 설치하면 받침축과 베어링에 의하여 무거운 대문짝을 보다 안전하게 지탱하면서 원활하게 회동되어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문짝을 여닫을 수 있고, 또한 밖에 설치된 받침대의 요입부로 빗물이 유입되어도 베어링은 받침축의 요입된 베어링실에 수납되어 있어서 직접 빗물이 베어링측으로 스며들지 않을 뿐 아니라 통수공을 통하여 받침대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되어서 받침축이 빗물에 녹이 쓸거나 부식되는 것을 보다 감소시키면서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안전하게 오래 사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개의 감합부(1')가 외주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지지대(1)에 요입부(4)와 나사공(4')이 형성된 받침대(2)를 대고 받침대(2)의 플랜지에 뚫린 체결구멍(3')과 체결나사(3)을 이용하여 지지대(1)와 받침대(2)를 일체로 결합형성하며 지축(5)을 축공(5")에 끼운 조절나사(5')를 받침대(2)에 형성된 나사공(4')에 승강 조절할 수 있게 끼우고 받침축(6)의 하부에 형성된 베어링실(6')에 공지의 베어링(5'")을 수납하여 베어링이 지축(5)의 상단부에 올려질 수 있게 받침축(6)을 받침대(2)의 요입부(4)에 삽입하며 요입부(4)의 하단 주위에 복수개의 빗물배수용 통수공(4")을 외부로 관통할 수 있게 경사지게 뚫고 받침대(2)의 일측 외주면에서 조절나사(5')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8)를 내부로 관통되게 끼워서 대문짝의 하부축공(7)을 받침축(6)에 삽입하여 대문짝을 문기둥에 설치할 수 있게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문기둥에 대문짝을 설치할 바닥의 적당한 위치에 지지대(1)을 시멘트몰탈등으로 고정되게 수직으로 매설하여 받침대(2)가 바닥위로 돌출되게 하고 대문짝의 설치 높이에 맞추어 미리 조절나사(5')를 상하로 승되게 틀어서 받침축(6)의 높이를 정확하게 조절한 다음 공지의 요령으로 대문짝의 하부 축공(7)을 받침축(6)에 끼워서 대문짝을 문기둥에 설치하는 것으로 지지대(1)의 외주면에 감합부(1')를 요입되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지지대(1)를 대문짝의 설치장소의 바닥에 시공하였을때 시멘트 몰탈이 감합부(1')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대문짝의 여닫을 때의 압력이나 충격으로 지지대(1)가 좌우로 유동되거나 빠지는 일이 없고, 대문짝을 설치할때 대문짝을 올리거나 내려야하는 등의 승강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고정나사(8)를 풀고 조절나사(5')를 좌우를 틀어서 받침축(6)의 높이를 목적하는 높이로 정확하게 조절한 다음 고정나사(8)로 조절나사(5')를 고정하여 대문짝을 임의 높이로 조절설치할 수 있고, 받침대(2)의 요입부(4)에 삽입된 견고한 받침축(6)과 베어링(5'") 및 지축(5)에 의하여 대문짝의 무거운 하중을 안전하게 지탱하는 동시 받침축(6)과 베어링(5'")에 의하여 대문짝을 바른 위치에서 힘 안들이고 가볍게 여닫을 수 있으며, 또한 대문짝의 개폐 동작을 받침축(6)과 베어링(5'")이 분담하게 되어 대문짝의 하부축공(7)과 받침축(6)은 직접적인 마찰회동이 그만큼 감소되어서 받침축의 마모 및 훼손을 그 만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받침축 하부의 베어링실(6')에 베어링(5'")이 수납되어 있는 동시 받침대의 요입부(4) 하단 주위에 복수개의 빗물배수용 통수공(4")이 외부로 관통할 수 있게 경사지게 뚫려있기 때문에 주로 밖에 설치된 받침대의 요입부에 빗물이 유입되어도 빗물이 베어링실 내부의 베어링에 직접 스며들지 않을뿐 아니라 통수공을 통하여 빗물이 용이하게 요입부의 외부로 배출되어서 받침축이 녹쓸거나 부식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면서 종래의 단순한 대문짝 받침축에 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참고간행물 :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461호 공고번호 80-1467호 387호 78-1557호
Claims (1)
- 감합부(1')가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대(1)에 요입부(4)와 나사공(4')이 형성된 받침대(2)를 일체로 결합하여 지축(5)을 끼운 조절나사(5')를 받침대(2)의 나사공(4')에 승강 조절할 수 있게 삽입하고 하부에 베어링실(6')이 형성된 받침축(6)을 공지의 베어링(5'")과 함께 받침대의 요입부(4)에 삽입하며 받침대의 요입부(4) 하단 주위에 복수개의 빗물배수용 통수공(4")을 외부로 관통할 수 있게 뚫어서된 대문짝의 하부 받침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30010720U KR850005015U (ko) | 1983-12-16 | 1983-12-16 | 대문짝의 하부 받침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00712Y1 true KR860000712Y1 (ko) | 1986-04-24 |
Family
ID=1923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30010720D KR860000712Y1 (ko) | 1983-12-16 | 1983-12-16 | 대문짝의 하부 받침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60000712Y1 (ko) |
-
1983
- 1983-12-16 KR KR2019830010720D patent/KR860000712Y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60000712Y1 (ko) | 대문짝의 하부 받침축장치 | |
KR100970845B1 (ko) | 창호 설치용 고정구 | |
KR100831608B1 (ko) | 도어힌지 | |
KR100684234B1 (ko) | 문짝용 경첩 | |
KR200313460Y1 (ko) | 행거 도어용 높이조절식 로울러부착형 브라켓 | |
KR20070074533A (ko) | 수평조절 장치가 부착된 고정용 브래킷 | |
KR200149147Y1 (ko) | 문 연결장치 | |
KR200396924Y1 (ko) | 문짝용 경첩 | |
KR20000018587U (ko) | 출입문 개폐용 지지구 | |
JP2559410Y2 (ja) | 窓の縦枠中空部の排水構造 | |
JPH0426074Y2 (ko) | ||
KR200333140Y1 (ko) | 포켓프레임 | |
KR200267338Y1 (ko) | 플로어 힌지 조립체 | |
KR960000873Y1 (ko) | 대문용 문짝의 고정장치 | |
KR920008459Y1 (ko) | 대문짝의 힌지장치 | |
KR200388213Y1 (ko) | 플로어힌지의 위치조절장치 | |
KR200328434Y1 (ko) | 문짝개폐용 상측힌지 | |
JPH0421417Y2 (ko) | ||
JPH08184250A (ja) | 折 戸 | |
JPS6223989Y2 (ko) | ||
JPH0440373Y2 (ko) | ||
KR900003865Y1 (ko) | 괘착공이 형성된 도어 힌지 | |
KR200262839Y1 (ko) | 플로어 힌지 조립체 | |
KR960010410Y1 (ko) | 도어용 힌지 | |
JPH0334973Y2 (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