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178B1 - Manufacture of tinplate and tinplate containers - Google Patents

Manufacture of tinplate and tinplate contain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178B1
KR860000178B1 KR828202743A KR820002743A KR860000178B1 KR 860000178 B1 KR860000178 B1 KR 860000178B1 KR 828202743 A KR828202743 A KR 828202743A KR 820002743 A KR820002743 A KR 820002743A KR 860000178 B1 KR860000178 B1 KR 860000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
steel
plating
steel strip
reflo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8202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30000749A (en
Inventor
머 프라즈 에리치사 다이에트
Original Assignee
죠페리 더글라스 스티븐슨
더브로큰 히 프로프라이어터리 캄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죠페리 더글라스 스티븐슨, 더브로큰 히 프로프라이어터리 캄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죠페리 더글라스 스티븐슨
Priority to KR828202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178B1/en
Publication of KR830000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7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1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An unreflowed solderable electrolytic tinplate is produced by the Halogen process. Initially coatings of tin are applied on opposite faces of the strip steel(12) from an electrolyte containing stannous tin and fluoride ions. The material is then rinsed with an agent containing less than 8 g/l of fluoride ions and due to carry-over, stannous ions. 0.95-2.5 g/sq. m. of tin is applied on at least one of the strip faces, while the ratio of fluoride ions to stannous tin ions in the rinse solution, is not less than 10:1. Pref., the current density, during electrodeposition, is 600-1600(800-1200) amps/sq. meter.

Description

깡통제조용 석도강판Tin can steel for manufacturing can

제1도는 할로겐 형식의 전기주석 도금라인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alogen type electro tin plating line.

제2도는 이중으로 이어진 양단부 및 서로 맞물려서 길이방향으로 용접된 이음부를 가진 전형적인 깡통을 절개해 본 도시도.2 is a cutaway view of a typical can with double ends and two joints longitudinally welded together.

제3도는 제2도의 깡통의 길이방향 이음부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ngitudinal seam of the can of FIG. 2.

제4도는 제2도의 깡통 양단의 이음부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joints at both ends of the can of FIG.

제5도는 주석이 전착된 강철스트립의 미세 종단면도.5 is a fin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strip electrodeposited with tin.

제6도 및 제7도는 리플로우된 강철 스트립의 도금면을 보여주는 미세 종단면도.6 and 7 are fin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plated surface of the reflowed steel strip.

제8도는 리플로우의 결과 나타난 구조를 보여주는 강철 스트립의 미세 종단면도.8 is a fin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strip showing the structure resulting from the reflow.

제9도 내지 제14도는 리플로우된 석도강판과 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의 다양한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9 to 14 show the results of various tests of reflowed and unreflowed steel sheets.

본 발명은 관형상의 용기 또는 깡통 등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석도강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late used for producing tubular containers or cans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깡통 제조용 석도강판은 연속한 강철 스트립상에 주석을 전착시켜서 생산하게 된다. 강철 스트립은 전형적인 전기주석 도금라인에서 전해세척공정, 산세척공정(산성 또는 알카리성 용액에 담가서 금속표면의 산화물이나 스케일 등을 제거하는 공정), 전기주석 도금공정, 리플로우공정 및 최종공정인 화학적 또는 전기화학적 부동태화 처리공정(화학적으로 활성인 금속표면을 전기분극 또는 부동태화 용제의 수용액에 담금으로써 금속표면의 활성을 저하시키는 공정) 등을 성공적으로 거치게 된다. 플로우 브라이트닝으로 알려진 리플로우공정은 전도, 복사 또는 고주파수의 유도가열에 의해 주석의 용융점 이상의 온도까지 도금된 주석을 용융시켜서 부드러운 광택면은 제공하며, 아울러 주석의 일부를 강철 스트립의 면과 결합시켜 합금층을 형성시킨다.Generally, tin steel sheets for cans are produced by electrodepositing tin on a continuous steel strip. Steel strips are typically used in electrolytic tin plating lines for electrolytic cleaning, pickling processes (immersing them in acidic or alkaline solutions to remove oxides or scales from metal surfaces), electrotin plating, reflow processes, and final chemical or The electrochemical passivation process (the process of lowering the activity of the metal surface by immersing the chemically active metal surface in an aqueous solution of the electropolarization or passivating solvent) is successfully passed. The reflow process known as flow brightening melts the plated tin to temperatures above the melting point of the tin by conduction, radiation, or induction heating at high frequencies to provide a smooth gloss surface, while combining a portion of the tin with the face of the steel strip to Form a layer.

전기적으로 주석을 도금하는 라인은 페놀설펀산 형식의 라인, 알카리 또는 스테나이트 형식의 라인, 그리고 할로겐 형식의 라인 등 3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가 있으며, 이들은 사용된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것으로서 근본 원리는 서로 동일하다.Electrically tin-plated lin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phenolsulfonic acid type lines, alkali or stenitite lines, and halogen type lines, which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lyte used. The principles are identical to each other.

본 발명은 할로겐 형식의 전기주식 도금라인을 채용하였다. 여기서 할로겐 형식의 전해질은 자체순환시스템, 압연기 및 양극실 등을 각각 가지는 일련의 작은 셀(cell) 내에 저장되어 있다. 강철 스트립은 일련의 작은 셀내의 전해질의 상부면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지나면서 그 하부면만 도금된다. 그 뒤 상기 강철 스트립은 상향으로 올라가서 다시 반대방향으로 향하면서 원래의 상부면은 하부면으로 바뀌게 되며, 다른 면이 주석으로 도금이 되도록 다른 일련의 작은 셀을 가로질러 지나가게 된다. 상기 할로겐 형식의 주석도금 라인은 고속으로 작동하며, 아울러 강철 스트립의 양면에 도금량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halogen type electroplating plating line. The halogen type electrolyte is stored in a series of small cells each having a self-circulation system, a rolling mill, and an anode chamber. The steel strip is plated horizontally across the top surface of the electrolyte in a series of small cells and only the bottom surface is plated. The steel strip then rises upwards and again in the opposite direction, turning the original top face into the bottom face and passing across another series of small cells so that the other side is plated with tin. The halogen-type tin plating line operates at high speed, and may also apply different thicknesses of plating amounts on both sides of the steel strip.

