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349Y1 - 치과용 보철금속의 절취 금형 - Google Patents

치과용 보철금속의 절취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349Y1
KR850002349Y1 KR2019830010622U KR830010622U KR850002349Y1 KR 850002349 Y1 KR850002349 Y1 KR 850002349Y1 KR 2019830010622 U KR2019830010622 U KR 2019830010622U KR 830010622 U KR830010622 U KR 830010622U KR 850002349 Y1 KR850002349 Y1 KR 850002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prosthetic
cutting
mold
mould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0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402U (ko
Inventor
김문기
Original Assignee
김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기 filed Critical 김문기
Priority to KR2019830010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349Y1/ko
Publication of KR8500044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4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3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0Methods or devices for soldering, casting, moulding or mel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치과용 보철금속의 절취 금형
제1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일부 확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요입홈 2 : 구획돌조
2' : 연접홈 2" : 절취날
본 고안은 치과용 보철금속의 절취 금형에 관한 것으로, 치과에서 보철용으로 사용되는 연질의 합금사용시 귀금속(예로서 금, 은, 백금 및 파라디움 따위)의 혼합비율량을 간편정확하게 맞출수 있게함과 동시에 이를 간편용이하게 절취,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병원에서는 장입방체로 주형화(鑄形化)된 일정량의 귀금속을 구입하여 이를 매사용시마다 필요량만큼씩 절취하여 청평등의 저울로서 그량을 측정사용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매사용시마다 귀금속을 절취하여야하는 번거로움과 또한, 이를 정확하게 측정하여야하는 번잡으로 인해 사용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불편을 감안하여 일정량으로 구입 사용되는 귀금속을 일정소량의 단위소편상으로 분접시키고 이를 간편하게 절취사용할 수 있게한 금형을 제공하여 사용에 간편. 정확을 기할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치과용 보철금속의 절취 금형(1)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면에 주형화된 일정크기의 판상으로된 귀금속판(a)이 압입되는 요입홈(1')을 요설하고, 이에 귀금속판(a)을 일정한 단위소편으로 분할하는 구획돌조(2)를 선택적으로 주설하되 이의 상면에 수개의 연접홈(2')과 절취날(2")을 상호 교차되게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3은 압하용 금형이다.
본 고안을 실시성형함에 있어, 구획돌조(2)의 배설을 필요형태로 배설함으로써 귀금속판(A)을 소망의 형상을 갖는 단위소편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일정크기로 된 보철용 귀금속판(a)을 금형(1) 상면의 요입홈(1')에 얹혀 놓고 위로부터 압하용 금형(3)을 중압시키거나 금형(3)을 타발하면 대부분의 치과용 보철 금속은 연성이므로 보철용 귀금속판(a)은 금형(1)의 요입홈(1')내로 압입되면서 구획돌조(2)에 의해 정확하게 일정중량의 크기로 되는 단위소편으로 분접된다. 이때 여러개의 단위소편은 구획돌조(2)의 연접홈(2')과 절취날(2")에 의해 교차되게 연접부와 절취부를 형성하여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시 일정중량의 단위소편으로 분접된 귀금속물(a)을 필요량만큼씩 간편하게 절취사용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일일히 필요량을 저울로 측정하거나 별도의 절취도구를 사용하여 절취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치과에서 사용하는 보철용 귀금속물의 사용에 많은 간편성을 제공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같이 치과용 보철금속의 절취금형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면에 일정크기의 요입홈(1')을 요설하고 이를 일정한 소크기와 형태로 분형하는 구획돌조(2)를 선택적으로 주설하되 이의 상면에 수개의 연접홈(2')과 절취날(2")을 교차적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치과용 보철금속의 절취 금형.
KR2019830010622U 1983-12-14 1983-12-14 치과용 보철금속의 절취 금형 KR850002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622U KR850002349Y1 (ko) 1983-12-14 1983-12-14 치과용 보철금속의 절취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622U KR850002349Y1 (ko) 1983-12-14 1983-12-14 치과용 보철금속의 절취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402U KR850004402U (ko) 1985-07-22
KR850002349Y1 true KR850002349Y1 (ko) 1985-10-16

Family

ID=7016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0622U KR850002349Y1 (ko) 1983-12-14 1983-12-14 치과용 보철금속의 절취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3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402U (ko) 198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131U (es) Zapato de tacon intercambiable perfeccionado.
IT8268243A0 (it) Filo sottile in lega d oro per il collegamento di un dispositivo a semiconduttore
ES487265A0 (es) Un metodo para determinar la hemoglobina glicosilada en las muestras de sangre.
IT1201309B (it) Una lega di rame e berillio,procedimento per la sua produzione e manufatti cosi' ottenuti
JPS5420486A (en) Die stamp device for use in cutting and or slot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850002349Y1 (ko) 치과용 보철금속의 절취 금형
FR2326247A1 (fr) Outil d'estampage et de decoupage a matrices amovibles
IT1199893B (it) Preparazione a base di interferone epsilon e procedimento per la sua produzione
IT8820297A0 (it) Dispositivo di elettroerosione per taglio a filo.
ES546657A0 (es) Dispositivo para troquelar paquetes de piezas planas
DE3576110D1 (de) Stiftfoermige vorrichtung zur applikation kosmetischer massen.
BR9810149A (pt) Relógios e processo para sua fabricação
IT1134351B (it) Macchina per la spaccatura di pelli con lama a nastro a filo tagliente in posizione fissa per qualunque spessore di taglio
US3461562A (en) Dental restoration die and model jig
BR8506874A (pt) Aperfeicoamentos relativos a prensagem e estampagem de metais
IT7830826A0 (it) Lega rame-zinco e procedimento per la sua produzione.
JPS6032453U (ja) 根切りスコップ
TR23754A (tr) Standart tartimli hamur kesme makinasi
DE3482036D1 (de) Vorrichtung in einem mischer.
SU694383A1 (ru) Алмазный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IT213338Z2 (it) Macchina timbratrice e fustellatrice per riporti in pvctomaie e sottopiedi.
EP0251424A3 (en) Localized removal of a precious metal inlay from a metal strip and a broaching tool therefor
KR890017333U (ko) 프레스 재단용 칼날형재
ATE32022T1 (de)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s eisprungs bei frauen.
JPH01305942A (ja) 可撒模型製作トレーおよび歯型模型の製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