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131Y1 - 압축공기식 삼능침(空氣壓縮式三綾針) - Google Patents

압축공기식 삼능침(空氣壓縮式三綾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131Y1
KR860000131Y1 KR2019840006150U KR840006150U KR860000131Y1 KR 860000131 Y1 KR860000131 Y1 KR 860000131Y1 KR 2019840006150 U KR2019840006150 U KR 2019840006150U KR 840006150 U KR840006150 U KR 840006150U KR 860000131 Y1 KR860000131 Y1 KR 860000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opening
acupuncture
clos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6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335U (ko
Inventor
염동환
Original Assignee
염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동환 filed Critical 염동환
Priority to KR2019840006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131Y1/ko
Publication of KR8600003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3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1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3Need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축공기식 삼능침(空氣壓縮式三稜針)
제1도는 본 고안을 분리한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제1도를 조립한 전체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 : 협곡부
2, 2' : 암나조와 숫나조 3 : 침통
3' : 나사부 4 : 조절캡
6 : 침(針) 6' : 두부(頭部)
6" : 걸림환 7 : 진퇴공
7'' : 배출공 8 : 통공
9 : 개폐변 10, 10' : 안내축
10"' : 걸림턱 11 : 전자석
12 : 솔레노이드 13 : 개폐실
14 : 공기 압축관 15 : 방아쇠
본 고안은 한방의학에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는 직경이 1.2mm∼1.5mm의 침끝이 삼각형으로 모가난 삼능침(三稜針)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주로 경혈(經穴)이나 피하(皮下)에 자상(剌傷)을 주어 사혈(瀉血)을 시키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삼능침으로 출혈을 요하는 경혈에 사혈을 시키면 금, 만성질환 예컨데 급체(急滯), 중풍(中風), 경풍(驚風), 타박상(打僕傷), 관절염, 근육통, 따위의 치료가 가능하다. 이는 자상한 부위를 진공흡각기(부황)로 혈액을 인출(引出)함으로서 어혈(瘀血)이 제거되어 혈행(血行)이 순조롭고 맑아지기 때문인 것이다.
그러나, 삼능침은 여러가지 질병을 치료하는데 그 효과가 좋은 반면에 삼능침 자체가 가지는 결점은 치료를 받는 자에게는 자상을 줄때의 고통이 심하여 치료도중에 중단할 것을 호소할 정도로 피시술자에게 아픔을 주는 일이다.
이 때문에 근자에 와서는 피시술자에게 고통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기 위하여 스프링에 의한 삼능침이 개발되기는 하였으나, 이것 역시 고통스러운 자극은 별 차이가 없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같이 각종 어혈로 인한 질환에 효과가 좋은 삼능침을 구성함에 있어서 피시술자가 침을 맞을때 고통을 느끼지 않을정도로 인체의 피부에 1/16초 이상의 빠른 속도로 순간적인 자상을 일으키면, 이 속도는 말초 신경에서 중추신경 까지의 지각신경 전달속도보다 빠른 시간이므로 피시술자에게는 침을 맞는데 있어서 경미한 통증만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같이 속도가 매우 빠른 삼능침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전자석이 설치된 솔레노이드(Solenoid)의 순간적인 진퇴 작동으로 압축된 공기가 유입되면서 스프링으로 탄설된 삼능침의 두부를 개폐면의 축봉으로 타격케하여 침끝이 인체의 사혈을 요하는 경혈부위나 피하에 지극히 짧은 시간으로 깊이 1∼4mm 정도로 자상을 주어 사혈시킴으로써 피시술자 자신이 침을 맞는데 별 고통을 느끼지않고 치료를 받도록 하는데 본 고안의 특징이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침통내로 삽입 인출되는 침을 1회 환자에게 시술한 후에는 위생적으로 처리시켜 주기위하여 간편하게 침을 교환할 수 있도록 침통을 본체 선단부에 돌려끼우거나, 돌려서 뺄수 있게 구성하되, 침통 내부로 삽입되는 침의 길이는 침통끝에서 1mm, 2mm, 3mm, 4mm로 돌출시킬 수 있는 여러종류로 구비되어 있어서 피부에 삽입되는 길이를 깊고 낮게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하였으며, 타이머의 조작으로 1/5초부터 1/20초 까지도 그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삼능침 본체(1) 선단암나조(2)에 침통(3) 일단에 형성된 숫나조(2')를 돌려끼우거나 돌려뺄 수 있도록 침통(3) 주위에 나사부(3')를 일체로하되, 침통(3) 단부는 조절캡(4)을 형성하여 연결 조절되게 하고 침통(3) 내부는 스프링(5)으로 탄설된 침(6)을 삽입하여 두부(6')쪽의 걸림환(6")이 본체(1)내에 형성된 진퇴공(7) 선단에 걸리게 하였다.