석도강판 제조업자들은 최근의 고속 깡통 제조라인으로 인해 보다 양질이 제품을 생산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러한 요구는 용접된 이음부를 갖는 깡통을 제조라인으로 인해 보다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러한 요구는 용접된 이음부를 갖는 강통을 제조할 경우 더욱 그렇다. 고속으로 깡통을 제조하는 경우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용접력이 저하되는 것이다.Manufacturers of fine steel sheets have to produce better quality products due to recent high-speed can manufacturing lines, and this demand is required to produce better quality products by manufacturing lines with cans with welded joints.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manufacturing steel barrels with seams. The biggest problem when manufacturing cans at high speed is that the welding force is lowered.

현재, 길이방향의 이음부를 갖는 깡통은 대략 2.5g/m2범위내의 도금량을 갖는 리플로우된 석도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것은 적당한 용접력 및 부식저항을 얻는데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Currently, cans with longitudinal seams are usually made of reflowed steel sheets with plating amounts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2.5 g / m 2 . This has been considered necessary to obtain adequate welding force and corrosion resistance.

본 발명은 리플로우되지 않은 도금량이 낮은 석도강판은 비교적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적당히 제어되지 않은 도금량이 큰 광택이 있는 석도강판과 맞먹는 효과를 가지면서 고속 깡통 제조랑인에서 일어나는 용접력의 문제점을 완화시켜 준다는 점을 지적해 준 연구 결과에서 비롯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relatively low-cost unreflowed plated steel sheet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same effect as that of a polished stone plate with a large amount of uncontrolled plating, the problem of welding force in the high-speed tin cans It is from the research that pointed out that it alleviates the problem.

본 발명에 따라서 용접력 및 부식저항이 한층 강화된 석도강판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석도강판은 2g/m2이하의 도금량을, 양호하게는 0.5 내지 1.5g/m2범위내의 도금량을 갖는 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ne-grained steel sheet further enhanced the welding force and corrosion resistance. Wherein the steel sheet is an unreflowed steel sheet having a plating amount of 2 g / m 2 or less, preferably having a plating amount in the range of 0.5 to 1.5 g / m 2 .

석도강판은 양쪽 면의 도금량을 동일하게 하거나, 아니면 한쪽 면을 더 두껍게 할 수도 있다.The steel plate may have the same plating amount on both sides, or one side may be thicker.

할로겐 형식의 전기주석 도금라인 중 행굼단계 내에서 수화된 주석화합물이 석도강판의 주석도금면상에 침전되는 것을 최소로 감소시켜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것은 행굼용액내에서 고농축된 불화물 이온을 계속 유지시킴과 동시에 제1주석 이온에 대한 불화이온의 비율을 매우 높은 수준에서 유지시켜주므로써 성취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In halogen type electro tin plating lines, it is most important to minimize the hydration of the tin compound hydrated in the rinse step on the tin plated surface of the sintered steel sheet, which keeps the highly concentrated fluoride ions in the rinse solution.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found that this can be achieved by keeping the ratio of fluoride ions to stannous ions at a very high level.

본 발명에 따른 석도강판은 불화이온 및 제1주석 이온을 지니는 전해질에 의해 강철 스트립의 서로 마주한 면을 주석으로 도금함과 아울러 상기 도금된 강철 스트립을 불화이온을 지니는 행굼용액 내를 통과시켜 주는 할로겐 형식이 라인에 의해 제조된다. 강철 스트립이 전해질을 통과할 때 상기 강철 스트립상에 전해질이 캐리 오우버(carry-over)됨과 아울러 상기 강철 스트립의 적어도 한쪽 면은 2.5g/m2이하의 도금량으로 전착되며, 또한 상기 도금된 강철 스트립은 제1주석 이온에 대한 불화이온의 비율이 적어도 10 : 1 이상으로 유지되는 행굼용액내를 통과하게 된다.Halogen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ted with a tin fluoride ion and a tin tin ion to the opposite sides of the steel strip with a halogen to pass the plated steel strip through the fluoride ions in the rinse solution The type is manufactured by line. As the steel strip passes through the electrolyte, the electrolyte is carry-over on the steel strip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steel strip is electrodeposited with a plating amount of 2.5 g / m 2 or less, and the plated steel The strip passes through a rinse solution in which the ratio of fluoride ions to stannous ions is maintained at least 10: 1.

행굼용액 내의 농축된 불화물의 농도는 8g/l 내지 20g/l 사이의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양호하다.Preferably, the concentration of concentrated fluoride in the rinse solution is maintained in the range between 8 g / l and 20 g / l.

전해질내의 제1주석이온에 대한 불화이온의 비율은 8 : 1 내지 15 : 1 사이의 범위내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전해질은 제1주석이온, 불화이온, 시안화제1철 및 광택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ratio of the fluoride ion to the tin tin ion in the electrolyte may be maintained in the range of 8: 1 to 15: 1, and the electrolyte is composed of tin tin ions, fluoride ions, ferrous cyanide, a brightener, and the like. Can be.

헹굼용액을 중불화나트륨(NaHF2)이나 불화나트륨(NaF) 수용액으로 구성될 수 있다.Rinse solution may be composed of sodium bifluoride (NaHF 2 ) or sodium fluoride (NaF) aqueous solution.