그리고 진퇴공(7) 양쪽에는 배출공(7")을 형성하여 내부에 ''''자 형의 통공(8)이 설치된 개폐변(9)의 왼쪽 안내축(10)은 스프링(10")으로 탄지하고, 오른쪽 안내축(10')은 전자석(11)내에 알맞게 삽입되도록 걸림턱(10"')을 형성하여 전자석(11) 내부에서 진퇴 작동되는 스프링(12')이 연결된 솔레노이드(12)의 타격으로 개폐실(13)내 상부로 유도된 압축공기관(14)과 일치되게 하거나, 혹은 차단시켜 주도록 구성 한다.
그리고 본체(1) 협곡부(1')에는 방아쇠(15)를 설치하여 전자석(11)과 타이머(16)를 전류선(17)(17')으로 연결한 것으로서, 미설명부호 18은 압축공기 호-스, 19는 전원코드, 20은 타이머스 위치임.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 사용방법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여 보면,
본 고안은 동일자로 출원되는 전자삼능침과 마찬가지로 먼저 정해진 치료부위(시술자의 판단에 의함)에 침(6)이 삽입되는 길이를 침통(3) 단부에 형성된 조절캡(4)으로 조절하여 준 다음, 치료부위를 소독하고 보조자의 양손 모지와 차지로 치료부위의 피부를 주름잡히게 당겨서 혈관(모세혈관은 무방함), 신경, 힘줄, 골막 등의 중요한 조직과 분리시킨 후, 조절캡(4)을 피부가 당겨진 치료부위에 대고 몸체(1) 협곡부(1')에 설치된 방아쇠(15)를 눌러주면 피부에 자상을 내주게 된다.
그리고 다시 조절캡(4)을 4∼5mm 정도 좌우로 이동시켜서 자상을 내면서 점차적으로 목표한 면적내에 자상이 전부 완료되면 공지한 진공흡착기로 흡입시켜 사혈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와같은 작용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원코드(19)를 전원에 연결하고 타이머(16)의 스위치(20)를 "ON"으로하여 시술자가 시술을 시도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같이 침통(3) 단부의 조절캡(4)을 치료부위에 대고 방아쇠(15)를 누르면, 타이머(16)를 통한 전원은 전류선(17)(17')을 통하여 전자석(11)이 자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스프링(12')에 의해 후퇴되어 있던 솔레노이드(12)가 전진하면서 걸림턱(10"')으로 걸려있는 개폐변(9)의 오른쪽 안내축(10')을 타격하여 줌과 동시에 왼쪽 안내축(10)은 스프령(10")의 수축력으로 진퇴공(7)에 안내되는 것이다. 따라서 개폐변(9)은 개폐실(13)에서 수평으로 이동되므로 ''''자 형의 통공(8)과 압축공기관(14)은 서로 일치되면서 통공(8)을 통한 압축공기는 진퇴공(7)으로 밀려 침(6) 두부(6")를 밀어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침(6)은 치료부위에 자상을 내어주게 되는 것이며, 자상을 낸 침(6)은 스프링(5)의 팽창력으로 다시 후퇴하여 걸림환(6")이 진퇴공(7) 선단에 걸려서 더 이상 후퇴하지않는 동작을 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용은 침(6)을 밀어낸 여백의 압축공기가 배출공(7")을 통하여 배출되는 이유도 있지만 전자석(11)에 가해졌던 전원이 타이머(16)의 동작에 의해 단전되기 때문에 전자석(11)의 자력상실로 상기한 동작을 도와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12)는 스프링(12')의 수축력으로 후진하게 되고 개폐변(9)은 스프링(10")의 팽창력으로 자동 후진하여 ''''자 형의 통공(8)과 압축공기관(14)을 서로 엇갈리게 하여 압축공기의 유입을 차단시켜 주는 것이다. 이상의 동작은 타이머(16)에 정해진 시간(1/16초)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작동되는 1회동작 상태이다.