보다 양호하게는, 상기 강철 스트립의 적어도 한쪽 면은 0.5 내지 1.5g/m2의 도금량으로 전착되는 것이다. 헹굼단계에서 수화된 주석화합물이 도금면상에 침전하는 것은 헹굼용액내의 불화이온이 주석과의 화합물로서 적당한 형태로 존재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감소되며, 이러한 현상은 주위가 산성일 경우에만 일어나게 된다. 특히 헹굼용액의 pH값은 염산을 추가해 주므로써 4 이하로 양호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상업용의 농축된 염산이 여기서 적당한 것으로 밝혀졌다.More preferably, at least one side of the steel strip is electrodeposited with a plating amount of 0.5 to 1.5 g / m 2 . The precipitation of the hydrated tin compound on the plated surface in the rinsing step is most effectively reduced when the fluoride ions in the rinse solution are present in a suitable form as a compound with the tin, and this phenomenon only occurs when the environment is acidic. In particular, the pH value of the rinse solution should be kept well below 4 by adding hydrochloric acid, and commercial concentrated hydrochloric acid has been found to be suitable here.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여러가지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Other various featur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에는 할로겐 형식의 전기주석 도금라인이 전반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강철 스트립(12)은 상기 스트립을 평평하게 펴 주는 한 쌍의 풀림장치(11)를 거쳐 어큐뮤레이터 또는 루우프(13)로 공급되며, 이곳으로부터 상기 강철 스트립(12)은 동인장기(動引張器)(14), 알카리 전해세척 탱크(15), 헹굼 탱크(16), 산세척 탱크(17), 및 다른 헹굼 탱크(18)를 거쳐 참조번호 19로 전반적으로 표시된 전기도금장치로 고속으로 공급된다.Figure 1 shows the overall electroplating line of the halogen type. The steel strip 12 is fed to the accumulator or loop 13 via a pair of unwinding devices 11 that flatten the strip, from which the steel strip 12 is subjected to a stamping machine. High speed feed to the electroplating apparatus generall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9 via a 14, alkaline electrolytic cleaning tank 15, rinsing tank 16, pickling tank 17, and other rinsing tanks 18. do.

상기 어큐뮤레이터 또는 루우프(13)는 강철 스트립 코일을 교환할 때에도 라인내에 강철 스트립이 계속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해준다. 강철 스트립 코일의 교환시 다풀려 들어간 강철 스트립의 끝부분과 새로 교환된 강철 스트립의 앞부분이 전단용접기(20)에서 서로 용접 연결되며, 그 후 새로운 강철 스트립이 계속하여 라인으로 공급된다.The accumulator or loop 13 allows the steel strip to be continuously supplied in the line even when the steel strip coil is replaced. At the exchange of the steel strip coils, the ends of the unwrapped steel strips and the front of the newly exchanged steel strips are welded to each other in the shear welder 20, after which the new steel strips are continuously fed into the line.

전기도금장치(19)내에서, 상기 강철 스트립(12)은 자체순환시스템, 압연기 및 주석 양극 뱅크 등을 각각 갖는 일련의 전해조(21)를 지나간다. 상기 전해조(21)는 강철 스트립(12)이 전해질내에 살짝 잠겨져서 바닥부분만 도금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후 상기 강철 스트립은 다른 일련의 전해조(22)를 반대방향으로 지나가면서 뒷면이 도금된다.In the electroplating apparatus 19, the steel strip 12 passes through a series of electrolyzers 21 each having a self-circulation system, a rolling mill and a tin anode bank and the like. The electrolytic cell 21 is designed so that the steel strip 12 is slightly submerged in the electrolyte so that only the bottom part is plated. The steel strip is then plated backside as it passes through another series of electrolyzers 22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와 같이 도금된 강철 스트립은 전기도금장치(19)를 지나서 헹굼 탱크(23) 및 부동태화 처리 탱크(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강철 스트립은 오일도포장치 및 어큐뮤레이터를 거친 뒤 다시 강철 스트립을 감아주는 장치에 되감기게 된다(도시되지 않음).The steel strip plated as described above passes through the electroplating apparatus 19 and passes through the rinsing tank 23 and the passivation tank (not shown). The steel strip is also rewound to an apparatus for winding the steel strip after passing through the oil coating device and the accumulator (not shown).

상기 전해조(21)내의 전해질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olyte in the electrolytic cell 21 may generally be configured as follows.

제1주석이온(Sn++) 12-25g/lTin Ion (Sn ++ ) 12-25g / l

염화이온(Cl-) 38g/lChloride ion (Cl -) 38g / l

불화이온(F-) 34g/lFluoride ions (F -) 34g / l

시안화제1철 0.75g/lFerrous Cyanide 0.75g / l

광택제 3.5g/lPolish 3.5g / l

라인이 가동되고 있는 동안 전해질내의 제1주석이온에 대한 불화이온(F-, Sn++)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8 : 1 내지 15 : 1 사이의 범위내에서 유지된다.The ratio of fluoride ions (F , Sn ++ ) to stannous ions in the electrolyte while the line is running is generally maintained in the range between 8: 1 and 15: 1.

헹굼 탱크(23)내의 헹굼 용액은 광물질이 제거된 순수한 물과 용해된 중불화나트륨(NaHF2) 또는 불화나트륨(NaF)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rinse solution in the rinse tank 23 may consist of pure water demineralized and dissolved sodium bifluoride (NaHF 2 ) or sodium fluoride (NaF).

또한 라인가동 중 헹굼 용액은 상기 전기도금장치(19)로부터 강철 스트립에 의해 유입된 전해질로 인해 제1 및 제2주석, 염화이온 및 불화이온 등의 일부를 내포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전해질을 회수하여 전기도금장치(19)의 전해조로 되돌려주기 위해 적당한 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 rinsing solution during line operation may contain some of the first and second tin, chloride ions, and fluoride ions due to the electrolyte introduced by the steel strip from the electroplating apparatus 19. Thus, a suitable apparatus is provided for recovering these electrolytes and returning them to the electrolytic cell of the electroplating apparatus 19.

제1도의 할로겐 형식의 전기주석 도금라인은 종래의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것은 전기주석도금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The halogen type electro tin plating line of FIG. 1 is conventional and the details thereof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electro tin plating.

제2도에는 석도강판으로 제작된 전형적인 깡통(24)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관 모양의 외벽(25)과 양단부(26, 27)로 구성된다. 상기 외벽(25)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맞물려서 용접된 이음부(28)를 가지며, 또 양단부(26, 27)는 2중으로 접합된 이음부(29)에 의해 상기 외벽(25)에 연결된다. 외벽(25)의 이음부(28)는 제3도에 , 그리고 2중ㅇ로 접합된 이음부(29)는 제4도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FIG. 2 shows a typical can 24 made of masonry steel, which consists of a tubular outer wall 25 and both ends 26, 27. The outer wall 25 has joints 28 weld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26 and 27 are connected to the outer wall 25 by double joints 29. The seams 28 of the outer wall 25 are shown in FIG. 3, and the double seams 29 are shown in FIG.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깡통의 구조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이것은 현대식 고속 성형기계로서 생산될 수가 있다. 여기서, 외벽(25)을 이루게 될 석도강판은 깡통 몸체 제조기계로 공급되며, 그 곳에서 길이방향의 이음부(28)를 형성하면서 관 모양을 이루게 된다. 그 다음 깡통 몸체는 고속용접기를 지나면서 이음부(28)의 외측을 따라 용접비이드(31)가 적용된다.The structure of the can shown in FIGS. 2 to 4 is conventional, which can be produced as a modern high speed forming machine. Here, the stone plate steel that will form the outer wall 25 is supplied to the can body manufacturing machine, where it forms a tubular shape while forming a longitudinal seam 28. The can body is then subjected to a welding bead 31 along the outside of the seam 28 as it passes through the high speed welder.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깡통 몸체는 끝굽힘 기계를 지나면서 깡통 몸체의 양단에서 외향으로 굽혀진 테두리가 형성되며, 그 후 상기 깡통 몸체는 2중 이음기로 이송됨과 아울러 한쪽 단부만 2중으로 연결된다. 상기 2중 접합 이음부가 형성되기 전에 일반적으로 밀봉부재가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깡통은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통조림 제조라인으로 이송되며, 제일 마지막 공정에서 상단부가 2중 접합으로 연결된다.The can body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edge which is bent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can body while passing through the end bending machine, and then the can body is transferred to the double joint and only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ouble. A sealing member is generally applied before the double jointed joint is formed. In general, the cans are transferred to the canner production line with the top open, and the top end is connected by double splicing in the last process.

일반적으로 깡통의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락카가 적용되는데, 이 경우에 락카는 깡통을 형성하기 전에 석도강판의 한쪽 면에만 적용된다. 또한 음료수용 깡통과 같은 그러한 용기에 대해 외부장식용으로 락카를 적용하는 것도 깡통을 형성하기 전에 수행된다.In general, lacquer is applied to protect the interior of the can, in which case the lacquer is applied to only one side of the stone plate before forming the can. The application of lacquer for external decoration on such containers, such as beverage cans, is also performed before forming the cans.

상술한 바와 같은 깡통 제조용 기계류들은 널리 알려져 있고, 또한 깡통을 제조하는 절차도 통상적인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히 기술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주로 그러한 기계류로서 제조되는 깡통 제조용 석도강판의 특징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Machines for making cans as described above are well known, and the procedure for making cans is also common and is not described in detail here.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describes the features of tin can steel sheets for cans manufactured as such machinery.

할로겐 형식의 전기주석 도금라인에 의해 주석이 석출될 때 강철의 미세면상의 특별한 거칠기(25 내지 150peaks/cm를 갖는 0.2 내지 1.00㎛ CLA)에 대하여 전류가 균일하게 분배되므로 강철 스트립의 기초면의 기복과 동일한 형상으로 주석이 도금된다(제5도 참조).Relief of base surface of steel strip as current is distributed evenly over special roughness (0.2 to 1.00 μm CLA with 25 to 150 peaks / cm) on the fine surface of steel when tin is deposited by halogen type electro tin plating line Tin is plated in the same shape as (see FIG. 5).

강철 스트립의 기초면상에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의 미세한 비금속입자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것은 주석이 석출되는 동안 석출된 주석에 의해 뒤덮이게 됨과 아울러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공간(35)을 이루게 된다. 제6도를 참조하면, 도금된 주서긍(31)은 부동태화 필름(33)에 의해 뒤덮혀 있고, 비금속입자(34)는 도금된 주석에 의해 덮혀져서 작은 공간(35)을 이루고 있다.Invisible fine non-metallic particles are attached to the base surface of the steel strip, which is covered by the precipitated tin during the deposition of tin and forms a small space 35 as shown in FIG. do. Referring to FIG. 6, the plated juicer 31 is covered by the passivation film 33, and the non-metallic particles 34 are covered by the plated tin to form a small space 35.