시술작업을 재차 시도할 경우에는 침(6)을 위생 처리하기 위하여 침통(3)을 몸체(1) 선단부로부터 분리한 다음 교체소독한 후 다시 연결하여 사용되는 것이어서 타이머(16)의 스위치(20)만을 조정한 후 계속하여 방아쇠(15)만 눌러서 시술작업을 짧은 시간내에 간단하게 시술할 수 있기 때문에 피시술자 에게는 가벼운 통증만을 느끼게 되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공지한 타이머(16)와 전자석(11) 및 솔레노이드(12)를 이용한 삼능침을 형성함에 있어서, 본체(1) 선단 암나조(2)에 침통(3) 일단에 형성된 숫나조(2')를 돌려 끼우거나 빼낼수 있도록 침통(3) 주위에 나사부(3')를 일체로 하되, 침통(3) 단부는 조절캡(4)을 형성시켜서 침(6)의 깊고 낮음을 조정되게 하되, 침통(3) 내부로 스프링(5)과 같이 삼입된 침(6)의 두부(6')쪽에 걸림환(6")이 본체(1) 외부로 배출공(7")이 천공된 진퇴공(7) 선단에 걸리게 구성하여 개폐실(13)에서 솔레노이드(12)의 타격으로 진퇴되는 개폐변(9)의 ""자형 통공(8)이 압축공기관(14)과 일치되게 하거나 차단시켜 주도록 그 좌우에 일체로된 안내축(10)(10')에 각기 스프링(10")과 걸림턱(10"')을 설치하여 방아쇠단자(15)의 접점동작에 따라 작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식 삼능침.
KR2019840006150U 1984-06-29 1984-06-29 압축공기식 삼능침(空氣壓縮式三綾針) KR860000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150U KR860000131Y1 (ko) 1984-06-29 1984-06-29 압축공기식 삼능침(空氣壓縮式三綾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150U KR860000131Y1 (ko) 1984-06-29 1984-06-29 압축공기식 삼능침(空氣壓縮式三綾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335U KR860000335U (ko) 1986-02-13
KR860000131Y1 true KR860000131Y1 (ko) 1986-02-22

Family

ID=1923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6150U KR860000131Y1 (ko) 1984-06-29 1984-06-29 압축공기식 삼능침(空氣壓縮式三綾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1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335U (ko) 1986-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8744A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for therapeutic treatment of varices
EP0984726A4 (en) DEVICE AND METHOD FOR FACILITATING INTRAMUSCULAR STIMULATION TREATMENT
SE9200893L (sv) Anordning för håltagning i hård vävnad och punktionsnål
EP1656900A3 (en) Tissue resection device
ATE497733T1 (de) Behandlungs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lebendem gewebe
DE602004005345D1 (de)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energie in ein zielgebiet in knochen
JP2744624B2 (ja) 麻酔用注射装置
KR100845713B1 (ko) 통증치료기구
KR200441715Y1 (ko) 지방흡입술에 사용되는 광섬유 주입기
KR860000131Y1 (ko) 압축공기식 삼능침(空氣壓縮式三綾針)
KR200383707Y1 (ko) 금사 주입기
CN211068030U (zh) 一种中医内科针灸进针辅助装置
KR860000130Y1 (ko) 전자식 삼능침(電子式 三綾針)
CN213047164U (zh) 一种埋线针
CN213099211U (zh) 毫鍉针
CN212996567U (zh) 一种一次性使用腹壁吻合器
CN213525381U (zh) 一种骨减压针刀
CN205339100U (zh) 一种髓内复位导向器
CN215460165U (zh) 火针装置
KR200325576Y1 (ko) 음압을 이용한 마사지 장치
CN210472609U (zh) 松筋埋线针
CN215536563U (zh) 一次性简易埋线针
CN212996568U (zh) 一种腹壁吻合器
CN216754567U (zh) 一种穴位埋线针
KR100663838B1 (ko) 지방흡입용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