이것에 부드러운 광택을 주기 위해 종래의 방법에서와 같이 상기 석도강판의 도금면을 리플로우시키게 되면 도금면에는 친숙한 광택은 제공되지만 도금면의 균일성이 상실됨과 동시에 표면장력에 의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은 구멍이 생격나게 되며, 또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석의 일부가 강철 스트립의 기초면과 결합하여 합금을 형성하게 된다.Reflowing the plated surface of the steel plate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to give it a smooth gloss is provided with a familiar gloss on the plated surface, but the uniformity of the plated surface is lost and the surface tension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8, a small hole is vibrated, and as shown in FIG. 8, a portion of tin is combined with the base surface of the steel strip to form an alloy.

상기 리프로우의 결과 강철 스트립상에 분포된 도금량이 매우 불균일하게 됨과 동시에 정점에는 도금량이 감소되고, 어떤 경우에는 합금이 된 주석으로만 정점이 뒤덮이게 될 수도 있다.As a result of the reflow, the amount of plating distributed on the steel strip becomes very uneven and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plating is reduced at the vertices, and in some cases the vertices may be covered only with alloyed tin.

또한 비금속 함유물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디웨팅" 현상은 함유물의 폭에 대한 주석의 두께비, 그리고 주석의 표면장력에 의존하게 되며, 주석도금량이 E 05 (2.8g/m2) 정도로 낮을 경우 "디웨팅" 현상이 일어나기가 쉽고, 아울러 주석도금량이 감소되면 될수록 "디웨팅" 현상도 점점 더 심각해짐과 동시에 석도강판의 용접력 및 부식저항도 급격히 저하된다. 강철 스트립의 기초면에 대한 "디웨팅" 영역들과 이들과 연합된 구멍들은 석도강판의 부동태화 처리단계 중 크롬화합물로 막히게 됨과 동시에 용접시 이들 영역들은 엷은 합금으로 뒤덮인 정점들과 함께 용접물의 유동을 저지하는 핀치 포인트의 역할을 하게 되며, 따라서 도금량이 E 05 이하인 석도강판은 고속 깡통 제조라인에서 사용하기가 어려웠다.Also, the "dewetting" phenomenon that occurs on the surface of nonmetallic inclusions depends on the thickness ratio of tin to the width of the inclusion, and the surface tension of tin, and when the tin plating amount is as low as E 05 (2.8g / m 2 ), "Wetting" phenomenon is easy to occur, and as the amount of tin plating decreases, the "dewetting" phenomenon becomes more and more severe, and the welding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of the masonry steel sheet are also drastically reduced. The "dewetting" areas of the steel strip's foundation and their associated holes are blocked by chromium compounds during the passivation stage of the steel sheet, while at the same time these areas are welded together with the thin alloy-covered vertices during welding. It acts as a pinch point to block the, so the steel plate with a plating amount of less than E 05 was difficult to use in high-speed can manufacturing line.

만일 석출된 주석이 리플로우되지 않을 경우 석출된 주석에 의해 뒤덮인 비금속 함유물은 계속해서 주석으로 뒤덮여진 상태로 있기 때문에 핀치 포인트가 더욱 감소되고 아울러 용접력도 개선될 수 있게 된다. 제9도를 참조하면, 주석도금량의 감소에 따라 기공의 비율은 증가하며, 이러한 점에서 볼때 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이 리플로우된 석도강판보다 한층 우수함을 알 수 있다.If the precipitated tin is not reflowed, the nonmetallic content covered by the deposited tin will continue to be covered with tin, further reducing pinch points and improving weldability. 9, the proportion of pores increases with decreasing tin plating amount, and it can be seen from this point that the unreflowed stone plate is better than the reflowed stone plate.

제10도에는 다양한 주석도금량을 갖는 리플로우된 석도강판과 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을 취하여 측정해 본 철 용해치 테스트(ISV)의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철 용해치 테스트는 철의 노출량을 측정하는 것이며, 상기 테스트의 결과 리플로우 공정을 거칠 경우 철의 노출량의 한층 증가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주석도금량이 감소되면 철의 노출량이 리플로우되지 않은 경우보다 리플로우된 경우가 훨씬 더 증가하기 때문에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의 면이 리플로우된 석도강판의 면보다는 훨씬 월등함을 알수 있다FIG. 10 shows the results of an Iron Dissolution Value Test (ISV) taken and measured of reflowed and unreflowed steel sheets with varying tin plating amounts. The iron dissolution test is a measure of the exposure of iron, and the results of the test revealed that the iron exposure increased even more after the reflow process. Therefore, if the tin plating amount is reduced, the exposure of iron is much more reflowed than that of the non-reflowed steel.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surface of the non-reflowed steel plate is far superior to that of the reflowed steel plate.

이와같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즉, 강철 스트립의 기초면상에 주석이 뒤덮이게 되는 범위는 용접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이 되며, 또한 석출된 주석을 리플로우시키게 되면 그 결과 강철 스트립의 기초면에서 "디웨팅" 현상이 일어남과 동시에 정점으로부터 주석이 흘러내려서 정점의 도금량이 매우 엷어지게 되며, 이것은 용접력에 심각한 악영향을 주게 된다는 것이다.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xtent of tin coverage on the base surface of the steel strip is a major factor affecting the welding force, and reflowing the deposited tin results in steel As the "dewetting" phenomenon occurs at the base of the strip, tin flows out of the vertices, resulting in a very thin coating of the vertices, which severely affects the welding force.

요약하면, 리플로우되지 않은 도금량이 작은 석도강판은 도금량이 매우 많은 리플로우된 석도강판에 비해 훌륭한 광택면을 가짐과 동시에 주석도금량이 매우 작은 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으로도 대단히 만족스러운 용접력을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도강판을 테스트하기 위해 도금량이 3.36g/m2(E 06)내지 0.56g/m2(E 01) 사이의 범위내의 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을 6단계로 나누어서 다양하게 테스트해 보았으며, 그 결과는 제11도 내지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석도강판과 종래의 석도강판 사이의 비교 테스트의 결과이다.In summary, the non-reflowed steel plate with a small amount of non-reflowed plating has an excellent gloss surface compared to the reflowed steel plate with a high amount of plating, and at the same time, a very satisfactory welding power is achieved even with a non-reflowed steel plate with a very small tin plating amount. You can get In order to test th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reflowed steel sheet in the range of 3.36 g / m 2 (E 06) to 0.56 g / m 2 (E 01) was divided into six stages for various test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This is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test between the ston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stone plate.

제11도를 참조하면 만족할만한 용접력은 0.5g/m2(E 01은 0.56g/m2)의 도금량이 낮은 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으로 성취되며, 반면에 리플로우된 석도강판이 상기한 것에 필적할만한 용접력을 얻기 위해서는 2.0g/m2이상의 과도한 주석이 필요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1, satisfactory welding force is achieved with unreflowed steel sheets having a low plating amount of 0.5 g / m 2 (E 01 is 0.56 g / m 2 ), while reflowed steel sheets are described above. Excessive tin of at least 2.0 g / m 2 is required to achieve a weld comparable to that.

전술한 "디웨팅" 현상은 용접력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석도강판의 부식작용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제12도, 제13도 및 제14도에는 부식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하게 테스트해 본 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과 리플로우된 석도강판의 상대적인 성능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테스트 결과는 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의 부식성능은 리플로우된 석도강판의 부식성능보다 월등하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고 있다. 상기 부식 테스트는 주석도금량이 E 02(1.1g/m2)인 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의 부식저항이 주석도금량이 E 04(2.2g/m2)와 E 05(2.8g/m2) 사이의 리플로우된 석도강판의 부식저항에 필적한다는 사실을 지적해 준다.The above "dewetting" phenomenon not only affects the welding force, but also affects the corrosive effect of the steel plate. Figures 12, 13 and 14 show the relative performance of unreflowed and reflowed and reflowed steel sheets that have been variously tested to measure corrosion resistance. The test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orrosion performance of unreflowed steel sheets is superior to that of reflowed steel sheets. The corrosion tests between the tin coating weight is E 02 (1.1g / m 2) of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tin coating weight Tin ripple plate are not the low E 04 (2.2g / m 2) and E 05 (2.8g / m 2) Point out that it is comparable to the corrosion resistance of reflowed steel sheets.

상기 테스트의 결과는 제1도에 도시된 할로겐 형식의 전기주석 도금라인에서 제조된 석도강판에 의해 얻어진 것이다. 여기서 뛰어난 용접력을 갖는 도금량이 낮은 석도강판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헹굼 탱크(23)내의 불화물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은 그 특성이 석출된 도금량의 상태에 의존하기 때문에, 수화된 주석화합물이 도금면상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헹굼 단계에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용접력은 헹굼용액내에서 제1주석이온에 대한 불화이온의 비율이 10 : 1 이하로 떨어지게 될 때 감소된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또한 용접력이 감소되는 현상은 헹굼용액내의 불화물의 농도가 8g/l 이하로 떨어질 때 일어나며, 가장 양호한 결과는 불화물의 농도가 10g/l 내지 20g/l 사이에서 유지될 때 얻어진다.The results of the test were obtained by a steel sheet produced in a halogen type electro tin plating line shown in FIG. It has been foun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keep the fluoride in the rinsing tank 23 at a high level in order to produce a low-grade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welding force. Since unreflowed fine steel sheet depends on the state of the deposited amount of plating, great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rinsing step in order to prevent the hydrated tin compound from depositing on the plated surface. It has also been found that the welding force is reduced when the ratio of fluoride ion to stannous ion in the rinse solution drops below 10: 1. In addition, the reduction in welding force occurs when the concentration of fluoride in the rinse solution drops below 8 g / l, and the best result is obtained when the concentration of fluoride is maintained between 10 g / l and 20 g / l.

광범위한 시험결과, 헹굼단계내에서 헹굼용액내의 주석화합물이 주석도금면상에 석출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용접력의 저하는 헹굼용액내의 불화이온이 주석화합물과 적당한 형태로 존재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데, 이것은 주위가 산성일 경우에만 가능하며, 특히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헹굼용액의 pH값을 4 이하로 계속 유지시켜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것은 적당량의 농출된 염산을 추가로 가해주므로써 매우 간단히 성취될 수 있다.As a result of extensive testing, the decrease in welding force caused by the deposition of tin compounds in the rinsing solution on the tin plated surface during the rinsing step can be most effectively prevented when fluoride ions in the rinse solution are present in the proper form with the tin compounds. It is found that is only possible if the acid is acidic, especially that the pH value of the rinse solution should be kept below 4 for the best results. This can be achieved very simply by adding an appropriate amount of concentrated hydrochloric acid.

도금량이 낮은 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의 용접력 및 부식저항이 의외로 높은 것은 강철 스트립의 기초면의 윤곽을 따라 주석이 균일한 두께로 우수하게 석출되는 것과, 주석도금면상의 불순물이 매우 적다는 사실에 기인하게 된다. 이와같은 사실은 도금량이 0.95g/cm2인 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을 적당량 생산하여 이것을 연구실에서, 그리고 고속 깡통 제조라인에서 데스트하여 입증된 것이다. 깡통 제조시험을 위해 3톤의 석도강판은 800×858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이들을 두 개의 군으로 나누어서 통상의 고속 깡통 제조라인을 통해 공급하였다.Unexpectedly high welding force and corrosion resistance of low reflowed unrefracted steel sheets resulted in excellent deposition of tin in uniform thickness along the contour of the base surface of the steel strip and very low impurities on the tin plated surface. Caused by. This fact is the coating weight to produce an appropriate amount of Tin plate that are not low of 0.95g / cm 2 to this ripple in the laboratory, and demonstrate the desk in a high speed tin manufacturing line. For the can manufacturing test, three tons of steel sheets were cut into a size of 800 × 858 mm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nd supplied through a conventional high speed can manufacturing line.

첫번째 군으로부터 음료수 깡통은 시험재료로부터 성공적으로 제조되었다. 락카를 칠하는 작업과 용접성능은 대단히 만족스러운 것으로 평가되었다. 락카 굽기 사이플(lacbuer baking cycle)은 시간과 온도의 면에서 대단히 어려웠고, 또한 유용한 주석의 절반 정도가 합금으로 되었다. 이것은 용접전의 유리주석의 수준이 E 05에서 언제나 발견되는 유리주석 수준의 불과 20%에 불과한 0.5g/m2였지만 용접력은 만족스러웠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특별한 시험 중 제작손실은 E 05 석도강판에서와 마찬가지로 심각하지 않았고, 불투명한 락카를 적용해도 E 50의 깡통과 거의 구별할 수 없는 E 02의 깡통이 제공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Beverage cans from the first group were successfully manufactured from test materials. Lacquer painting and welding performance were very satisfactory. The lacbuer baking cycle was very difficult in terms of time and temperature, and about half of the useful tin was alloyed. This means that the level of glass tin before welding was 0.5 g / m 2 , which is only 20% of the level of glass tin that is always found in E 05, but the welding force was satisfactory. During this particular test, the fabrication losses were not as severe as in the E 05 stone plate, and it was proved that applying an opaque lacquer provided a can of E 02 which is almost indistinguishable from the can of E 50.

또한 두번째 군의 시험재료도 음료수 깡통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것도 역시 락카를 칠하는 작업과 용접성능이 대단히 만족스러운 것으로서 E 05의 석도강판보다 양호하거나 거의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In addition, the second group of test materials was used to make beverage cans, which were also very satisfactory for lacquer painting and welding performance, and were found to be better or nearly equivalent to E 05's stone plate.

이 시험에서 제조된 깡통에 대한 저장수명 테스트는 E 02로 제조된 깡통의 저장수명과 E 05로 제조된 종래의 깡통의 저장수명 사이에는 본빌적으로 아무런 차이점이 없다는 사실을 지적해주고 있다.The shelf life test on the cans produced in this test indicates that there is no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shelf life of cans made of E 02 and the shelf life of conventional cans made of E 05.

상술한 두 가지 성공적인 깡통 제조 시험 후, 적어도 각 회수마다 3톤의 리플로우되지 않은 도금량이 낮은 석도강판을 각각 포함하는 약 35회의 깡통 제조 시험이 수행되었다 : 총 400톤 정도의 시험재료가 생산되어서 평가되었다. 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으로부터 약 33,000개의 맥주 및 음료수 깡통 몸체와 약 32,000개의 식료품 깡통 몸체가 제작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적어도 3개월간의 저장수명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상기 두번째 군의 시험에서 깡통은 순수한 주석용접물로 용접되었다. 상기 주석용접물은 통상의 납-주석용접물에 비해 사용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종래의 석도강판에 사용할 경우 실패율이 매우 높다. 순수한 주석용접물에 비해 사용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종래의 석도강판에 사용할 경우 실패율이 매우 높다. 순수한 주석용접물을 사용키 위한 리플로우된 석도강판의 최소도금량은 E 05이며, 대부분의 깡통 제조업자들은 순수한 주석용접물로 작업하는데 있어서 E 07 또는 이보다 더 높은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도금량이 E 02인 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은 통상의 깡통 제조라인에서 순수한 주석용접물로 일관적으로 만족스럽게 용접되었다.After the two successful cans manufacturing tests described above, about 35 cans of fabrication tests were carried out, each containing at least 3 tons of unreflowed low-grade plated steel sheet at each recovery: a total of 400 tons of test material were produced. Was evaluated. About 33,000 beer and beverage can bodies and about 32,000 food can bodies were produced from unreflowed stone plates, all of which successfully completed at least three months shelf life testing. In the second group of tests, the cans were welded with pure tin welds. The tin welds are not only difficult to us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ead-tin welds, but also have a high failure rate when used in conventional stone steel sheets. It is not only difficult to use compared to pure tin welds, but also has a high failure rate when used in conventional stone steel sheets. The minimum plating amount of reflowed steel sheet to use pure tin weld is E 05, and most can manufacturers use E 07 or higher to work with pure tin weld. However, the non-reflowed steel sheet having a plating amount of E 02 p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sistently and satisfactorily welded with a pure tin weld in a conventional can manufacturing line.

또한 제조시험은 균질의 생산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전해조내의 전류밀도를 조심스럽게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었다. 이러한 전류밀도의 범위는 600 내지 1,600Amps/m2, 양호하게는 800내지 1,200Amds/m2이다. 550m/min의 타인속도를 갖는 경우 가장 양호한 전류밀도의 범위내에서 6개 내지 12개의 전해조만 사용될 것이다. E 05의 리플로우된 종래의 석도강판에 대하여 16개의 제해조 라인에서 사용된 전류밀도는 1,500Amps/m2이다.Manufacturing tests have also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carefully controlling the current density in the electrolyzer to produce homogeneous products. This current density ranges from 600 to 1,600 Amps / m 2 , preferably 800 to 1,200 Amps / m 2 . With a tine speed of 550 m / min, only six to twelve electrolyzers will be used within the range of the best current density. For the reflowed conventional steel sheet of E 05, the current density used in 16 decontamination lines is 1,500 Amps / m 2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깡통을 고속으로 양호하게 생산할 수 있는 석도강판 즉, 주석도금량이 66%까지 감소된 석도강판이 제공됨과 동시에 깡통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었던 종래의 석도강판이 직면했던 용접력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이것은 현재의 전기주석 도금라인에 대한 기계적 또는 전기적 변경이 없이도 생산가능하며, 동력 소모량도 약 60%까지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eel plate capable of producing a good can at a high speed in a good manner, that is, a steel plate having a tin plating amount reduced by 66% is provided, and at the same time, the welding faced by the conventional stone plate used in the can manufacture Power problems can be solved. In addition, it can be produced without mechanical or electrical changes to the current tin-plating line and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about 60%.

상기 시험결과는 하나의 실시예로만 제시된 것으로서 상기 시험에서 사용된 특별한 석도강판이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양쪽 면의 주석도금량이 동일한 석도강판은 일반적으로 락카가 적용되는 깡통의 제조에 사용되지만, 과일 또는 과일쥬스를 통조림하기 위해 사용되는 락카가 전용되지 않는 깡통의 경우, 도금량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즉, 깡통의 내부는 도금량을 두텁게 하고 깡통의 외부는 얇게 하므로써 본 발명에 따른 용접력 및 부식저항을 성취시킬 수 있다.The test results are presented in one embodiment only, and the particular fine steel sheet used in the test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in plated steel plates with the same tin plating on both sides are generally used for the manufacture of cans to which lacquer is applied, but for cans without lacquer used for canning fruits or fruit juices, they can be made with different plating amounts, i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welding force and the corrosion res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aking the inside of the thickening amount of plating and the outside of the can thin.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전형적인 깡통에 있어서는 길이방향의 이음부가 로크이음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도금량이 낮은 리플로우되지 않는 석도강판은 비부식성 또는 가압되지 않는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깡통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겹치기 이음도 가능하다.In the typical can shown in FIGS. 2-4, the longitudinal seam is a lock joint, but the low reflow non-reflowing stee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storing non-corrosive or non-pressurized contents. It is also possible to have overlapping joints that can be used in cans.

또한 할로겐 형식의 전기주석 도금라인 이외의 전기주석 도금라인에 의해 제조된 도름량이 낮은 리플로우되지 않은 석도강판으로도 상기와 같은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good results can be obtained even when the non-reflowed uncoated steel sheet produced by the electro tin plating line other than the halogen type electro tin plating line is low.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의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경시켜서 실시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

연속한 강철 스트립에 주석을 전착시킨 깡통 제조용 석도강판에 있어서, 강철 스트립의 한쪽 면에 전착된 리플로우되지 않은 주석도금량이 최소 0.95g/m2에서 최대 2.5g/m2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깡통 제조용 석도강판.A tin plate for making tin electrode with tin deposited on a continuous steel strip, wherein the amount of unreflowed tin plating deposited on one side of the steel strip is at least 0.95 g / m 2 and up to 2.5 g / m 2 Stone plate for manufacturing.
KR828202743A 1979-02-22 1982-06-19 Manufacture of tinplate and tinplate containers KR8600001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8202743A KR860000178B1 (en) 1979-02-22 1982-06-19 Manufacture of tinplate and tinplate contain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550A KR840001442B1 (en) 1979-02-22 1979-02-22 Method for manufacturing tinplate
KR828202743A KR860000178B1 (en) 1979-02-22 1982-06-19 Manufacture of tinplate and tinplate container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550A Division KR840001442B1 (en) 1979-02-22 1979-02-22 Method for manufacturing tin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749A KR830000749A (en) 1983-04-18
KR860000178B1 true KR860000178B1 (en) 1986-02-28

Family

ID=192108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550A KR840001442B1 (en) 1979-02-22 1979-02-22 Method for manufacturing tinplate
KR828202743A KR860000178B1 (en) 1979-02-22 1982-06-19 Manufacture of tinplate and tinplate container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550A KR840001442B1 (en) 1979-02-22 1979-02-22 Method for manufacturing tin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4000144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442B1 (en) 1984-09-27
KR830000748A (en) 1983-04-18
KR830000749A (en) 198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1631A (en) Metallic chromium-nickel-hydrated chromium oxide-coated tin free steel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4483907A (en) Manufacture of tinplate and tinplate containers
US4816348A (en) Surface treated steel sheet for welded can material
CA1273600A (en) Surface-treated steel strip having improved weldability and process for making
JPS6326200B2 (en)
JPS63186894A (en) Chrome plated steel sheet for welded can and its production
KR860000178B1 (en) Manufacture of tinplate and tinplate containers
CA1253451A (en) Process for preparing surface-treated steel strips adapted for electric resistance welding
US5168015A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weldable tin-free steel having a chromium bilayer
JPH0366397B2 (en)
US4578319A (en) Surface treated steel sheet having an excellent weldability and its production method
CA1147287A (en) Manufacture of tinplate and tinplate containers
US4875984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lytically chromated steel sheet
CA1144514A (en) Manufacture of tinplate and tinplate containers
US4608130A (en) Method of producing metallic chromium, tin or tin-nickel, and hydrated chromium oxide electroplated steel
US489864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lytically chromated steel sheet
JPH0243835B2 (en)
KR960012183B1 (en) Surface treated steel sheet for welded cans
JPH0726236B2 (en) Method for producing electrolytic chromate treated steel plate for welding can
JPH0434636B2 (en)
US4508790A (en) Tin free steel having an excellent weldability and its production method
KR930010342B1 (en) Weldable tin free steel sheet having a chromium bilay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368949B2 (en)
KR100332922B1 (en) Chromium hydroxide plating liquids and a method for formation of chromium hydroxide film with low contact resistance during seam welding using it
JPS6318676B2 (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